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649Y1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649Y1
KR200320649Y1 KR20-2003-0013279U KR20030013279U KR200320649Y1 KR 200320649 Y1 KR200320649 Y1 KR 200320649Y1 KR 20030013279 U KR20030013279 U KR 20030013279U KR 200320649 Y1 KR200320649 Y1 KR 200320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ular
substrate
recording
pin
ir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흥구
Original Assignee
곽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흥구 filed Critical 곽흥구
Priority to KR20-2003-001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합정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하며, 선단핀(5-1)을 가진 철핀(5)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40)과, 볼(40)을 수용하는 호형홈(53)을 가지며 볼(40)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60)상면에서 결합하는 지지판(51)과. 상기 지지판(50) 하부에 결합된 기판(60)과, 상기 기판(60)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4) 표면에 안치되어 기판(6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4개의 지지핀(70)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기판(60) 및 지지판(51)의 3개소에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90)을 설치하며, 재현봉(90)은 외주연에 나사를 이루어 수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이다.

Description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Apparatus for stereo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본 고안은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악의 중심위와 하악의 과두로를 동시에 기록 가능토록 기록장치에 철핀과하악골 운동로 재현봉을 동시에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골(Maxilla)에 대한 하악골(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간관계(Maxillo-Mandibular jaw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 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골과 하악골의 악간 관계를 채득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채득하여야 한다. 상악골에 대한 하악골의 약간관계에 있어서 기준점을 중심위 악간관계(Central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이는 환자의 수직고경(Vertical Dimension)하에서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채득되는 수평적 악간관계로서 근 신경계(Neuro-muscular System)의 비긴장성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중심위 악간 관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그중 한 가지 방법으로 구강내에 기록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 스스로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전 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을 통하여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이라는 수평 면상에 전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의 한계 운동로의 기록(record)을 표시하게 한다.
이러한 묘기 기록의 일 예로는 도 1 과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기록판(1)에 정점(2)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 운동로(2-1)와,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를 그리면 정점(2), 전방 한계 운동로(2-1), 및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의 형태가 건축물의 묘기 기록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정점(2)을 전방 및 측방 운동이 이루는 기시점(Starting Point)으로 고려되며 하악에 부착된 기록용 철핀(Stylus)(이하에 설명함) 이 정점(2) 위치에 있을 때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relation)에 있다고 정의한다.
이때 ①편악(상악 또는 하악)의 무치악 환자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무치악환자에서는 환자마다 갖는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평적 악간관계 기록(Gothic Arch)을 통하여 그 정점인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relation)를 얻어서 그 위치에 중심 교합(Centric Occlusion)을 형성하면 된다.
그러나 ②양악(상악과 하악)의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치아가 닿지않도록 환자 고유의 수직 고경보다 높게 하여 치아 이개를 시킨 높이에서 수평적 악간관계를 얻어야 한다. 이때 고유의 수직 고경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서 중심위악간관계의 위치가 상악 금속판 상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는 철핀이 기록판에 수직으로 당접하면서 선단핀(5-1)이 환자의 개폐구 운동로를 따라 접번 회전각(Angle of hinge rotation)에 맞도록 전방 기울기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하악에 장착시 철핀의 설치 위치와 철핀의 방향이 치아의 수정위치와 고합 평면과의 좌우 수평 관계가 부정확하게 장착되므로 인하여, 상악골에 부착되는 기록판이 상악골에 대해 좌우측 어느쪽으로 기울어지면 정확한 기록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철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전에 하악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도 2 는 하악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하악골의 측면도로, 하악골(하악 이라고도 함)(3)은 도 3 에 보인 수평 기준축(Horizontal axis)(3-1)을 중심으로 상악과 결합하고, 하악골(3)에는 치아(4)들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 기준축(3-1)과 2개의 하악 중절치(mandibular central incisor)의 중앙 첨단(Central edge)은 빗금친 부분인 본빌 트라이앵글(3-2)을 이루고, 치아(4)의 수평면은 교합평면(Occlusal Plane)(3-3)을 이루고, 상기 치아(4)의 전방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면을 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3-4)으로 부른다. 도 5 와 같이 구체적인 예로써, 철핀(5)은 상기 정중 시상면(3-4)과 양 하악 제1대구치(4-1)의 중심의 교차점(3-5) 위치에 설치한다.
