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421B1 -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 Google Patents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421B1
KR101432421B1 KR1020130003568A KR20130003568A KR101432421B1 KR 101432421 B1 KR101432421 B1 KR 101432421B1 KR 1020130003568 A KR1020130003568 A KR 1020130003568A KR 20130003568 A KR20130003568 A KR 20130003568A KR 101432421 B1 KR101432421 B1 KR 10143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adjuster
lock housing
guide groove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372A (ko
Inventor
이채붕
Original Assignee
이채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붕 filed Critical 이채붕
Priority to KR102013000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4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3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height adjust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상악고정대와 하악고정대가 절첩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치아의 상,하악 운동을 재현하게 하도록 하는 교합기에 락하우징과 그 락하우징에 끼워져 상,하 또는 전,후방으로 움직임 되는 조절대를 조립하고, 조절대가 고정요소에 조임되도록 함으로써 조절대의 위치조정에 의하여 조절대에 부착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 및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 및 기울기 조절을 통하여 교합평면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반복적인 교합테스트가 필요없이 상,하악의 교합평면을 여러 번 재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articulator}
본 발명은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악 잇몸 높이와 치아의 길이, 하악 잇몸 높이와 치아의 길이가 다른 환자의 치아를 교합할 때 교합평면을 교정하여 반복적인 교합테스트가 필요없이 상,하악의 교합평면을 여러 번 재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차아와 잇몸의 높이에서 교합상태를 측정하여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사용되는 것으로, 두개골에 대한 악골 및 치아의 상대적 위치관계나 하악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하여 재현함으로써 환자에게 맞는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교합기의 구조는 상,하악골에 각각 해당하는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를 힌지구조로 결합하여 치아의 상,하운동을 재현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단순히 위치관계나 하악의 운동을 재현할 뿐이어서 환자에 따른 교합평면의 보정이 불가능하므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기공사)가 별도의 지그를 장착하여 대상물이 되는 치아 모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접 교합평면을 보정하면서 보철물을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즉, 상하악의 수직 고경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마운팅 지그를 원점에 두고 하악 모델을 하부구조의 교합기에 석고로 고정하면 되지만, 상악이나 하악이 결손된 환자, 상악과 하악 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환자, 구치부 결손이나 일부 결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는 상악과 하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주골의 쳐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교합평면의 위치 또한 변형되고, 일반 성인의 경우 수십년 생활을 하면서 치아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틀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환자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틀어짐을 환자 개개인마다 분석하기가 매우 어렵고, 따라서 정교하고 정밀한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인체 구조상 상악은 하악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 퇴축이나 변형의 속도가 하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러한 것에 대한 교정을 하지 못하게 되면 시술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턱관절에 이상이 오고 안면비대칭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치아 중에서도 전치부는 수직 고경을 대부분 유지하지만 구치부는 구치부 결손이나, 퇴축의 요인, 하악 관련 근육에 따라 구치부 수직 고경이 비정상적인 경우가 빈번하고, 따라서 교합에 관련된 임플란트 보철물을 조각하거나 총의치를 배열함에 있어서, 하악 모델을 작업자(기공사)가 지그를 상하 전후 이동하면서 하악 모델에 하악 치아를 배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이 결국 작업자의 목측(目測)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조절된 상태를 석고 고정하는 작업에 오차가 발생하면 반복작업을 하면서 오차를 보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6043호(2010.08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악 수직 고경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는 물론,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교합기에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또는 배열 플레이트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교합평면을 설정하여 반복적인 교합테스트가 필요없이 부정교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악고정대와 하악고정대가 절첩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치아의 상,하악 운동을 재현하게 하도록 하는 교합기를 구비하고, 교합기의 상악고정대 또는 하악고정대에는 락하우징을 장착하면서 그 락하우징에 조절대를 끼워 조절대가 움직임 되면서 고정요소에 의하여 조절대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절대에 부착된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 및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합평면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락하우징과 조절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고정요소의 샤프트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절대의 위치가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요소의 조임에 의하여 조절대가 위치고정되도록 하여 조절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설정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에 맞는 교합평면에 맞추어 치아 배열이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고, 이러한 교합평면의 조절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충진재를 이용하여 각도변형을 설정하지 않고 교합기 자체에서 각도변형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정교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치아의 좌,우측 교합면의 가장 높은 교두를 연결하는 가상곡선(curve over spee)과 치아의 정면 또는 배면 교합면을 이루는 선을 연결하면 발생되는 가상곡선(Wilison Curve)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여 교합이론에 적합한 정밀하고 정교한 교합을 이루게 할 수 있으며, 치아 배열이나 보철물을 조각함에 