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227A -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227A
KR20160010227A KR1020140091346A KR20140091346A KR20160010227A KR 20160010227 A KR20160010227 A KR 20160010227A KR 1020140091346 A KR1020140091346 A KR 1020140091346A KR 20140091346 A KR20140091346 A KR 20140091346A KR 20160010227 A KR20160010227 A KR 2016001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rticulator
mounting plate
tee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붕
Original Assignee
이채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붕 filed Critical 이채붕
Priority to KR102014009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227A/ko
Publication of KR2016001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5Intermediary adjustment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hinge made of 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기를 이용하여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악고정대와 하악고정대에 각각 치아모델을 고정하고 고정대를 절첩수단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하면서 교합을 측정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치아모델의 고정을 위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장착판과, 치아모델이 부착 고정되되 장착판에 탈부착 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장착판에 탈착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판과 플레이트에 각각 내장되는 부착요소와, 상기 장착판과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악모델과 하악모델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수직 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되는 보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에서 확인한 고경에 대한 정보를 왁스림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기공소로 전달하여 기공소에서 교합기를 이용하여 고경 재현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The articulator and the articul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교합기에 장착되는 모델의 높이를 상,하 수직으로 비틀림 없이 조절하여 수직고경 오차를 간단하게 수정함으로써 정밀한 교합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치과 치료에서 손상되거나 상실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인공치아 또는 보철물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보철물은 대응되는 치아와 양호하게 맞는지 여부, 즉 교합상태를 확인하면서 제작이 이루어지며,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교합기가 사용된다.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를 본뜨기 하여 구강 내부의 구조를 정확하게 복제하여 기공소로 본뜨기한 것을 보내면 기공소에서는 치과에서 본 뜬 것을 바탕으로 왁스림(가모델)을 제작한다.
이때, 왁스림은 구강 내의 치아의 수직 고경고경(상하악간 수직적 거리, vertical dimension)을 측정하기 위하여 왁스를 융착하거나 채워서 제작하는 것으로, 치기공 공식(의치상 최후방의 기준점이 되는 구후융기(Retromolar Pad)의 위치관계를 계산하여 제작하는 등)에 따라서 제작되며, 단순히 구강 내부의 치아높이를 왁스를 이용하여 재현할 뿐이고, 환자의 상,하악의 저작운동의 축이되는 콘다일 헤드의 위치관계 및 수직 고경이 적용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치과에서는 기공소에서 제작한 왁스림을 환자 구강의 상,하악에 각각 왁스림을 삽입한 후, 환자로 하여금 입을 다물고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면서 환자의 악간 관계를 육안으로 측정하고, 악간 관계가 맞지 않는 경우 구강에서 왁스림을 빼내어 직접 삭제하면서(깎아가면서) 환자의 상하악 악간 관계를 조정하였다.
즉, 왁스림은 환자의 현재 상태의 잇몸에 치아 고경만을 재현할 뿐, 악간 관계까지 재현할 수 없다. 그런데 환자의 상하악 악간 관계는 상악이나 하악이 결손된 환자, 또는 상악과 하악 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환자, 구치부 결손이나 일부 결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 상악과 하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주골의 쳐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악간 관계가 변형되고, 일반 성인의 경우 수십년 생활을 하면서 치아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틀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환자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틀어짐에 의하여 악간 관계가 환자 개개인마다 모두 달라서 왁스림이 악관 관계가 까지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의사가 왁스림을 삭제하면서 악간관계, 즉 치아의 수직고경을 조절한다.
