KR20150031948A -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948A
KR20150031948A KR20130111821A KR20130111821A KR20150031948A KR 20150031948 A KR20150031948 A KR 20150031948A KR 20130111821 A KR20130111821 A KR 20130111821A KR 20130111821 A KR20130111821 A KR 20130111821A KR 20150031948 A KR20150031948 A KR 2015003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ooth
bracket
section
comple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열
김학범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Sy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2013011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948A/ko
Publication of KR2015003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수용홈이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가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구비되고, 치아 접착부와 접착돌기에 복수의 탈착 보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Description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교정 시 브라켓이 치아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아 표면에서 브라켓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이다.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치열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브라켓(bracket), 브라켓에 결합되어 각 브라켓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ire) 및 와이어 결합부, 브라켓과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결속타이 등으로 구성된다.
치열교정 방법은 치아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한 후 치열교정용 브켓들을 치열교정용 와이어로 연결하여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해 발생되는 힘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치아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치아 접착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치아 접착부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해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열교정을 마칠 때까지 치아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아 표면에 접착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치열교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치열교정을 마친 후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탈거 시 흔적이 남지 않고 용이하게 탈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분리가 잘 되지 않았으며 분리되더라도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겨 깨끗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3952호의 “치아 교정 장치 커버 어셈블리”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부착할 경우,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도록 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자연적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을 인위적으로 탈거할 경우,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브라켓이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수용홈이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가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구비되고, 치아 접착부와 접착돌기에 복수의 탈착 보완부가 구비된다.
탈착 보완부는 접착돌기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陰刻)으로 이루어진 제1보완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치아 접착부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양각(揚角)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베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치아 접착부에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를 구비하고, 접착돌기 상에 탈착 보완부를 구성하는 제1보완부재를 구비하므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부착할 경우,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도록 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자연적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탈착 보완부를 구성하는 제1보완부재가 음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돌기 상에 구비되고, 탈착 보완부를 구성하는 음각과 양각의 제2보완부재가 치아 접착부에 복수로 구비되므로,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을 인위적으로 탈거할 경우,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브라켓이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이 각각의 치아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각각의 치아에 접착시킨 후, 다양한 소재로 구현 가능한 치열교정용 와이어(미도시)를 와이어 결합부(120)의 와이어 수용홈(121)에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다양한 소재로 구현 가능한 체결 와이어(미도시)로 각각 체결시켜,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간의 위치 등을 유지시키고,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을 체결시킨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으로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111)가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110)를 포함한다. 또한,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수용홈(121)이 베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112)가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에 구비되고, 치아 접착부와 접착돌기(112)에 복수의 탈착 보완부(1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110)는 치아와 부착되도록 치아 접착부(111)를 하부에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상부에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와이어 수용홈(121)이 형성된 와이어 결합부(120)를 구비한다. 베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된 와이어 결합부(120)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수용홈(121)을 구비한다.
와이어 결합부(120)는 모서리 부분이 양쪽 외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체결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110)와 와이어 결합부(120)의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베이스(110)는 세라믹이나 지르코늄, 지르코니아, 포셀라인, 경질합성수지 등과 같은 분말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와이어 결합부(120)는 연삭 가공, 소결, 사출 및 프레스 가공 등의 방법으로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110)와 와이어 결합부(120)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된다.
베이스(110)는 하부에 치아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치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분리 시 접착제 등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돌기(112)를 구비한다. 또한, 접착돌기(112)와 치아 접착부(111)에 탈착 보완부(130)를 형성한다.
탈착 보완부(130)는 접착돌기(112)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陰刻)으로 이루어진 제1보완부재(131)로 구성된다. 또한, 탈착 보완부(130)는 치아 접착부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 또는 양각(揚角)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132)로 구성된다.
