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80B1 -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80B1
KR101645880B1 KR1020150069066A KR20150069066A KR101645880B1 KR 101645880 B1 KR101645880 B1 KR 101645880B1 KR 1020150069066 A KR1020150069066 A KR 1020150069066A KR 20150069066 A KR20150069066 A KR 20150069066A KR 101645880 B1 KR101645880 B1 KR 10164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ndibular
coil
sensor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흥구
Original Assignee
곽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7096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58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곽흥구 filed Critical 곽흥구
Priority to KR102015006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80B1/ko
Priority to PCT/KR2016/005265 priority patent/WO20161864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61C19/052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with tracing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철핀(5)을 지지판(51)으로 지지하고 기록판(1)에 기록하도록 하악의 교합평면(3-3)에 설치되는 기록장치(100), 및
철핀(5)으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고딕아치 형태로 결합체(101)에 고정된 기록판(1)에 기록받는 기록수단을 가지는 하악의 중심위 악관관계 기록장치로,
기록장치(100)의 지지판(51) 전방 1개소와 후방 2개소에 부가하며 기록판(1)을 고정하는 결합체(1-1)에 하악골 운동로를 재현하고 상단에 위치 인식용 자석(95)을 부가한 재현봉(90); 상기 재현봉(90)의 선단과 접하여 오목하게 결합체(1-1)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95)의 위치이동을 인식하도록 수개의 분산코일이 설치된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에 유도되는 각 분산코일의 전류값을 디지탈값으로 변환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 및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를 지난 디지탈 값을 저장하고, 저장값을 기초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기록 및 재현하는 마이컴(25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00)의 분산코일은 중심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중앙코일(210)과, 테두리로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도록 중앙코일 외측의 테두리 각 방향에 분산 설치된 테두리코일(230)로 이루어진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이다.

Description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3D Digital recording system of Maxillo-Mandibular jaw relation}
본 발명은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골(Maxilla)에 대한 하악골(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관관계(Maxillo-Mandibular jaw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 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골과 하악골의 악관 관계를 채득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관관계를 정확하게 채득하여야 한다. 상악골에 대한 하악골의 약간관계에 있어서 기준점을 중심위 악관관계(Central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이는 환자의 수직 고경 (Vertical Dimension)하에서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채득되는 수평적 악관관계로서 근 신경계(Neuro-muscular System)의 비긴장성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중심위 악관 관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그중 한 가지 방법으로 구강내에 기록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 스스로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전 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을 통하여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이라는 수평 면상에 전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의 한계 운동로의 기록(record)을 표시하게 한다.
이러한 묘기 기록의 일 예로는 도 1 과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기록판(1)에 정점(2)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 운동로(2-1)와,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를 그리면 정점(2), 전방 한계 운동로(2-1), 및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의
형태가 건축물의 묘기 기록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정점(2)을 전방 및 측방 운동이 이루는 기시점(Starting Point)으로 고려되며 하악에 부착된 기록용 철핀(Stylus)(이하에 설명함) 이 정점(2) 위치에 있을 때 중심위 악관관계(Centric relation)에 있다고 정의한다.
이때 ①편악(상악 또는 하악)의 무치악 환자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무치악환자에서는 환자마다 갖는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평적 악관관계 기록(Gothic Arch)을 통하여 그 정점인 중심위 악관관계(Centric relation)를 얻어서 그 위치에 중심 교합(Centric Occlusion)을 형성하면 된다.
그러나 ②양악(상악과 하악)의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치아가 닿지않도록 환자 고유의 수직 고경보다 높게 하여 치아 이개를 시킨 높이에서 수평적 악관관계를 얻어야 한다. 이때 고유의 수직 고경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서 중심위 악관관계의 위치가 상악 금속판 상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는 철핀이 기록판에 수직으로 당접하면서 선단핀(5-1)이 환자의 개폐구 운동로를 따라 접번 회전각(Angle of hinge rotation)에 맞도록 전방 기울기를 가져야 한다.