그 후, 삭제되어 수직고경이 조절된 왁스림을 기공소로 다시 보내서 그 왁스림을 바탕으로 하여 보철물 제작을 하게 되며, 이렇게 제작된 보철물을 환자에게 시술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보철물 제작방법은 필연적으로 부정교합이 발생되므로 모델을 기공소로 보내어 수정하고 다시 받아서 교정하는 등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교합을 맞추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 치아가 손상되거나 상실된 상태로 생활함으로 인하여 환자의 잇몸이 변형 퇴축이 발생한 경우에는 치아의 생리적 교합을 기준으로 할 때 부적합한 시술이 될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한 후, 수직고경을 측정할 때는 의사는 이미 오링테스트나 신경반응검사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저작운동의 축이 되는 좌,우측의 콘다일헤드의 위치를 설정한 후 그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수직 고경을 측정하는데, 이 상태에서 왁스림의 삭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작운동의 축이 되는 콘다일헤드와 왁스림의 위치관계가 틀어지게 되며, 상,하악의 치아의 위치관계 또한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왁스림의 삭제가 의사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수작업으로 좌,우측의 왁스림을 삭제하면서 조절하는데, 이 과정이 육안과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우측의 왁스림의 삭제되는 높이에 편차가 발생하며,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공소에서는 이렇게 잘못 가공된 왁스림을 바탕으로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고, 그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 내에 넣고 교합조정을 함으로써 저작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콘다일헤드와의 위치관계가 틀어진 상태에서 교합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의 생리적 교합을 기준으로 부적합한 시술이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치아의 상태가 틀어짐이 발생할 경우 체형 자체에 틀어짐이 발생하는 등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렇게 생리적 교합과 동떨어진 시술을 하게 됨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환자의 자세나 전체 건강 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KR 100976043 B1
따라서 본 발명은 의사가 구강 내에서 확인한 고경에 대한 정보를 왁스림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기공소로 전달하여 기공소에서 교합기를 이용하여 고경 재현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콘다일헤드와의 위치관계 및 악간관계를 간단하게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교합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교합 및 비틀림 등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개별 환자에게 적합한 생리적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악고정대와 하악고정대에 각각 치아모델을 고정하고 고정대를 절첩수단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하면서 교합을 측정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치아모델의 고정을 위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장착판과, 치아모델이 부착 고정되되 장착판에 탈부착 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장착판에 탈착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판과 플레이트에 각각 내장되는 부착요소와, 상기 장착판과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악모델과 하악모델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수직 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되는 보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과 보조플레이트에 홈부를 마련하고, 플레이트에는 그 홈부에 삽입되어 배향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여 플레이트의 배향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수직고경의 오차수정을 위한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보조플레이트가 다양한 두께의 보조플레이트가 세트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경 수정이 교합기에 장착되는 모델의 높낮이 조절을 통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환자의 구강 내 악간 관계, 즉 고경 재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보철물의 형태 및 크기를 악간관계에 맞도록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와 기공소를 반복하면서 교합조정하는 작업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잇몸의 변형 퇴축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에도 보철물이 환자의 구강 내 구조에 맞도록 생리적 교합에 적합하게 제작되므로 자연스럽게 저작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시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플레이트를 이용한 플레이트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합기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을 나나탠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악 치아모델(M)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악고정대(1a)와 하악고정대(1b)로 이루어지는 고정대(1)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하악고정대(1a,1b)에는 각각 상악모델(M1)과 하악모델(M2)이 고정되며, 상악고정대(1a)와 하악고정대(1b)는 대략적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첩수단(2)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되게 조립된다.
고정대(1)는 치아모델(M)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악고정대(1a)와 하악고정대(1b)를 상,하로 절첩하여 작동시키면서 치아의 교합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고정대(1)의 구조는, 치아모델(M)의 고정을 위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장착판(10)과, 치아모델(M)이 부착 고정되되 장착판(10)에 탈부착 되는 플레이트(20)와, 상기 플레이트(20)를 장착판(10)에 탈착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에 각각 내장되는 부착요소(30)와, 상기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의 사이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0)가 부착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악모델(M1)과 하악모델(M2)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수직 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되는 보조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착대(10)는 치아모델(M)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악고정대(1a)의 부착대(10)에는 하측에 플레이트(20)가 조립되고, 하악고정대(1b)의 부착대(10)에는 상측에 플레이트(20)가 조립된다.
플레이트(20)는 치아모델(M)이 고정되는 것으로, 치아모델(M)은 플레이트(20)에 석고스톤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된다.
