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85A -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85A
KR20190080585A KR1020170183126A KR20170183126A KR20190080585A KR 20190080585 A KR20190080585 A KR 20190080585A KR 1020170183126 A KR1020170183126 A KR 1020170183126A KR 20170183126 A KR20170183126 A KR 20170183126A KR 20190080585 A KR20190080585 A KR 2019008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lamp
bite
articulator
bite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웅
한형렬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템 filed Critical (주)하이템
Priority to KR102017018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585A/ko
Publication of KR2019008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중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은, a) 바이트 포크(120) 및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이트 포크(120)를 연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연화된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 물리게 하는 단계, d)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환자의 얼굴에 착용한 상기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의 연결 부위를 복합레진(Composite resin)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e)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상기 클램프(110)를 연결한 복합레진을 광 중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바이트 포크(120) 및 클램프(110)를 구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ACQUISITION METHOD OF DENTAL INTEROCCLUSAL RECORDS AND BYTE HOLDER CONNECTING DEVICE TO MOVE DENTAL INTEROCCLUSAL RECORDS TO ARTICULATOR}
본 발명은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보철물 제작시 교합 평면에 대한 기록을 채득하고, 채득한 기록을 고정 및 교합기로 옮길 수 있게 연결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에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교합상태를 진단 및 평가할 때, 환자의 치아모형을 채득한 뒤 이를 교합기에 설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교합상태를 확인 및 진단하고 있다.
교합기는 생체 관절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교합기의 상악받침대와 하악받침대에 각각 상악과 하악 치아 모형을 부착한 후 상악받침대를 힌지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교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교합기를 사용해 교합여부를 진단 및 판단하는 경우에는 교합기 상에 설치되는 치아 모형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상악과 하악의 치아모형이 실제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설치하지 않으면 정확한 교합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따라서 정확한 상악의 위치를 채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페이스 보우(face bow)라는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이스 보우를 사용하여 교합을 채득하는 방법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16398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인상재가 배치되는 인상재 고정부와, 구강 내에 배치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연결부를 가지는 치과용 위치맞춤지그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치조골에 매설하도록 장착되는 임플란트에 대해 임플란트 연결부를 장착시켜 인상재 고정부에 배치되는 인상재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 위치를 기록하는데, 인상재 고정부를 구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기록이 수행하므로 구강 내에 시술자의 손이 들어가야 하며, 이 과정에서 채득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치과보철물 제작 관련 악안면 측정장치를 이용한 교합을 채득하여 교합기에 옮기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구현되고 있다.
첫째, 악골 및 교합 분석을 하기 위하여 교합을 체득할 때, 기준점을 시술자의 기준에 따라 컴파운드나 왁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입을 개구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한쪽 손으로 입을 잡고서, 2~3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는 페이스 보우 바이트 채득 기구를 조이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입을 벌리고 있는 개구 상태이기 때문에 관절이 본래의 위치보다 더 벌어지고, 올라간 상태에서 교합이 채득 되어 정확한 채득이 어렵다.
둘째, 환자의 구강에서 채득한 바이트를 조이는 방식에 의해 고정한 후, 인기하여 고정한 교합은 교합기로 옮겨서 검사하게 되는데, 조금씩 조이는 관절이 모델에 고정시키는 힘에 의해서 변형되므로 구강의 위치와 다르게 되는 결과를 가져 온다.