하악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도 2 는 하악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하악골의 측면도로, 하악골(하악 이라고도 함)(3)은 도 3 에 보인 수평 기준축(Horizontal axis)(3-1)을 중심으로 상악과 결합하고, 하악골(3)에는 치아(4)들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 기준축(3-1)과 2개의 하악 중절치(mandibular central incisor)의 중앙 첨단(Central edge)은 빗금 부분인 본빌트라이앵글(3-2)을 이루고, 치아(4)의 수평면은 교합평면(Occlusal Plane)(3-3)을 이루고, 상기 치아(4)의 전방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면을 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 (3-4)으로 부른다. 도 5 와 같은 예로써, 철핀(5)은 상기 정중 시상면 (3-4)과 양 하악 제1대구치(4-1)의 중심의 교차점(3-5) 위치에 설치한다.
결국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도 2 에 보인 교차점(3-5)에 상기 철핀(5)의 끝이 위치하도록 하고 도 4 와 같이 철핀(5)의 각도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직교하고 수직면 기준으로는 역시 발크빌 앵글(3-6) 만큼 전방으로 기울어 지는 구조를 이룬다(평균 17 도의 각도(하악 교합평면(3)의 수직선에 대해 전방을 향한 각 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됨).
그런데 철핀(5)은 이론상 발크빌 앵글(3-6) 만큼 기울어진 것이 좋으나, 환자에 따라서 수평 기준축(3-1)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지 않아 도 4 의 지점(B1, B2)과 같은 접번 운동로(Hinge movement path) 상에 일치하도록, 철핀(5)의 각도를 17 도에 한정하지 않고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철핀(5)은 예를 들면 도 5 와 같이 하악의 치아에 설치되며, 철핀(5)은 지지판(6)에 나사 결합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판(6)의 양측에는 날개판(7)이 나사(8)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철핀(5)은 나사 결합하고 내부 중앙의 축 방향으로는 탄발핀이 스프링에 탄발되도록 설치된 나사체와, 나사체의 상단을 나사 결합하고 상단에 선단핀(5-1)이 일체로 된 너트체로 이루어진것을 예시할 수 있다.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상악에 기록장치를 설치하고 하악에 기록판 을 설치 사용하는 방식의 교합기(articulator)가 미국 특허 제4,273,533호 및 4,279,595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무치악 환자(edentulous patient)에 이용 가능 한 것으로, 특히 철핀(stylus)이 수직으로 설치 사용되는 구성을 이루어 사용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철핀의 위치를 조정 가능토록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실용등록 제 20-183333호는 도 6 내지 도 7 과 같이 기록장치(100)를 구성하고, 사용시는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상, 하악 모형)을 만들고, 교합기 상에 상, 하악 모형을 임의로 부착하고(완전 무치악 환자는 폐구(閉口) 인상법(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에 의하여 얻어진 상하악 악관관계 상태로, 유치악 환자는 중심 교합 위치(位置)(centric occulusion) 상태로 부착하고),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에 설치한다. 설치시에는 수평 및 좌우 대칭 등을 알 수 있도록 만든 기준대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는바, 무치악 환자에서는 먼저 기준대를 이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 상태에 가깝도록 세워 철핀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또한 유치악 환자에서도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전방 17 도 정도 경사시키고 좌우 균형을 잡는다. 상기에서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수평을 잡으면 상악골에 대한 기록판의 좌우 평행을 잡을 수 있어 상악골에 대한 치열과의 부조화를 미리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단에 의하여 치열 교정이나 의치 제작 시 또는 유치악 환자의 치료에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보철의 경우에도 좌우 수평선과 직교선 및 호형 수평띠를 두면 편리하게 대응 부위를 빨리 기준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도 6과 같이 기록장치(100)를 만든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기판(60)을 설치하고, 기록장치(100)를 하악 모형에서 부착 기준대로 중심 등의 초기 위치를 잡고 이어 조임 나사(54)를 사용하여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 시킨다. 