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238B1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238B1
KR100251238B1 KR1019980005501A KR19980005501A KR100251238B1 KR 100251238 B1 KR100251238 B1 KR 100251238B1 KR 1019980005501 A KR1019980005501 A KR 1019980005501A KR 19980005501 A KR19980005501 A KR 19980005501A KR 100251238 B1 KR100251238 B1 KR 10025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rc
mandibular
iron pi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81A (ko
Inventor
곽흥구
Original Assignee
곽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흥구 filed Critical 곽흥구
Priority to KR101998000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238B1/ko
Publication of KR98000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평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중심와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을 가진 철핀을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전후에서 분리되어 볼을 고정 가능토록 결합하는 제1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판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호형기판과; 상기 호형기판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 표면에 안치되어 호형기판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이며, 철핀이 너트형 볼에 나사 결합되고 지지판에는 볼이 필요시 원하는 위치로 회전 가능하므로 철핀의 위치 및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 가능하다. 또한 지지판을 지지하는 호형기판에 직접 지지핀을 지지토록 하므로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핀을 고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다.

Description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본 발명은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치아의 보철이나 의치 등을 만들 때 교합기 등을 사용하여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를 알기 위하여 사용하는 철핀을 너트형의 볼에 결합시키고 볼은 지지판에 필요시 회번 가능토록 지지되어 철핀을 위치 조정 가능토록 하고, 지지판을 지지하는 기판은 호형으로 구성하여 지지핀을 치아에 지지토록 하므로, 별도로 치아 지지용 철사를 필요치 않도록 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Maxilla)에 대한 하악(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간관계(Maxillo-Mandibular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과 하악의 약관 관계를 채독 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채독하여야한다. 상악에 대한 하악의 악간관계에 있어서 기준점을 중심위 악간관계(Central jaw relationship)이라고 하는데 이는 환자의 수직 고경(Vertical Dimension)하에서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채득되는 수평적 악간관계로서 근 신경계(Neuro-muscular System)의 비긴장성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대표적인 방식은 구강 내에 기록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 스스로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을 통하여 고딕아치(Gothic Arch)라는 수평 면상에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의 한계 운동로의 기록을 표시하게 한다. 이러한 고딕아치의 일 예로는 제1도와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기록판(1)에 정점(2)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 운동로(2-1)와, 측방 한계 운동로(2-2)를 그리면 정점(2), 전방 한계 운동로(2-1), 및 측방 한계 운동로(2-2)의 형태가 건축물의 고딕아치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정점(2)을 전방 및 측방 운동이 이루는 기시점(Starting Point)으로 고려되며 하악에 부착된 기록용 철핀(Stylus)(이하에 설명함) 이 정점(2)위치에 있을 때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jaw relationship)에 있다고 정의한다. 이때 편악(상악 또는 하악)의 무취악 환자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무취악 환자에서는 환자마다 갖는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평적 악간관계 기록(Gothic Arch)을 통하여 그 정점인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jaw relationship)를 얻어서 그 위치에 중심 교합을 형성하면 된다. 그러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치아가 닿지 않도록 환자 고유의 수직 고경보다 높게 하여 치아 이개를 시킨 높이에서 수평적 악간관계를 얻어야 한다. 