탈착 보완부(130)에서 접착돌기(112)에 구비되는 제1보완부재(131)는 음각으로 이루어진 홈과 같은 형상이다. 베이스(110)의 접착돌기(112) 상에 제1보완부재(131)를 구비하여,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접착)시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이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접착돌기(112)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에 도포되기 때문이다.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접착제는 접착돌기(112)의 표면에 도포된다. 또한, 접착제는 음각으로 이루어진 제1보완부재(131)의 표면에 도포된다. 접착돌기(112)의 표면과 제1보완부재(13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는 제1보완부재(131)가 없을 경우에 비해, 더 넓은 접착돌기(112)의 표면에 도포된다. 따라서,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 시,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접착제가 접착돌기(112)의 표면과 제1보완부재(131)의 표면에 도포되기 때문에 브라켓을 차아에서 분리 시, 접착제 등이 치아에 잔존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접착제가 치아의 표면 보다 접착돌기(112) 및 치아 접착부(111)에 더 넓은 면적으로 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접착제는 접착돌기(112), 제1보완부재(131), 제2보완부재(132) 및 치아 접착부(111)에 모두 도포된다.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구비된 탈착 보완부(130)에서 제2보완부재(132)는 음각 또는 양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보완부재(132)는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 또는 양각으로 모두 이루어져 치아 접착부(11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보완부재(132)는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과 양각이 복합되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보완부재(132)는 제1보완부재(131)와 같이,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접착제가 베이스(110)의 치아 접착부(111)에 도포되는 면적을 넓혀준다.
탈착 보완부(130)의 제1보완부재(131) 및 제2보완부재(132)로 인해,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 시 접착제는 치아보다 브라켓에 도포되는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어, 브라켓에 대한 접착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브라켓에 대한 접착력이 높아짐에 따라 브라켓과 치아의 접착력도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제1보완부재(131) 및 제2보완부재(132)로 인해,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된 면적이 치아의 표면보다 브라켓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서 분리 시 접착제는 브라켓의 치아 접착부(111) 및 접착돌기(112)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접착제는 접착되는 표면적이 치아 표면보다 브라켓이 넓게 형성되므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서 분리시 치아 표면에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지 않게 된다.
이는, 치아 표면과 접착제 간의 접착력 보다, 브라켓의 치아 접착부(111) 및 접착돌기(112)와 접착제 간의 접착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탈착 보완부(130)의 제1보완부재(131) 및 제2보완부재(132)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탈착 보완부(130)에서 양각으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132)의 높이는 접착돌기(112)의 높이와 같거나, 접착돌기(112)의 높이 보다 낮게 이루어진다. 또한, 음각으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132)의 깊이는 제1보완부재(131)의 깊이와 같거나, 제1보완부재(131)의 깊이 보다 얕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보완부(130)가 형성된 베이스(110)는 와이어 수용홈(12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굴곡부(113)를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치아 접착부(111)에 굴곡부(113)를 형성하므로, 접착제의 도포 시 치아 접착부(111)의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접착제를 치아 접착부(111)에 도포 시, 접착제는 굴곡부(113)의 표면, 치아 접착부(111)의 표면, 제1보완부재(131)의 표면, 제2보완부재(132)의 표면에 도포된다. 따라서, 치아 접착부(111)에만 접착제가 도포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표면적의 치아 접착부(111)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로 인해, 접착제와 브라켓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접착돌기(112)는 굴곡부(113)를 경계로 하여 치아 접착부(111)에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구비된다. 치아 접착부(111)는 굴곡부(113)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이 타 구간에 비해 높게 형성되도록 경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접착부(111)에서 일 구간의 높이가 ‘h2’이고, 치아 접착부(111)에서 타 구간의 높이는 ‘h2'’이다. 치아 접착부(111)에서 일 구간의 높이는 타 구간의 높이에 비해 ‘h2-h2'’만큼 높게 이루어진다.