이 경우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는 하악 교합 평면에 수직으로, 유치악 환자는 하악 교합 평면에 대해 전방으로 17 도 경사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7 과 같이 철핀(5) 상단에 전사판(transfer plate)기능의 캡(11)을 씌우고 교합기의 상악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30))에 겔 상의 결합체(1-1)를 바른 다음, 교합기의 상악 부위를 닫으면 기록판(1)이 캡(11)에서 결합체(1-1)로 옮겨가 고정되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판(1)을 임시 고정시킨 결합체(1-1)가 굳은 상태에서 기록판을 상악골에 맞도록 조정하여 겔(gel)상의 결합체로 일체화 시킨다. 그러고 나서 변화된 상악 기록판에 철핀(5)이 수직 관계가 되도록 선단핀(5-1)에 캡(11)을 다시 꽂고 조임나사(54)를 풀어 캡(11)과 기록판(1)이 면접촉 되도록 한 다음 조임나사(54)를 다시 조인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록판(1)을 가진 결합체(1-1)와, 도 6 에 보인 기록장치(100)를 교합기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도 6 및 도 7 과같이 결합시킨다(치아의 형태가 환자 자신의 치아와, 본을 뜬 교합기에 부착된 치아 모형이 동일하므로, 도 6 에서는 구별 없이 환자의 치아와 교합기의 치아를 동일하게 나타내었다). 만약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나사 등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재 조정하면 된다. 유치악 환자 구강 내에서는 철핀의 높이를 3-4mm 정도 변화시켜서 각각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을 하여서 두(two) 정점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식 역시 철핀의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하는 이점은 있으나 인체의 상악과 하악의 힌지 기능을 하는 하악 과두와 상악의 악관절와의 3차원적인 구조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기록판을 사용하여도 교합기에서 일정한 각도로만 조정 가능하여 사람마다의 맞춤식 기록이 어려운 실정이다.
도 8 은 기록장치의 다른예의 사시도로, 기판(60)의 모서리에 나사(71)를 통하여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지지핀(70)을 나사 결합시키고, 기판(60)위에는 지지판(51)을 결합시키고, 기판(60)과 지지판(51)은 상호 볼(40)을 지지 결합시키고, 볼(40)은 높이가 조절되는 철핀(5)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핀(7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기판(60)에 장공(72)을 두어 조절토록 구성한다. 상기 구조의 기록장치에 분원 고안은 또한 기판(60)과 지지판(51)을 기반으로 수직으로 나사 결합 상태로 길이가 조절 가능토록 지지하는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90)을 설치한다. 재현봉(90)은 철핀(5)을 지지하는 볼(40)의 둘레 위치 3개소에 설치한다.
도 9는 교합기의 구성도로, 치아 형태의 하악틀(81)과 상악틀(82)을 수직바(83)로 지지토록 하고, 상악틀(82) 의 선단에는 손잡이(86)를, 양측에는 힌지봉(84)을 설치하여 힌지봉(84)은 수직바(83)의 상단에 형성한 힌지홈(8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수직바(83)의 상단에서 힌지봉(84)과 결합하는 힌지홈(87)부위에는 인체의 상악의 악관절와에 하악의 과두가 악관절 운동을 하는 과두로를 재현하는 악관절부(85)를 설치한다. 악관절부(85)는 결합체(1-1)를 구현하는 수지 등을 사용하여 과두로의 형체를 기록한 후 굳혀 사용토록 한다. 이 경우 도 9는 상악개구면(30)에 초기 결합하는 결합체(1-1)에 재현봉(90)을 이루는 나사봉(91)의 캡(92)이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요부확대 단면도로, 기록판(1)을 지지하는 결합체(1-1)에 재현봉(90)의 나사봉(91)에 씌운 캡(92)의 선단에 만곡헤드(93)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을 이룬다. 캡(92)에는 오목용기(94)를 통하여 결합체(1-1)를 누름 작용토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의사가 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안간관계를 기록하는 기록판을 결합체에 고정시키고, 이를 인체의 하악과 상악에서 고딕아치를 기록하여 정확한 악관관게를 기록하여 하악의 정위치 인식과 교정에 사용되도로구 하는 고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정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악관관계 기록장치와 기록판에 악관관계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고 인식치를 디지탈 값으로 저장하여 세밀한 3차원 상태파악과 교졍 및 재현을 가능토록 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악관관계를 수평기준축을 중심으로 수행토록 수평기준축표시구를 가지는 수평기준표시부를 사용하여 기록 시 수평을 맞추기 쉽도록 하고, 수평기준축표시구와 다리부사이의 거리와 수평바의 중앙에서 치아의 중앙인 교합평면사이의 거리와 본빌트라이앵글을 기초로, 환자의 악관관계를 3차원 캐드캠을 이용한 가상교합기의 재현과 악관관계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위치와의 편차를 도식 가능토록 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철핀을 지지판으로 지지하고 기록판에 기록하도록 하악의 교합평면에 설치되는 기록장치, 및