이때 고유의 수직 고경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서 중심위 악간관계의 위치가 상악 금속판 상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오차를 최소로 줄이기 위하여는 철핀이 기록판에 수직으로 당접하면서 철핀로 기록판에 표시를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그런데 철핀의 설치 위치 및 치아의 수평 위치의 불균형 등으로 철핀이 기록판에 수직으로 닿지 않을 경우 정확한 기록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철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전에 하악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제2도는 하악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하악(3)은 상악(도시하지 않음)과 횡접번축(Transverse hinge axis)(3-1)을 중심으로 결합하고, 하악(3)에는 치아(4)들이 결합된다. 상기 횡접번축(3-1)과 치아(4)의 전방 중앙(Central incisal edge)은 본빌 트라이앵글(3-2)을 이루고, 치아(4)의 수평면은 교합평면(Plane of acculusion)(3-3)을 이루고, 상기 치아(4)의 전방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면을 정중 시상면(Median plane)(3-4)으로 부른다. 이 경우 철핀(5)은 상기 정중 시상면(3-4)과 양 하악 제1대구치 (4-1)의 중심과 사이의 교차점(3-5) 위치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하악(3)은 제3도와 같이 측면으로 도시할 수 있고, 하악(3)의 횡접번축(3-1)을 중심으로 치아(4)의 전방 중앙까지의 연장 삼각 지점을 부르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치아(4)의 수평면을 이루는 교합평면(3-3)은 일정 각도의 발크빌 앵글(Balkwill angle)(3-6)을 이룬다. 결국 교차점(3-5)에 상기 철핀(5)의 끝이 위치하도록 하고 제4도와같이 철핀(5)의 각도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직교하고 수직면 기준으로는 역시 발크빌 앵글(3-6) 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이룬다(평균 17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됨). 그런데 철핀(5)은 이론상 발크빌 앵글(3-2) 만큼 기울어진 것이 좋으나 환자에 따라서 횡접번축(3-1)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지 않아 제4도의 지점(B1, B2)과 같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환자도 있다.
때문에 이러한 환자는 철핀(5)의 각도를 17도에 한정하지 않고 조절 할 수 있어야 정확한 악관 관계를 찾을 수 있으나 현재는 이를 조절하는 기록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철핀(5)은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5도와 같이 하악의 치아에 설치되며, 철핀(5)은 지지판(6)에 나사 결합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판(6)의 양측에는 날개판(7)이 나사(8)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철핀(5)은 지지판(6)에 나사 결합하고 내부 중앙의 축 방향으로는 탄발핀(5-2)이 스프링(5-3)에 탄발 되도록 설치된 나사체(5-4)와, 나사체(5-4)의 상단을 나사 결합하고 상단에 선단핀(5-1)이 일체로된 너트체(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판(7)에는 결합부재(9)를 개재하여 철사(10)를 날개판(7)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철핀(5)의 선단핀(5-1)은 하악 제1대구치(4-1)간의 연장선상(제2도의 교차점(3-5)에 오도록 하고, 역시 제3도 및 제4도와같이 발크빌 앵글(3-6)만큼 기울어지도록 하여야 함은 알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철핀(5)이 지지판(6)에 기울어진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야 하고 선단핀(5-1)을 지지하는 너트체(5-2)가 지지판(6)에 결합되기 위하여는 일정한 안내홈(6-1)이 필요하므로 일부는 거리(L1) 만큼만 나사 결합을 이루게 되고 철핀(5)의 지지판(6)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여 철핀(5)이 흔들거리는 현상이 있어 정확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위한 고딕아치의 수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물론 실제 사용할 때에는 먼저 환자의 치본을 뜨고 이를 기초로 석고로 교합기에 치아 형태로 결합시키고 교합기의 치아 상태에서 제5도의 기록장치(20)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제6도의 철핀(5)의 너트체(5-2)에 제7도와 같이 캡(11)을 씌우고, 캡(11)에 부착된 핀(11-1)에 기록판(1)을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 구개면(30)에 해당하는 상기 캡(11) 대응 부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굳게 되는 결합체(1-1)를 붙이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누르면 제7도상태를 이룬다. 그 상태에서 수 분이 지나면 바로 굳게 되어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하악(3)에서 분리시키면 철핀(5)과 캡(11)은 기록판(1)과 분리되고, 기록판(1)은 상악(31)에 붙게 된다. 그리고 역시 캡(11)을 철핀(5)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캡(11) 및 기록판(1)의 일 예는 제8도와같이 예시 할 수 있으며, 캡(11)의 핀(11-1)에 대응하는 기록판(1)에는 핀 삽입공(1-2)이 있어 기록판과 결합 가능토록 이루어지고, 기록판(1)의 전 후단에는 기록판(1)의 수평면에 절곡된 결합돌기(1-3)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결합돌기(1-3)는 결합체(1-1)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으로 기폭판(1)에 절곡된다. 이렇게 수득한 제5도의 기록장치(20)와, 제7도의 기록판(1)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을 복재한 모형에서 분리시킨 다음 실제로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설치하여 하악을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하면, 제1도와같이 고딕아치가 형성된다. 