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762B1 -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762B1
KR100860762B1 KR1020070051251A KR20070051251A KR100860762B1 KR 100860762 B1 KR100860762 B1 KR 100860762B1 KR 1020070051251 A KR1020070051251 A KR 1020070051251A KR 20070051251 A KR20070051251 A KR 20070051251A KR 100860762 B1 KR100860762 B1 KR 10086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measuring
tooth
interval
placem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한
Original Assignee
윤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한 filed Critical 윤인한
Priority to KR102007005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금이 그려진 손잡이의 양단부에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는 각각 상기 손잡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내부 간격 측정대와,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로부터 이격되고 내부간격 측정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외부간격 측정대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치아 다음에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임플란트 다음에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모두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로 이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신속하게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잡을 수 있고, 다양한 상태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어 시술자에게는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환자에게는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기

Description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Guiding instrument for an implant placement}
도 1 -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 측정부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 측정부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이하, '식립위치 유도기'라 함)
110: 손잡이 111: 눈금
120: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 측정부 121: 내부간격 측정대
122: 외부간격 측정대 130: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 측정부
131: 내부간격 측정대 132: 외부간격 측정대
140: 오목홈
A: 드릴 B: 평행핀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실된 치아에 가이드 드릴을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자 할 때 상기 홀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잇몸의 하방 치조골(齒槽骨)에 식립(植立)하여 자신의 치아와 같은 감각이나 씹는 기능을 가능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인공치아를 통칭(通稱)하는 것으로, 이러한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릴을 구비한 전동기구를 사용하여 치근의 소정위치에 홀(hall)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홀에는 임플란트의 뿌리 역할을 하는 나사형태의 픽스추어를 체결하게 된다. 다음 상기 체결된 픽스추어에는 인공치아를 고정함으로써 임프란트의 시술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 식립위치 유도기를 이용해 픽 스츄어 설치용 홀을 형성하고 다시 식립위치 유도기를 사용하여 다음 픽스추어 설치용 홀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각도를 파악한 다음 임플란트와 맞물리게 될 치아와의 방향 및 거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립위치 유도기는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만 측정할 수 있는 구조여서 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측정은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고, 또한 식립위치 유도기의 높이가 잇몸의 상단으로 부터 높은 곳에 형성되므로 대략적인 눈대중으로 식립 위치를 잡야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치근의 소정위치에 픽스추어 설치용 홀(hall)을 드릴날로 천공하기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또한 일단 홀을 형성한 이후에 다음 홀의 정확한 위치 또한 측정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여서 부실한 임플란트의 시술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는 치아 다음에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와, 또한 임플란트 다음에 다시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에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에 치아 다음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위치와 임플란트 다음에 식립될 다른 임플란트의 위치에 맞춰 미리 폭을 결정해둔 내부 간격 측정대와 외부간격 측정대에 의해 시술자가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환자에게는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플란 트 식립위치 유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눈금(111)이 그려진 손잡이(110)의 양단부에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20)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30)를 형성하되,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20)는 상기 손잡이(110)으로 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3mm 폭의 내부 간격 측정대(121)와,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21)로 부터 4mm 이격되고 역시 일측으로 돌출된 5mm 폭의 외부간격 측정대(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20)의 내부 간격 측정대(121)가 3mm 폭을 갖는 이유는 치아 다음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는 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이 4mm정도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내부 간격 측정대(121)가 3mm 폭을 갖게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설치를 위한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드릴(A)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드릴의 드릴날 직경이 대개 2mm정도이기 때문이다.즉 다시 말해 치아의 끝단으로 부터 임플란트의 중앙까지의 간격은 4mm가 되어야 하므로 임플란트의 중앙에 해당하는 드릴날의 중심까지를 감안하여 1mm 부족하게 내부 간격 측정대(121)의 폭을 3mm로 결정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치아 다음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는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100)의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20)를 사용하되,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20)의 내부 간격 측정대(121) 안쪽을 도 3과 같이 치아의 끝단부에 밀착시키고 내부 간격 측정대(121)의 바깥쪽에 드릴날을 밀착시켜 구멍을 뚫기만 하면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21)로 부터 바깥쪽으로 4mm 이격된 외부간격 측정대(122)는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5mm 폭을 갖는 것이어서 결국 내부간격 측정대(121)의 안쪽 단부로 부터 외부간격 측정대(122)의 바깥쪽 단부 까지는 모두 12mm의 폭이 된다.
