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107B1 -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107B1
KR102660107B1 KR1020220014651A KR20220014651A KR102660107B1 KR 102660107 B1 KR102660107 B1 KR 102660107B1 KR 1020220014651 A KR1020220014651 A KR 1020220014651A KR 20220014651 A KR20220014651 A KR 20220014651A KR 102660107 B1 KR102660107 B1 KR 10266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iameter
holder
arch
vertical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8282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2001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0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호환성 및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양측에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 정렬되는 한쌍의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는 핸들몸체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힌지연결부에 각 후방부가 힌지 연결되며, 전단부가 대상악궁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각 상기 후방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전향 연장되고, 각 상기 전단부에 착탈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홀더부; 및 각 상기 착탈결합부에 외주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되 일단부에 대합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합형합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중앙으로부터 나사회전홈이 일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합고정부와,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승강되도록 상기 나사회전홈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결부의 단부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상형합면부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measuring and holding apparatus for occlusal vertical dimension}
본 발명은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환성 및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치(denture)는 결손된 치아를 대체할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을 의미한다.
상기 의치는 구강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대합치 또는 상기 의치가 필요한 대상악궁측 잔존치아 및 치조골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강에 끼웠다 분리할 수 있는 형태의 틀니 또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후 고정시키는 오버덴쳐 등이 상기 의치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치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합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된 의치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구강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구강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 형상/골밀도 등과 같은 내부 조직정보가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대한 스캔이미지 및 CT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 및 정합하는 영상정합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완전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인 경우, 환자의 정확한 수직고경을 산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스캔이미지 및 상기 CT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 및 정합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고경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세히, 종래에는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으로 석고모형을 제조한 후 상기 석고모형을 교합기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면서 수직고경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 과정이 복잡하며, 수직고경이 환자의 구강에 직접 산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석고모형을 통한 상하악의 수직적 교합관계만 고려되므로, 저작과정에서 턱관절의 수평적 움직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의치의 제조과정에 고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종 제조된 의치를 구강에 설치하여 사용시 불편감이 가중되며 대합치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대합치의 손상 및 턱관절 손상까지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부에서는 딱딱한 재질로 제조되는 트레이에 묘기침 및 묘기판을 고정시켜 중심위 및 수직고경을 산출한 후 인상채득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트레이의 물성 및 그 두께로 인하여 상하악의 교합시 턱관절과 인접한 구치측에서 상하측 트레이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정확한 수직고경을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간섭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가 전치측과 구치측으로 분할된 장치가 일부 개시되는데, 이 역시 상기 중심위 및 상기 수직고경을 산출한 후 상기 인상채득이 수행된다. 즉, 전치측 트레이에 상기 묘기침 및 상기 묘기판을 결합시켜 상기 중심위 및 상기 수직고경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에 맞게 조절된 상기 전치측 트레이를 구강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전치측 트레이에 구치측 트레이를 조립한 후 다시 구강에 인입시켜 상하악의 인상을 채득한다.
