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398B1 -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398B1
KR101616398B1 KR1020137022669A KR20137022669A KR101616398B1 KR 101616398 B1 KR101616398 B1 KR 101616398B1 KR 1020137022669 A KR1020137022669 A KR 1020137022669A KR 20137022669 A KR20137022669 A KR 20137022669A KR 101616398 B1 KR101616398 B1 KR 10161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mpression material
positioning jig
dental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000A (ko
Inventor
유지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유지 스기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 스기모토 filed Critical 유지 스기모토
Publication of KR2013012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incisal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왁스림을 사용하지 않고, 게다가 정밀도가 높은 교합채득이 가능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이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및 의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인상재(2b)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2)와,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P)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3)를 가지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치조골에 매설하도록 장착되는 임플란트(P)에 대해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3)를 장착시켜 인상재 고정부(2)에 배치되는 인상재(2b)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POSITION ALIGNMENT TOOL FOR DENTISTRY, AND METHOD FOR OBTAINING DENTAL OCCLUSION USING SAME}
본 발명은 크라운이나 브릿지, 총의치 등의 의치를 제작·조정하거나 구강 내 검사 등을 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크라운이나 브릿지, 총의치 등의 의치 등을 제작하는 경우, 먼저 구강 내의 본을 뜨고(인상채득), 다음에 교합채득이라고 불리는 작업, 즉 왁스림을 이용해서 상하 치아의 위치 관계를 기록하는 작업을 한다. 보험 용어로는 「Bite Taking:BT」라고 불리지만 이 교합채득을 실시하고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함으로써 실제 구강 내의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작업용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작업용 모형상에서 검사나 보철물의 제작·조정 등을 실시한다. 교합기라는 치과의료에 있어서 치료·연구 등을 목적으로 작업용 모형상에서 턱운동이나 교합의 여러 위치를 재현하는 장치이다. 교합기는 중심교합위 등 특정의 교합위를 재현하는 것이나, 측방운동이나 전방활주운동 등의 턱운동을 재현하는 것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특허문헌1).
틀니를 제작하는 공정으로는 먼저 본뜨기로 개형을 취득하고 이 개형으로부터 만든 석고모형을 토대로 개인 트레이라고 하는 인상을 하기 위한 ‘접시’를 만들고 그것을 이용하여 정밀인상을 취득한다. 이 트레이를 실제로 입에 넣고 씹거나 입을 움츠리거나 혀를 내거나 운동을 시키거나 해서 모양을 만든다. 거기에 상세한 부분까지 재현할 수 있는 본뜨기재를 흘려 정밀한 인상을 취득한다. 이렇게 하여 취득한 인상에서 석고모형을 만드는데, 이것이 치과기공사가 기공조작으로 위치를 만들어 가는 토대(작업용 모형)가 된다.
틀니(의치)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맞물림’이다. 맞물림은 일반적으로는 고경(교합고경이나 높이, 고저(高低)라고도 함)이 고려되는 경우가 많지만, 상하 치아의 위치맞춤은 그런 단순한 것이 아니라, 상하 외에도 정중앙 위치를 결정하거나, 앞니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수평적 턱 위치를 결정하거나 등 많은 측정이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그 측정에는 토대가 잘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측정되어 처음으로 유효한 맞물림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1에는 의치 제작시의 교합조정기구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2에는 의치를 만들 때 기록상(記錄床)을 이용하여 하악의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3771534호 공보 특개 2005-152106호 공보
일반적으로 교합채득이라고 불리는 작업은 왁스림으로 불리는 납으로 된 인공림(총의치의 경우 U자형으로 되어 있지만, 부분의치의 경우는 그 부분의 형상을 나타낸다.)에 치아의 위치 관계를 기록한다. 왁스림은 본 모형에 수지를 올리고 개인 트레이처럼 성형하고 그 위에 납을 달구어 붙여서 제작하고, 이 왁스림을 환자의 입에 넣고 맞물림 위치를 결정한다. 도15는 교합기(K)에 의치(S)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왁스림(T)를 개재시킨 것이다. 실제 구강 내도 같은 상태가 된다. 도14는 교합채득을 거쳐 의치를 제조할 때까지의 흐름도이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2도 상기 왁스림을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왁스림(T)에 의한 교합채득에서의 상하 치아 맞물림으로는 정밀도가 높은 교합채득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로는 맞물림의 타이밍 등의 종래부터 알리져 있는 요인 외에, 본 발명자의 지견에 따르면 구강 내 토대(잇몸 부분)가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처럼 잇몸 부분의 쇠퇴 등이 있으면 구강 내에 왁스림을 넣고 정확한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예를 들어서 치아 수가 모두 갖추어져 있지 않고, 한 본이라도 결손되어 있는 경우는 그 위치에서의 맞물림은 할 수 없지만, 어금니처럼 맞물림의 기준이 되는 부분에서는, 그 위치에서의 맞물림이 가능하게 되면 정확한 맞물림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본 발명자는 생각한다.