플레이트(20)는 치아모델(M)이 고정된 상태에서 부착대(10)로부터 탈부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모델(M)을 교합기에 장착하여 교합을 측정하거나, 또는 치아모델(M)을 교합기로부터 탈거하여 치아모델을 수정하는 등의 치기공 작업을 위하여 탈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에는 각각 부착요소(30)가 형성된다. 부착요소(30)는 마그네틱에 의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 중 어느 하나에 마그네틱(31)을 내장하면서 다른 하나에는 철판(32)을 내장하거나, 또는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에 모두 마그네틱을 내장하여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플레이트(40)는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의 탈부착 성능 저하가 없도록 타공부(43)를 형성하거나, 또는 마그네틱이나 철판 등 부착요소(30)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부착재(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보조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교합측정을 하고자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보조플레이트(40-1,40-2,40-3,40-n)가 세트로 구성되어 환자 치아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추어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의 사이에 보조플레이트(4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서 보조플레이트(40)의 두께를 1mm, 2mm, 3mm의 두께를 갖는 세 개의 보조플레이트(40)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도록 하면, 각각의 보조플레이트(40)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1mm, 2mm, 3mm, 4mm, 5mm, 6mm의 두께로 플레이트(20)의 장착높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플레이트(40)의 두께는 상술한 수치 이외에도 더 큰 수치로 형성하거나, 또는 두께를 1mm이하 단위로 형성하는 등 수치를 더욱 세분화하여 제작함으로써 더욱 세밀하게 플레이트(20)의 장착 높낮이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조플레이트(40)는 장착판(10)과 조립되는 방향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야 하며 그 상태에서 수직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다.
이를 위하여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를 조립할 때 배향의 기준이 되는 홈부(11,41)를 마련하고, 플레이트(20)는 그 홈부(11,41)에 삽입되어 배향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21)를 마련되어 플레이트(20)의 높낮이 조절시 배향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돌기부(21)의 돌출된 높이는 장착판(10)의 표면을 초과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돌기부(21)를 길게 형성하여 보조플레이트(40)의 두께를 모두 수용하면서 틀어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돌기부(21)가 플레이트(20)의 상측으로 노출될 경우 작업자가 작업중에 걸림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21)가 장착판(10)의 표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상,하로 관통되게 가이드홀(12,42)을 형성하고, 플레이트(20)에는 체결홀(2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50)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플레이트(20)가 보조플레이트(40)와 긴밀히 조립된 상태로 장착판(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볼트(50)가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12,42)을 관통하여 플레이트(20)의 체결홀(22)에 체결 고정되어 배향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20)는 체결홀(22)을 형성함에 있어서, 너트를 인서트 성형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볼트(50)를 이용한 고정은, 플레이트(20)와 보조플레이트(40)만 조립되도록 하면, 장착판(10)에서 플레이트(20)를 분리할 때 고정볼트(50)를 분해할 필요가 없이 플레이트(20)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플레이트(20)를 장착판(10)에 부착할 때 고정볼트(50)가 장착판(10)의 가이드홀(12)에 삽입되면서 배향설정의 보조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치아모델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교합기를 이용하여 고경수정을 함으로써 교합하는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잇몸구조 확인을 위하여 본을 뜬 것을 바탕으로 왁스림을 제작하는 단계(S100)와,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고 환자의 수직 고경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는 단계(S200)와, 교합기의 보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확인된 고경에 대한 오차수치를 반영하여 치아모델의 악간관계를 재설정하는 단계(S300)와, 악간관계가 재설정된 교합기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교합측정을 할 수 있다.
먼저, 환자의 잇몸구조 확인을 위하여 본을 뜬 것을 바탕으로 왁스림을 제작하는 단계는, 치과에서 환자의 구강 내에 치과용 고무재를 삽입한 후 잇몸의 형태를 본을 뜨게 되고, 이렇게 본 뜬 것을 기공소로 보내며, 기공소에서는 본 뜬 것을 바탕으로 치아의 고경을 측정하기 위한 왁스림을 제작하게 된다.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고 환자의 수직 고경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공소에서 제작된 왁스림을 구강에 삽입한 후 의사가 수직 고경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고 오차가 있을 경우 그 치수를 추출한다.