그러나, 상기 수직고경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인상을 채득하는 과정이 실질적으로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각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마다 치열궁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를 호환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6590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환성 및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에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 정렬되는 한쌍의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는 핸들몸체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힌지연결부에 각 후방부가 힌지 연결되며, 전단부가 대상악궁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각 상기 후방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전향 연장되고, 각 상기 전단부에 착탈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홀더부; 및 각 상기 착탈결합부에 외주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되 일단부에 대합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합형합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중앙으로부터 나사회전홈이 일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합고정부와,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승강되도록 상기 나사회전홈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결부의 단부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상형합면부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형합고정부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외주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착탈결합부는 각 상기 홀더부의 전단부 양측으로부터 전향 돌출되되, 각 상기 착탈결합부의 전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상호간 대향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함몰외주부를 감싸며 선택적으로 탄발 결합되고, 상기 착탈결합부에는 상기 함몰외주부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으로 라운드진 착탈홈부가 전단 중앙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고정부의 타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외주부는 상기 대합형합면부 및 상기 걸림단턱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홀더부의 후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힌지연결부는 각 상기 홀더부를 회전 가압하여 각 상기 홀더부가 가고정되도록 각 상기 홀더부의 후방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몸체부의 후단부 중앙에 전향 함몰 형성되는 핸들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는 핸들그립부와, 상기 핸들몸체부 및 상기 핸들그립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호 직교되며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평정렬바 및 수직정렬바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홀더부는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이 절곡지게 형성되되, 각 상기 홀더부의 전단부는 각 상기 홀더부의 후단부보다 상기 핸들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대합형합면부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는 폭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대합악궁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을 감싸는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한쌍의 홀더부 전단부에 형성된 착탈결합부에 착탈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각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치열궁의 구치측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벌어지며 이격되도록 홀더부가 회전 조절된 후 가고정되므로 수직고경 측정의 호환성 및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각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구치측에 고정되어 수직고경이 획득 및 유지된 상태에서, 홀더부 및 핸들몸체부를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로부터 간편하게 탄발 착탈 가능하므로 3차원 이미지 스캐닝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용이하게 노출되어 수직고경 측정용이성이 개선되고 제조되는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착탈결합부는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에 함몰된 함몰외주부를 감싸도록 전향 돌출 형성되되, 착탈결합부의 전단 중앙으로부터 착탈홈부가 함몰외주부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으로 라운드지게 후향 함몰 형성되어 함몰외주부에 선택적으로 형합됨에 따라 구강 배치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호 직교되며 수평 및 상하로 연장되는 수평정렬바 및 수직정렬바가 핸들몸체부 및 핸들그립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므로 정중선 및 교합평면이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 구치측 사이에 정밀하게 고정되므로 최종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제외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힌지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및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가 제외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힌지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는 핸들몸체부(10), 홀더부(20) 및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특히 상악 및 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자연치아 소실량이 많아 수직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VD)의 산출이 어려운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대상악궁(2)의 구치측(2a)이라 함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치아 및 잇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합악궁(3)의 구치측(3a)이라 함은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 치아 및 잇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가 무치악인 상악의 대상악궁(2) 및 치악이 잔존하는 하악의 대합악궁(3)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의 치아 유무 형태가 이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히, 상기 핸들몸체부(10)는 폭방향 중앙부가 정중선(k)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에 폭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 정렬되는 한쌍의 힌지연결부(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부(11)는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상호간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중선(k)이란 신체의 앞뒷면의 중앙을 수직으로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힌지연결부(11)는 각 상기 홀더부(20,21)를 회전 가압하여 각 상기 홀더부(20,21)가 가고정되도록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10)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20,21)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힌지연결부(11)에 각 후방부가 힌지 연결되며, 전단부가 각 상기 후방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전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가 대상악궁(2) 및 대합악궁(3)의 구치측 