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011A -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 Google Patents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011A
KR20230072011A KR1020210158273A KR20210158273A KR20230072011A KR 20230072011 A KR20230072011 A KR 20230072011A KR 1020210158273 A KR1020210158273 A KR 1020210158273A KR 20210158273 A KR20210158273 A KR 20210158273A KR 20230072011 A KR20230072011 A KR 2023007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auxiliary
oral cavity
vertical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716B1 (ko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서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2021015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011A/ko
Priority to KR1020230088004A priority patent/KR2023010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치아의 상하 악간 수직적 거리를 측정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고, 치과 치료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접속되는 마커지주; 및 상기 마커지주에 결합되는 마커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본체는 절삭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치아의 상하 악간 수직적 거리를 측정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고, 치과 치료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관한 것이다.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
치아 수복물로는 손상되거나 상실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서 보철물 치료가 대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보철물은 대응되는 치아와 서로 교합상태를 확인하면서 제작이 이루어지고,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교합기가 사용된다.
예컨대 상기한 보철물 제작과정은 환자의 본뜨기 하여 구강 내부 구조를 복제하고 기공소에서 치과에서 본 뜬 것을 바탕으로 가모델인 왁스림을 제작한다.
왁스림은 구강 내의 치아의 수직고경(상하 악간 수직적 거리, VD, vertical dimension)을 측정하기 위하여 왁스로 제작한다. 이러한 왁스림은 치기공 공식(의치상 최후방의 기준점이 되는 구후융기(Retromolar Pad)의 위치관계를 계산하여 제작하는 등)에 따라 제작되는 것으로 단순히 구강 내부의 치아 높이를 왁스를 이용하여 재현할 뿐이고, 환자의 상,하악의 저작운동의 축이 되는 콘다일 헤드의 위치관계 및 수직 고경으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치과에서는 기공소에서 제작한 왁스림을 환자 구강의 상,하악에 삽입하고 환자로 하여금 입을 다물고 벌리는 저작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면서 환자의 악간 관계를 육안으로 측정하고, 악간 관계가 맞지 않는 경우 구강에서 왁스림을 빼내어 깎아가면서 환자의 상하악 악간 관계를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왁스림이 시술되는 임플란트와 직접 연결되는 고정식이 아니므로 안정적인 수직고경 재현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특히 왁스림은 환자의 현재 상태의 잇몸에 치아 수직고경만을 재현할 뿐이므로 상악과 하악 치아가 일부 또는 전부 결손된 무치악환자의 경우 더욱 어려운 실정에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1709호 "구강의 수직 고경 측정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193852호 "수직고경 측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고, 치과 치료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접속되는 마커지주; 및 상기 마커지주에 결합되는 마커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본체는 절삭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접속되는 마커지주; 상기 마커지주에 결합되는 마커본체; 및 상기 마커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커지주는 상부가 상기 마커본체에 결속되는 지주봉, 상기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지주봉의 외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 치구의 결속을 위해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구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커본체는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결속되는 마커몸체와, 상기 치구결속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마커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치구삽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커본체는 절삭 높낮이의 파악을 위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눈금을 구비하되, 상기 눈금은 신속한 절삭을 위해 요입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봉은 상기 마커본체의 체결을 위한 본체체결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커본체는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치구삽입홀의 내주면에 상기 본체체결나사부와의 체결을 위한 높낮이조절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마커부재는, 상기 치구삽입홀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마커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마커부재는, 상기 치구삽입홀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지지돌부, 상기 제1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보조마커몸체, 및 상기 제1 보조마커몸체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1 보조마커삽입홈이 구비된 제1 보조마커부재; 및 상기 제1 보조마커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지지돌부, 상기 제2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보조마커몸체, 및 상기 제2 보조마커몸체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2 보조마커삽입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제2 보조마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는 상기 보조마커부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돌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낮이조절와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의하면, 마커본체의 높낮이를 절삭 등의 방식으로 조절하여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치과에서 본뜨기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가모델인 왁스림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왁스림을 반복적으로 수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시술이 간단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술비용 또한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의하면, 수직고경 측정방식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와 직접 연결되는 고정식이므로 종래 왁스림을 이용하는 비고정식에 비해 수직고경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의하면, 마커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보조마커부재 또는 높낮이조절와셔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절삭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종래와 같이 치과에서 본뜨기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가모델인 왁스림을 제작할 필요 없이 수직고경을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도구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커지주(11)와 마커본체(12)로 구성되어 있다.