① 결국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도 2 에 보인 교차점(3-5)에 상기 철핀(5)의 끝이 위치하도록 하고 도 4 와 같이 철핀(5)의 각도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직교하고 수직면 기준으로는 역시 발크빌 앵글(3-6) 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이룬다(평균 17 도의 각도(하악 교합평면(3)의 수직선에 대해 전방을 향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됨). 그런데 철핀(5)은 이론상 발크빌 앵글(3-6) 만큼 기울어진 것이 좋으나, 환자에 따라서 수평 기준축(3-1)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지 않아 도 4 의 지점(B1, B2)과 같은 접번 운동로(Hinge movement path) 상에 일치하도록, 철핀(5)의 각도를 17 도에 한정하지 않고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철핀(5)은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5 와 같이 하악의 치아에 설치되며, 철핀(5)은 지지판(6)에 나사 결합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판(6)의 양측에는 날개판(7)이 나사 (8)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철핀(5)은 도 6 과 같이 지지판(6)에 나사 결합하고 내부 중앙의 축 방향으로는 탄발핀(5-2)이 스프링(5-3)에 탄발되도록 설치된 나사체(5-4)와, 나사체(5-4)의 상단을 나사 결합하고 상단에 선단핀(5-1)이 일체로 된 너트체(5-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판(7)에는 결합부재(9)를 개재하여 철사(10)를 날개판(7)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철핀(5)의 선단핀(5-1)은 하악 제1대구치(4-1)간의 연장선상(도 2 의 교차점(3-5))에 오도록 하고, 역시 17 도 기울어지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철핀(5)이 지지판(6)에 기울어진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야 하고 선단핀(5-1)을 지지하는 너트체(5-21)가 지지판(6)에 결합되기 위하여는 도 6 과 같이 일정한 안내홈(6-1)이 필요하므로 일부는 거리(L1) 만큼만 나사 결합을 이루게 되고 철핀(5)의 지지판(6)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여 철핀(5)이 흔들거리는 현상이 있어 정확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위한 묘기 기록의 수득시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실제 사용할 때에는 먼저 환자의 치본을 뜨고 이를 기초로 석고로 일반적인 교합기에 치아 형태로 결합시키고 교합기의 치아 상태에서 도 5 의 기록장치(20)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도 6 에 보인바와 같이 철핀(5)에 너트체(5-21)를 결합시킨 후 도 7 과 같이 캡(11)을 씌우고, 캡(11)에 부착된 핀(11-1)에 기록판(1)을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 구개면(30)에 해당하는 상기 캡(11) 대응 부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굳게 되는 결합체(1-1)를 붙이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누르면 도 7 상태를 이룬다. 그 상태에서 수 분이 지나면 바로 굳게 되어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하악(3)에서 분리시키면(도 7 에는 교합기의 하악(3)의 도시를 생략함) 철핀(5)과 캡(11)은 기록판(1)과 분리되고, 기록판(1)은 상악(31)에 붙게 된다. 그리고 역시 캡(11)을 철핀(5)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캡(11) 몇 기록판(1)의 일 예는 도 8 과 같이 예시할 수 있으며, 캡(11)의 핀(11-1)에 대응하는 기록판(1)에는 핀 삽입공(1-2)이 있어 기록판과 결합 가능토록 이루어지고, 기록판(1)의 전 후단에는 기록판(1)의 수평면에 절곡된 결합돌기(1-3)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결합돌기(1-3)는 결합체(1-1)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으로 기록판(1)에 절곡된다. 이렇게 수득한 도 5 의 기록 장치(20)와, 도 7 의 기록판(1)(결합체(1-1)와 일체로 된 상태)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을 복제한 모형(교합기)에서 분리시킨 다음 실제로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설치하여 하악을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하면, 도 1 과 같이 묘기 기록이 형성된다. 실제로는 환자의 입에서 기록한 기록판(1)을 결합체(1-1)와 함께 분리하고, 형성한 묘기 기록의 정점(2)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별도의 원판을 구멍과 정점이 일치하도록 붙인 다음 환자의 입안에서 상악 치아 및 부착물(기록판(1))과 하악 치아 및 기록장치(20) 사이를 고정시킨다.