한편, 치과기공사의 측면에서 보면 상기 맞물림 상태를 실제로 확인하는 것은 치과 의사인 경우가 많으며(치과 의원 내에 치과기공사가 있는 의원은 적다.) 따라서 상기 왁스림을 충실하게 재현하도록 크라운이나 브릿지, 총의치 등의 의치를 제조하지만, 의원에서 환자에게 장착해도, 치과기공사의 이미지와는 차이가 생긴다.
그리고 종래의 교합채득에서는 왁스림을 사용하지만, 입을 벌리고 다량의 왁스림을 넣게 되는 환자의 부담은 크고, 게다가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왁스림을 사용하지 않아도 정확한 교합채득을 할 수 있다고 하면, 재료비의 낭비를 줄이고 작업 공정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 발명자는 생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왁스림을 사용하지 않고, 게다가 정밀도가 높은 교합채득이 가능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는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인상재(印象材)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와,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를 가지며, 이 임플란트 연결부를 임플란트에 장착시켜,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합채득방법은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인상재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와,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를 가지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하여 구강 내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연결부를 장착시켜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의 임플란트 연결부를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장착하여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에 의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때문에, 치조골에 단단히 고정된 임플란트를 기준으로 한 치아의 맞물림에 의해 정확한 교합채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에 의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한 후는 이 위치맞춤 기록(교합채득)을 실시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제거하고 이를 실제 구강 내의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에 장착하여 치아 맞물림을 재현하고 이 작업용 모형상에서 검사나 보철물의 제작·조정 등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지그는 소형 지그이며, 소량의 인상재밖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입을 크게 벌리고 다량으로 사용하는 왁스림과 비교하여 환자의 부담도 적어진다.
본 발명으로는 상기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상기 임플란트는 요부(凹部)와 해당 요부에 감합하는 철부(凸部)를 가지며, 이 요부와 철부가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주(周)방향의 장착 각도가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육각형 등과 같은 매설된 임플란트의 요부에 대하여, 이와 감합하는 철부를 가지는 임플란트 연결부를 감합시키고 그 때의 결합 위치를 기록(마킹 등)해 두면 이 교합채득을 한 위치맞춤지그를 제거하고 상기 기록(마킹 등)을 통해 재현용의 작업용 모형에 설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로서는 상기 인상재 고정부가 임플란트 연결부의 중심축보다 그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합채득방법으로서는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의 중심축상이 아닌 위치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거나, 또한, 상기 인상재 고정부가 임플란트 연결부의 중심축상보다 그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가 임플란트에 대하여 그 설치 각도를 변경 가능하며, 이 각도를 변경하여 여러 부분에서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치아가 결손되어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임플란트와 치아가 대합(對合)(대향(對向))하고 있는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또한 치조골연(齒槽骨緣)(치조정(齒槽頂)·토대)와 임플란트의 위치가 어긋나고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인상재 고정부의 위치를 맞추면 치아가 결손되어 있는 위치에서도 맞물림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의 가상 위치에 위치를 맞추면, 그 위치에서도 맞물림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합채득방법에 따르면, 임플란트 연결부를 임플란트에 대해서 회전시키도록 하고 몇 부분에서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때문에, 만약에 그 중에서 한 번만 맞물림의 타이밍이 안 좋아도, 나머지 몇 번의 맞물림과의 정합성을 검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합채득방법은 총의치나 브릿지 같은 치아가 연속되는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 상기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구강 내의 복수 부분에 배치하고 이러한 복수의 위치맞춤지그에 의하여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좌우의 어금니와 앞니 3부분처럼 복수 부분에서의 치아의 맞물림 기록(높이나 각도 등)을 채득함으로써 총의치를 제작하거나, 또한, 브릿지의 경우, 그 양쪽 측 2 부분에 배치하는 등과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또한 치아가 결손되어 유리단(遊離端)이 된 부분에 대해서도, 이러한 복수 부분의 측정으로 정밀도가 높은 교합채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의치의 제조 방법으로는 상기 인상재에 의해 기록한 위치맞춤지그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고 이를 실제 구강 내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에 장착하여 이 작업용 모형상에서 크라운이나 브릿지, 총의치 등의 의치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치에는 크라운이나 메탈 프레임 등의 보철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토대를 이용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합기에 치아의 맞물림을 재현할 때 정확한 재현이 가능하며, 왁스림을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구강 내 상황에 맞는 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연결부를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장착하여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에 의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때문에 치조골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교합채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에 의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한 후는 이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제거하고 이를 실제 구강 내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에 장착하고 이 작업용 모형에서 검사나 보철물의 제작·조정 등을 실시하기 때문에 종래의 치아 맞물림에 사용되는 왁스림이 불필요해지고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왁스림보다 훨씬 작은 위치?