마커지주(1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픽스츄어(3)에 결속될 수 있다면 형상과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커지주(11)는 픽스츄어(3)에 결속될 수 있도록 지주봉(111), 스크류부(112) 및 치구결속부(113)를 구비한 나사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봉(111)은 상부가 마커본체(12)에 결속될 수 있도록 대략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부(112)는 픽스츄어(3)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지주봉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크류의 피치 간격이나 형상은 대응하는 픽스츄어(3)의 암나사부(32)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치구결속부(113)는 마커지주(11)의 회전을 위한 드라이버 등과 같은 치구(미도시)의 결속을 위해 지주봉(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속되는 치구의 형상에 맞게 일자형 드라이버홈, 열십자형 드라이버홈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커지주(11)는 픽스츄어(3)와 마찬가지로 고가의 티타늄, 세라믹소성체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영구적으로 식립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측정도구라는 점을 고려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커본체(12)는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절삭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마커본체(12)는 지주봉(111)의 상부에 결속되는 마커몸체(121)와, 상기한 치구결속부(113)와 연통되도록 마커몸체(1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치구삽입홀(122)을 구비한다.
그리고, 마커본체(12)는 치과용 그라인더, 컷터 등 다양한 절삭도구에 의해 쉽게 절삭될 수 있다면 목재 등 소재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1의 미설명부호 4는 치조골(3)를 덮고 있는 잇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절삭되기 전 상태를,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절삭 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악과 하악 치아가 일부 또는 전부 결손된 무치악 환자가 임플란트를 시술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치아의 수직고경(상하 악간 수직적 거리, VD, vertical dimension)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치조골(3)에 정해진 절차와 시술법에 따라 픽스츄어(3)를 식립한다.
이후 마커본체(12)가 결합된 마커지주(11)를 치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부(112)를 픽스츄어(3)의 암나사부(32)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속하게 되면 수직고경 측정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입을 다물고 벌리는 저작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면서 환자의 악간 관계를 육안으로 측정하고, 악간 관계가 맞지 않는 경우 측정마커(1)를 분리하고 치과용 그라인더와 같은 절삭도구를 이용하여 마커본체(12)를 절삭하면서 환자의 상하악 악간 관계를 조정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식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고경 측정방식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3)와 직접 연결되는 고정식이므로 종래 왁스림을 이용하는 비고정식에 비해 수직고경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이용할 경우 종래와 같이 치과에서 본뜨기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가모델인 왁스림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왁스림을 반복적으로 수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시술이 간단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술비용 또한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마커지주(11)와,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마커본체(12)를 구비하되, 마커본체(12)는 절삭 높낮이의 파악을 위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눈금(13)을 구비한다.
특히, 눈금(13)은 신속한 절삭을 위해 요입홈 구조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눈금(13)은 0.1mm, 0.2mm 간격 등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눈금과 접하여 숫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마커본체(12)에 눈금(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아의 수직 고경의 측정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눈금(13) 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한 요입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도구에 의한 절삭시에 희망하는 사이즈만큼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절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마커지주(11)와,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마커본체(12)를 구비하되, 마커본체(12)가 마커지주(11)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마커본체(12)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마커지주(11)는 지주봉(111)에 마커본체(12)의 체결을 위한 본체체결나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커본체(12)는 치구삽입홀(122)의 내주면에 본체체결나사부(115)와 체결되는 높낮이조절나사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마커본체(12)의 높낮이조절나사부(125)가 본체체결나사부(115)에 나사결합되어 이동 가능한 구조이므로 마커지주(11)상에서의 마커본체(12) 위치이동을 통해 마커본체(12)의 절삭 없이도 어느 정도의 수직고경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마커지주(11)와,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마커본체(12)를 구비하되, 마커본체(12)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15)가 더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마커부재(15)는 착탈 가능한 구조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 보조마커부재(15)는 치구삽입홀(122)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돌부(151)와, 지지돌부(151)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마커몸체(15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마커본체(12)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15)가 더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직고경이 커서 길이가 더 필요할 경우 간편하게 결속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마커지주(11)와,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마커본체(12) 및 마커본체(12)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15)를 구비하되, 보조마커부재(15)가 복수 개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마커부재(15)는 마커본체(12)의 상부에 결속되는 제1 보조마커부재(15a)와, 제1 보조마커부재(15a)의 상부에 결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제2 보조마커부재(15b)를 구비한다.
제1 보조마커부재(15a)는 치구삽입홀(122)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지지돌부(15a1), 제1 지지돌부(15a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보조마커몸체(15a2), 및 제1 보조마커몸체(15a2)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1 보조마커삽입홈(15a3)을 구비한다.