철핀으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고딕아치 형태로 결합체에 고정된 기록판에 기록받는 기록수단을 가지는 하악의 중심위 악관관계 기록장치로,
기록장치의 지지판 전방 1개소와 후방 2개소에 부가하며 기록판을 고정하는 결합체에 하악골 운동로를 재현하고 상단에 위치 인식용 자석을 부가한 재현봉;
상기 재현봉의 선단과 접하여 오목하게 결합체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의 위치이동을 인식하도록 수개의 분산코일이 설치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유도되는 각 분산코일의 전류값을 디지탈값으로 변환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를 지난 디지탈 값을 저장하고, 저장값을 기초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기록 및 재현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악관관계 기록장치와 기록판에 악관관계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고 인식치를 디지탈 값으로 저장하여 세밀한 3차원 상태파악과 교졍 및 재현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악관관계를 수평기준축을 중심으로 수행토록 수평기준축표시구를 가지는 수평기준표시부를 사용하여 기록 시 수평을 맞추기 쉽도록 하고, 수평기준축표시구와 다리부사이의 거리와 수평바의 중앙에서 치아의 중앙인 교합평면사이의 거리와 본빌트라이앵글을 기초로, 환자의 악관관계를 3차원 캐드캠을 이용한 가상교합기의 재현과 악관관계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위치와의 편차를 도식 가능토록 한다.
도 1은 하악의 악관관게를 고딕아치 형태로 기록하는 기록판 도면,
도 2는 하악골 사시도,
도 3은 하악골 측면도,
도 4는 수평기준축을 중심으로 하는 철핀의 접번운동로를 보안 도면,
도 5는 종래의 기록장치를 보인 도면,
도 6은 종래 다른 예의 기록장치를 보인 도면,
도 8은 종래 또 다른 기록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종래 교합기의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재현봉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는 기록판에 기록한 고딕아치를 이루는 아치홈과 위치인섹센서를 부가한 결합캡과 센서부가 결합된 확대 단면도,
도 14는 센서부의 일에를 나타낸 확대도,
도 15는 센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수평기준표시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철핀(5)을 지지판(51)으로 지지하고 기록판(1)에 기록하도록 하악의 교합평면(3-3)에 설치되는 기록장치(100), 및
철핀(5)으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고딕아치 형태로 결합체(101)에 고정된 기록판(1)에 기록받는 기록수단을 가지는 하악의 중심위 악관관계 기록장치로,
기록장치(100)의 지지판(51) 전방 1개소와 후방 2개소에 부가하며 기록판(1)을 고정하는 결합체(1-1)에 하악골 운동로를 재현하고 상단에 위치 인식용 자석(95)을 부가한 재현봉(90);
상기 재현봉(90)의 선단과 접하여 오목하게 결합체(1-1)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95)의 위치이동을 인식하도록 수개의 분산코일이 설치된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에 유도되는 각 분산코일의 전류값을 디지탈값으로 변환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를 지난 디지탈 값을 저장하고, 저장값을 기초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기록 및 재현하는 마이컴(2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260)은 마이컴(250)의 인식데이타를 기초로 캐드캠에 의한 3차원 교합기에서 악관관계를 구현하고,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262)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저장 데이타를 파일 형태로 불러오도록 지령하는 키보드 이다.
상기, 센서부(200)의 분산코일은 도 14와 같이 중심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중앙코일(210)과, 테두리로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도록 중앙코일 외측의 테두리 각 방향에 분산 설치된 테두리코일(230)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코일(210)과 테두리코일(230) 사이에는 도 15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분산 설치된 수개의 증간코일(22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 17과 같이, 양 귀에 각각 꽂는 꽂음부(310)와, 꽂음부(310)에서 광대뼈 방향으로 연장된 다리부(312)와, 다리부(312) 선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며 중앙에 코받침(315)을 가지고 눈과의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314)로 이루어지며,
꽂음부(310)와 다리부(312) 사이에는 하악의 수평기준축(3-1)을 표시하는 수평기준축표시구(311)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보조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하악의 악관관계를 기록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기록할 때 센서부를 설치하는 부분부터 설명한다.