춤지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보관이나 관리 등의 취급이 쉬어지고, 특히 치과기공사의 작업과 보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인상채득을 한 후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을 만들고 그 모형을 바탕으로 왁스림을 작성해야 하며, 이 때문에 기간이 걸렸지만 본 발명의 교합채득에 따르면 인상채득과 동시에, 혹은 인상채득 전에도 한 번 본 발명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로 맞물림 기록을 실시하면 상악 모형이나 하악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하고 상기 맞물림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 수의 절감이나 의치 제작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환자의 진찰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는 소형이며, 환자에의 부담도 줄일 수 있고 인상재도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양밖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상재의 양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치아의 결손된 위치에 있어서도 편심(偏心)한 인상재 고정부를 사용하여 치아의 맞물림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맞춤지그를 구강 내의 북수 부분에서 배치함으로써 총의치나 브릿지 같은 연속된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높은 정밀도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교합기에 설치한 작업용 모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교합기에 설치한 작업용 모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교합기에 설치한 작업용 모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임플란트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그 평면도이고, (b)는 그 단면도이다.
도8은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도이며, (a)는 그 평면도이고, (b)는 그 단면도이다.
도9는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은 상기 실시형태의 임플란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며, (a)는 그 평면도이고, (b)는 그 단면도이다.
도12는 상기 실시형태의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상기 실시형태의 복수의 부분에서 교합채득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마우스피스 형태의 인상재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고, (b)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또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교합채득방법에 의한 의치 제조의 흐름도이다.
도15는 종래의 왁스림과 해당 왁스림을 교합기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도1 내지 도3은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작업용 모형(상악 모형)에 장착시킨 사시도이다. 도4와 5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는 위치맞춤 기록을 위한 인상제(2b)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2)와 구강 내 임플란트(P)에 대해서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3)를 가지며 임플란트 연결부(3) 위쪽에 인상재 고정부(2)가 배치되어 있다.
임플란트 연결부(3)는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P)에 대해서 탈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철상(凸狀)을 나타내는 위쪽의 대구경부(大口徑部)(3a)와 아래쪽의 세경부(細徑部)(3b)가 형성되고, 이러한 경계는 단차부(3c)가 형성되는 동시에 돌기(3t)가 3 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3a), (3b), (3c), (3t)에 대응하는 부분이 임플란트(P)의 요부(Pa)에 형성되고, 상기 3개의 돌기(3t)는 120도마다 형성되어, 임플란트 연결부(3)를 주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임플란트 연결부(3)의 세경부(3b)의 외주는 단면시(斷面視)로 삼각형(또한 다각형)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요부(Pa)가 임플란트(P)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3)의 세경부(3b)로는 후술하는 임플란트(P)의 요부(Pa)에 부착해서 회전가능하게 그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P)의 요부(Pa)의 외주에 돌기편을 소정(所定)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임플란트 연결부(3) 쪽을 요부로 하고 임플란트(P) 쪽을 철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플란트 연결부(3)의 길이가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제작하여 환자에 적합하도록 구분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임플란트(P)의 따라서는 나사식으로 임플란트(P)에 연결하는 임플란트 연결부(3)일 수도 있다. 임플란트 연결부(3)의 외주 형상은 원형일 수도 있고, 임플란트(P)의 요부(Pa) 쪽도 원형일 수도 있고, 한편이 원형이고 다른 편이 다각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시판 임플란트(P)에도 요부(Pa)가 단면 삼각형 같은 주구(周溝)로 형성된 것이 있으므로, 시판품이라도 각도 변경 가능하다. 그러나 더욱 더 회전 각도의 섬세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더 많은 각형(12각형 등)의 요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
또한 임플란트 연결부(3)의 중심에는 유지(維持)구멍(3d)이 형성되어 연결 부재(나사 머리를 가진 연결용 나사)(3g)에 의해(도4(b)), 임플란트 연결부(3)가 임플란트(P)와 연결 고정을 할 수 있다.
