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533A -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533A
KR20210145533A KR1020200062546A KR20200062546A KR20210145533A KR 20210145533 A KR20210145533 A KR 20210145533A KR 1020200062546 A KR1020200062546 A KR 1020200062546A KR 20200062546 A KR20200062546 A KR 20200062546A KR 20210145533 A KR20210145533 A KR 2021014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lacement
placement guide
handle
implant
gu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302B1 (ko
Inventor
정철웅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보텍
Priority to KR102020006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3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잇몸의 치조골에 식립 할 때에 그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유도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구강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손잡이의 선단에 사람의 상·하부잇몸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에는 협측이 개방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Placement Position Guide Apparatus of Dental Clinic Implant}
본 발명은 상실(喪失)된 치아를 수복(修復)하기 위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잇몸의 치조골(齒槽骨)에 식립(植立) 할 때에 그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잇몸의 하방 치조골에 식립하여 자신의 자연 치아와 준하는 감각이나 씹는 기능을 가능하게 보조하기 위한 인공치아를 통칭하는 것이다.
상기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릴을 구비한 전동기구를 사용하여 치근의 소정위치에 삽입공을 천공하고, 그 천공된 삽입공에 픽스츄어(Fixture)를 체결하며, 체결된 픽스츄어의 상부에는 인공치아를 고정 시키는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시술한다.
임플란트 시술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상실된 치아의 위치와 간격을 측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는 것으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잘못 결정할 경우 자연 치아와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환자의 잇몸이 압박되거나 또는 구강 내 불쾌한 이물감(異物感)을 느끼게 되는 폐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환자의 구강구조를 촬영하여 상실된 치아의 정확한 위치와 간격을 측정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 하는 시술방법을 시행되고 있으나, 이는 촬영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불규칙한 구강구조를 촬영하여 측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드릴 날이 삽입될 수 있는 드릴유도공(11)이 천공된 다수개의 원통체(10,10a)와, 상기 다수개의 원통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대(20)와, 상기 연결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시술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가 형성된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1)를 사용하여 임프란트의 식립 위치를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는, 상실된 치아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원통체(10)의 크기와 간격을 달리하는 수많은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구(1)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는 사용되지도 않을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들을 미리 다수 개 제작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을 갖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구들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상실된 치아의 간격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구를 하나하나 치아 사이에 맞춰봐야 하는 것이어서 시술자에게는 불편과 번거로움, 환자에게는 피로감을 가중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시술과정이 복잡해져 이로인해 시술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구가 있으며, 이의 구성은, 손잡이(120)를 구비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측정판(110)과, 상기 측정판(110)에 드릴 날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드릴유도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드릴유도공(111)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되도록 되어있다.
상기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구도 역시도 사람마다 각기 다른 구강 및 치열구조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번호 제10-2005-0102367(2005.10.26.) 한국등록특허 제10-0860762(2008.09.23.) 한국등록특허 제10-1525165(2015.05.27.)
본 발명은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임플란트를 잇몸의 치조골에 식립할 때에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자연 치아와 간섭 발생을 방지하고, 구강 내 불쾌한 이물감을 해소함은 물론,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함으로 인한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구강 및 치열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구강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손잡이(210)의 선단에 사람의 상·하악 치열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은 협측이 개방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양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치열라인 전체와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사람의 치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식립부(231)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폭(W)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중앙부에는, 고정핀(P)이 식립되는 고정 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에는 상·하부잇몸의 최전방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250)가 형성된다.
또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양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앞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사람의 앞니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식립부(231)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폭(W)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중앙부에는, 고정핀(P)이 식립되는 고정 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에는 상·하부잇몸의 최전방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2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일 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좌우 양측 어금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도록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2 - 3개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일 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좌우 양측 어금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도록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4 - 5개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손잡이(210)의 어느 일 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적용부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글, 영문, 기호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고,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3 ∼ 5mm의 두께와, 손잡이(210)에 상·하악의 정 중앙선을 확인할 수 있는 "╂"자 형의 표시부(2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자연 치아와 간섭 발생을 방지하고, 구강 내 불쾌한 이물감을 해소함은 물론,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함으로 인한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구강 및 치열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제1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제3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치아의 배열상태에 따른 치아 명을 설명하는 개략도.
본 발명은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 할 때에 그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손잡이(210)의 선단에 사람의 상·하악 치열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협측(혀 → 볼)이 개방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형성시킴으로써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고자 임플란트를 상·하부잇몸의 치조골에 식립할 때에 손잡이(210)를 손으로 잡고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을 상기 상실된 치아의 해당부위 잇몸에 위치시킨 후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을 이용하여 식립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되면 임플란트가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 되므로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자연 치아와 간섭 발생을 방지하고, 구강 내 불쾌한 이물감을 해소함은 물론,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함으로 인한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구강 및 치열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 예별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의 제1실시 예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자연 치아가 모두 없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손잡이(210)의 선단 양측으로 상·하부잇몸과 부합하는 형상의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 최 내측에는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다.
상기의 임플란트식립부(231)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폭(W)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임플란트가 해당 부위의 잇몸 중앙부에 식립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0)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을 상·하부잇몸의 해당 부위(치아 상실부위)에 위치시켰을 때 구강 외부 즉 입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켜 손잡이(210)를 잡고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를 자유롭게 콘트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결정할 때에는 손잡이(210)를 손으로 잡고 상기 양측의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를 해당 상부 또는 하부잇몸의 치아 상실부위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210)의 선단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240)에 고정핀(P)을 식립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양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분기점인 손잡이(210)의 선단과 최 중앙부에 위치하는 앞니 부분과의 중심 조정은 표시부(250)를 이용하여 조정하면 되는데, 상기 표시부(25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자 형으로 함이 좋고, 그 외에도 최 중앙부에 위치하는 앞니 부분과의 중심 조정을 할 수 있는 표시부(250)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제1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가 조정되면 상기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에 드릴링 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의 제2실시 예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앞니부터 송곳니까지 적용시키는 것으로, 그 사용방법은, 상기 제1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와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한다.
또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의 제3실시 예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유도구는, 어금니가 연이어서 2 - 3개 이상 없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10)를 손으로 잡고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을 해당 어금니가 위치하는 상부 또는 하부잇몸에 위치시킨 후 상기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의 내측 임플란트식립부(231)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의 제4실시 예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작은 어금니부터 큰어금니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10)를 손으로 잡고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을 해당 어금니가 위치하는 상부 또는 하부잇몸에 위치시킨 후 상기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의 내측 임플란트식립부(231)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는 앞니라 함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의상 안쪽 앞니, 가쪽 앞니, 송곳니를 포함하여 설명한 것이고, 어금니라 함은, 첫째작은어금니, 둘째 작은어금니, 첫째큰어금니, 둘째큰어금니, 셋째큰어금니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3 ∼ 5mm의 두께와, 손잡이(210)에 상·하악의 정 중앙선을 확인할 수 있는 "╂"자 형의 표시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가공하여 형성시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자연 치아와 간섭 발생을 방지하고, 구강 내 불쾌한 이물감을 해소함은 물론, 임플란트 시술의 간편함으로 인한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구강 및 치열구조에 부합하는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10 : 손잡이 220 : 임플란트 식립유도편
230 : 임플란트 식립유도홀 231 : 임플란트식립부
240 : 고정 홀 250 : 표시부
260 : 홈 W : 유도 편 폭
P : 고정핀