있어서 교합점이 많이 나타나도록 하여 저작시에 저작효율을 높임은 물론, 저작시 어느 한 지점에 교합압이 집중되지 않고 압력분산이 이루어지므로 비정상적인 치아 변형, 치아의 파손, 탈락, 임플란트 하부구조물(픽스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합기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합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합기의 락하우징과 조절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락하우징과 조절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교합기에 배열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배열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합측정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락하우징과 조절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고정대(100)와 하악고정대(200)가 절첩수단(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치아의 상,하악 운동을 재현하게 하도록 되는 교합기(1)를 구비하고, 그 교합기(1)의 상악고정대(100) 또는 하악고정대(200)에 락하우징(10) 및 그 락하우징(10)에 조립되는 조절대(20)를 형성하고, 조절대(20)가 락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높이 및 기울기가 자유롭게 움직임되면서 고정요소(30)에 의하여 위치를 고정하여 조절대(20)에 부착되어진 플레이트(40)의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교합평면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고정대(100)의 하단에 락아우징(10)을 장착하고, 그 락하우징(10)의 하측으로는 조절대(20)를 끼워 조절대(20)에 플레이트(40)를 장착함으로써 조절대(20)의 움직임에 의하여 플레이트(40)의 위치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에는 각각 가이드홈(11,21)을 형성하여 고정요소(30)가 가이드홈(11,21)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가 가이드홈(11,21)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움직임 되면서도 고정요소(30)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요소(30)는 헤드부(31)와 샤프트(32)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1)을 관통하게 조립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렇게 고정요소(30)가 가이드홈(11,21)을 관통하게 조립함으로써 교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고정요소(30)를 조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요소(30)는 헤드부(31)와 샤프트(32)가 분리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샤프트(32)를 분할하여 나사조립되도록 하면 헤드부(31)를 회전시켜 간단하게 조임으로써 조절대(20)의 위치(높이,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위치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임고정함으로써 작업자(기공사)가 작업중에 조절대(20)가 움직임 되지 않고, 플레이트(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교합평면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환자 개개인마다 다른 교합평면에 맞추어 석고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조절대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조절대의 위치가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요소의 조임에 의하여 조절대가 위치고정되도록 하여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조절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교합평면의 재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시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대(2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21)의 형태는 교합기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두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면 두 개의 가이드홈에 각각 고정요소(30)를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두 개의 고정요소(30)를 이용하여 조절대(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조절대(20)가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임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락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과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의 형태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락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과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의 형태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할 경우에는 어느 일측의 가이드홈이 타측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락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과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의 형태를 모두 'ㄷ'자 형태로 형성하면 고정요소(30)의 샤프트(32)가 그 'ㄷ'자 형태의 범위 내에서 움직임 되므로 높이 및 기울기의 조절에 제한이 되는데, 락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의 형태를 'ㄷ'자 형태로 형성하면서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의 형태를 'ㅁ'자로 형성하면 두 개의 가이드홈(11,21)을 같은 형태로 형성할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조절대(20)의 움직임 범위가 확장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어느 일측의 가이드홈의 형태를 타측의 가이드홈의 형태보다 지나치게 크게 확장하게 될 경우 고정요소(30)의 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의 확장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락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 또는 조절대(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을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형성할 경우, 그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가이드홈에 정위치유도홈(11a,21a)을 형성하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상,하악 수직 고경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정위치유도홈(11a,21a)에 고정요소(30)를 위치시켜 정상상태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정위치유도홈(11a,21a)은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가이드홈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그 최전방측과 최후방측으로 위치시키도록 하면 두 개의 고정요소(30)를 벌려 샤프트(32)가 정위치유도홈(11a,21a)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절대(20) 및 플레이트(40)를 수평 상태로 만들어 정상상태의 교합측정 여건을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정위치유도홈(11a,21a)은 상,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하면, 각각의 높이에 따른 수평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40)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마운팅 플레이트(40a)를 장착하면 상,하악 모델의 교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레이트(40a)를 탈거하고 