치열궁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20,21)는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홀더부(20)와,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2홀더부(2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양측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힌지연결홀(13)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에는 상기 힌지연결홀(13)에 정렬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홀(13)의 내주에 대응되는 내주를 갖는 정렬홀(20d,21d)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11)는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힌지연결부(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의 힌지회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힌지연결부(11)에는 상기 힌지회전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연결홀(13) 및 상기 정렬홀(20d,21d)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힌지삽입부(11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힌지삽입부(11a)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연결홀(13)의 하단 테두리에 걸림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걸림부(11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10)의 힌지회전몸체 하면과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홀(13) 및 상기 정렬홀(20d,21d)이 상호간 상하방향을 따라 연통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삽입부(11a)가 상기 힌지연결홀(13) 및 상기 정렬홀(20d,21d)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를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힌지연결부(11)의 힌지회전몸체를 그립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삽입부(11a)가 상기 힌지연결홀(13)에 나사 체결되며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가 상기 힌지회전몸체의 하면과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면 사이에 가압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힌지연결부(11)의 힌지회전몸체를 그립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삽입부(11a)가 상기 힌지연결홀(13)로부터 회전되며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가 상기 힌지회전몸체의 하면과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각 상기 홀더부(20,21)가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각 상기 홀더부(20,21)는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20c,21c)이 절곡지게 형성되되,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는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단부보다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사이의 전후방향 길이는 표준구강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상기 홀더부(20,21)는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1차 연장될 수 있다. 이어서, 각 상기 홀더부(20,21)는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20c,21c)에서 절곡되어 직선 형태로 2차 전향 연장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홀더부는 후단부로부터 직선 형태로 1차 전향 연장되되 상기 홀더부의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2차 연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홀더부(20) 및 상기 제2홀더부(21)가 서로 바뀐 위치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홀더부(20,21)에는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로부터 착탈결합부(22,23)가 일체로 전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는 각 상기 착탈결합부(22,23)에 외주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는 형합고정부(31) 및 높이조절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형합고정부(31) 및 상기 높이조절부(32)를 포함하는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일측방향은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하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명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타측방향은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명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대상악궁이 하악이고 대합악궁이 상악인 경우에는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일측방향이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타측방향은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하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형합고정부(31)는 각 상기 착탈결합부(22,23)에 외주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되, 일단부에 대합악궁(3)의 구치측(3a)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합형합면부(3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합형합면부(31a)는 상기 형합고정부(31)의 일측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합형합면부(31a)는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과의 대향면이 폭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을 감싸는 일측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합고정부(31)는 타단부 중앙으로부터 나사회전홈(31b)이 일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사회전홈(31b)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32)는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승강되도록 상기 나사회전홈(31b)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체결부(3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체결부(32a)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결부(32a)가 상기 나사회전홈(31b)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높이가 가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2)에는 상기 회전체결부(32a)의 단부에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상형합면부(32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상기 높이조절부(32)의 타측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상기 회전체결부(32a)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회전홈(31b)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과의 대향면이 폭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을 감싸는 타측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 간의 간격이 환자의 수직고경(VD)에 대응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2)가 상기 형합고정부(31)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 간의 간격이라 함은 상기 대합형합면부(31a)의 폭방향 중앙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의 폭방향 중앙 사이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결부(32a)가 상기 나사회전홈(31b)에 나사 체결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 간의 간격이 가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형합고정부(31)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외주부(31c)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합고정부(31)의 타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31d)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외주부(31c)는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걸림단턱(31d)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상기 