Claims (8)

  1. 구강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손잡이(210)의 선단에 사람의 상·하악 치열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은 협측이 개방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양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치열라인 전체와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사람의 치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식립부(231)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폭(W)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중앙부에는, 고정핀(P)이 식립되는 고정 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에는 상·하부잇몸의 최전방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양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앞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는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 자형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사람의 앞니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식립부(231)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의 폭(W)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중앙부에는, 고정핀(P)이 식립되는 고정 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0)에는 상·하부잇몸의 최전방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일 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좌우 양측 어금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도록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2 - 3개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 일 측에는, 사람의 상·하악 좌우 양측 어금니 치열 라인과 부합하는 호형 라인을 갖도록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그 임플란트식립유도편(220)에는 최 내측으로 임플란트식립부(231)가 형성된 4 - 5개의 임플란트식립유도홀(230)이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는, 3 ∼ 5mm의 두께와, 손잡이(210)에 상·하악의 정 중앙선을 확인할 수 있는 "╂"자 형의 표시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1020200062546A 2020-05-25 2020-05-25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10239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46A KR102396302B1 (ko) 2020-05-25 2020-05-25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46A KR102396302B1 (ko) 2020-05-25 2020-05-25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533A true KR20210145533A (ko) 2021-12-02
KR102396302B1 KR102396302B1 (ko) 2022-05-10

Family

ID=7886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546A KR102396302B1 (ko) 2020-05-25 2020-05-25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3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3085B1 (en) * 2001-02-20 2002-07-02 Panadent Corporation System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eeth
KR20050102367A (ko) 2004-04-22 2005-10-2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100860762B1 (ko) 2007-05-28 2008-09-29 윤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1360953B1 (ko) * 2013-01-30 2014-02-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천공 가이드장치
KR101525165B1 (ko) 2014-03-06 2015-06-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기구
KR101763763B1 (ko) * 2015-09-14 2017-08-01 임익준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2067614B1 (ko)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수술을 계획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3085B1 (en) * 2001-02-20 2002-07-02 Panadent Corporation System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eeth
KR20050102367A (ko) 2004-04-22 2005-10-2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100860762B1 (ko) 2007-05-28 2008-09-29 윤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KR101360953B1 (ko) * 2013-01-30 2014-02-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천공 가이드장치
KR101525165B1 (ko) 2014-03-06 2015-06-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기구
KR101763763B1 (ko) * 2015-09-14 2017-08-01 임익준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2067614B1 (ko)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수술을 계획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s. Arun Garg, Gregori M. Kurtzman, and Niloufar Rezakhani. "A Guidance System for the Partially Edentulous Arch", DENTISTRY TODAY, PAGE 2-11, fig 1-12.(https://www.dentistrytoday.co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302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870B2 (en)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attaching dentures
EP0700274B1 (en) Adjustable guiding device for positioning dental implants, implantation system comprising it
US7429175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6062856A (en) Dental implant hole guide extension
KR102608567B1 (ko) 인공치아이식 드릴-가이드 생성방법
WO2008057955A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20050282106A1 (en) Hole guide for mini and standard dental implants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60081765A1 (en) A precision sur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EP1900338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KR20190041668A (ko)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KR100611946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239630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100726481B1 (ko)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KR100591081B1 (ko)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US11826212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4036B1 (ko) 치과용 드릴 가이드 장치
KR10255587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게이지
JP5252982B2 (ja) サージカルガイド、及びこれを使用したドリルの位置決め方法
KR10247777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게이지
CN219963113U (zh) 牙钻导向器
CN212679318U (zh) 穿颧种植体探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