제2 보조마커부재(15b)는 제1 보조마커삽입홈(15a3)에 삽입되는 제2 지지돌부(15b1), 제2 지지돌부(15b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보조마커몸체(15b2), 및 제2 보조마커몸체(15b2)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2 보조마커삽입홈(15b3)을 구비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마커본체(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보조마커부재(15a,15b)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마커부재(15a,15b)의 설치 수량을 가감하는 방식으로 절삭 없이도 어느 정도의 수직고경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직고경 측정마커가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치조골(2)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접속되는 마커지주(11)와, 마커지주(11)에 결합되는 마커본체(12) 및 마커본체(12)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15)를 구비하되, 높낮이조절와셔(16)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와셔(16)는 중심에 관통공(162)이 천공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보조마커부재(15)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지지돌부(151)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높낮이조절와셔(16)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높이 조절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1')는 보조마커부재(15)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지지돌부(151)에 삽입되도록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높낮이조절와셔(1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높낮이조절와셔(16)의 설치 수량을 가감하는 방식으로 절삭 없이도 어느 정도의 수직고경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1':수직고경 측정마커
11:마커지주
111:지주봉
112:스크류부
113:치구결속부
12:마커본체
121:마커몸체
122:치구삽입홀
15:보조마커부재
15a:제1 보조마커부재
15b:제2 보조마커부재
151:지지돌부
152:보조마커몸체
16:높낮이조절와셔
2:치조골
3:픽스츄어

Claims (8)

  1.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접속되는 마커지주; 및
    상기 마커지주에 결합되는 마커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본체는 절삭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2.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접속되는 마커지주;
    상기 마커지주에 결합되는 마커본체; 및
    상기 마커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마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지주는 상부가 상기 마커본체에 결속되는 지주봉, 상기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지주봉의 외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 치구의 결속을 위해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구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본체는 상기 지주봉의 상부에 결속되는 마커몸체와, 상기 치구결속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마커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치구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본체는 절삭 높낮이의 파악을 위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눈금을 구비하되,
    상기 눈금은 신속한 절삭을 위해 요입홈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은 상기 마커본체의 체결을 위한 본체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커본체는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치구삽입홀의 내주면에 상기 본체체결나사부와의 체결을 위한 높낮이조절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커부재는,
    상기 치구삽입홀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마커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커부재는,
    상기 치구삽입홀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지지돌부, 상기 제1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보조마커몸체, 및 상기 제1 보조마커몸체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1 보조마커삽입홈이 구비된 제1 보조마커부재; 및
    상기 제1 보조마커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지지돌부, 상기 제2 지지돌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보조마커몸체, 및 상기 제2 보조마커몸체의 상부에 요입되는 제2 보조마커삽입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제2 보조마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커부재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돌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낮이조절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0210158273A 2021-11-17 2021-11-17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60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273A KR102601716B1 (ko) 2021-11-17 2021-11-17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0230088004A KR20230107192A (ko) 2021-11-17 2023-07-06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273A KR102601716B1 (ko) 2021-11-17 2021-11-17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004A Division KR20230107192A (ko) 2021-11-17 2023-07-06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011A true KR20230072011A (ko) 2023-05-24
KR102601716B1 KR102601716B1 (ko) 2023-11-15

Family

ID=86540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273A KR102601716B1 (ko) 2021-11-17 2021-11-17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0230088004A KR20230107192A (ko) 2021-11-17 2023-07-06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004A KR20230107192A (ko) 2021-11-17 2023-07-06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17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01B1 (ko) * 2011-08-17 2012-11-26 김용상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KR101712788B1 (ko) * 2017-01-09 2017-03-06 문민영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KR102131709B1 (ko) 2020-02-13 2020-07-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의 수직 고경 측정장치
KR102193852B1 (ko)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01B1 (ko) * 2011-08-17 2012-11-26 김용상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KR101712788B1 (ko) * 2017-01-09 2017-03-06 문민영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KR102193852B1 (ko)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수직고경 측정장치
KR102131709B1 (ko) 2020-02-13 2020-07-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의 수직 고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92A (ko) 2023-07-14
KR102601716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wis et al. The" UCLA" abutment.
Murray et al. The evolution of the complete denture base. Theories of complete denture retention—a review. Part 1
CA2196397C (en) Impression coping
KR100948074B1 (ko)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상기 부품세트를 이용하여 지대주가 포함된 복제 석고모델의 제작방법
US8403669B2 (en) Artificial tooth
US4158256A (en) Detachable fastener for a dental cap and prosthodontic method utilizing the same
Loos A fixed prosthodontic technique for mandibular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s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US20150173864A1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s
EP0886496A1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JP4088038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要素
RU2019140342A (ru) Выравн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ндартны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набор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выравн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такого набора
KR20200028219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Ercoli et al. Alternative procedure for making a metal suprastructure in a milled b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KR20230107192A (ko)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RU2425652C2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на имплантатах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RU2560777C1 (ru)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онного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с фиксацией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US3456347A (en) Dental restoration and dental tooth structures
Hegazy et al. Resilient versus rigid telescopic attachment for two implants assisted complete mandibular overdentures: invitro stress analysis study
Finger et al. Integral implant-prosthodontic considerations
JP3686777B2 (ja) 歯科磁性部材取付け器具
RU46175U1 (ru) Зубной параллелопрепаратор
Arbree et al. The use of an attachment system for overlay prosthe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