높이조절부(32)의 회전시 상기 걸림단턱(31d)의 단부측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결합부(22,23)는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 양측으로부터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호간 이격되며 각각 일체로 전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결합부(22,23)는 전단부(22b,23b)가 상기 함몰외주부(31c)를 감싸며 선택적으로 탄발 착탈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굴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되 상호간 대향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전단부(22b,23b)가 상기 함몰외주부(31c)를 감싸며 선택적으로 탄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착탈결합부(22,23)는 전방이 개구된 'C'자 형태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착탈결합부(22,23)에는 상기 함몰외주부(31c)가 선택적으로 형합되도록 착탈홈부(24,25)가 전단 중앙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탈홈부(24,25)는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으로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는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착탈홈부(24,25)로 삽입시,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함몰외주부(31c)가 상기 착탈홈부(24,25)에 형합되면,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는 탄발 복원되어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주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는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착탈홈부(24,25)로부터 분리시,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주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함몰외주부(31c)가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의 외측으로 이탈되면,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각 전단부(22b,23b)는 초기 위치로 탄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후단부 중앙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핸들체결홈(12)이 전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는 상기 핸들체결홈(12)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는 핸들그립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그립부(40)는 원통형의 핸들몸체와, 상기 핸들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핸들체결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체결부(41)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핸들체결홈(12)의 내주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체결부(41)의 길이는 후술되는 수평정렬바(50) 및 수직정렬바(60)의 두께의 합을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는 수평방향, 즉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정렬바(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정렬바(50)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기 핸들체결홈(12)에 정렬되며 상기 핸들체결부(41)가 관통 체결되도록 제1관통홀(50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50a)의 내경은 상기 핸들체결부(41)의 외경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는 상기 수평정렬바(50)와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핸들몸체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정렬바(6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정렬바(50)와 상기 수직정렬바(60)는 각 길이방향 중앙부가 상호간 직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정렬바(6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핸들체결홈(12) 및 상기 제1관통홀(50a)에 정렬되며 상기 핸들체결부(41)가 관통 삽입되도록 제2관통홀(60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관통홀(60a)의 내경은 상기 핸들체결부(41)의 외경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는 상기 핸들몸체부(10) 및 상기 핸들그립부(40)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정렬바(50)의 길이방향 중앙부 전면이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후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정렬바(50)의 길이방향 중앙부 후면이 상기 수직정렬바(60)의 길이방향 중앙부 전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직정렬바(60)의 길이방향 중앙부 후면이 상기 핸들그립부(40)의 전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그립부(4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핸들체결부(41)가 상기 제1관통홀(50a) 및 상기 제2관통홀(60a)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체결홈(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상기 핸들몸체부(10) 및 상기 핸들그립부(40) 사이에서 가압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체결부(41)가 상기 핸들체결홈(12)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핸들몸체부(10)로부터 상기 핸들그립부(40),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교차되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다른 하나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단턱부(미도시)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 중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상기 단턱부(미도시)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상호간 직각으로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수직고경 측정지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에 상기 정중선(k)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높이조절부(13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는 형합고정부(31) 및 높이조절부(1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고정부(31)의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32)에서 회전체결부(132a) 및 대상형합면부(132b)의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회전체결부(도 6의 32a) 및 대상형합면부(도 6의 32b)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132)에는 상기 회전체결부(132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132b) 사이에 보조함몰외주부(132c) 및 보조걸림단턱(132d)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함몰외주부(132c)는 상기 높이조절부(132)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함몰외주부(132c)의 외경은 일실시예의 함몰외주부(도 5의 31c)의 외경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걸림단턱(132d)은 상기 높이조절부(13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착탈결합부(도 2의 22,23)가 상기 함몰외주부(도 5의 31c) 및 상기 보조함몰외주부(132c)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에서 수직고경 측정유지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핸들몸체부(10)에 상기 핸들그립부(40),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결합되어 준비된다. 더불어, 상기 핸들몸체부(10)에 연결된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측 상기 착탈결합부(도 2의 22,23)에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결합되어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다. 