교합기의 보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확인된 고경에 대한 오차수치를 반영하여 치아모델의 악간관계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치과에서 수직 고경의 오차에 대하여 추출한 치수만큼 보조플레이트(40)를 덧대어 치아모델(M)이 장착되는 플레이트(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로써 이렇게 보조플레이트(4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2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치아모델의 악간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0)는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에 형성된 홈부(11,41)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돌기부(21)를 이용하여 배향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볼트(50)를 히용하여 플레이트(20)와 보조플레이트(40)의 배향설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고정볼트(50)가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12,42)을 관통하여 플레이트(20)의 체결홀(22)에 체결 고정되어 배향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교합방법의 마지막으로, 악간관계가 재설정된 교합기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단계는, 악간관계가 재설정된 치아모델을 이용하여 교합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교합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1: 고정대 1a: 상악고정대
1b: 하악고정대
2: 절첩수단
10: 장착판 11: 홈부
12: 가이드홀
20: 플레이트 21: 돌기부
22: 체결홀
30: 부착요소 31: 마그네틱
32: 철판
40: 보조플레이트 41: 홈부
42: 가이드홀 43: 타공부

Claims (9)

  1. 상,하악의 치아모델(M)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1)가 상악모델(M1)이 고정되는 상악고정대(1a)와 하악모델(M2)이 고정되는 하악고정대(1b)로 이루어지고, 상악고정대(1a)와 하악고정대(1b)는 절첩수단(2)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되게 조립되어 교합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는,
    치아모델(M)의 고정을 위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장착판(10);
    치아모델(M)이 부착 고정되되 장착판(10)에 탈부착 되는 플레이트(20);
    상기 플레이트(20)를 장착판(10)에 탈착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에 각각 내장되는 부착요소(30);
    상기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의 사이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0)가 부착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악모델(M1)과 하악모델(M2)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수직 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되는 보조플레이트(4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40)는,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보조플레이트(40)가 세트로 구성되어 환자 치아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추어 장착판(10)과 플레이트(20)의 사이에 보조플레이트(4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를 조립할 때 배향의 기준이 되는 홈부(11,41)가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20)는 그 홈부(11,41)에 삽입되어 배향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21)가 마련되어 플레이트(20)의 높낮이 조절시 배향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돌기부(21)의 돌출된 높이는 장착판(10)의 표면을 초과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2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는 상,하로 관통되게 가이드홀(12,42)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0)는 너트가 인서트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체결홀(2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50)가 장착판(10)과 보조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12,42)을 관통하여 플레이트(20)의 체결홀(22)에 체결 고정되어 배향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40)는 1mm, 2mm, 3mm의 두께를 갖는 보조플레이트(40)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7. 환자의 잇몸구조 확인을 위하여 본을 뜬 것을 바탕으로 왁스림을 제작하는 단계;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고 환자의 수직 고경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는 단계;
    교합기의 보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확인된 고경에 대한 오차수치를 반영하여 치아모델의 악간관계를 재설정하는 단계;
    악간관계가 재설정된 교합기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장착판과 보조플레이트에 형성된 홈부와 플레이트에 형성된 돌기부를 이용하여 배향 설정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보조플레이트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배향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KR1020140091346A 2014-07-18 2014-07-18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KR20160010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46A KR20160010227A (ko) 2014-07-18 2014-07-18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46A KR20160010227A (ko) 2014-07-18 2014-07-18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27A true KR20160010227A (ko) 2016-01-27

Family

ID=5530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46A KR20160010227A (ko) 2014-07-18 2014-07-18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2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8-05-08 이헌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US20210153987A1 (en) * 2019-08-14 2021-05-27 Sdc U.S. Smilepay Spv Dental model holding system
KR20230118282A (ko) *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43B1 (ko)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43B1 (ko)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8-05-08 이헌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US20210153987A1 (en) * 2019-08-14 2021-05-27 Sdc U.S. Smilepay Spv Dental model holding system
US11883251B2 (en) * 2019-08-14 2024-01-30 Sdc U.S. Smilepay Spv Dental model holding system
KR20230118282A (ko) *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01657990B1 (ko) 인공치아 교합기
KR101872448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00017565A (ko) 3d프린팅기술을 이용한 틀니제작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KR20170082605A (ko) 물림 정합 기구, 물림 정합 기구 세트, 및 적절한 물림 정합 방법
US9737384B2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US7128574B2 (en) Dental alignment instrument
US7220123B1 (en) Device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US20200093583A1 (en) Occlusion recording instrument and articulator
US9480542B2 (en) Jig for bite alignment in dentistry and bite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12788B1 (ko)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757242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200480959Y1 (ko) 총의치 복원 장치
US10350038B1 (en) Dental articulator system and apparatus
KR101422993B1 (ko) 교합기에 장착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하악 모델 측정용 지그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US20230112706A1 (en) Prosthetic tooth or denture base
KR102547805B1 (ko) 치아 균형정보 획득용 스틱
KR20190080585A (ko)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US20230372070A1 (en) Patient individual physical transfer key
US20050100855A1 (en) Flexible triple tray with hinged elements
KR101940737B1 (ko) 디지털보철 컨펌용 장치
Giusti et al. A simplified method for fabrication of new complete den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