인상재 고정부(2)는 인상재(실리콘이나 레진 등)(2b)가 배치되는 것으로, 원형 요부(2a)를 가진 두부(頭部)를 가지고 있다. 요부(2a)의 소정부분에는 걸림(係止)용 구멍(2c)이 형성되어 있다(도6(b)). 이 걸림용 구멍(2c)은 인상재(2b)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체상(流體狀)의 실리콘이나 레진 등을 요부(2a)에 부어 넣으면, 상기 걸림용 구멍(2c)에도 흘러 들어가며, 경화(硬化)하면 인상재(2b)의 움직임이 저지되고 맞물림에 의해 상하 치아 위치 관계를 기록할 때도 인상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인상재(2b)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높이 방향의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요부(2a) 바닥에 부절 가능한 시트상의 부재를 개재시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의 크기는 임플란트(P)가 배치되는 위치의 치아(가상 치아)보다 약간 작은 크기(지름)이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는 상기 인상재 고정부(2)가 임플란트 연결부(3)의 중심축(C)보다 그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임플란트 연결부(3)의 중심축(C)의 위쪽 선단(先端) 부분에는 그 위치를 나타내는 유지 구멍(3d)이 형성되고, 그 위치에서 한쪽 외주로 편심한 위치에 상기 인상재 고정부(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치아의 수가 모두 갖추어져 있지 않고 결손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결손된 치아의 위치에서 맞물림 기록이 가능하다. 즉 위치맞춤지그(1A)의 임플란트 연결부(3)를 임플란트(P)에 연결 고정한 후 인접 치아의 결손 위치에 상기 편심한 인상재 고정부(2)를 위치시킴으로써, 결손된 치아 (여기서는 끝 어금니)의 위치에서 맞물림 기록이 가능하게 되거나, 또한 상기 편심한 위치에 있는 상기 인상재 고정부(2)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이용하면 임플란트(매설한 상태의 매설 임플란트)(P)의 위치보다 안쪽 위치에도(임플란트(P) 위치에서 떨어진 위치), 편심한 위치에 상기 인상재 고정부(2)를 위치시킬 수 있고, 안쪽에서의 장착이나 치아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대응하는 대응 턱의 치아가 있다고 함)에서의 맞물림 기록을 할 수도 있다.
(교합채득방법과 의치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상기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하여 교합채득방법과 의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심 위치에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2)를 가진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이용하여 상악의 총의치를 메탈 프레임의 의치로 작성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상악 모형(M)에 장착시킨 것이지만 실제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시키는 경우도 이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14는 종래의 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의치 제조 흐름이다.
먼저 환자 진찰을 실시하고 임플란트 치료에 필요한 심사를 거쳐 임플란트 치료가 가능한지 판단하여 가능한 경우는 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임플란트(P) 부분(= 인공치아(픽스처))을 수술에 의해 악골(顎骨)(치조골)에 매립하는 수술을 한다(인공치아 매입 수술). 여기서는 상악 전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임플란트(P)를 매설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구강 내에 매입한 임플란트(P)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한다. 즉 매입한 임플란트(P)의 요부(Pa)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의 임플란트 연결부(3)의 각도를 맞추면서 장착한다. 이 때 임플란트 연결부(3)의 세경부(3b)를 임플란트(P)에 끼어 넣을 때의 위치를 특정한 상태의 마킹을 해 두면,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제거하고 이를 실제 구강 내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M)에 상기 마킹을 통해 설치하면 이 작업용 모형(M)상에서 위치맞춤지그(1A)를 그 설치 각도를 재현하고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킹에 의한 표시가 있으면 방향이나 각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장착 가능하다.