실제로는 환자의 입에서 기록한 기록판(1)을 결합체(1-1)와 함께 분리하고 형성한 고딕아치의 정점(2)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별도의 원판을 구멍과 정점이 일치하도록 붙여 환자의 입안에서 상악 치아 및 부착물(기록판(1))과 하악 치아 및 기록장치(20) 사이에 별도의 결합제를 넣어 결합 시킨다음 다시 교합기 상에서 상악과 하악의 복재 모형을 입안에서 채득한 악관 관계대로 재 부착 시켜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보철 작업등을 수행하여 안정된 중심 교합을 제작토록 한다. 이는 특히 부분 틀니 등을 필요로 하고 오랫동안 무치로 살아온 환자 등에 있어서, 중심위 악간관계가 불확실한 환자는 이를 이용하면 정확한 악관 관계를 이룰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록장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으나, 고딕아치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혀가 철핀에 찔리기도 하고, 환자 입안에서 접번 운동시 지지판과 철핀이 수직 상태로 접촉하지 않아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기록장치를 모형에 부착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의 중심위 관계 기록장치의 철핀을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 가능토록 볼에 안치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이를 환자의 접번 운동에 맞도록 구강 내에서 세팅시켜 편리하게 위치 및 각도를 조정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판을 호형기판에 지지토록 하고, 호형기판에는 지지핀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합제를 굳혀서 사용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나사체를 볼 상의 너트에 결합시키고 볼은 한 쌍의 지지판에 별도의 나사에 의하여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하여, 철핀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 가능토록 하고, 지지판에는 호형기판을 일체로 결합하여 호형기판에서 지지핀이 치아 표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기록판에 기록된 고딕아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하악의 설명도.
제3도는 일반적인 하악의 측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하악의 교합평면 상에서 철핀의 이동을 보이는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기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 선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상태에서 철핀을 사용하여 기로판을 상악에 안치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철핀을 매개로 일시 지지되는 캡과, 캡에 일시 결합되는 기록판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록판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착 기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세 조정레버가 철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세 조정레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판 1-1 : 결합체
1-2 : 핀 삽입공 1-3 : 결합돌기
1-4 : 결합돌기 1-5 : 고딕아치 예상부
2 : 정점 2-1 : 전방 한계 운동로
2-2 : 측방 한계 운동로 3 : 하악
3-1 : 횡접번축 3-2 : 본빌 트라이앵글(Bonwill Triangle)
3-3 : 교합평면 3-4 : 정중 시상면
3-5 : 교차점 3-6 : 발크빌 앵글(Balkwill angle)
4 : 치아 4-1 : 하악 제1대구치
4-2 : 하악 제1대구치 중심와 5 : 철핀
5-1 : 선단핀 5-2 : 탄발핀
5-3 : 스프링 5-4 : 나사체
6 : 지지판 6-1 : 안내홈
7 : 날개판 8 : 나사
9 : 결합부재 10 : 철사
11 : 캡 11-1 : 판
20 : 기록장치 30 : 상악 개구면
31 : 상악 치아 40 : 볼
51 : 제1지지판 52 : 제2지지판
53 : 호형홈 54 : 조임나사
60 : 호형기판 61 : 요철면
70 : 지지핀 71 : 나사
80 : 미세 조정레버 81 : 선단핀홈
82 : 끼움헤드 83 : 각도 측정대
84 : 연결바 90 : 부착 기준대
91 : 끼움헤드 91-1 : 선단핀홈
92 : 좌우 수평바 93 : 호형 수평바
94 : 직교바 95 : 전방 깊이 측정바
100 : 기록장치
즉, 본 발명은 교합평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을 가진 철핀을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전후에서 분리되어 볼을 고정 가능토록 결합하는 제1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판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호형 기판; 및 상기 호형기판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 표면에 안치되어 호형기판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로, 치아(4)의 하악 제1대구치(4-1)의 중심와 (4-2)의 연장선 중앙에 선단핀(5-1)이 위치하는 철핀(5)을 너트 구조의 볼(40)에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대립한 제1 및 제2지지판(51,5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제1 및 제2지지판(51,52)은 상호 조임나사(54)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기 제1지지판(51)하부에는 호형의 호형 기판(60)이 결합되고(결합 수단의 예로는 나사(62)를 들 수 있다), 호형 기판(60)의 모서리부 수개소에는 치아(4)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핀(70)이 나사(71) 결합으로 고정된다.
