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927B1 -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27B1
KR102573927B1 KR1020210051727A KR20210051727A KR102573927B1 KR 102573927 B1 KR102573927 B1 KR 102573927B1 KR 1020210051727 A KR1020210051727 A KR 1020210051727A KR 20210051727 A KR20210051727 A KR 20210051727A KR 102573927 B1 KR102573927 B1 KR 10257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measurement
center
sphere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86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김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용 filed Critical 김태용
Priority to KR102021005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식립된 픽스처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중앙선을 표시하는 중앙표시부와, 상기 바디의 전면에 상하로 다수 위치하며, 각각 색상 및 곡률이 다른 계측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Position measuring tool for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픽스쳐 식재 위치에 따른 어버트먼트 성형을 위한 위치 측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의 일태양으로서, 저작, 심미, 발음 등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인공 보철물이다. 임플란트는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외형과 기능을 가지며, 수명도 관리 상태에 따라 반영구적이어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크게 치조골에 심어져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픽스쳐(fixture, 인공치근), 인접치아와 조화를 이루도록 인공으로 만든 크라운을 씌어 치아외측 상부를 완성하는 보철물(crown) 및 픽스쳐와 보철물 사이를 연결하여 기둥역할을 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로 구성된다.
픽스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것으로, 골과 유착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티타늄 등의 금속을 스크루 형태로 가공 또는 성형하여 미리 치조골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면 치조골이 픽스쳐와 유착 및 빈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픽스쳐 상부에는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크루 구멍에는 수술과정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어버트먼트가 고정된다.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어버트먼트는 하단은 픽스쳐와 스크루에 의해 고정되며 상단에는 보철물이 씌워져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다.
통상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치조골에 픽스쳐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을 뚫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치아가 있던 위치의 중앙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 또는 치과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중앙이 아닌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픽스쳐 또한 정위치가 아닌 좌우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정형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픽스쳐는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부분 치조골에 매립되며 픽스쳐와 연결된 어버트먼트는 보철물과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치은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여야 심미성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의 선택 시 개인의 치은 높이에 대응하는 어버트먼트를 선택하게 된다. 한편 픽스쳐 식립 시 치조골에 곧게 수직으로, 즉 주변치아와 각도가 평행하게 식립되는 경우에는 픽스쳐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는 치은의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선택하면 치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심미성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구강 내 환경은 개인마다 다르고 개인의 치조골질이 좋지 않거나 치조골의 형태, 치은 상태에 따라 주변치아와 평행하지 못하고 측면에 치우쳐 식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픽스쳐가 비스듬히 각도를 형성하여 식립되기 때문에 픽스쳐에 연결된 어버트먼트 또한 각도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치은이 비교적 얇은 부위에서는 어버트먼트가 치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심미적으로 좋지 않고 추가 염증의 문제가 다수 발생한다.
또한, 발치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 부분에서 치조골의 일부가 상실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잇몸 또한 변형되기 때문에 정확한 치은선의 형태를 확인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성 어버트먼트는 보철물과의 결합선인 마진이 직선으로 획일화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픽스처의 식립위치에 따른 개인의 다양한 치은 형태 등을 반영하지 못하여 심미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인의 구강환경에 따른 픽스쳐 식립 후 본을 떠서 개인별로 개개의 어버트먼트와 이에 대응되는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제작에 소요되는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다수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 대기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완성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식립하는 과정에서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017285(201209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픽스쳐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실된 치아의 위치 중앙으로부터 픽스쳐의 좌우 편향정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쳐의 편향 정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현재 치은선의 형태를 확인하여, 크라운 제작시 크라운의 치은선 접촉부분의 형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는, 식립된 픽스처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중앙선을 표시하는 중앙표시부와, 상기 바디의 전면에 상하로 다수 위치하며, 각각 색상 및 곡률이 다른 계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도구는,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과 상기 중앙표시부의 위치가 일치하는 중앙측정구와,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이 상기 중앙표시부의 좌측을 지나는 좌편향측정구와,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이 상기 중앙표시부의 우측을 지나는 우편향측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계측선은, 상기 가상의 수직선이 지나는 점의 위치가 가장 낮은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좌편향측정구와 상기 우편향측정구는, 각각 다수로 마련되되, 각각의 결합부의 편향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앙의 기준선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형태의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측정함과 아울러 치은선의 형태를 확인하여, 크라운의 하부 형태를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의 효과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정확한 형태의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된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의 수정작업이나 다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색상이 표시된 계측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앙측정구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중앙측정구가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좌편향측정구의 결합상태 모식도이다.