한국등록특허 제1616398호 (등록일: 2016.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바이트 포크를 환자의 구강에 물게 한 상태에서 교합 기록을 보다 정확하고 오차 없이 채득 가능하고, 치아 교합 기록이 옮겨진 바이트 포크를 모든 교합기에 호환 가능한 바이트 홀더를 통해 고정시켜 보철물 제작에 활용 가능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은, a) 바이트 포크(120) 및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이트 포크(120)를 연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연화된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 물리게 하는 단계; d)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환자의 얼굴에 착용한 상기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의 연결 부위를 복합레진(Composite resin)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e)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상기 클램프(110)를 연결한 복합레진을 광 중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바이트 포크(120) 및 클램프(110)를 구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바이트 포크(120)를 70℃ 이상의 온수에 10초간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는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 수행 후에 g) 상기 바이트 포크(120)에 인기된 교합 기록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에 의해 치아 교합 채득이 기록된 바이트 포크(120)에 고정된 클램프(110)를 교합기(200)의 절치핀(Incisal pin: 210)에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110)의 반대쪽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도록 본체(222) 일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226); 상기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222)의 상하면을 관통한 종방향의 핀 삽입공(224); 및 상기 절치핀(210)에 형성된 홀(212)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22)의 타측벽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26)은 상하좌우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화시킨 바이트 포크를 환자의 구강에 물린 상태에서 복합레진으로 클램프와 연결 접착한 후 광 중합하여 기록을 채득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교합 평면을 측정하는 방법에 비해 손쉽고, 정확하고, 빠른 측정이 가능하며, 교합 평면을 교합기에 인기하는 경우 기존에 발생되는 부정확한 채득, 채득 과정마다 오차 발생, 치과에서 기공소로 보낼 때 변형 발생, 기공소 마운팅 작업시 에러 발생, 제작된 보철물이 실제 환자의 구강 내에서 맞지 않는 상황 발생, 치과의사 및 환자 모두 보철물에 대한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철물에 의한 보철 치료, 교정시 안면 측정 기준진단, 악안면 수술시 안면 측정장치, 성형 전 안면 대칭 및 거리 측정 장치, 정형외과 및 재활의학과 족부 균형 및 골반 균형 측정장치로서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에 바이트 포크 및 클램프가 장착된 후 교합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은 바이트 포크 및 클램프 준비 단계(S100), 바이트 포크 연화 단계(S110), 치아에 의한 바이트 포크 물림 단계(S120), 복합레진 고정 단계(S130), 복합레진 광 중합 단계(S140), 구강에서의 바이트 포크 및 클램프 분리 단계(S150) 및 기록 전달 단계(S160)를 포함한다.
바이트 포크 및 클램프 준비 단계(S100)는 바이트 포크(120) 및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바이트 포크(120) 및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는 열가소성 레진으로 제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PLA, PCL, 폴리아미드 등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페이스 보우(face bow: 100)는 환자의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안경태의 중앙에 십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환자의 안와 동공 평형선과 안면 중심 대칭선 등을 측정하게 한다.
특히, 페이스 보우(100)는 교합 평면을 측정하도록 하단에 바이트 포크(120)가 결속될 클램프(110)가 구비된다.
클램프(110)는 도 2(a) 기준 일단(좌측)에 페이스 보우(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열의 결합돌기(112)가 구비되고, 타단(우측)에 바이트 포크(120)의 결속돌기(128)와 결속될 수 있도록 다열의 클램프 결속돌기(114)가 구비된다.
바이트 포크(bite fork: 120)는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에 결합되어 교합 평면을 측정하며, 본체(122), 홀(124), 커팅라인(126) 및 결속돌기(128)를 포함한다.
본체(122)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도록 "U"자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도 2(b) 기준 타단(우측)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양단 대향면과 대향면 중심에서 결속돌기(128) 방향으로 교차되어 보강을 위해 연결된다.
홀(124)은 본체(122)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커팅라인(126)은 결속 돌기(128)와 이웃한 본체(122)의 일단에 절개시 후단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커팅라인(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포크(120)의 전체가 아닌 앞 부분만 고딕 아치 묘기도(Gothic arch tracing)에 물리게 하는 경우 뒷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바이트 포크 연화 단계(S1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포크(120)의 연화를 위해, 바이트 포크(120)를 70℃ 이상의 온수에 10초간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바이트 포크(120)가 50℃ 이상의 열에 의하여 변형되어 부드럽게 연화되는 성질의 재료로 제작되기에 가능하다.