기록판에 철핀으로 고딕아치를 기록할 때, 도 12와 같이 센서부(200)를 도 11과 같이 재현봉(90)의 누름작용으로 오목하게 결합체(1-1)와일체로 결합되게 고정한다.
이어, 교합기에서 정점에 맞도록 위치시키고 고딕아치에 일치하는 아치홈(1b)과, 아치홈(1b)과 기록판(1)의 접면부위에 부가한 위치인식센서(1c)를 안내판(1a)에 형성하고 테두리를 기록판(1)에 고정하도록 만든 결합캡(1d)을 만들어 씌운다.
다시 이를 환자의 상악 구개면(30)에 착용하고(이 때 도 17과 같이 수평기준표시부(300)를 사용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하고, 동시에 치아를 중심으로 교합평면(3-3)과 정중시상면(3-4)위치를 3차원적으로 얼굴 형상을 기준으로 기록하고, 수평기준축표시구(311)를 기초로 환자의 하악의 수평기준축(3-1)위치를 정하여 도 4 보인 본빌트라이앵글(3-2)과, 발크빌앵글(3-6)을 산출하여 기록하여, 악관관계 기록과, 이를 기초로 이상 여부를 교정하는 기본 데이타로 활용 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악관관계와 수평기준축(3-1)을 중심으로하는 하악의 악관절 운동로를 도 13과 같은 센서부(200)를 활용하여 추가로 기록 가능토록 하였다. 즉, 도 11과 같이 센서부(200)를 설치할 때는 재현본(90)의 선단에 캡(92)을 씌워 센서부(200)를 결합체(1-1)에 결합고정하고, 센싱작용을 할 때는 캡(92)을 분리하여 노출된 자석(95)의 자계(B)의 방향이 위에서 아래로 화살손잡이 표시 형태로 가해진다고 가정할 때 이동방향(F)에 대응하여 플래밍의 오른손법칙에 의하여 전류(i)가 발생하고, 발생한 전류치는 도 16과 같이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0)에서 직류값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값은 마이컴(25)에서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이타로 사용한다. 이는 전류값에 따라서 방향성과 접근정도의 차이를 기초로 수평인지 기울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록하여 환자의 치아 상태를 인식하고, 교정에 활용토록 하며, 장기간 재활환자의 경우에는 정상으로의 접근 여부를 디지탈 값으로 확인할 수 있어 치료의 신속성, 정확성, 반복 재현성을 신뢰성 있게 제공하고, 이를 3D 캐드캡 등의 알려진 포로그램을 통하여 가시적으로 재현 가능토록 제공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하악의 악관관계 기록장치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기록판 1a;안내판 1b;아치홈 1c;위치인식센서 1d;결합캡 1-1;결합체 3-3;교합평면 5;철핀 51;지지판 60;기판 90;재현봉 92;캡 93;만곡헤드 95;자석 100;기록장치 200;센서부 210;중앙코일 220,220a,220b,220c,220d;중간코일 230,230a,230b,230c,230d;테두리코일 240.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250;마이컴 300;수평기준표시부 310;꽂음부 311;수평기준축표시구 312;다리부 314;수평바 315;코받침 316;눈맞춤구

Claims (4)

  1. 철핀(5)을 지지판(51)으로 지지하고 기록판(1)에 기록하도록 하악의 교합평면(3-3)에 설치되는 기록장치(100), 및
    철핀(5)으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고딕아치 형태로 결합체(101)에 고정된 기록판(1)에 기록받는 기록수단을 가지는 하악의 중심위 악관관계 기록장치로,
    기록장치(100)의 지지판(51) 전방 1개소와 후방 2개소에 부가하며 기록판(1)을 고정하는 결합체(1-1)에 하악골 운동로를 재현하고 상단에 위치 인식용 자석(95)을 부가한 재현봉(90);
    상기 재현봉(90)의 선단과 접하여 오목하게 결합체(1-1)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95)의 위치이동을 인식하도록 수개의 분산코일이 설치된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에 유도되는 각 분산코일의 전류값을 디지탈값으로 변환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 및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40)를 지난 디지탈 값을 저장하고, 저장값을 기초로 하악의 악관관계를 기록 및 재현하는 마이컴(25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00)의 분산코일은 중심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중앙코일(210)과, 테두리로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도록 중앙코일 외측의 테두리 각 방향에 분산 설치된 테두리코일(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코일(210)과 테두리코일(23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분산 설치된 수개의 증간코일(22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양 귀에 각각 꽂는 꽂음부(310)와, 꽂음부(310)에서 광대뼈 방향으로 연장된 다리부(312)와, 다리부(312) 선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며 중앙에 코받침(315)을 가지고 눈과의 수평을 이루는 수평바(314)로 이루어지며,
    꽂음부(310)와 다리부(312) 사이에는 하악의 수평기준축(3-1)을 표시하는 수평기준축표시구(311)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보조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KR1020150069066A 2015-05-18 2015-05-18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KR10164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066A KR101645880B1 (ko) 2015-05-18 2015-05-18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PCT/KR2016/005265 WO2016186449A1 (ko) 2015-05-18 2016-05-18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066A KR101645880B1 (ko) 2015-05-18 2015-05-18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880B1 true KR101645880B1 (ko) 2016-08-04