한편, 종래와 같이 환자 진찰을 하고 인상채득(개인 트레이를 이용한 정밀인상)을 실시하고 교합채득을 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교합채득에서는 상기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상채득과 동시에도, 혹은 인상채득 전이라도 교합채득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총의치를 작성하기 위해서 좌우 어금니의 위치와 앞니의 위치 3부분의 매설 임플란트(P)에 대하여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한다. 무릇 그 맞물림의 높이와 수평적 위치도 결정하기 위해, 즉 인상재(2b)의 두께와 착용감을 확인하기 위해 미리 구강 내의 매설 임플란트(P)에 장착해 본다(임시 장착). 또한, 상기 인상재 고정부(2)에 인상재(2b)를 두껍게 충전시킨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로 맞물림 기록을 취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인상재의 두께를 고려하는 등을 하기 위해 상기 임시 장착을 한다고 하면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의 높이(특히 인상재 고정부(2)의 높이)도 문제가 되지만, 해부 비추어 문제가 있다면, 또는 한 개라도 치아가 남아있는 경우 그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인상재 고정부(2)의 높이가 오도록 하고 여유가 있는 두께로 인상재(2b)를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에 충전한다. 또한 브릿지 및 유리단으로 된 부분에서는 인접한 치아(남아 있는 치아)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인상재 고정부(2)의 높이가 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사용한다.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는 도4(a)(b)와 같이 높이가 다른 것을 몇 가지 준비해 두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어서 일단 제거하고 인상재(2b)를 상기 인상재 고정부(2)에 충전시킨 후 다시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어금니의 위치와 앞니의 위치 3부분에 장착하면 임플란트(P)의 선단부와 임플란트 연결부(3)의 단차부(3c)가 맞닿아 높이가 결정된다. 그리고 환자의 치아의 맞물림을 수행한다.(도3참조, 도14의 교합채득). 도3은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상악 모형(M)에 장착시킨 것이지만 실제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시키는 경우도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제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하는 도는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가 정해진 경우 매입한 임플란트(P)의 요부(Pa)에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3)를 장착하여 유지 구멍(3d)에 고정용 나사(3g)를 삽입하여 고정한다(도4(b) 참조).
여기서, 상기 인상재 고정부(2)에 높이 조정용 시트재를 통해 인상재(2b)를 상기 인상재 고정부(2)에 충전함으로써,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하거나, 인상재(2b) 사용량을 줄이거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맞물림 기록을 많이 기록하기 위해 임플란트(P)에 대하는 설치 각도를 변경하고 맞물림 기록을 하거나, 상기 길이가 다른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교환하고 맞물림 기록을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편심한 위치의 인상재 고정부(2)를 상기 결손된 위치 (예를 들어 결손된 어금니의 위치)을 향한 상태로, 맞물림 기록을 취득할 수도 있다. 어금니는 맞물림의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기록을 채취하는 것도 안정된 의치를 제작하는데 효과적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치조골에 장착한 임플란트(P)를 기준으로 교합채득을 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맞물림 기록을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인상재 고정부(2)에 배치되는 인상재(2b)에 의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한 후는 이 위치맞춤 기록(교합채득)을 실시한 위치맞춤지그(1A)를 제거하고 이를 실제 구강 내 상태와 가까운 형태로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M)에 장착하고(도1, 도의 교합기(K)에 장착), 이 작업용 모형(M)상에서 검사나 보철물의 제작·조정 등을 한다. 즉 종래의 왁스림을 사용하지 않고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작업용 모형(M)상에서 재현한다. 따라서 환자 진찰의 필요도 없고(도14 참조), 환자의 구강 내에서의 부담도 적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재현한 내용으로 메탈 프레임을 작성한다. 또한, 도14에 있어서, 「상부 구조 제작」이라는 임플란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인공 잇몸이나 인공 치아 등을 말한다.