교합 플레이트(40b)를 장착하면 무치악 환자의 교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악조절대(100)와 락하우징(10)의 조립 및 조절대(20)와 플레이트(40)의 조립은 볼트 조립 방식으로 제작하면 조립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석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러한 자석방식의 경우에는 부착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 끼움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자석 자체를 편심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움직임 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40a)는 양측방에 이격대(41)를 장착하여 교합의 평면을 잡아줄 때 치아의 좌,우측 교합면의 가장 높은 교두를 연결하는 가상곡선(curve over spee)과 치아의 정면 또는 배면 교합면을 이루는 선을 연결하면 발생되는 가상곡선(Wilison Curve)이 무너지지 않게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격대(41)는 마운팅플레이트(40a)의 양측단을 따라서 자석(42)을 내장하고 그 이격대(41)가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이격대(41)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악궁 크기에 따라서 이격대(41)의 위치조절을 할 수 있어 별도의 충진재를 넣고 교합평면을 잡을 필요없이 이격대(41)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교합평면을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대(41)가 전,후방 이동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0a)의 하단에는 표시눈금(43)을 형성하면 이격대(41)의 위치를 수치에 따라 정확하게 위치설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락하우징 11: 가이드홈
11a: 정위치유도홈
20: 조절대 21: 가이드홈
21a: 정위치유도홈
30: 고정요소 31: 헤드부
32: 샤프트
40: 플레이트 40a: 마운팅 플레이트
40b: 배열 플레이트 41: 이격대
42: 자석 43: 표시눈금

Claims (5)

  1. 상악고정대(100)와 하악고정대(200)가 절첩수단(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치아의 상,하악 운동을 재현하게 하도록 되는 교합기(1)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1)의 상악고정대(100) 또는 하악고정대(200)에 락하우징(10)이 장착되고, 그 락하우징(10)에는 상,하로 움직임 되는 조절대(20)가 끼워져 헤드부(31)와 샤프트(32)로 구성되는 고정요소(30)에 의하여 위치고정되어 조절대(20)에 장착된 플레이트(4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교합평면을 재설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는 가이드홈(11,21)이 형성되어 고정요소(30)의 샤프트(32)가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의 가이드홈(11,21)을 관통하게 조립되어 고정요소(30)의 조임에 의하여 락하우징(10)과 조절대(20)가 밀착 고정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상기 락하우징(10) 및 조절대(20)의 가이드홈(11,21)은 교합기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두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의 가이드홈에 각각 고정요소(30)가 조립되어 조절대(2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홈은 정위치유도홈(11a,21a)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두 개의 고정요소(30)를 를 이용하여 조절대(20)의 수평설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유도홈(11a,21a)은 상,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높이에 따른 수평설정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KR1020130003568A 2013-01-11 2013-01-11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KR10143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68A KR101432421B1 (ko) 2013-01-11 2013-01-11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68A KR101432421B1 (ko) 2013-01-11 2013-01-11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72A KR20140091372A (ko) 2014-07-21
KR101432421B1 true KR101432421B1 (ko) 2014-08-21

Family

ID=5173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68A KR101432421B1 (ko) 2013-01-11 2013-01-11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83B1 (ko) * 2021-01-25 2021-07-08 장일환 교합기용 인공치아 배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08U (ja) * 1993-06-30 1995-01-27 政仁 西村 咬合器の咬合平面板
JPH0795990A (ja) * 1993-09-30 1995-04-11 Kanamoto Shika Kogyo Kk 咬交器
JP2000042005A (ja) 1998-07-29 2000-02-15 Komatsu:Kk 咬合器の咬合平面板装置
KR20100117196A (ko) * 2009-04-24 2010-11-03 오창옥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08U (ja) * 1993-06-30 1995-01-27 政仁 西村 咬合器の咬合平面板
JPH0795990A (ja) * 1993-09-30 1995-04-11 Kanamoto Shika Kogyo Kk 咬交器
JP2000042005A (ja) 1998-07-29 2000-02-15 Komatsu:Kk 咬合器の咬合平面板装置
KR20100117196A (ko) * 2009-04-24 2010-11-03 오창옥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72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619B2 (ja) 咬合器
CA292370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KR101302701B1 (ko) 인공치아 교합기
US11759297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US20160008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ull mouth reconstruction
US20140134571A1 (en) Dental Prosthesis And Fabrication
KR101909829B1 (ko) 치과용 페이스 보우
EP3145664B1 (en) A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KR100976044B1 (ko) 교합기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US2016025624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KR101529231B1 (ko)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KR101422993B1 (ko) 교합기에 장착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하악 모델 측정용 지그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CN110099650B (zh) 假牙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US20200093583A1 (en) Occlusion recording instrument and articulator
CN212574997U (zh) 一种新型面弓
KR101686844B1 (ko) 치아배열에 용이한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JP3645189B2 (ja) 義歯製作装置
US6780011B2 (en)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KR101432420B1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KR101099794B1 (ko)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RU140377U1 (ru) Высокоточный артикулятор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челюст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