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88B1 -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88B1
KR101712788B1 KR1020170002875A KR20170002875A KR101712788B1 KR 101712788 B1 KR101712788 B1 KR 101712788B1 KR 1020170002875 A KR1020170002875 A KR 1020170002875A KR 20170002875 A KR20170002875 A KR 20170002875A KR 101712788 B1 KR101712788 B1 KR 10171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occlusion
plate
teeth
suppor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민영
Original Assignee
문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민영 filed Critical 문민영
Priority to KR102017000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임플란트의 픽스쳐(fixture)를 치아가 상실된 위치에 식립한 후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abutment), 크라운(crown)을 조립하여 인공치아를 구축하기 전에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의한 인공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로서,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10)에 나선결합으로 설치되며, 나선결합을 통해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서포트 스크류(100)와;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에 끼워져 고정되고,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리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해당 임플란트의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하는 바이트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Measuring Device for Bite Force}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임플란트의 픽스쳐(fixture)를 치아가 상실된 위치에 식립한 후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abutment), 크라운(crown)을 조립하여 인공치아를 구축하기 전에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통상 치아가 상실되면 치근(뿌리)을 대체할 수 있도록 치근이 빠진(빼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는 제거된 자연 치근 자리의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를 박아 넣어 치조골에 유착시키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크라운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를 나사 조립하고, 그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가 되는 크라운(crown)을 씌우는 방식으로 시술하고 있다.
이 경우 시술이 완료된 임플란트의 크라운(인공 치아)과 맞물리는 자연 치아 사이의 교합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그 교합 측정을 위한 기구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0740호를 살펴보면, 치아 형상 및 교합면 측정장치로서, 치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시트, 상기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압전 측정유닛, 상기 압전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치아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상부 수지시트와 하부 수지시트 및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판독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배경으로 다양한 치아 교합 기구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치아의 교합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모든 치아(자연 치아, 인공 치아 포함)가 온전히 구비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에 마련된 치아 전체를 부분을 교합 인기재(Bite Registration Materials)를 삽입 후 서로 맞물려 교합을 측정하기 때문에 인공 치아인 임플란트는 크라운까지 모든 시술을 완료하여야 교합 측정이 가능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특정 치아 주변의 전체 치아에 대한 교합을 수행함으로 전체적으로 교합의 수정이 불가피하여 크라운 또는 임플란트와 맞물리는 자연 치아를 추가로 연마하는 공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함으로 임플란트 시술시간이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서 가끔 크라운의 연마가 불가하여 자연 치아를 연마하기 때문에 정상의 치아 법랑질을 뚫고 상아질이 노출되는 등의 치아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0740호(등록일:2016.10.25)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과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픽스쳐(fixture)의 식립 단계에서 교합 측정기를 픽스쳐에 나사결합시켜 해당 임플란트 위치만을 교합 측정하여 임플란트 시술완료 전에 교합 상태를 재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한 한정적인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가능하게 측정 가능하고, 임플란트의 시술 완료 전에 교합 상태를 재현가능함으로 임플란트 시술 위치의 주변 전체 치아의 교합을 위한 연마 공정이 불필요하게 하여 임플란트의 크라운 또는 자연 치아의 연마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의한 인공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로서,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나선결합으로 설치되며, 나선결합을 통해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서포트 스크류와;
상기 서포트 스크류에 끼워져 고정되고,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리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해당 임플란트의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하는 바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측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특정 시술 위치만의 한정적인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여 임플란트 시술 위치의 주변 전체 치아의 교합을 위한 연마 공정이 불필요하여 임플란트의 크라운 또는 자연 치아를 연마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교합 측정기(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10)에 나선결합되는 서포트 스크류(100)와,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리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해당 임플란트의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하는 바이트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교합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교합 측정기의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는;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10)에 나선결합으로 설치되며, 나선결합을 통해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교합 측정기(1)를 임플란트의 픽스쳐(10)에 설치가능하게 하면서 후술하는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높낮이 조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스크류(100)는; 스크류부(110), 마운트(12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는;
픽스쳐(10)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부(110)는,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의 원기둥형태의 나사산을 갖도록 제작되며, 스크류부(110)의 직경은 임플란트 시술에서 널리 사용하는 픽스쳐(10)에 나사 구멍에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부(110)는 최대 5mm 길이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부(110)를 2mm ~ 최대 5mm 중 어느 하나의 길이로 선택 제작함에 따라 여러 업체에서 생산되는 임플란트의 픽스쳐(10)에 나사 구멍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서포트 스크류(100)의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는;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내측으로 마련된 끼움부(221)에 끼워져 고정력을 발휘하는 마운트(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120)는, 스크류부(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류부(110)의 일단에 기둥형으로 돌출되는데, 서포트 스크류(100)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스크류부(110)와 함께 성형된다. 이때, 상기 마운트(120)는 후술하는 바이트 플레이트(200)에 마련된 끼움부(221)이 끼워지면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가 제자리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와 마운트(120)의 끼움 부분은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억지 끼움을 위한 치수 공차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120)는 육각, 사각, 팔각, 삼각, 중 어느 하나로 선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120)를 육각, 사각, 팔각, 삼각 중 어느 하나로 선택 형성시킴에 따라 바이트 플레이트(200)가 마운트(120)를 통해 끼워지면 제자리 회전하지 않고 지지된다.