치아에 의한 바이트 포크 물림 단계(S120)는 바이트 포크 연화 단계(S110)를 거쳐 연화된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 물리게 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치아에 의한 바이트 포크 물림 단계(S120)는 안와 동공 평형선, 안면 중심 대칭선, 캄퍼 플랜 및 교합 평면 등에 반영되도록 바이트 포크(120)에 인기(registration)를 새기게 한다.
복합레진 고정 단계(S13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포크(120)와 환자의 얼굴에 착용한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의 연결 부위를 복합레진(Composite resin)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즉, 복합레진 고정 단계(S130)는 클램프(110)의 클램프 결속돌기(114)와, 이와 대향된 바이트 포크(120)의 결속돌기(128)를 서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복합레진 주입기(130)를 통해 결속 부위에 복합레진을 도포시키게 된다.
복합레진 광 중합 단계(S140)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10)의 클램프 결속돌기(114)와, 바이트 포크(120)의 결속돌기(128)에 도포된 복합레진을 광 중합기(140)를 통해 중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복합레진 고정 단계(S130)와 복합레진 광 중합 단계(S140)는 클램프(110)와 바이트 포크(120)의 결속력 향상을 위해 각각 1회 이상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복합레진 고정 단계(S130)와 복합레진 광 중합 단계(S140)가 2회 실시되는 경우, 2회 때는 클램프(110)와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에서의 바이트 포크 및 클램프 분리 단계(S150)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레진 광 중합 단계(S140) 수행 후에 바이트 포크(120)에 인기된 교합 기록을 전달하도록 복합레진에 의해 결합된 클램프(110)와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
기록 전달 단계(S160)는 바이트 포크(120)에 새겨진 교합 평면의 인기를 통해 안와 동공 평형선, 안면 중심 대칭선, 캄퍼 플랜 및 교합 평면이 반영되도록 치과 기공소에서 기록을 전달하는 단계이다.
즉, 기록 전달 단계(S160)는 얼굴 각 부위의 기준을 잡아서 교합 평면과 악관절 등을 측정하고 눈, 코, 입, 귀 등 상호각 각 부위 간의 위치 상관관계와 비대칭의 위치적인 관계를 측정한 후 교합을 채득하고, 교합 채득을 모형 상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은 악골 및 교합 분석을 하기 위하여 교합을 채득할 때, 설정 온도의 온수에 설정시간 동안 담가 부드럽게 연화된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 물린 후 복합레진으로 접착시킨다.
이때, 바이트 포크(120)의 전체가 아닌 앞 부분만 교합 채득이 요구되는 경우 커팅라인(126)을 통해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바이트 포크(120)와 클램프(110)를 접착하거나, 환자 구강에서의 교합을 채득할 때 시술자의 손이 구강으로 들어가지 않고, 환자가 입을 다물고 있어 편안하게 바이트 포크(120)를 물고 있는 상태(관절이 본래의 위치에 있는)에서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바이트 포크(120)와 클램프(110)의 접착시 환자가 편안한 중심위(Rest position)에서 교합이 채득 되기 때문에 관절의 위치기 안정되어 있고 이에 좀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합 채득을 모형 상에 구현할 때 교합 채득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고, 교합의 기록이 교합기에 정확히 옮겨져서 보철물 제작 시 오차를 최대한 줄이게 된다. 이에 치과 보철물 제작시 교합 평면 기록측정을 보다 더 정확히 옮겨 보철물 제작에 활용이 가능하며, 치과는 물론 성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220)는 치아 교합 채득이 기록된 바이트 포크(120)가 클램프(110)를 통해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바이트 포크(120)에는 클램프(110)가 복합레진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램프(110)를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연결하게 된다.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220)는 결합홈(226)과 핀 삽입공(224)이 형성된 본체(222)와, 본체(222)를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228)를 포함한다.
결합홈(226)은 클램프(110)의 반대쪽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도록 본체(222) 일측벽에 다수 형성된다.