②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상악에 기록장치를 설치하고 하악에 기록판을 설치 사용하는 방식의 교합기(articulator)가 미국 특허 제4,273,533호 및 4,279,595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무치악 환자(edentulous patient)에 이용 가능 한 것으로, 특히 철핀(stylus)이 수직으로 설치 사용되는 구성을 이루어 사용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철핀의 위치를 조정 가능토록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실용등록 제 20-183333호는 도 9 내지 도 10 과 같이 기록장치(100)를 구성하고, 사용시는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상, 하악 모형)을 만들고, 교합기 상에 상, 하악 모형을 임의로 부착하고(완전 무치악 환자는 폐구(閉口) 인상법(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에 의하여 얻어진 상하악 악간관계 상태로, 유치악 환자는 중심 교합 위치(位置)(centric occulusion) 상태로 부착하고),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에 설치한다. 설치시에는 수평 및 좌우 대칭 등을 알 수 있도록 만든 기준대 사용하여 편리하게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는바, 무치악 환자에서는 먼저 기준대를 이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 상태에 가깝도록 세워 철핀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또한 유치악 환자에서도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전방 17 도 정도 경사시키고 좌우 균형을 잡는다. 상기에서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수평을 잡으면 상악골에 대한 기록판의 좌우 평행을 잡을 수 있어 상악골에 대한 치열과의 부조화를 미리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단에 의하여 치열 교정이나 의치 제작 시 또는 유치악 환자의 치료에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보철의 경우에도 좌우 수평선과 직교선 및 호형 수평띠를 두면 편리하게 대응 부위를 빨리 기준을 잡을 수있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도 9 와 같이 기록장치(100)를 만든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기판(60)을 설치하고, 기록장치(100)를 하악 모형에서 부착 기준대로 중심 등의 초기 위치를 잡고 이어 조임 나사(54)를 사용하여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킨다. 이 경우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는 하악 교합 평면에 수직으로, 유치악 환자는 하악 교합 평면에 대해 전방으로 17 도 경사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0 과 같이 철핀(5) 상단에 전사판(transfer plate)기능의 캡(11)을 씌우고 교합기의 상악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30))에 겔상의 결합체(1-1)를 바른 다음, 교합기의 상악 부위를 닫으면 도 7 과 같이 기록판(1)이 캡(11)에서 결합체(1-1)로 옮겨가 고정되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판(1)을 임시 고정시킨 결합체(1-1)가 굳은 상태에서 부착 기준대를 이용하여 기록판을 상악골에 맞도록 재조정한 다음 겔(gel)상의 결합체로 일체화 시킨다. 그러고 나서 변화된 상악 기록판에 철핀(5)이 수직 관계가 되도록 선단핀(5-1)에 캡(11)을 다시 꽂고 조임나사(54)를 풀어 캡(11)과 기록판(1)이 면접촉 되도록 한 다음 조임나사(54)를 다시 조인다. 이 경우 본 고안의 기록판(1)은 전후방 부위에 결합돌기(1-4)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결착력을 증대시키고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록판(1)을 가진 결합체(1-1)와, 도 9 에 보인 기록장치(100)를 교합기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도 9 와 같이 결합시킨다(치아의 형태가 환자 자신의 치아와, 본을 뜬 교합기에 부착된 치아 모형이 동일하므로, 도 9 에서는 구별없이 환자의 치아와 교합기의 치아를 동일하게 나타내었다). 만약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나사 등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재조정하면 된다. 유치악 환자 구강 내에서는 철핀의 높이를 3-4mm 정도 변화시켜서 각각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을 하여서 두(two) 정점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식 역시 철핀의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하는 이점은 있으나 인체의 상악과 하악의 힌지 기능을 하는 하악과두와 상악의 악관절와의 3차원적인 구조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기록판을 사용하여도 교합기에서 일정한 각도로만 조정 가능하여 사람마다의 맞춤식 기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입안에서 채득된 하악골 운동로인 악간절 운동로와 악간관계를 동시에 기록하여 3차원적인 기록을 가능토록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기록장치를 이루는 기판 3개소에 기존의 철핀 외에 높이가 조절되는 나사인 재현봉을 설치하고 기록판을 지지하는 결합체에 재현봉을 통한 기록으로 악간절운동로도 함께 기록 가능토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기록판에 기록된 묘기 기록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일반적인 하악골의 설명도.