이때,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 및 상기 대상악궁(3)의 구치측(3a)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 간의 간격(w1)은 상기 대상악궁(2)의 각 구치측 간의 간격(w2)에 대응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는,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 간의 간격(w1)은 상기 대합악궁(3)의 각 구치측 간의 간격(w2)에 대응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즉,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 간의 간격(w1)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치열궁 중 각 구치측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악궁(2)의 각 구치측 간의 간격(w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각 구치측 간의 간격(w2)이 상호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 간의 간격(w1)이 악궁의 좌측 및 우측 구치측 간의 간격(w2)에 대응되도록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가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정렬된다. 이때,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 간의 간격(w1)이 설정된 후, 상기 힌지연결부(11)의 회전을 통해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가 상기 핸들몸체부(10) 및 힌지연결부(11) 사이에 가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100)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시,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상기 정중선(k) 및 교합평면에 각각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합평면이라 함은 상기 정중선(k)과 직교되되 상기 대합악궁(3)의 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핸들그립부(40)의 중앙부가 상기 정중선(k) 및 상기 교합평면이 직교되는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대합형합면부(31a)가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에 형합 고정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 사이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이 상호간 접합되며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32)가 상기 형합고정부(3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 간의 간격이 환자의 수직고경(VD)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2)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32)가 구강 외부에서 회전된 후 사용자에 의해 구강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 간의 간격이 환자의 수직고경(VD)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후,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에 형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견인력에 의해 상기 핸들몸체부(10) 및 상기 핸들그립부(40)가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탈결합부(22,23)가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로부터 탄발 변형되며 분리되어 상기 홀더부(20)가 구강으로부터 구강 외측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고경(VD),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에 대한 3차원 이미지데이터가 3차원 스캐닝장치(s)에 의해 획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에 의해 정확한 상기 수직고경(VD)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무치악 환자의 대상악궁(2) 시술을 위한 상기 3차원 이미지데이터가 정밀하게 획득되므로 제조되는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첫째, 한쌍의 상기 홀더부(20,21)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착탈결합부(22,23)에 착탈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치열궁의 구치측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벌어지며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부(20,21)가 회전 조절된 후 가고정되므로 수직고경 측정의 호환성 및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착탈결합부(22,23)에 착탈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각 구치측(2a,3a)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가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 치열궁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가고정된 상태에서 구강에 삽입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각 구치측(2a,3a) 사이에 고정되며 수직고경(VD)이 획득 및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결합부(22,23)가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로부터 탄발 변형되며 분리되어 상기 홀더부(20,21) 및 상기 핸들몸체부(10)를 간편하게 탄발 착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3차원 스캐닝장치(s)를 통한 3차원 이미지 스캐닝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구강 외측으로 용이하게 노출되므로 수직고경 측정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정밀한 3차원 이미지데이터가 수집되어 제조되는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상기 홀더부(20,21) 및 상기 핸들몸체부(10)는 세척 및 소독 후 재사용 가능하므로 친환경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다양한 크기의 치열궁을 갖는 환자의 구강에 호환 사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결합부(22,23)는 상기 형합고정부(31) 외주에 함몰된 상기 함몰외주부(31c)를 감싸도록 전향 돌출 형성되되 상기 착탈결합부(22,23)의 전단 중앙으로부터 상기 함몰외주부(31c)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으로 라운드진 착탈홈부(24,25)가 전단 중앙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함몰외주부(31c)가 상기 착탈홈부(24,25)에 선택적으로 형합되어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의 구강 배치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착탈결합부(22,23)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11) 및 상기 핸들몸체부(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연결부(11)는 각 상기 홀더부(20,21)를 회전 가압하여 각 상기 홀더부(20,21)가 가고정되도록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방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10)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가 상기 힌지연결부(11)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 간의 간격(w1)이 상기 대상악궁(2)의 각 구치측 간의 간격(w2)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후 가고정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호 직교되며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기 수평정렬바(50) 및 상기 수직정렬바(60)가 상기 핸들몸체부(10) 및 상기 핸들그립부(40)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중선(k) 및 상기 교합평면이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각 구치측(2a,3a) 사이에 정밀하게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제조된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홀더부(20,21)는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20c,21c)이 절곡지게 형성되되, 각 상기 홀더부(20,21)의 전단부는 각 상기 홀더부(20,21)의 후단부보다 상기 핸들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20,21)를 구강에 삽입하기만 하면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가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 및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합형합면부(31a)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32b)는 폭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대합악궁(3)의 구치측(3a) 및 상기 대상악궁(2)의 구치측(2a)을 감싸는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직고경 측정유지부(30)에 의해 수직고경(VD)이 획득된 상태에서 흔들림 등에 의한 오차 발생이 최소화되며 유지되므로 최종 보철물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핸들몸체부 20,21: 홀더부
