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501B1 -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501B1
KR101204501B1 KR1020110081727A KR20110081727A KR101204501B1 KR 101204501 B1 KR101204501 B1 KR 101204501B1 KR 1020110081727 A KR1020110081727 A KR 1020110081727A KR 20110081727 A KR20110081727 A KR 20110081727A KR 101204501 B1 KR101204501 B1 KR 10120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gum
height measuring
measuring mean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김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상 filed Critical 김용상
Priority to KR102011008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5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by non-invasive methods, e.g. for determining thickness of tissu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상부에 연결되고, 잇몸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잇몸높이측정수단; 및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상부에 연결되고,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치아높이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높이측정수단을 도입하여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각 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높이가 일정한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잇몸과 치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정블록들의 개수와 측정블록의 높이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H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높이측정수단을 도입하여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각 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높이가 일정한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잇몸과 치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정블록들의 개수와 측정블록의 높이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를 시술할 때에 치조골에 미리 드릴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인공치근(또는 픽스츄어)을 매식한 다음, 그 인공치근의 상단에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시술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인공치아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형태나, 사이즈, 높이 등을 측정하여 성형하게 되고,
특히 인공치아의 높이는 주변 치아와의 관계에서 보다 정밀하게 제작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구가 도입된바 없어 이를 위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높이측정수단을 도입하여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각 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높이가 일정한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잇몸과 치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정블록들의 개수와 측정블록의 높이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이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잇몸으로 삽입되는 측정블록에 의하여 잇몸이 손상되거나,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높이측정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는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상부에 연결되고, 잇몸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잇몸높이측정수단; 및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상부에 연결되고,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치아높이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 또는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 또는 이들 모두에는 다수의 측정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각 측정블록의 높이는 1 ~ 3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은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과 연결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하면부에 연결되는 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높이측정수단을 도입하여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각 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높이가 일정한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잇몸과 치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정블록들의 개수와 측정블록의 높이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높이를 계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이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잇몸으로 삽입되는 측정블록에 의하여 잇몸이 손상되거나,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각 높이측정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는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삽입부재(10); 상기 삽입부재(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잇몸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잇몸높이측정수단(20); 및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치아높이측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에서, 상기 삽입부재(10)는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잇몸과 치아의 높이측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각 높이측정수단(20)(30)은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재(10)는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과 연결되는 결합체(11)와, 상기 결합체(11)의 하면부에 연결되는 나선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재(10)의 나선부(13)는 잇몸에 매식된 인공치근에 형성되어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연결부에 체결되어 각 높이측정수단(20)(3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0)의 나선부(13)는 인공치근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 인공치아의 나선부(13)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각 높이측정수단(20)(30)에 의한 측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에서, 상기 각 높이측정수단(20)(30)은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상기 각 높이측정수단(20)(30)은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재(10)와 연결되는 잇몸높이측정수단(20)과,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상부에 연결되는 치아높이측정수단(3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높이측정수단(20)(30)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측정블록(21)(31)이 다수 구비되어 적층 배열되고, 상기 각 측정블록(21)(31)들은 이음부(23)(33)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각 측정블록(21)(31)의 높이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작되는데, 대략 1 ~ 3mm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잇몸과 치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정블록(21)(31)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각 측정블록(21)(31)의 개수를 측정하고, 각 측정블록(21)(31)의 높이를 계산하여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환자 고유의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은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블록(21)(31)은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측정블록(21)과,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30)의 측정블록(31)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측정블록(21)은 상기 삽입부재(10)와 함께 잇몸을 삽입되는데 반해,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31)은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측정블록(21)의 직경은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30)의 측정블록(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재(10)와 함께 잇몸으로 삽입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20)의 측정블록(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잇몸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 직경이 큰 경우에는 측정블록(21)이 잇몸에 삽입되면서 잇몸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높이측정수단의 각 측정블록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잇몸과 치아의 높이 측정 시, 각 환자들마다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높이를 측정을 위해 측정블록을 추가적으로 더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높이 측정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측정블록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몸체의 하면부에 연결되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기준이 되는 측정블록의 결합홈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측정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끼워지고, 기준이 되는 측정블록의 결합돌기는 하부에 배열되는 측정블록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측정블록을 환자에 따라서 어느 경우에는 측정블록을 추가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어느 경우에는 측정블록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측정블록이 탈부착이 가능 하게하는 경우 각 측정블록들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은 상기 삽입부재의 결합체 상면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측정블록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블록들을 이용하여 잇몸과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우선 상기 삽입부재를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시킨 후,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들을 잇몸 높이에 맞게 하나, 하나 적층하고,
다음으로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들을 치아의 높이에 맞게 하나, 하나 적층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삽입부재 11 : 결합체
13 : 나선부
20 : 잇몸높이측정수단 21 : 측정블록
23 : 이음부
30 : 치아높이측정수단 31 : 측정블록
33 : 이음부