도 5는 좌편향측정구가 결합되어 치은선이 빨강색 계측선에 일치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은 우편향측정구의 픽스쳐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100)는, 중앙측정구(110), 좌편향측정구(120) 및 우편향측정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편향측정구(120)와 우편향측정구(130)에 대해 각각 하나의 예만을 들어 도시하였으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편향 정도 측정을 위하여 편향 정도에 차이가 있는 다수의 좌편향측정구와 우편향측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편향'에 대한 여러 의미가 기재될 수 있다.
식립된 픽스쳐의 편향은 하나의 치아가 유실된 영역의 중앙과 픽스쳐의 중앙이 일치하지 않음을 뜻하며,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100)의 편향은 중앙을 표시하는 점을 수직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분과 픽스쳐 결합부분이 일치하지 않음을 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중앙측정구(110)는, 바디(111)와, 바디(111)의 하단에 위치하여 픽스쳐(도면 미도시)에 결합되는 결합부(112)를 포함하되, 결합부(112)의 중앙과 바디(111)의 중앙을 수직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C1)이 서로 일치한다.
상기 바디(111)의 전면 중앙 상단에는 중앙표시부(113)가 위치한다. 중앙표시부(113)는 역삼각형 음각 구조이며, 하향의 꼭짓점이 바디(111)의 중앙을 나타낸다.
또한, 중앙측정구(110)의 바디(111) 전면에는 다수의 계측선(114)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측정구(110) 바디(111)의 계측선은 중앙이 낮고, 양단이 높은 2차 함수 그래프의 형태인 것으로 한다.
또한, 계측선(114)은 위로 갈수록 중앙의 높이차와 양단의 높이차가 감소하는 구조로 한다. 즉 위쪽에 있는 계측선(114) 일수록 곡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계측선(114)들 각각은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색상이 도포, 코팅 또는 인쇄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픽스쳐에 중앙측정구(110)를 결합했을 때, 잇몸의 치은선과 일치하는 색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의 식립 깊이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환자의 치은선 상태와 가장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계측선(114)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좌편향측정구(120)와 우편향측정구(130) 또한 각각 바디(121, 131), 결합부(122, 132), 중앙표시부(123, 133) 및 계측선(124, 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좌편향측정구(120)와 우편향측정구(130) 각각의 결합부(122,132)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C2, C3)은 중앙표시부(123, 133)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다.
좌편향측정구(120)의 가상의 수직선(C2)은 중앙표시부(123)의 왼쪽편에 위치하며, 바디(121)는 수직선(C2)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편향된 구조가 된다.
반대로 우편향측정구(130)의 가상의 수직선(C3)은 중앙표시부(133)의 오른쪽편에 위치하며, 바디(131)는 수직선(C3)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편향된 구조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좌편향측정구(120)와 우편향측정구(130)를 이용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편향 방향 및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색상이 표시된 계측선(114)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앙측정구(110)의 예시도이다.