여기서는 그 다음의 시험(의치의 흡착 상태, 맞물림, 치열 등을 검토한다.)과의 조정을 도모하면서, 메탈 프레임에 의한 의치를 완성에 가까운 상태로 한다. 또한, 상기 재현을 한 후, 치과 기공사는 왁스 림을 사용하여 인공 치아를 배열하고, 구강 내시험가거나 왁스림을 사용하여 인공 치아 배열과 구강 내 시험을 치과 기공사가 인공 치아를 정렬하며, 틀니를 완성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환자의 입 안에서 맞물림, 입술과 뺨의 팽창 등을 확인하고 의치가 완성된다.
그런데 의치 중에서도 총의치의 경우 인상채득은 ‘본을 뜬다’라는 창조적인 작업이다. 총의치의 경우는 상하 턱의 위치 관계가 정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공간 중의 어느 위치에 치아를 정렬할지 등, 창조적으로 될 수 밖에 없다. 거기에 뭔가를 기준으로 해서 치열과 맞물림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본 발명자는 생각한다. 의료 현장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의치가 있으면 그것을 참고하는 경우가 있다. 구강 내의 해부학적인 표시, 입술 주위의 팽창 상태, 얼굴 길이 등을 기준으로 할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인상이상으로 환자의 움직임이나 감각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자는 치아의 맞물림 기록을 몇 번이나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어금니가 없는 위치에서 기록을 취득하거나, 환자에게 맞물림을 어긋나게 해 달라고 해서 맞물림을 하거나, 그렇게 해서 이들을 연속으로 기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요청에 응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 같은 편심한 위치에 있는 상기 인상재 고정부(2)를 가지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에 의하여 각도를 변경하거나 환자에게 상하 치아가 어긋나는 위치에서의 맞물림을 부탁하여 몇 부분의 맞물림 기록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총의치인지 아닌지는 상관없이, 임플란트(P)를 배치하는 부분(도1과 도2의 예에서는 6부분)에서는 모두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하고 교합채득을 하도록 하면, 총의치 제작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예를 들면 한 본의 의치 제작에서도 전체적인 맞물림 중의 한 본의 맞물림 기록이 되어 정밀도가 높아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로서는 도(6)(a)와 같이, 상기 인상재 고정부(2)가 임플란트 연결부(3)의 중심축(C)상에 배치되는 팽이형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B) 및 도6(b)과 같이 상기 인상재 고정부(2)가 임플란트 연결부(3)의 중심축(C)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치과용 의치맞춤지그(1C)이다. 상기 팽이형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B)는 주로 하나의 치아가 결손된 경우 한 본의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되지만, 인상재 고정부(2)를 크게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접한 치아의 맞물림에도 사용 가능하다. 즉, 한 본의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는 인상재 고정부(2) 요부(2a)의 크기는 그것과 같은 크기나 조금 작은 인상재 고정부(2)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연속되는 복수 치아의 맞물림 기록을 취득하기 위해서 큰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로 되어 있다. 한 본의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는 인접하는 치아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인상재 고정부(2)가 위치하여 그 요부(2a)에 여유가 있는 두께로 인상재(2b)를 충전한다.