결합홈(226)은 상하좌우에 각각 1개씩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결합홈(226)은 상하 또는 좌우 간격이 클램프(110)의 이웃한 결합돌기(112)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클램프(110)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핀 삽입공(224)은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삽입 고정되도록 본체(222)의 상하면에 관통 형성된다.
체결부(228)는 본체(222)의 타측벽에 나선 체결된 볼트 형상으로 나선 체결을 통해 본체(222)를 절치핀(210)에 고정시킨다.
체결부(228)는 회전시 단부가 절치핀(210)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 홀(212)에 삽입되고, 반대 방향 회전시 단부가 절치핀(210)의 홀(212)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220)는 홀(212)이 형성된 절치핀(210)이 설치되는 타 회사의 모든 교합기(200)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페이스 보우(face bow) 110: 클램프(Clamp)
112: 결합돌기 114: 클램프 결속돌기
120: 바이트 포크(Bite fork) 200: 교합기
210: 절치핀(Incisal pin) 220: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222: 본체 224: 핀 삽입공
226: 결합홈 228: 체결부

Claims (6)

  1. a) 바이트 포크(120) 및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이트 포크(120)를 연화시키는 단계;
    c) 상기 연화된 바이트 포크(120)를 환자의 구강에 물리게 하는 단계;
    d)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환자의 얼굴에 착용한 상기 페이스 보우(100)의 클램프(110)의 연결 부위를 복합레진(Composite resin)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e) 상기 바이트 포크(120)와 상기 클램프(110)를 연결한 복합레진을 광 중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바이트 포크(120) 및 클램프(110)를 구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바이트 포크(120)를 70℃ 이상의 온수에 10초간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는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수행 후에 g) 상기 바이트 포크(120)에 인기된 교합 기록을 전달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에 의해 치아 교합 채득이 기록된 바이트 포크(120)에 고정된 클램프(110)를 교합기(200)의 절치핀(Incisal pin: 210)에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110)의 반대쪽 결합돌기(112)가 결합되도록 본체(222) 일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226); 상기 교합기(200)의 절치핀(2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222)의 상하면을 관통한 종방향의 핀 삽입공(224); 및 상기 절치핀(210)에 형성된 홀(212)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22)의 타측벽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2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26)은 상하좌우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KR1020170183126A 2017-12-28 2017-12-28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KR20190080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26A KR20190080585A (ko) 2017-12-28 2017-12-28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26A KR20190080585A (ko) 2017-12-28 2017-12-28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85A true KR20190080585A (ko) 2019-07-08

Family

ID=6725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26A KR20190080585A (ko) 2017-12-28 2017-12-28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24A (ko) 2018-02-13 2019-08-21 (주) 협진 이동구조물용 휴대접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98B1 (ko) 2011-01-28 2016-04-28 유지 스기모토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98B1 (ko) 2011-01-28 2016-04-28 유지 스기모토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24A (ko) 2018-02-13 2019-08-21 (주) 협진 이동구조물용 휴대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2349B (zh) 義齒及齒列弓
US6582931B1 (en) Dento-facial analyzer
US20090081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diate loading of fixed hybrid dental prostheses
US20070231774A1 (en) Occlusal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in edentulous patients
US20090117514A1 (en)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ducing edentulous dentures
CN110769778A (zh) 基准义齿用对位夹具、义齿制作套件及使用它们的义齿制作方法
US20170319313A1 (en) Bite registration tool, bite registration tool set, and suitable bite registration method
US4445856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pper jaw and lower jaw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US9737384B2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US7220123B1 (en) Device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KR20190080585A (ko)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WO2008144258A1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US2010011252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prosthesis
US20060210946A1 (en) Dental device for registration of midline and horizontal plane
US20200038160A1 (en) Retaining arc for anchoring motion sens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660107B1 (ko)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US20230112706A1 (en) Prosthetic tooth or denture base
JP2018126378A (ja) 採得器具
AU2012201852A1 (en) Dentures, dental arch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60000201U (ko) 인상용 금속덮개 연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