제10도는 제9도의 A-A선 확대 단면도로, 선단핀(5-1)을 선단에 가지는 나사체(5-4)는 너트 기능의 볼(40)과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호형홈(53)을 가지는 제1 및 제2지지판(51, 52)을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치시킨 상태에서 조임나사(54)로 볼(40)의 조임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판(51) 하부에 결합되는 호형 기판(60)에는 지지핀(70)이 나사(71)로 결합되고, 호형 기판(60)의 모서리는 요철면(61)을 이룬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록판의 사시도로, 기록판(1)은 정점(2)을 포함하는 고딕아치 예상부(1-5)의 주변에 핀 삽입홈(1-2)과, 기록판(1)의 전 후면에서 일정 거리를 둔 위치에 기록판(1)을 일부 프레싱하여 수직으로 형성한 결합돌기(1-4)를 포함토록 이루어진다.
제12도는 하악 모형에 본 발명의 기록장치(100)를 정확히 균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부착 기준대의 사시도로, 철핀(5)의 선단핀(5-1)을 하악 모형의 중심과 수평에 맞도록 손쉽게 맞추기 위한 부착 기준대(90)를 구비하고, 부착 기준대(90)는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91-1)을 가지는 수평상의 끼움헤드(91)와, 끼움헤드(91)에 일체로 되어 교합평면 상에서 좌, 우 기울어짐을 측정토록 이루어진 좌우 수평바(92)와, 상기 좌우 수평바(92)의 각 중앙부에 지지되며 치아의 호형을 이루어 교합평면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호형 수평바(93)와, 상기 좌우 수평바(92)의 연장선과 직교한 직교바(94)의 선단에 치아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절곡된 전방 깊이 측정바(95)로 이루어진다.
제1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세 조정레버(80)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제14도는 미세 조정레버(80)의 사시도로, 제1 및 제2지지판(51, 52)사이에 볼(40)이 안치되고, 볼(40)에는 나사체(5-4)가 삽입 결합되며 선단핀(5-1)에 미세 조정레버(80)가 결합토록 이루어진다. 미세 조정레버(80)는 철핀(5)의 선단핀(5-1)대응 부위에는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81)을 가지는 끼움헤드(82)와, 끼움헤드(82)와 일체로 되어 각도 측정대(83)를 연결하는 연결바(8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면,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하악 모형)을 만들고, 본 발명의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에 설치한다. 설치시에는 제12도와 같은 부착 기준대(90)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는바, 먼저 철필(5)을 수직 상태로 세워 철필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이어 환자의 특성에 따라 부착 기준대(90)를 분리하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철핀(5)의 각도를 조정하면 하악 모형에 기록장치(100)의 초기 설치가 편리하다. 상기에서 부착 기준대(90)의 전방 깊이 측정바(95)는 앞니의 길이나 잇몸의 깊이 등을 알 수 있어 치아 교정이나 의치 조립 시에 편리하다. 또한 보철의 경우에도 좌우 수평바(92)와 직교바(94) 및 호형 수평바(93)가 있어 편리하게 대응 부위를 빨리 기준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제9도와 같이 기록장치(100)를 만든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기록장치(100)를 하악 모형에서 부착 기준대(90)로 중심 등의 초기 위치를 잡고 이어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호형 기판(60)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조임나사(54)를 사용하여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킨다. 물론 철핀(5)의 기울어진 기본 경사는 제1지지면(51)의 측면에 표시하고 이를 기초로 초기 경사를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제10도와같이 철핀(5) 상단에 캡(11)을 씌우고 캡(11)의 핀(11-1)이 기록판(1)의 핀 삽입공(1-2)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교합기의 상악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30))에 겔상의 결합체(1-1)를 바른 다음, 교합기의 상악 부위를 닫으면 제7도와같이 기록판(1)이 캡(11)에서 결합체(1-1)로 옮겨가 고정되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판(1)을 고정시킨 결합체가 굳은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기록판(1)은 고딕아치 예상부(1-5)와 모서리 사이의 전후방 부위에 결합돌기(1-4)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제7도의 경우와 같이 상악 구개면(30)에 결합체(1-1)를 지나서 닿게되는 경우를 예방토록 한다. 