도 3 은 일반적인 하악의 측면도.
도 4 는 일반적인 하악골의 교합평면 상에서 철핀의 이동을 보이는 설명도.
도 5 는 종래의 기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7 은 도 6 상태에서 철핀을 사용하여 기록판을 상악골에 안치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 은 종래의 철핀을 매개로 일시 지지되는 캡과, 캡에 일시 결합되는 기록판의 분해 사시도.
도 9 는 기록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도 9 의 B-B 선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기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고안의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과두로를 구현 가능토록 하는 교합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a 는 본 고안의 재현봉을 이용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b 는 본 고안의 재현봉을 이용한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는 입안에서 재현봉을 사용하여 과두로를 기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인체의 상하악 결합 관계 설명도,
도 16 은 본 고안에 의하여 기록된 기록판과 오목용기가 결합체에 설치되어 기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록판 1-1:결합체
1-2:핀 삽입공 1-3:결합돌기
2:정점(Arrow Point)
2-1:전방 한계 운동로(Protrusive border movement path)
2-2:측방 한계 운동로(Lateral border movement path)
3:하악(Mandible) 3-1:수평 기준축(Horizontal axis)
3-2:본빌 트라이앵글(Bonwill Triangle)
3-3:교합평면(Occlusal plane)
3-4: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 3-5:교차점
3-6:발크빌 앵글(Balkwill angle) 3-7:과두
3-8:상악 3-9:악관절와 4:치아
4-1:하악 제1대구치(Mandibular first molar)
4-2:하악 제1대구치 중심와(Central fossa of Mandibular first molar)
5:철핀 5-1:선단핀 6:지지판 6-1:안내홈 7:날개판 8:나사 9:결합부재 10:철사 11:캡 20:기록장치 30:상악 개구면 31:상악골
40:볼 51:지지판 53:호형홈 54:조임나사 70:지지핀 71:나사 81:하악보조구 82:상악보조구 83:수직바 84:힌지봉
85:악관절부 86:손잡이 87:힌지홈 90:하악골 운동로 재현봉
91:나사봉 92:캡 93:만곡헤드 94:오목용기 100:기록장치
즉 본 고안은 교합정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하며, 선단핀을 가진 철핀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볼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상면에서 결합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결합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 표면에 안치되어 기판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4개의 지지핀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기판 및 지지판의 3개소에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을 설치하며, 재현봉은 외주연에 나사를 이루어 수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재현봉의 상단에는 분리 가능한 캡을 결합시키고 기록판을 고정하는 결합체 대응 위치에서 캡이 하악골의 과두로를 3차원으로 재현할 오목용기를 누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원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은 본원 고안의 사시도로, 기판(60)의 모서리에 나사(71)를 통하여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지지핀(70)을 나사 결합시키고, 기판(60)위에는 지지판(51)을 결합시키고, 기판(60)과 지지판(51)은 상호 볼(40)을지지 결합시키고, 볼(40)은 높이가 조절되는 철핀(5)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핀(7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기판(60)에 장공(72)을 두어 조절토록 구성한다. 상기 구조의 기록장치에 분원 고안은 또한 기판(60)과 지지판(51)을 기반으로 수직으로 사사 결합 상태로 길이가 조절 가능토록 지지하는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90)을 설치한다. 재현봉(90)은 철핀(5)을 지지하는 볼(40)의 둘레 위치 3개소에 설치한다.
도 12 본 본원 고안이 적용되는 교합기의 구성도로, 치아 형태의 하악보조구(81)와 상악보조구(82)를 수직바(83)로 지지토록 하고, 상악 보조구(82)의 선단에는 손잡이(86)를, 양측에는 힌지봉(84)을 설치하여 힌지봉(84)은 수직바(83)의 상단에 형성한 힌지홈(8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수직바(83)의 상단에서 힌지봉(84)과 결합하는 힌지홈(87)부위에는 인체의 도 15에 보인 상악(3-8)의 악관절와(3-9)에 하악(3)의 과두(3-7)가 악관절 운동을 하는 과두로를 재현하는 악관절부(85)를 설치한다. 악관절부(85)는 결합체(1-1)를 구현하는 수지 등을 사용하여 과두로의 형체를 기록한 후 굳혀 사용토록 한다.