또한 도7과 도8은 상기 인상재 고정부(2)가 직사각형으로 된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D), (1E)이다. 즉,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이나 아치 모양과 같이 치아의 정렬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한 것이 연속적인 맞물림 기록을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좌우 대칭 또는 직사각형 모양 또는 아치 모양의 위치맞춤지그(1D)는 브릿지와 같은 연속된 의치를 작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도8(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상재 고정부(2)에 단차(2c)를 설치하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인상재(2b)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게 하거나(상기 걸림용 구멍(2c)의 대용이 된다.), 상기 시트상의 부재를 개재시키는 위치를 특정하거나 이 시트상의 부재가 떨어지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9(b)나 도10(b)와 같이 인상재(2b)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의 면적을 크게 할 수도 있다. 즉, 도9(a)와 도10(a)는 상기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와 (1C)이며, 이와 비교하여 도9(b)와 도10(b)는 임플란트 연결부(3)의 유지 구멍(3d)의 위치까지 인상재(2b)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상재(2b)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의 면적을 크게 하고 있는 것이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F), (1G)이다. 또한, 상기 유지 구멍(3d)은 관통하지 않더라도 고정용 나사(3g)의 종류에 따라 연결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1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상재 고정부(2)의 선단부(2e)까지 인상재(2b)를 충전할 수 있도록 요부(2b)의 선단측이 잘려져 있는치과용 위치맞춤지그(1H)로 할 수도 있다. 이치과용 위치맞춤지그(1H)는 도13(a)와 같이, U자형 모양의 인상(B)를 사용하여 복수(3개)의치과용 위치맞춤지그(1H)에 걸쳐 맞물림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형태의 인상재(B)를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H)의 인상재 고정부(2)의 요부(2a)에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13(a)와 같이 복수 부분에서의 교합채득의 경우, 임플란트 연결부(3)의 외주 형상이나 임플란트(P)의 요부(Pa)는 윈형의 회전 규제가 없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1H)를 연결하는 연결바(메탈바)(Ba)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H)를 임플란트(P)에서 같이 제거하는 동시에 작업용 모형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임플란트 연결부(3)의 외주 형상이나 임플란트(P)의 요부(Pa)는 원형의 회전 규제가 없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총의치의 예와, 의치가 한 본의 경우와, 의치가 연속되는 몇 본의 경우로 설명했지만, 어떤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구강 내를 재현하고 검사하거나, 이를 환자에게 설명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총의치는 메탈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금속을 토대로 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메탈 플레임의 의치로 왁스림 부분(잇몸 부분)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경우도 총의치가 제조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왁스림으로도 제조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부분에서의 치과용 위치맞춤지그(1A)를 장착하고 치아 맞물림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 복수의 위치를 바꾸고, 그것을 여러 번 수행하고 더욱 자세한 맞물림 기록을 할 수도 있다. 그 횟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하나 하나의 작은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는 만일 하나라도 구강 내를 재현하는 작업용 모형으로는 매우 정밀도가 높은 구강 내를 재현할 수 있어 의치의 맞물림 기록의 검토를 할 수 있게 된다.
1A -1H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2 인상재 고정부
2a 요부, 2b 인상재, 2c 걸림용 구멍,
3 임플란트 연결부,
3c 단차부, 3d 유지 구멍, 3g 고정용 나사, 3t 돌기,
B 인상재 (U자형 인상재)
C 중심축,
K 교합기,
P 임플란트, Pa 임플란트의 요부,
S 왁스림,
M 작업용 모형(상악 모형)

Claims (8)

  1.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인상재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와,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가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연결부를 임플란트에 장착시켜 상기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위치맞춤지그와 상기 임플란트는 요부와 해당 요부에 감합하는 철부를 가지며, 이 요부와 철부가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주방향의 장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고정부가 임플란트 연결부의 중심축보다 그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7022669A 2011-01-28 2011-12-09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KR10161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7029A JP4863235B1 (ja) 2011-01-28 2011-01-28 歯科用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使用した咬合採得法
JPJP-P-2011-017029 2011-01-28
PCT/JP2011/078526 WO2012101914A1 (ja) 2011-01-28 2011-12-09 歯科用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使用した咬合採得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00A KR20130128000A (ko) 2013-11-25
KR101616398B1 true KR101616398B1 (ko) 2016-04-28

Family

ID=4560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69A KR101616398B1 (ko) 2011-01-28 2011-12-09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0542B2 (ko)
JP (1) JP4863235B1 (ko)
KR (1) KR101616398B1 (ko)
DE (1) DE112011104785T5 (ko)
WO (1) WO20121019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585A (ko) 2017-12-28 2019-07-08 (주)하이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5829A (ja) * 2012-06-27 2015-09-24 雄二 杉本 咬合採得法及び歯科用3d図作成方法と歯科用3d図作成プログラム