더불어 상기 마운트(120)는, 바이트 플레이트(200)가 끼워지면, 그 끼워진 부분 둘레를 감싸서 고정시켜 흔들리지 않게 하는 보강부(1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121)는 마운트(120)의 둘레로 관 형태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스크류부(110)의 마운트(120)가 형성된 끝단 외측에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121)는 최대 1mm 돌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121)를 최대 1mm 이상 돌출하며, 바람직하게는 1mm ~ 4mm 중에서 선택된 길이로 돌출되는데, 상기 보강부(121)와 마운트(120) 사이로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끼움부(221)가 끼워져 지지되는 최소 버팀 부분을 확보함으로 바이트 플레이트(200)가 마운트(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에 끼워져 고정되고,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리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해당 임플란트의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부(210), 기둥부(22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릴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전체적으로 치아에 맞물릴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갖고,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으로 후술하는 기둥부(220)가 일체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치아와 맞물리는 면에 교합인기재(230)가 삽입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교합인기재(230)는 계속가공의치, 국소의치 그리고 총의치 등의 구강재형성시 상,하악 관계를 인기함으로써 환자 고유의 치아 교합관계를 교합기상에서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다. 상기 교합인기재(23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교합인기재(230)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 관통형성된 고정홀(2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211)은 치아의 교합을 위해 플레이트부(210)가 치아와 맞물리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고정홀(211) 측에 실리콘 재질의 교합인기재(230)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력이 발휘되게 하여 교합인기재(230)가 일탈 및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와 맞물리면 맞물린 상태의 앞뒤 위치를 분별할 수 있게 하는 위치홈(2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홈(212)은 본 발명의 교합 측정기(1)를 이용해 임플란트의 대향 치아와 맞물려 교합을 측정하면, 그 상태에서의 치아 앞뒤 방향에 따라 교합 위치가 추후에 바뀌지 않도록 육안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서포트 스크류(100)의 마운트(120)에 대응한 동일 모양의 끼움부(221)을 갖는 상태에서 플레이트부(210)를 지지하는 기둥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220)는, 원통 기둥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맞물리는 측 반대 방향으로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성형 과정에서 플레이트부(210)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기둥부(220)의 내부에는 끼움부(221)가 상기 마운트(120)의 형상에 대응한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220)는 4mm ~ 9mm의 길이로 선택 제작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220)의 길이는 환자의 상,하악 구조, 교합 위치, 치아 구조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교합 측정기(1)가 바람직하게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를 갖게 한다.