30,130: 수직고경 측정지지부 40: 핸들그립부
50: 수평정렬바 60: 수직정렬바
100: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Claims (6)

  1. 양측에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 정렬되는 한쌍의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는 핸들몸체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상기 힌지연결부에 각 후방부가 힌지 연결되며, 전단부가 대상악궁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각 상기 후방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전향 연장되고, 각 상기 전단부에 착탈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홀더부; 및
    각 상기 착탈결합부에 외주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되 일단부에 대합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합형합면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중앙으로부터 나사회전홈이 일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합고정부와,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승강되도록 상기 나사회전홈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결부의 단부에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에 대향 밀착되도록 대상형합면부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유지부를 포함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고정부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외주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착탈결합부는 각 상기 홀더부의 전단부 양측으로부터 전향 돌출되되, 각 상기 착탈결합부의 전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며 상호간 대향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함몰외주부를 감싸며 선택적으로 탄발 결합되고,
    상기 착탈결합부에는 상기 함몰외주부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으로 라운드진 착탈홈부가 전단 중앙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고정부의 타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외주부는 상기 대합형합면부 및 상기 걸림단턱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홀더부의 후방부는 상기 힌지연결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힌지연결부는 각 상기 홀더부를 회전 가압하여 각 상기 홀더부가 가고정되도록 각 상기 홀더부의 후방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에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부의 후단부 중앙에 전향 함몰 형성되는 핸들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는 핸들그립부와,
    상기 핸들몸체부 및 상기 핸들그립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호 직교되며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평정렬바 및 수직정렬바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홀더부는 길이방향 중앙부 일측이 절곡지게 형성되되, 각 상기 홀더부의 전단부는 각 상기 홀더부의 후단부보다 상기 핸들몸체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대합형합면부 및 상기 대상형합면부는 폭방향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대합악궁의 구치측 및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을 감싸는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KR1020220014651A 2022-02-04 2022-02-04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KR10266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51A KR102660107B1 (ko) 2022-02-04 2022-02-04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51A KR102660107B1 (ko) 2022-02-04 2022-02-04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82A KR20230118282A (ko) 2023-08-11
KR102660107B1 true KR102660107B1 (ko) 2024-04-23

Family

ID=8756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651A KR102660107B1 (ko) 2022-02-04 2022-02-04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6467A1 (en) 2003-02-25 2004-08-26 Crow Nathaniel David Dental marking film holder
US20060121409A1 (en) 2004-10-29 2006-06-08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KR102193852B1 (ko)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931B1 (en) * 2000-11-08 2003-06-24 Panadent Corporation Dento-facial analyzer
KR101365907B1 (ko) 2012-11-13 2014-03-12 정용재 상하악 악간관계 조정장치
KR20160010227A (ko) * 2014-07-18 2016-01-27 이채붕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6467A1 (en) 2003-02-25 2004-08-26 Crow Nathaniel David Dental marking film holder
US20060121409A1 (en) 2004-10-29 2006-06-08 Juan Olivi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KR102193852B1 (ko)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82A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4832B2 (ja) 歯科修復物用モールド
KR101273386B1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US6582931B1 (en) Dento-facial analyzer
RU2510252C2 (ru) Зубные протезы, зубные дуги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TW201620460A (zh) 在口腔中製造用於植牙的手術引導件和牙冠、基牙的方法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1544774B1 (ko)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EP3636213B1 (en) Reference denture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KR101999372B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958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170082605A (ko) 물림 정합 기구, 물림 정합 기구 세트, 및 적절한 물림 정합 방법
US20140080088A1 (en) Dental articulator
KR102660107B1 (ko)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US7220123B1 (en) Device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US6152730A (en) Bite registration tracing appliance with movable lower wing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WO2004082511A1 (ja) 歯科用フェイスボウ
KR102292489B1 (ko) 어버트먼트 홀더
KR102284036B1 (ko) 치과용 드릴 가이드 장치
KR20190080585A (ko)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CN115137508B (zh) 一种哥特式弓描记装置、制作方法及颌位关系描记方法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KR20200023855A (ko) 하악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록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의 기록 변환 방법
CN219963128U (zh) 一种哥特式弓描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