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219B1 -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219B1
KR101691219B1 KR1020160092706A KR20160092706A KR101691219B1 KR 101691219 B1 KR101691219 B1 KR 101691219B1 KR 1020160092706 A KR1020160092706 A KR 1020160092706A KR 20160092706 A KR20160092706 A KR 20160092706A KR 101691219 B1 KR101691219 B1 KR 10169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ooth
occlusal surface
occlusal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16009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19B1/ko
Priority to PCT/KR2017/006648 priority patent/WO20180167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접착고정할 때, 치면상에서 적절한 높이와 좌우위치 및 바른 경사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치아교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치아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연결와이어가 안착하는 슬롯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수용요부를 형성하도록 된 복수의 윙들을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치아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요부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하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에서 치아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하여 연장형성된 교합면유지부와; 상기 교합면유지부의 최하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추후 교합면을 감싸면서 투입되는 인기물을 지지하는 브릿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과 교정술을 통한 치열을 교정하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치면상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접착고정할 때, 치면상에서 적절한 높이와 좌우위치 및 바른 경사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치아교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삐뚤어지고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치의학적인 용어로 "부정교합"이라 하며, 치아나 치열이 부정교합의 상태인 경우, 외모가 보기 흉하게 일그러지며, 음식물을 씹기가 어렵고, 치아의 사이로 바람이 새서 말을 할 때 발음이 불명확해지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아의 부정교합을 바로잡아주어, 치아 및 치열의 심미감향상, 기능 및 건강의 확보하는 치료를 교정치료라 한다.
이와 같이,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고, 이 브라켓에 아치 와이어를 걸어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치아를 이동시켜 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63315호(명칭: 치아 교정용 브라켓)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아치 와이어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을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치아 표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베이스; 및 상기 브라켓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아치 와이어에 부동적으로 고정되는 와이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 와이어는 미리 결정된 상기 치아의 목적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힘을 상기 치아에 작용하도록 조작된 후 상기 와이어 홀더에 부동적으로 고정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91835호(명칭: 치이교정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 교정치료의 상황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홀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 상기 브라켓 홀더 상에서 상기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결선되는 교정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 홀더에 관통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나사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01886호(명칭: 치아교정용 클립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치아에 직접적으로 접합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 외측(바깥쪽)으로 내측후면부가 돌출되면서 연결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후면부와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외측전면부와의 사이에 상측이 개방된 와이어 삽입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와이어삽입홀 아래쪽에는 와이어고정홀 및 클립작동홀이 형성된 세라믹재질의 클립베이스와, 상기 클립베이스의 와이어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와이어가 와이어고정홀에 탄발 압지되어 결속 고정될 수 있으면서 연결와이어의 결속동작에서 미끄럼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삽입홀 아래쪽에 공간 연통된 내측후면부쪽의 와이어고정홀과 외측전면부쪽의 클립작동홀에 일체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고정수단인 고정클립이 형성되면서 상기 클립작동홀 위쪽으로는 금속재질의 탄발수단으로 형성된 탄성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교정용 클립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55676호(명칭: 슬롯 교환 방식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교정와이어의 탄성력으로 치아를 교정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치아에 부착되는 내면을 지닌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윙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외면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교정와이어의 안착을 위한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는 몸체의 대향하는 측면에 맞물리도록 결합홈을 구비하는 치아교정 브라켓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에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치면에 접착고정할 때, 브라켓을 치면상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고자 브라켓의 위치를 지시할 경우에는, 별도의 계측장치를 적용하여 좌표를 계측한 후, 위치를 확보하도록 된 방법이 있다.