잇몸의 치은선과 빨강색 계측선(114)이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높이를 알 수 있으며,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빨강색 계측선(114)이 잇몸 밖으로 돌출된 높이를 확인하여 빨강색으로부터 1mm 또는 2mm 아래 등 픽스쳐의 식립 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치은선의 형태를 각기 곡률이 다른 계측선(114)과 비교하여 치은선에 부합하는 곡률의 계측선(114)을 기록함으로써, 이후 정확한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의 제작에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제작해둔 상태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 깊이, 치은선의 형태에 부합하는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선택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 식립 위치, 깊이, 치은선의 형태에 부합하는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주문 제작할 때 정확한 규격의 주문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함께 다양한 경우에 부합하는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각각 대량 생산하고 규격에 부합하는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선택하여 즉시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생산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와 주문 제작기간 동안 환자가 기다려야 하는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상기 중앙측정구(110)가 픽스쳐(200)에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계측선(114)을 다수로 포함하는 다른 이유로, 주변의 치아들의 높이를 가늠하여 전체적인 임플란트의 높이를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치은선은 빨강색 계측선(114)에 일치하며, 주변 치아의 높이는 검정색 계측선(114)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차이를 통해 임플란트의 높이를 가늠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중앙측정구(110)는 하나의 상실된 치아가 있던 영역의 잇몸 중앙에 픽스쳐가 식립되었을 때 사용하는 것이며, 이 중앙에 대하여 통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픽스쳐가 식립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픽스쳐(200)가 편향된 경우에는 그 편향된 방향 및 정도의 확인이 필요하다.
만약 편향을 고려하지 않고,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제작하면 픽스쳐(200)의 식립 위치 편향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다른 치아에 간섭되어 크라운의 설치가 어렵게 되며, 차이가 심한 경우 크라운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픽스쳐(200)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픽스쳐(200)에 중앙측정구(110)를 먼저 결합하여 상태를 확인하여, 픽스쳐(200)가 좌편향 또는 우편향 되었는지, 아니면 정상적으로 중앙에 식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픽스쳐(200)가 좌편향된 것으로 판단되면, 좌편향측정구(120)를 픽스쳐에 결합한다.
도 4는 좌편향측정구(120)의 결합상태 모식도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좌편향측정구(120)는, 바디(121), 결합부(122), 중앙표시부(123), 계측선(124)을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122)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C2)은 중앙표시부(123)의 좌측편을 지나게 된다.
도면에서는 과도하게 좌측으로 편향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보다 정밀한 좌편향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향정도가 다른 좌편향측정구(120)들을 준비한다.
예를 들어 역삼각형인 중앙표시부(123)의 하향 꼭짓점의 위치와 결합부(122)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C2)의 간격이 0.5mm 단위로 0.5mm에서 3mm까지 편향된 5개의 좌편향측정구(120)를 미리 제작하여 각각을 이용하여 정확한 좌편향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좌편향측정구(120)의 바디(121) 전면에 상하로 다수 형성된 계측선(124)은 상기 가상의 수직선(C2)이 지나는 점의 위치가 가장 낮은 2차 함수의 그래프 형태(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좌편향측정구(120)의 계측선(124)의 우측 끝단의 높이가 가장 높게 된다.
이처럼 계측선(124)의 비대칭적인 형상은 픽스쳐(200)의 식립 위치에서 치은선의 비대칭성을 고려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계측선(124)들의 곡률에 차등을 두어 현재 환자의 잇몸 상태에 부합하는 치은선의 형상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5는 좌편향측정구(120)가 결합되어 치은선이 빨강색 계측선(124)에 일치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좌편향측정구(120)의 계측선(124) 역시 다수로 마련되며, 각각 곡률과 색상에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중앙측정구(110)와 유사하게 픽스쳐(200)의 식립 깊이와 치은선의 곡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변의 다른 치아의 높이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치은선은 기울기가 약 6도 정도이다.
도 6은 우편향측정구(130)의 픽스쳐(200) 결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1을 참조하면, 우편향측정구(130)는 바디(131), 결합부(132), 중앙표시부(133) 및 다수의 계측선(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계측선(134)은 좌편향측정구(120)의 계측선(124)과는 반대의 형상으로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즉, 좌측 끝단의 높이가 더 높은 하향 포물선 형태가 된다. 이는 중앙측정구(110)의 포물선 형태 계측선(114)이 우측으로 이동한 형태가 된다.