이는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의 임플란트 식립위치가 최대 11mm가 되어야 하므로 역시 드릴날의 직경을 감안하면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의 정확한 임플란트의 식립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임플란트와 다음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30)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상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30)의 구조는 내부간격 측정대(131)와 외부간격 측정대(1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의 폭은 6mm이다. 또 외부간격 측정대(132)의 폭은 4mm이고,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와 외부간격 측정대(132) 사이의 간격은 6mm이다.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는 호(弧)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의 안쪽 중앙에는 평행핀 걸이홈(131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내부간격 측정대(131)를 호(弧)형상으로 만든 이유는 치아, 즉 임플란트의 시술방향을 감안하여 평행핀(B)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평행핀 걸이홈(131a)은 평행핀(B)에 쉽게 걸리도록 하고, 또 평행 핀(B)를 중심으로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100)가 회전하더라도 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의 폭을 6mm로 한 이유는 소구치의 경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이 최소 7mm이상이 되어야 하나, 이 역시 평행핀 설치용 홈을 뚫어야 하는 드릴날의 중심까지를 거리를 감안하여야 함으로 6mm가 된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다음에 다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는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100)의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30)를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130)의 내부 간격 측정대(131) 안쪽을 도 4과 같이 평행핀(B)에 내부간격 측정대(131)의 안쪽 끝단부에 밀착시키고 내부 간격 측정대(131)의 바깥쪽에는 드릴날을 밀착시켜 구멍을 뚫기만 하면 정확한 다음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131)로 부터 바깥쪽으로 6mm 이격된 외부간격 측정대(132)는 브릿지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3개 위치에 2개만 식립할 경우 필요한 구성으로, 4mm의 폭을 갖는다. 결국 내부간격 측정대(131)의 안쪽 단부로 부터 외부간격 측정대(132)의 바깥쪽 단부 까지는 모두 16mm의 폭이 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치과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치아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은 최소 2mm이고,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은 최소 3mm여서 상기 간격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정도에서의 폭 차이는 인정 되어져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또 본 발명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100)의 각 외부간격 측정대(122,132)의 외측으로 각각 오목홈(140)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오목 홈(140)의 기능은 내부간격 측정대(121,131)로 부터 외부간격 측정대(122,132) 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측정할 때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오목홈(140)의 깊이는 2mm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치아 다음에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임플란트 다음에 설치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모두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로 이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신속하게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잡을 수 있고, 다양한 상태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어 시술자에게는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환자에게는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눈금이 그려진 손잡이의 양단부에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는 각각 상기 손잡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내부 간격 측정대와,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로부터 이격되고 내부간격 측정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외부간격 측정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는 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간격 측정대의 안쪽 중앙에는 평행핀 걸이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의 내부간격 측정대의 폭은 3mm이고, 외부간격 측정대의 폭은 5mm이며, 내부간격 측정대와 외부간격 측정대의 사이는 4mm이고, 상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간격측정부의 내부간격 측정대의 폭은 6mm이고, 외부간격 측정대의 폭은 4mm이며, 내부간격 측정대와 외부간격 측정대 사이는 6mm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부간격 측정대의 외측에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20070051251A 2007-05-28 2007-05-28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086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51A KR100860762B1 (ko) 2007-05-28 2007-05-28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51A KR100860762B1 (ko) 2007-05-28 2007-05-28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762B1 true KR100860762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251A KR100860762B1 (ko) 2007-05-28 2007-05-28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7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885B1 (ko) 2010-10-15 2013-08-06 인-차오 야오 다중좌표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위치결정장치
KR101373063B1 (ko) * 2012-05-14 2014-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
CN107647928A (zh) * 2017-10-16 2018-02-02 苏州高新区牙博士口腔诊所有限公司 一种种植手术导板定位器
US20180110584A1 (en) * 2015-03-19 2018-04-26 Drs. Bettens-De Pooter BVBA Surgical Guiding Tool, Method and Ki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JP2019097968A (ja) * 2017-12-05 2019-06-24 医療法人社団清友会 インプラント用測定器具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KR20210145533A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550A (ja) * 1995-01-24 1996-08-06 Kazuo Sano インプラント用骨幅測定器
KR200350523Y1 (ko) 2004-02-13 2004-05-17 학교법인단국대학 구강기관 측정스케일
KR100591081B1 (ko) 2004-04-22 2006-06-1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20070021907A (ko) * 2005-08-19 2007-02-23 정유진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550A (ja) * 1995-01-24 1996-08-06 Kazuo Sano インプラント用骨幅測定器
KR200350523Y1 (ko) 2004-02-13 2004-05-17 학교법인단국대학 구강기관 측정스케일
KR100591081B1 (ko) 2004-04-22 2006-06-1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20070021907A (ko) * 2005-08-19 2007-02-23 정유진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885B1 (ko) 2010-10-15 2013-08-06 인-차오 야오 다중좌표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위치결정장치
KR101373063B1 (ko) * 2012-05-14 2014-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
US20180110584A1 (en) * 2015-03-19 2018-04-26 Drs. Bettens-De Pooter BVBA Surgical Guiding Tool, Method and Ki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US10390905B2 (en) * 2015-03-19 2019-08-27 Drs. Bettens-De Pooter BVBA Surgical guiding tool, method and ki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CN107647928A (zh) * 2017-10-16 2018-02-02 苏州高新区牙博士口腔诊所有限公司 一种种植手术导板定位器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11672634B2 (en) * 2017-11-02 2023-06-13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JP2019097968A (ja) * 2017-12-05 2019-06-24 医療法人社団清友会 インプラント用測定器具
KR20210145533A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762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US6062856A (en) Dental implant hole guide extension
US84343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uide post used in forming a template for locating a dental implant hole
US7845943B2 (en)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emplate for locating a dental implant and components relating thereto
EP3415112B1 (en) Method for the virtual development of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TWI603719B (zh) Guide the rule
EP0787468A2 (en) Impression coping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CN107518955B (zh) 一种具有牙槽嵴骨形貌测量功能的口腔种植定位器
KR100611946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312787B1 (ko) 임플란트용 드릴 인디케이터
ES2423032T3 (es) Pasador de fijación
KR10137506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KR100811595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0591081B1 (ko)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20210106751A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US20070298373A1 (en) Implantological spacing device and implantological guide instrument for an implantological spacing device
KR100879777B1 (ko) 플랩리스술식 혹은 미니플랩술식을 위한 임플란트
WO2012123932A1 (en) Dental drill guide
JP6357014B2 (ja) 測定治具
JP6391051B2 (ja) 医療用器具の作業長さ設定・計測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