즉, 시술자가 직접 높이계측을 위한 게이지를 사용하여 위치를 구하도록 된 것으로, 좌우위치 및 경사위치에 대한 계측이 불가능하여 교정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시술자의 고 숙련도를 필요로 함은 물론, 부착시 시야와 접근성이 떨어지며 타액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고, 재부착시 기존 부착위치를 재현하지 못하여 치료기간연장은 물론,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별도의 셋업모델을 사용하여 브라켓의 위치를 구하도록 된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시야와 접근성은 양호하나, 셋업하는 시간과 인력소모가 크고, 정상모델로 셋업하여 브라켓을 부착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치아이동에 한계가 있으며, 셋업하거나 직접 모델상에 부착한 브라켓을 환자구강에 이전하기 위한 기공과정의 트랜스퍼 트래이(transfer tray)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트랜스퍼 트래이 제작시 부착된 브라켓을 파지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윙과 슬롯 전체를 감싸며, 이전 한 후, 쉽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윙하방과 슬롯의 함몰부의 언더컷을 제거하는 기공작업이 필요함에 따라,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브라켓 윙을 피개하거나, 브라켓 슬롯에 삽입하는 등 전체를 파지하고 이 부위를 교합면 인기부와 연결시키는 기존의 일체형 트랜스퍼 트래이는, 브라켓을 파지하는 힘과 치면에 부착시 가해지는 수평력 및 교합면의 인기부를 유지하는 수직력 등 세가지 힘의 크기와 방향이 서로 다르게 작용함으로서 브라켓 베이스가 치면에 밀착되는 견고한 힘이 부족하거나 위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를 파지함으로써, 브라켓 기저면의 노출이 어려워 부착시 시야 확보가 안되고, 접착용 광조사가 약해지며 부분피개시 일부 브라켓 기저면이 노출되어 파지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접착제가 누출되어 치면과 잇몸 사이에 스며들어감으로써, 추가 클랜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으며, 충치 및 잇몸질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63315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91835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01886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556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접착고정할 때, 치면상에서 적절한 높이와 좌우위치 및 바른 경사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치아교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는, 치아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연결와이어가 안착하는 슬롯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수용요부를 형성하도록 된 복수의 윙들을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치아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환자로부터 채득한 치아모델 상에서 제작함에 있어 치아모델상의 제 위치에 잘 부착된 브라켓의 수용요부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하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에서 치아의 표면부를 감싸도록 하여 연장형성된 교합면유지부와; 상기 교합면유지부의 교합면 위치에서 인접치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와; 상기 교합면유지부와 브릿지부를 감싸면서 투입되는 인기물로 구성되는 교합면인기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몸체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는 브라켓과 트랜스퍼 트래이가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하부지지부와 측면지지부는 브라켓의 슬롯, 베이스, 윙, 몸체상부 중 어느 한 부위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어지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는, 교정하고자 하는 환자 치아의 치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접착고정할 때, 교합면유지부와 브릿지부를 감싸면서 치아의 교합면 인근을 인기하는 교합면 인기부를 해당 치아의 교합면 부위에 적합 위치시킨 후 하부지지부의 끝단부에는 브라켓의 수용요부가 끼워져 접촉되게 하고, 측면지지부에는 브라켓 몸체의 측면이 밀착 접촉되게 위치시키면서, 접착제가 발라진 브라켓을 치면에 수직압박하면서 고정함으로써 치아상에서 브라켓을 적합한 높이와 좌우위치 및 바른 경사위치에 위치시키게 되고, 치아교정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위치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위치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위치조절장치를 통해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위치조절장치를 통해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1)는, 치아(10)에 접착제(30)를 통해 부착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미 도시된 연결와이어가 안착하는 슬롯(22)이 구비된 몸체(23)와, 상기 몸체(23)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23)와의 사이에 수용요부(24)를 형성하도록 된 복수의 윙(25)들을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20)을 치아(10)에 교정할 때, 적합한 위치에 점유하면서 접착고정할 때,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치면에서 브라켓(20)이 점유해야하는 적합한 위치에 브라켓(20)이 위치하도록 지시함으로서, 치아교정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1)는, 상기 수용요부(24)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브라켓(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하부지지부(2)와; 상기 하부지지부(2)에서 치아(10)의 표면부를 감싸도록 하여 연장형성된 교합면유지부(3)와; 상기 교합면유지부(3)의 교합면에서 인접치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5)와; 상기 하부지지부(2)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23)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부지지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지지부(2)의 상단이, 상기 브라켓(20)에서 교합면측에 위치된 몸체(2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치아(10) 상에서 상기 브라켓(20)의 높이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측면지지부(6)는, 상기 브라켓(20)의 몸체(23)에서 일 측면을 지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치아(10) 상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좌우위치 및 경사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교합면유지부(3)는, 상기 인기물(4)의 내부에 매몰되면서 고정하여 상기 인기물(4)이 교합면에 고정될 때, 상기 하부지지부(2)와 상기 측면지지부(6)의 위치가 틀어지는 등의 위치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추후, 브라켓(20)이 고정될 때, 지시된 위치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인기물(4)은, 치아(10)의 교합면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하부지지부(2)와 상기 측면지지부(6)가 설정된 위치에서 틀어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브릿지부(5)는, 상기 인기물(4)을 더욱 견고히 지지함과 동시에 인접 치아(10)와 근접시켜 상기 인기물(4)을 인접 치아(10)까지 안정적으로 확장시켜 그룹치아를 동시에 교정할 때 유용하게 적용하게 한다.