도 13a 및 도 13b 는 본 고안에 의하여 결합체에 재현봉(90)을 이루는 나사봉(91)의 캡이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도 13a 은 기록판(1)을 지지하는 결합체(1-1)에 재현봉(90)의 나사봉(91)에 씌운 캡(92)의 선단에 만곡헤드(93)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을 이룬다.
도 13b 는 재현봉(90)을 이루는 나사봉(91)의 상단에 캡(92)을 씌우고, 캡(92)에는 오목용기(94)를 통하여 결합체(1-1)를 누름 작용토록 구성한다.
도 16 은 결합체(1-1)의 중앙에 기록판(1)을 설치하고, 기록판(1)의 둘레에는 3개소에 오목용기(94)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 시는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상, 하악 모형)을 만들고, 교합기 상에 상, 하악 모형을 임의로 부착하고, 본 고안의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예를 들어 도 12 에 보인 하악 보조구(81))에 설치한다. 무치악 환자에서는 먼저 기준대를 이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 상태에 가깝도록 세워 철핀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또한 유치악 환자에서도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전방 17도 정도 경사시키고 좌우 균형을 잡는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도 12 와 같이 기록장치(100)를 사용한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기판(60)을 설치하고, 기록장치(100)를 하악 보조구(81)에서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2 와 같이 철핀(5) 상단에 전사판(transfer plate)기능의 캡(11)을 씌우고 교합기의 상악보조구(82)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에 겔상의 결합체(1-1)를 바른 다음, 교합기의 상악 부위를 닫으면 기록판(1)이 캡(11)에서 결합체(1-1)로 옮겨가 고정되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판(1)이 결합체(1-1)가 굳으면서 일체화 된다. 그러고 나서 변화된 상악 기록판에 철핀(5)이 수직 관계가 되도록 선단핀(5-1)에 캡(11)을 다시 꽂고 캡(11)과 기록판(1)이 면접촉 되도록 조정한다. 아울러 본원고안은 재현봉(90)을 이루는 나사봉(91)의 상단에 캡(92)을 씌우고, 캡(92)의 상단은 오목용기(94)를 안치시켜 기록판(1)을 굳힐 때 오목용기(94)도 같이 굳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6 과 같이 상기 기록판(1) 및 오목용기(94)를 가진(기록이 없는 상태) 결합체(1-1)와, 도 12 에 보인 기록장치(100)를 교합기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도 9 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어 오목용기(94)에 결합체(1-1)등을 이루는 수지를 안치시키고 사용자의 하악을 이동시켜, 철핀(5)은 기록판(1)에 기록하고, 오목용기(94)에 안치된 수지에는 재현봉(91)의 나사봉(91) 선단의 운동로를 따라 3차원적인 운동로를 기록하게 된다. 이 경우 인체의 하악(3)은 도 15와 같이 힌지 기능을 하는 과두(3-7)가 있고, 과두(3-7)는 상악(3-8)의 악간절와(3-9)의 내부 곡면을 따라 여유있게 힌지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내부 곡면이 사람마다 달라 입이 크게 벌어지는 사람, 좌우로의 이동이 심한 사람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는 결국 치아의 형상도 달라진다는 것으로, 악간절와(3-9)의 형상을 고려하여 치아의 교정이나 보철 등의 작업을 하여야 사람마다 다른 맞춤형 치아를 구현 가능토록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기록한 기록판(1) 및 오목용기(94)를 가지는 결합체(1-1)를 도 12 와 같이 교합기에 안치시키고, 기록판(1)을 통한 수평적인 기록과, 오목용기(94)를 통한 3차원적인 기록을 근거로, 도 12와 같이 악관절부(85)를 구성 가능토록 한다. 이는 상악보조구(82)의 개구를 가능토록 하는 힌지봉(84)의 선단위치인 수직바(83)의 상단에 있는 힌지홈(87)에 결합체(1-1)를 이루는 수지를 안치시키고, 오목용기(94)에 기록된 3차원적인 형상을 따라 상악보조구(82)를 그대로 이동시켜 악간절부(85)에 전사한다. 그리고 악간절부(condyle parts)(85)의 전사 형상을 그대로 굳혀, 실제로 환자의 악간절과 같은 구성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기록판을 근거로 보철 등의 치아를 사용자의 악간절에 맞는 의치나 보철을 제공 가능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악의 악간관계를 기록하여 교합기에서 의치나 보철을 실제의 환자 치아에 맞도록 제조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기록장치에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을 3개소에 설치하여 기록판과 함께 오목용기를 가지는 결합체를 교합기에서 수득하고, 환자의 상악 개구면에 결합체를 넣고 기록판에는 철필로 기록하며, 오목용기에는 재현봉으로 악간절 운동로를 기록하고, 다시 교합기에서 악간절 운동로에 해당하는 악간절부를 교합기에 전사시켜 환자의 악간절 구조와 동일한 조건에서 기록판의 기록을 근거로 보철이나 의치를 할 수 있어, 단순한 평면적인 기록이 아닌 입체적인 기록을 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토록 한다.