Family

ID=5670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066A KR101645880B1 (ko) 2015-05-18 2015-05-18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5880B1 (ko)
WO (1) WO20161864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661C1 (ru) * 2020-12-14 2021-10-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комплексной стоматологи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нутриротового регист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067A (ja) * 1992-02-04 1993-08-24 Yasuyuki Sugano ゴシックアーチトレーサー
KR200320649Y1 (ko) * 2003-04-29 2003-07-22 곽흥구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JP2004049852A (ja) * 2002-07-22 2004-02-19 Yasuyuki Sugano ゴシックアーチトレーサー用チエックバイトシステム
JP2004160119A (ja) * 2002-11-11 2004-06-10 Yasuyuki Sugano コウ合器調節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660A (ko) * 2004-05-12 2005-11-17 곽흥구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067A (ja) * 1992-02-04 1993-08-24 Yasuyuki Sugano ゴシックアーチトレーサー
JP2004049852A (ja) * 2002-07-22 2004-02-19 Yasuyuki Sugano ゴシックアーチトレーサー用チエックバイトシステム
JP2004160119A (ja) * 2002-11-11 2004-06-10 Yasuyuki Sugano コウ合器調節システム
KR200320649Y1 (ko) * 2003-04-29 2003-07-22 곽흥구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661C1 (ru) * 2020-12-14 2021-10-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комплексной стоматологи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нутриротового регист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449A1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6395B2 (ja) 3dモデルを作成するためのデータを人から取得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7080554B (zh) 颞下颌关节测量方法、牙合板制备方法
EP3384872B1 (en) Scanable tray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JPWO2004028396A1 (ja) 咬合器、フェイスボウ、咬合確認システム、及び顎関節再現システム
JP7378207B2 (ja) 下顎の動き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JP2013523230A (ja) 歯科用模型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145664B1 (en) A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JP5838602B2 (ja) 3次元咬合コンタクト測定器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JP4876276B2 (ja) 歯科用フェイスボウ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JP6261231B2 (ja) 歯列測定装置
JP3198037U (ja) 総義歯口腔再建装置
JP3819358B2 (ja) 咬合器
WO2018225355A1 (ja) 咬合記録器具及び咬合器
KR20050108660A (ko)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RU2602044C2 (ru) Способ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ереноса положения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с учетом индивидуальных параметров, окклюзионная вилка с определением положения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модели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200023855A (ko) 하악 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록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의 기록 변환 방법
JP6556947B2 (ja) ゼロモーメントアジャスター
JP4150895B2 (ja) ゴシックアーチトレーサー用チエックバイトシステム
KR200320649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JP2022101248A (ja) 咬合器
JP2510019Y2 (ja) 下顎運動シュミレ―ション測定機
RU140377U1 (ru) Высокоточный артикулятор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челюст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9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816

Effective date: 2018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