CA3056872A1 (en) 2018-10-01 2020-04-01 National Dentex, Llc Adapter kit for dental model articula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1759A (en) 1936-11-02 1939-09-05 Frederick S Meyer Method for preparing dental restoratives
US6382977B1 (en) 2000-03-02 2002-05-07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impression coping
US20030044749A1 (en) 2001-08-31 2003-03-06 Leonard Marotta Stable dental analo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915A (ja) * 1983-11-02 1985-06-03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燃焼器用噴射器
JPS6099915U (ja) 1983-12-14 1985-07-08 塩田 博文 歯科用クリアランスチエツカ−
JPH0710268B2 (ja) * 1992-01-14 1995-02-08 禎之 渡辺 歯科用インプラント上部構造製作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アダプタ
JPH0824685B2 (ja) 1992-11-25 1996-03-13 株式会社江川 インプラント構造体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US5597303A (en) * 1995-02-17 1997-01-28 Simmons; David E. Device and method for confirming bite registration for dental implants
US6666684B1 (en) * 1997-03-05 2003-12-23 Curtis D. Names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UPO715197A0 (en) * 1997-06-02 1997-06-26 Behrend, Donald Albert Occlusal registration coping system
US6213773B1 (en) * 1999-05-10 2001-04-10 Neal B. Gittleman Reduced height dental impression post
JP3771534B2 (ja) * 2002-12-25 2006-04-26 太美雄 大前 義歯製作時の咬合調整器具
JP4164442B2 (ja) * 2003-11-21 2008-10-15 智弘 菅原 顎間関係記録床
EP1797841A4 (en) 2004-09-07 2008-02-27 Noguchi Dental Medical Res Ins Occlusal TRANSFER INSTRUMENT; ARTICULATOR, OCCLUSAL INTERFACE INSTRU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OST-CROWN
EP2345387B1 (en) 2005-11-30 2015-01-07 3Shape A/S Manufacture of a dental model
US20070281278A1 (en) * 2006-05-31 2007-12-06 Lars Jorneus Transfer coping for dental implants
US8398400B2 (en) * 2007-09-12 2013-03-19 Vitali Bondar Pick-up implant abutment and method
US20120088208A1 (en) * 2007-10-19 2012-04-12 Cagenix Incorporated Method for Defining a Dental Framework Design Volume
EP2213259A1 (de) * 2009-01-31 2010-08-04 Straumann Holding AG Abformpfosten für Dentalimplantat
US20120052463A1 (en) * 2010-08-24 2012-03-01 Alan Pollet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US20130157217A1 (en) * 2011-12-15 2013-06-20 Dene S. LeBeau Dental implant reusable bite registration po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1759A (en) 1936-11-02 1939-09-05 Frederick S Meyer Method for preparing dental restoratives
US6382977B1 (en) 2000-03-02 2002-05-07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impression coping
US20030044749A1 (en) 2001-08-31 2003-03-06 Leonard Marotta Stable dental analog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585A (ko) 2017-12-28 2019-07-08 (주)하이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57376A (ja) 2012-08-23
US9480542B2 (en) 2016-11-01
DE112011104785T5 (de) 2013-12-12
JP4863235B1 (ja) 2012-01-25
KR20130128000A (ko) 2013-11-25
US20130309631A1 (en) 2013-11-21
WO2012101914A1 (ja)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csei et al.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direct and indirect three-dimensional digitizing processes for CAD/CAM systems–an in vitro study
US10045838B2 (en) Method of making a denture
KR10194074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857951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US20120322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Bhakta et al. Impressions in implant dentistry
US20140134566A1 (en) Dental Prosthesis With Reference Points For Imaging When Fabricating A Denture
JP2020521517A (ja) 歯科補綴物作製に使用される位置調整装置
US20140017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20200093582A1 (en) Dental Measuring Instrument
CN111658195A (zh) 牙科种植双扫描匹配与颌位记录的多功能托盘及使用方法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WO2014002513A1 (ja) 咬合採得法及び歯科用3d図作成方法と歯科用3d図作成プログラム
EP3927279B1 (en) Prosthetic tooth,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 of the same
Ibrahim Metal Versus Plastic Copings Regarding the Accuracy of Implant Transfer Impression Techniques [in vitro study]
Mathuriya et al.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Yu Occlusal Reconstruction Under the Guidance of Target Restorative Space
Reyes Clinical application of digitalization of occlusal contacts with dental scanner
Reshamvala 11 Clinical Steps for Fabrication of Restoration: Metal Ceramics, Zirconia, Acrylic Titanium
Begüm-Türker et al. Using a modified neutral zone technique to obtain maxillary and mandibular impressions in 1 stage for construction of a denture for a mandibular defect patient: A technical report
Hein et al. Study on Accuracy of Digital Scanning and Conventional Methods in Partially Edentulous Dental Impression
JPS61272046A (ja) 全部床用人工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