또한, 굴곡부(113)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의 접착돌기(112)가 타 구간의 접착돌기(112)보다 높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간의 접착돌기(112)에 대한 높이가 ‘h1’이고, 타 구간의 접착돌기(112)에 대한 높이가 ‘h1'’이다. 여기서, 일 구간의 접착돌기(112)의 높이는 타 구간의 접착돌기(112)의 높이에 피해 ‘h1-h1'’만큼 높게 이루어진다. 이는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이 타 구간에 비해 높게 이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이 치아 접착부(111)의 타 구간보다 높게 형성되고,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가 치아 접착부(111)의 타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 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치아 접착부(111) 및 접착돌기(112)에 구비된 탈착 보완부(130)도 높이 차를 형성하게 된다. 탈착 보완부(130)에서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과 이 일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에 형성된 일 탈착 보완부(130)가 치아 접착부(111)의 타 구간과 이 타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에 형성된 타 탈착 보완부(130)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또한, 접착돌기(112)에서 음각(陰刻)의 제1보완부재(131)가 형성되는 면은 일 구간에서 타 구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 또한,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이 치아 접착부(111)의 타 구간보다 높게 형성되고, 치아 접착부(111)의 일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가 치아 접착부(111)의 타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112) 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은 베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치아 접착부(111)에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112)를 구비하고, 접착돌기(112) 상에 탈착 보완부(130)를 구성하는 제1보완부재(131)를 구비하므로,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부착할 경우,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도록 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자연적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 보완부(130)를 구성하는 제1보완부재(131)가 음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돌기 상에 구비되고, 탈착 보완부(130)를 구성하는 음각과 양각의 제2보완부재(132)가 치아 접착부(111)에 복수로 구비되므로,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을 인위적으로 탈거할 경우,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와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브라켓이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0: 베이스 111: 치아 접착부
113: 굴곡부 112: 접착돌기
120: 와이어 결합부 121: 와이어 수용홈
130: 탈착 보완부 131: 제1보완부재
132: 제2보완부재

Claims (10)

  1. 치아와 접착되는 치아 접착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및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수용되도록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 수용홈이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며,
    이격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돌기가 베이스의 치아 접착부에 구비되고, 치아 접착부와 접착돌기에 복수의 탈착 보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탈착 보완부는
    접착돌기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陰刻)으로 이루어진 제1보완부재; 및
    치아 접착부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양각(揚角)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양각으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의 높이는
    접착돌기의 높이와 같거나, 접착돌기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탈착 보완부는
    접착돌기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음각(陰刻)으로 이루어진 제1보완부재; 및
    치아 접착부 상에 복수로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음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양각(揚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음각으로 이루어진 제2보완부재의 깊이는
    제1보완부재의 깊이와 같거나, 제1보완부재의 깊이 보다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와이어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길이를 가지는 부분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접착돌기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치아 접착부에서 대칭으로 구비되거나 비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8. 제6항에 있어서,
    치아 접착부는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일 구간이 타 구간에 비해 높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9. 제6항에 있어서,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치아 접착부의 일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가 타 구간에 구비된 접착돌기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접착돌기에서 음각(陰刻)의 제1보완부재가 형성되는 면은 일 구간에서 타 구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20130111821A 2013-09-17 2013-09-17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20150031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821A KR20150031948A (ko) 2013-09-17 2013-09-17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821A KR20150031948A (ko) 2013-09-17 2013-09-17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948A true KR20150031948A (ko) 2015-03-25

Family

ID=5302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821A KR20150031948A (ko) 2013-09-17 2013-09-17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9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262B1 (ko) * 2019-11-11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262B1 (ko) * 2019-11-11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11033364B2 (en) 2019-11-11 2021-06-15 Biocetec Co., Ltd. Orthodontic bracket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11452582B2 (en) 2020-05-08 2022-09-27 Gni Co., Ltd.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2386B2 (en) Methods of dental wire attachment
JP4725878B2 (ja) 歯科矯正装置の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およびブラケット付き取り付け治具。
KR102056502B1 (ko) 치열교정장치 설치구
JP6942783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の改善された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法
KR101480147B1 (ko) 치열 교정을 위한 브라켓
KR101109531B1 (ko) 브래킷 장착 지그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KR101019290B1 (ko) 치열 교정용 버칼 튜브
WO2009045752A3 (en) Orthodontic composition with polymeric fillers
KR101016416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WO2007067554A3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to teeth
KR20150031948A (ko)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20150031949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0977708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JP2020509867A (ja) ブラケットの位置ガイド用ジ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05424B1 (ko) 치열 교정을 위한 자가 결찰 브라켓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CN104869944A (zh) 用于牙齿美白牙托的密封
CN107427351A (zh) 具有成角度支撑结构的封装正畸组件
KR20150007896A (ko)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101560554B1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80107469A (ko) 치열 교정 브래킷
KR101356942B1 (ko) 치과교정용 브라켓
KR20200022119A (ko) 치아 교정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
KR20120095584A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