즉, 그룹치아를 교정할 때, 브라켓(20)들의 부착작업시간을 절감하고 타액에 의한 오염을 더욱 줄이어 더욱 안정적으로 치아교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지지부(2)와 상기 교합면유지부(3)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측면상 'J'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브릿지부(5)는, 상기 교합면유지부(3)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저면상 '╋'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인기물(4)은,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상기 브릿지부(5)가 내부에 매몰된 형태로 투입된 후, 치아(10)의 교합면을 감싸도록 성형되어 '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치아(10)의 교합면과 끼움 결합하여 탈부착 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1)를 적용하여 치아(10)에 치아교정용 브라켓(20)을 접착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 상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적합한 위치를 점유하는 높이에 따른 상기 몸체(23)의 하부위치에 상기 하부지지부(2)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하부지지부 위치설정단계(S100)을 수행하고, 치아(10) 상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적합한 좌우위치 및 경사위치를 점유하는 좌표에 따른 상기 몸체(23)의 측면위치에 상기 측면지지부(6)의 측면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측면지지부 위치설정단계(S200)을 수행하여, 치아(10) 상에서 상기 하부지지부(2)와 측면지지부(6)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교합면유지부(3)는 치아(10)의 교합면을 감싸면서 수용하여 교합면유지부(3)의 위치를 설정하는 교합면유지부 위치설정단계(S300)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부(2)와 측면지지부(6) 및 교합면유지부(3)가 치아(10) 상에서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브릿지부(5)가 매몰되면서 치아(10)의 교합면이 수용되도록 하여 인기물(4)을 투입하여 성형하는 인기물 투입성형단계(S400)을 수행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위치조절장치(1)의 배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치아(10) 상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위치조절장치(1)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을 본 실시 예에 의한 위치조절장치(1)에 결합하는 브라켓 결합단계(S500)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몸체(23)의 측면이 상기 측면지지부(6)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지지부(2)에 상기 몸체(23)의 수용요부(24)가 끼움결합하면 브라켓(20)이 치이(10) 상에서 적합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20)이 치아(10) 상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면, 접착제(30)를 통해 상기 브라켓(20)을 접착고정하는 브라켓 접착단계(S600)을 수행하여 고정한다.
상기에서 접착제(30)는, 상기 하부지지부 위치설정단계(S100)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치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접착단계(S600)에서 광조사를 통해 브라켓(20)을 접착고정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접착제(30)는, 광조사를 통해 용해되어 상기 치아(10)에 상기 브라켓(20)을 접착고정하도록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치아(10)에 상기 브라켓(2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위치조절장치(1)를 분리하는 위치조절장치 분리단계(S700)을 수행하면, 치아(10)에 브라켓(20)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치아(10)에 브라켓(20)의 고정이 완료되면, 미 도시된 연결와이어를 슬롯(22)에 고정하면서 치아교정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위치조절장치 2 : 하부지지부
3 : 교합면유지부 4 : 인기물
5 : 브릿지부 6 : 측면지지부
10 : 치아 20 : 브라켓
21 : 베이스 22 : 슬롯
23 : 몸체 24 : 수용요부
25 : 윙 30 : 접착제

Claims (2)

  1. 치아교정용 브라켓(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하부지지부(2)와, 상기 하부지지부(2)에서 치아(10)의 표면부를 감싸도록 하여 연장형성된 교합면유지부(3)와, 상기 교합면유지부(3)의 교합면인근에서 인접치아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5)와,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브릿지부(5)를 감싸면서 투입되는 인기물(4)로 구성되는 교합면인기부와, 상기 하부지지부(2)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의 측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지지부(2)와 상기 교합면유지부(3)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측면상 'J'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브릿지부(5)는,
    상기 교합면유지부(3)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저면상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인기물(4)은,
    상기 교합면유지부(3)와 상기 브릿지부(5)가 내부에 매몰된 형태로 투입된 후, 치아(10)의 교합면을 감싸도록 성형되어 '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아(10)의 교합면과 끼움 결합하여 탈부착 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2. 삭제
KR1020160092706A 2016-07-21 2016-07-21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KR101691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706A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07-21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PCT/KR2017/006648 WO2018016754A1 (ko) 2016-07-21 2017-06-23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706A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07-21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219B1 true KR101691219B1 (ko) 2016-12-30

Family

ID=5773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706A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07-21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1219B1 (ko)