이때, 상기 끼움부(221)로 마운트(120)가 끼워지는 고정지지되는 작용으로 서포트 스크류(100)와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조립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교합 측정기(1)는, 최초 치과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픽스쳐(10)의 식립 단계에서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의 나선결합구조를 통해 교합 측정기(1)를 픽스쳐(10)에 나사결합시켜 해당 임플란트 위치에 국한하여 교합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가 픽스쳐(10)에 결합되면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를 픽스쳐(10)에 결합된 서포트 스크류(100)에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의 마운트(120)가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끼움부(221)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바이트 플레이트(200)를 서포트 스크류(100)에 고정한다.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를 고정한 후 교합 측정을 위해 환자의 상,하악을 다물면서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한 치아가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부(210)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210)와 치아 사이에는 교합인기재(23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교합 측정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를 나선결합에 의해 상,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교합 측정을 수행가능하고, 임플란트의 시술 완료 전에 그 교합 상태에 대한 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특정 시술 위치만의 한정적인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여 임플란트 시술 위치의 주변 전체 치아의 교합을 위한 연마 공정이 불필요하고, 임플란트의 크라운 또는 자연 치아의 연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교합 측정기 100; 서포트 스크류
110; 스크류부 120; 마운트
200; 바이트 플레이트 210; 플레이트부
220; 기둥부 230; 교합인기재

Claims (8)

  1.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의한 인공 치아의 교합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로서,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10)에 나선결합으로 설치되며, 나선결합을 통해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서포트 스크류(100)와;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에 끼워져 고정되고,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리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통해 해당 임플란트의 교합거리 및 교합위치를 측정하는 바이트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는, 바이트 플레이트(200)의 내측으로 마련된 끼움부(221)에 끼워져 고정력을 발휘하는 마운트(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120)는 육각, 사각, 팔각, 삼각, 중 어느 하나로 선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스크류(100)는, 픽스쳐(10)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110)는 최대 5mm 길이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120)는, 바이트 플레이트(200)가 끼워지면, 그 끼워진 부분 둘레를 감싸서 고정시켜 흔들리지 않게 하는 보강부(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21)는 최대 1mm 돌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에 맞물릴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맞물리는 면에는 교합인기재(230)가 삽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교합인기재(230)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 관통형성된 고정홀(211)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해당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대향하는 치아와 맞물리면 맞물린 상태의 앞뒤 위치를 분별할 수 있게 하는 위치홈(212)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플레이트(200)는, 서포트 스크류(100)의 마운트(120)에 대응한 동일 모양의 끼움부(221)을 갖는 상태에서 플레이트부(210)를 지지하는 기둥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220)는 4mm ~ 9mm의 길이로 선택 제작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20170002875A 2017-01-09 2017-01-09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171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75A KR101712788B1 (ko) 2017-01-09 2017-01-09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75A KR101712788B1 (ko) 2017-01-09 2017-01-09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88B1 true KR101712788B1 (ko) 2017-03-06

Family

ID=5839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75A KR101712788B1 (ko) 2017-01-09 2017-01-09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KR20230072011A (ko) * 2021-11-17 2023-05-24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790A (ja) * 1999-10-21 2001-04-24 Medeia Kk 歯科用ワックス材料
KR20140099591A (ko) * 2013-02-04 2014-08-13 남관우 전악 보철 및 교합 조정을 위한 구내 묘기장치용 묘기 핀
WO2014202542A1 (de) * 2013-06-20 2014-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beisskraft
KR101670740B1 (ko) 2015-02-17 2016-10-31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치아 형상 및 교합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790A (ja) * 1999-10-21 2001-04-24 Medeia Kk 歯科用ワックス材料
KR20140099591A (ko) * 2013-02-04 2014-08-13 남관우 전악 보철 및 교합 조정을 위한 구내 묘기장치용 묘기 핀
WO2014202542A1 (de) * 2013-06-20 2014-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beisskraft
KR101670740B1 (ko) 2015-02-17 2016-10-31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치아 형상 및 교합면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KR20230072011A (ko) * 2021-11-17 2023-05-24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601716B1 (ko) * 2021-11-17 2023-11-15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7468B1 (en) Impression coping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JP6346903B2 (ja) インプラント内に弾性的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及び/又は、任意選択的な角度位置調整を可能にする、インプラント内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
RU2602678C2 (ru) Постоянный и гибкий протезный абатмент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гловой регулировки
KR101419519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US20070281279A1 (en) Custom impression transfer coping
KR101712788B1 (ko)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GR20200100312A (el) Συστημα αξονων σαρωσης και μεθοδος
KR101833170B1 (ko)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KR101994119B1 (ko)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KR102461917B1 (ko) 치아 보철물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US20180263739A1 (en) Dental modeling system and method with direct implant analog and thread retention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US11298214B2 (en) Overdenture holder device
EP3632368B1 (en) Post system for dental scanning
KR10165335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스캔바디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KR20110052272A (ko)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KR102325301B1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KR102314173B1 (ko) 치과용 인상 채득 장치
US9492256B1 (en) Reusable bite-recording kit for dental implants
KR102226751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