결국 종래는 제7도와같이 기록판(1)의 양단에 결합돌기(1-3)가 있는 경우 결합돌기(1-3)가 상악(31)의 내면과 당접토록 노출되기도 하여 사용 환자가 사용할 때 아픔을 줄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결합돌기(1-4)가 제11도와같이 고딕아치 예상부(1-5)에 근접토록 구성하였기에 결합체(1-1)를 뚫고 상악 구개면(30)에 노출 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는 상악 구개면(30)이 만곡면을 이루고 기록판(1)은 평면을 이루므로 중심에 가까울수록 결합체(1-1)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록판(1)을 가진 결합체(1-1)와, 제9도에 보인 기록장치(100)를 교합기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제9도와같이 결합시킨다. 만약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나사 등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재조정하면 된다. 또한 철핀(5)의 위치 및 각도가 맞지 않을 경우는 제14도와같이 미세 조정레버(80)를 사용하여 의사가 철핀(5)을 조정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철핀(5)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제1지지판(51)의 선단에서 조임나사(54)를 돌려 푸거나 조임으로써 볼(40)을 조정하면 된다.
이는 렌지 등을 사용하여 조임나사(54)를 환자의 전면에서 조일 수 있도록 하는바, 의사가 이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이렇게 볼(40)이 회전하고 필요에 따라서 세팅될 수 있는 것은 제10도와같이 볼(40)과 지지판(51, 52)의 호형홈(53)이 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임나사(54)를 조이면, 제1 및 제2지지판(51, 52)의 호형홈(53)이 볼(40)표면을 눌러서 조이기 때문이다. 상기 미세 조정레버(80)가 필요한 것은 정확한 위치에 세팅시키기 위하여 조임나사(54)를 조금만 풀고 미세 각도 및 위치를 조정 할 때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철핀(5)을 돌려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의치 환자가 아닌 보철 환자의 경우 철핀(5)의 선단핀(5-1)이 제2도에 보인 교합평면(3-3) 보다 위에 있어야 상악과 하악의 치아(4)가 상호 맞닿지 않고 하악과 함께 상기 기록장치가 이동(전방 및 측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기록장치(100)의 철핀(5)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판(1)에 대고 전방 및 측방으로 하악을 움직이면 제1도와 같은 고딕아치의 정점(2), 측방 한계 운동로(2-2) 및 전방 한계 운동로(2-1)를 수득하고 이를 고딕아치를 기록하였다고 말한다. 이렇게 세팅이 되면 그 상태에서 치아와 호형 기판(60) 사이를 별도의 부드러운 결합제(도시하지 않음)로 충진시켜 굳히면 착용이 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호형 기판(60)에 요철면(61)을 형성 한 것은 결합제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도록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여 기록한 기록장치(100)와 기록판(1)을 환자에게서 분리하고, 상기 정점(2)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별도의 원판(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기록판(1)에 붙이고, 이 상태에서 교합기의 상 하악 모형에서 상기 기록을 기초로 일정한 위치 등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철핀을 볼에 나사 결합시키고 볼을 필요에 따라서 회전 및 고정 가능토록 지지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므로 편리하게 각도를 조정 사용할 수 있고, 너트 기능을 볼로써 수행하므로 나사체와 나사 결합하는 부위가 길어져서 철핀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호형기판에서 지지핀을 바로 고정시키므로 간편하게 부드러운 결합제로 결합 시킬 수 있다. 호형 기판의 모서리에는 요철면이 있어 결합제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사용환자가 사용할 때 착탈을 용이하게하고 착용감을 좋게한다. 또한 철핀의 선단핀에 결합하는 미세 조정레버를 사용하여 철핀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 가능하므로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

Claims (5)

  1. 교합평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5-1)을 가진 철핀(5)을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40)과; 볼(40)을 수용하는 호형홈(53)을 각각 가지며 전후에서 분리되어 볼(40)을 고정 가능토록 결합하는 제1 및 제2지지판(51, 52)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판(51, 52)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4)와 수평 상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호형 기판(60)과; 상기 호형 기판(60)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4) 표면에 안치되어 호형 기판(6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 개의 지지핀(70)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철핀(5)은 너트형 볼(40)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체(5-4)와, 나사체(5-4) 선단에서 축 방향으로 일체로 돌설시킨 선단핀(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호형 기판(60)의 치아 대응면은 경사진 요철면(61) 