따라서 환자 하악의 수평적 및 입체척 구조와 동일한 조건(스테레오 타입)에서 의치를 할 수 있는 기록기를 제공 가능케 한다.
아울러 이를 사용하여 교합기에도 환자의 악간절 운동로를 그대로 전사시켜 인체의 악간구조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교합기의 제공도 가능케 된다.

Claims (3)

  1. 교합정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하며, 선단핀(5-1)을 가진 철핀(5)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40)과, 볼(40)을 수용하는 호형홈(53)을 가지며 볼(40)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60)상면에서 결합하는 지지판(51)과. 상기 지지판(50) 하부에 결합된 기판(60)과, 상기 기판(60)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4) 표면에 안치되어 기판(6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4개의 지지핀(70)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기판(60) 및 지지판(51)의 3개소에 하악골 운동로 재현봉(90)을 설치하며, 재현봉(90)은 외주연에 나사를 이루어 수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재현봉(90)의 상단에는 분리 가능한 캡(92)을 결합시키고 기록판(1)을 고정하는 결합체(1-1) 대응 위치에서 캡(92)이 하악골의 과두로를 3차원으로 재현할 오목용기(94)를 누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캡(92)의 상단에는 오목용기(94)의 내면을 누르는 만곡헤드(9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KR20-2003-0013279U 2003-04-29 2003-04-29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KR200320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79U KR200320649Y1 (ko) 2003-04-29 2003-04-29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79U KR200320649Y1 (ko) 2003-04-29 2003-04-29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649Y1 true KR200320649Y1 (ko) 2003-07-22

Family

ID=4941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79U KR200320649Y1 (ko) 2003-04-29 2003-04-29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6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80B1 (ko) * 2015-05-18 2016-08-04 곽흥구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80B1 (ko) * 2015-05-18 2016-08-04 곽흥구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WO2016186449A1 (ko) * 2015-05-18 2016-11-24 곽흥구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9793B2 (ja) 歯科用咬合器及びその変換プレート
KR200183333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WO2007137379A2 (en) Set of prefabricated and flexible dental arches with adjustable teeth, dental arches kit, denture construction process and method of application of said arches in the denture construction process
US20120295219A1 (en) Dental articulator for positioning the arcades without the use of plaster
WO2007029926A1 (en) Device for attaching dental model to articulator
WO2005099614A1 (ja)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US200601991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positions of a mandible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US6152730A (en) Bite registration tracing appliance with movable lower wing
WO2008144258A1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KR200320649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Christiansen Rationale of the face-bow in maxillary cast mounting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WO1999058079A1 (fr) Occluseur assurant une parfaite reproduction du mouvement naturel
KR200480959Y1 (ko) 총의치 복원 장치
Robinson Equilibrated functional occlusions
Gracis Clinical Considerations and Rationale for the Use of Simplified Instrumentation in Occlusal Rehabilitation. Part 2: Setting of the Articulator and Occlusal Optimization.
KR20130128000A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KR100251238B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KR20050108660A (ko)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RU2602044C2 (ru) Способ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ереноса положения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с учетом индивидуальных параметров, окклюзионная вилка с определением положения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модели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Sülün Establishing occlusal relationships
JP3747396B2 (ja) 機能的な非調節性咬合器
RU657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сагиттального и бокового суставного пу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