WO (1) WO201801675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54A1 (ko) * 2016-07-21 2018-01-25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CN109431634A (zh) * 2018-12-26 2019-03-08 杭州优易数齿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矫正用导板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KR20210031944A (ko) * 2019-07-30 2021-03-23 정푸 장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KR20210150165A (ko) * 2020-06-03 2021-12-10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808A (zh) * 2019-09-24 2019-12-20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正畸托槽的数字化定位器及其制作方法及其使用方法及一种联接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208A (en) * 1985-08-16 1986-12-02 Tp Orthodontics, Inc. Positioning jig for edgewise bracket
KR20010067444A (ko) * 1999-12-31 2001-07-12 김중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US20070031775A1 (en) * 2002-05-28 2007-02-08 Ormco Corporation Custom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jig and jig ma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63315B1 (ko) 2005-03-09 2007-10-04 차경석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100190125A1 (en) * 2007-08-09 2010-07-29 Joonho Lee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11-04 하만희 치아교정장치
KR101301886B1 (ko) 2013-05-06 2013-08-29 김기수 치아교정용 클립장치
KR101555676B1 (ko) 2013-12-24 2015-09-25 정규훈 슬롯 교환 방식의 치아교정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219B1 (ko) *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208A (en) * 1985-08-16 1986-12-02 Tp Orthodontics, Inc. Positioning jig for edgewise bracket
KR20010067444A (ko) * 1999-12-31 2001-07-12 김중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US20070031775A1 (en) * 2002-05-28 2007-02-08 Ormco Corporation Custom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jig and jig ma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63315B1 (ko) 2005-03-09 2007-10-04 차경석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100190125A1 (en) * 2007-08-09 2010-07-29 Joonho Lee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11-04 하만희 치아교정장치
KR101301886B1 (ko) 2013-05-06 2013-08-29 김기수 치아교정용 클립장치
KR101555676B1 (ko) 2013-12-24 2015-09-25 정규훈 슬롯 교환 방식의 치아교정 브라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54A1 (ko) * 2016-07-21 2018-01-25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CN109431634A (zh) * 2018-12-26 2019-03-08 杭州优易数齿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矫正用导板
CN109431634B (zh) * 2018-12-26 2024-05-14 杭州优易数齿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矫正用导板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KR20210031944A (ko) * 2019-07-30 2021-03-23 정푸 장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KR102623011B1 (ko) 2019-07-30 2024-01-08 정푸 장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KR20210150165A (ko) * 2020-06-03 2021-12-10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KR102340293B1 (ko) 2020-06-03 2021-12-16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754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219B1 (ko)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US9439737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US20210251730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thodontic system
US20210244507A1 (en) An orthodontic system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pplianc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use of the applianc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CN107874849B (zh) 托槽粘结定位器及其制造方法及托槽定位方法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EP1962715A1 (en) Device for bonding orthodontic brackets on tee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080B1 (ko) 치열 교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시스템
KR101094070B1 (ko) 치열 교정 장치
KR20140144044A (ko)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JP2021526937A (ja) 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用の組立体およびそのような治療用の歯科矯正システム、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用の組立体の設置の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組立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そのような歯科矯正システムの使用法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940741B1 (ko)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TWI524882B (zh) 齒顎矯正器
CN217066630U (zh) 隐形矫治器附件粘结辅助固位杆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KR102570550B1 (ko) 틀니 제작용 악간 관계 기록 장치
KR101648419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210757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KR20130120038A (ko) 치아의 극소형 교정장치
KR102163625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포지셔닝을 위한 브라켓 지그
KR101721803B1 (ko)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