형태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의 악간관계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철핀(5)의 선단핀(5-1)대응 부위에는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81)을 가지는 끼움헤드(82)와, 끼움헤드(82)와 일체로 되어 각도 측정대(83)를 연결하는 연결바(84)로 이루어진 미세 조정레버(80)를 부가 사용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철핀(5)의 선단핀(5-1)을 사용하여 하악 모형에서 기록장치의 초기 위치를 맞추기 위한 부착 기준대(90)를 부가하고, 부착 기준대(90)는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81-1)을 가지는 수평상의 끼움헤드(91)와, 끼움헤드(91)에 일체로 되어 교합평면 상에서 좌, 우 기울어짐을 측정토록 이루어진 좌우 수평바(92)와, 상기 좌우 수평바(92)의 각 중앙부에 지지되며 치아의 호형을 이루어 교합평면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호형 수평바(93)와, 상기 좌우 수평바(92)의 연장선과 직교한 직교바(94)의 선단에 치아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절곡된 전방 깊이 측정바(9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KR1019980005501A 1998-02-21 1998-02-21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KR10025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01A KR100251238B1 (ko) 1998-02-21 1998-02-21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01A KR100251238B1 (ko) 1998-02-21 1998-02-21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1A KR980008181A (ko) 1998-04-30
KR100251238B1 true KR100251238B1 (ko) 2000-04-15

Family

ID=1953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501A KR100251238B1 (ko) 1998-02-21 1998-02-21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63A2 (ko) * 2010-05-17 2011-11-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9739B2 (en) 2011-08-23 2015-07-28 Nike, Inc. Multi-core golf ball having increased initial veloc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63A2 (ko) * 2010-05-17 2011-11-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WO2011145863A3 (ko) * 2010-05-17 2012-04-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1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3333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US5176515A (en) Denta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Mericske-Stern Three-dimensional force measurements with mandibular overdentures connected to implants by ball-shaped retentive anchors. A clinical study.
US20070231774A1 (en) Occlusal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in edentulous patients
US6386868B1 (en) Dental articulator and its transform plate
US11259907B2 (en)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US5090901A (en)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JPS5918053B2 (ja) 顎の中心関係および顎運動の記録を行う際に用いる口腔内記録装置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KR100251238B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US6287113B1 (en) Full reproduction articulator
US5044950A (en)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RU20823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JP4221209B2 (ja) 仮想咬合平面再現装置
KR20050108660A (ko)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GB2160104A (en) Dental analyzer
Kurth Methods of obtaining vertical dimension and centric relation: a practical evaluation of various methods
JPH0636812Y2 (ja) 咬合器
KR101042380B1 (ko)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KR200320649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JP2002263120A (ja) 義歯製作装置
JPH0621457Y2 (ja) 咬合器
JPH0336332Y2 (ko)
WO2021095046A1 (en) A precise jaw relation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