계측선(134)의 가장 낮은 점은 결합부(132)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이 지나는 위치가 된다.
다수의 계측선(134)은 색상과 곡률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하여, 치은선의 형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픽스쳐(200)의 식립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잇몸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어 픽스쳐의 좌 또는 우 편향정도, 식립 깊이, 치은선의 형태 및 주변 치아들의 높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후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의 제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리 제조된 다양한 규격의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료실에서 단시간 내에 저비용으로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중앙측정구 111,121,131:바디
112,122,132:결합부 113,123,133:중앙표시부
114,124,134:계측선 120:좌편향측정구
130:우편향측정구 200:픽스쳐

Claims (4)

  1.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의 중앙선을 표시하는 중앙표시부;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상하로 다수 위치하며, 치은선의 형태 및 상기 픽스쳐의 식립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색상 및 곡률이 다른 계측선을 포함하는 측정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도구는,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과 상기 중앙표시부의 위치가 일치하는 중앙측정구;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이 상기 중앙표시부의 좌측을 지나는 좌편향측정구;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이 상기 중앙표시부의 우측을 지나는 우편향측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선은,
    상기 가상의 수직선이 지나는 점의 위치가 가장 낮은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도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편향측정구와 상기 우편향측정구는,
    각각 다수로 마련되되, 각각의 결합부의 편향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도구.
KR1020210051727A 2021-04-21 2021-04-21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KR10257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27A KR102573927B1 (ko) 2021-04-21 2021-04-21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27A KR102573927B1 (ko) 2021-04-21 2021-04-21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86A KR20220145086A (ko) 2022-10-28
KR102573927B1 true KR102573927B1 (ko) 2023-09-01

Family

ID=8383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27A KR102573927B1 (ko) 2021-04-21 2021-04-21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01B1 (ko) 2011-08-17 2012-11-26 김용상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WO2017029670A1 (en) 2015-08-17 2017-02-23 Optical Metrology Ltd. Intra-oral mapping of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mouth cavities
CN210144791U (zh) 2019-04-25 2020-03-17 四川大学 一种牙种植垂直修复距离测量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01B1 (ko) 2011-08-17 2012-11-26 김용상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WO2017029670A1 (en) 2015-08-17 2017-02-23 Optical Metrology Ltd. Intra-oral mapping of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mouth cavities
CN210144791U (zh) 2019-04-25 2020-03-17 四川大学 一种牙种植垂直修复距离测量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86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EP1229853B1 (en) Healing components for use in taking impressions
US20010021498A1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s and methods of preparing or selecting the same
AU713845B2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US20210236244A1 (en) Scan posts system and method
CN104254299A (zh) 用于支承牙齿修复体的牙桩及其制造方法
KR10170790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ES2607232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 estribo
WO2010088754A1 (en) Connector for mounting an asymmetric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CN112274284A (zh) 一种用于口腔修复的临时牙及其制备方法
US20230248483A1 (en) Scan posts system and method
US20210113312A1 (en) Equipment for Treatment of a Person
KR20200064962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102573927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위치 측정도구
KR20200014645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JP4157129B2 (ja) カストマイズされた歯科用橋脚歯
US20140315152A1 (en) Customised dental abutment formed of two customised parts
CN110573112B (zh) 牙修补方法
CN212996827U (zh) 一种预留安装位的义齿桥
KR102573106B1 (ko) 분할형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CN218515822U (zh) 一种用于种植牙咬合记录的记录基台
CN217660222U (zh) 基台冠桥
CN116807506B (zh) 基于cbct数据学习的牙齿颈部形态识别及重塑系统
CN210644208U (zh) 一种种植牙角度指示机构
KR20220095638A (ko)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