Claims (4)

  1. 인공치근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상부에 연결되고, 잇몸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잇몸높이측정수단; 및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상부에 연결되고, 치아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치아높이측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 또는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 또는 이들 모두에는 다수의 측정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각 측정블록의 높이는 1 ~ 3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은 상기 치아높이측정수단의 측정블록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잇몸높이측정수단과 연결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하면부에 연결되는 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KR1020110081727A 2011-08-17 2011-08-17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KR10120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27A KR101204501B1 (ko) 2011-08-17 2011-08-17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27A KR101204501B1 (ko) 2011-08-17 2011-08-17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501B1 true KR101204501B1 (ko) 2012-11-26

Family

ID=4756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27A KR101204501B1 (ko) 2011-08-17 2011-08-17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5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CN112773530A (zh) * 2021-01-15 2021-05-11 昆明市延安医院 一种种植牙平衡参照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145086A (ko) * 2021-04-21 2022-10-28 김병식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KR20230072011A (ko) * 2021-11-17 2023-05-24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80A (ja) 1998-06-26 2000-01-18 Keii Sho 目盛付きリーマー・ファイル
KR100755940B1 (ko) 1999-11-10 2007-09-06 임플랜트 이노베이션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인상 채득에 사용하는 치유용 지대치
KR100811595B1 (ko) 2007-01-11 2008-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0995836B1 (ko) 2008-07-24 2010-11-23 박병활 임플란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80A (ja) 1998-06-26 2000-01-18 Keii Sho 目盛付きリーマー・ファイル
KR100755940B1 (ko) 1999-11-10 2007-09-06 임플랜트 이노베이션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인상 채득에 사용하는 치유용 지대치
KR100811595B1 (ko) 2007-01-11 2008-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0995836B1 (ko) 2008-07-24 2010-11-23 박병활 임플란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19B1 (ko)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임플란트용 교합측정기
CN112773530A (zh) * 2021-01-15 2021-05-11 昆明市延安医院 一种种植牙平衡参照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145086A (ko) * 2021-04-21 2022-10-28 김병식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KR102573927B1 (ko) 2021-04-21 2023-09-01 김태용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KR20230072011A (ko) * 2021-11-17 2023-05-24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KR102601716B1 (ko) 2021-11-17 2023-11-15 서정욱 구강의 수직고경 측정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01B1 (ko)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JP2016513481A (ja) 空所を伴うバイトフォーク
KR101478719B1 (ko)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KR20200077549A (ko)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4799959A (zh) 一种口腔种植数字化桥体修复基台及其种植方法
JP2015505503A (ja) 歯牙矯正ブラケット取付用ツール
KR100860762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0950022B1 (ko) 환자 맞춤형 지대주 제작을 위한 인텍스 지대주
KR20110058304A (ko)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ATE45930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ählen von zahnersatz
CN203988440U (zh) 植牙两用模具结构
US20130137057A1 (en) Carrier for dental impression compound
JP6333677B2 (ja) テンポラリシリンダおよびテンポラリアバットメントの製造方法並びにテンポラリシリンダの連結に用いられる連結用部材
CN213933100U (zh) 简易型牙科种植体包埋工装
CN206355175U (zh) 一种种植体周围牙龈高度测量尺
KR100995836B1 (ko) 임플란트 장치
JP4900629B1 (ja) 上下顎関係採得セット
KR102284036B1 (ko) 치과용 드릴 가이드 장치
KR101307767B1 (ko) 핸드피스 커넥터
CN204468325U (zh) 一种口腔水平颌位关系转移工具
CN210811691U (zh) 一种口腔种植测量标尺
KR20130049631A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장치
US20150327950A1 (en) Implant positioning device for an orthodontic brace
CN206120475U (zh) 用于疲劳和拉伸试验的口腔种植固定桥装置
JP5875916B2 (ja) 歯槽頂線ガイド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