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63B1 -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63B1
KR101763763B1 KR1020150129507A KR20150129507A KR101763763B1 KR 101763763 B1 KR101763763 B1 KR 101763763B1 KR 1020150129507 A KR1020150129507 A KR 1020150129507A KR 20150129507 A KR20150129507 A KR 20150129507A KR 101763763 B1 KR101763763 B1 KR 10176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enter hole
center
drill bit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921A (ko
Inventor
임익준
Original Assignee
임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익준 filed Critical 임익준
Priority to KR102015012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 천공을 위한 위치를 정하는 가이드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식립될 임플란트 치아의 폭경, 높이와 같거나 작은 폭경, 높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Apparatus for guiding implant position}
본 발명은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정확하게 드릴 천공되도록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implant)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전용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을 소정 깊이로 천공한 다음,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티타늄 재질의 픽스쳐(fixture)를 치조골에 심은 뒤, 픽스쳐 상부에 보철물용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상기 보철물용 어버트먼트 상부에 인공치아(보철물)를 접착하여 결손된 치아를 회복하는 시술이다.
임플란트 치아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에 비해 주위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반영구적이라 할 정도로 견고하고, 자연치에 가까울 정도로 심미적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과 실패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임플란트 픽스쳐가 적절한 위치에 올바른 방향과 각도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이다. 픽스쳐의 위치와 각도가 정확하지 않으면 올바른 인공치아의 제작이 어려우며, 인공치아를 통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수명은 단축되고,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이 된다.
임플란트의 위치와 방향, 각도를 오로지 술자(術者)의 감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 각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서지컬 스텐트(Surgical Stent)를 제작하여 시술하는 데, 고무 재질의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치아 인상체를 뜨고, 상기 치아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환자의 치아 형태와 동일한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석고모형을 인공교합기(articulator)에 결합시켜 환자 치아의 상호 관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 후, 이를 토대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서지컬 스텐트를 제작한다. 이러한 서지컬 스텐트는 환자 맞춤식으로 임플란트의 위치와 방향, 각도의 정확성이 높지만, 제작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02367호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측정판과, 상기 측정판 상에 드릴날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드릴유도공을 형성하되 상기 드릴유도공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되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드릴 천공을 위한 정확한 위치, 특히 천공의 전후 간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기 어려워 여전히 술자의 감각에 의존해야 하며,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구의 위치 하에 드릴 천공이 이루어지므로 드릴유도공과 드릴의 직경차가 거의 없는 경우 고속회전하는 드릴날과 임플란트 유도구의 상호 간의 마찰, 충돌으로 인해 사고 발생 가능성과 목적한 위치를 벗어난 천공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직경차가 큰 경우에는 목적하는 정확한 위치에 천공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96767호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하는 잇몸에 덮어쒸을 수 있는 "┌┐"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 중앙에는 치조골 천공을 위한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역시 상기 가이드기구의 위치 하에 드릴 천공이 이루어지므로 안내공과 드릴의 직경차가 거의 없는 경우 고속회전하는 드릴날과 가이드기구 상호 간의 마찰, 충돌로 인해 사고 발생 가능성과 목적한 위치를 벗어난 천공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직경차가 큰 경우에는 목적하는 정확한 위치에 천공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상실된 치아의 정확한 위치와 본래의 치아 경사각에 거의 일치하도록 식립하기 위한 가이드기구이며, 특히 인접 치아로부터의 거리 측정과 맞물리는 치아와의 정확한 접촉을 확인하기 위한 복잡한 과정 없이 상실된 치아 크기(폭)와 거의 동일한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와 각도를 가장 빠르고 쉽게 결정하여 수술 시간과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천공 위치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게 하여 시술 중 위험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립될 임플란트 치아의 폭경,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폭경, 높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초기 드릴날(initial pilot drill)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중앙홀의 직경은 초기 드릴날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며,
상기 개방홈은 술자가 천공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초기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초기 드릴날을 위치시킨 후, 드릴날을 빼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가이드기구가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인접한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2가지 구조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용 가이드기구는,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용 가이드기구는,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링 모양을 가지며, 일단에는 몸체의 손잡이부가 끼워지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일측면에서는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몸체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홀 주변부에 예리한 수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 돌기는 마취 직후 식립하고자 하는 위치의 잇몸에 대고 압박을 가하면 잇몸에 천공위치가 표시되어 최소의 범위로 잇몸을 절개할 수 있고, 잇몸을 박리한 후 치조골에 위치시킬 때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의 개방홈은 술자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의 삽입 위치 및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술자를 향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방홈의 개방각은 상기 중앙홀을 중심으로 30 ~ 45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는 정확한 드릴 천공 위치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가이드기구와 달리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과 분리됨으로써 원활한 드릴 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천공 작업의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거리와 평행성만 고려한 종래의 가이드 기구와는 달리, 자연치아나 인접 임플란트로부터 특별한 측정없이 최적의 거리를 두고 맞물리는 치아를 고려한 적절한 식립 각도로 술자의 의도 대로 쉽게 설정할 수 있고, 식립 위치를 잇몸에 쉽게 표시할 수 있어 잇몸의 절개위치를 사전에 최소로 결정할 수 있으며, 치조골에 천공하는 과정에서 천공드릴을 빼지 않고도 기구를 쉽게 제거와 재장착이 가능하여 술자가 수시로 천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성인의 하악 치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나타낸사시도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기구를 치아 결손 부위에 안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상하 치열궁의 치아 구조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상하 치열궁의 치아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기구 몸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작된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기구를 가지고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가이드기구의 몸체에 형성된 개방홈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로서, 중앙홀 주변에 고정 돌기가 형성된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접한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기구를 치아 결손 부위에 안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인접한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몸체와 몸체 가이드부의 분리, (b)는 몸체를 몸체 가이드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성인의 하악 치열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 치아는 크게는 절치(앞니), 견치(송곳니), 소구치(작은 어금니), 대구치(큰 어금니)로 이루어지며, 치열은 치아 정중선을 기준으로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제3대구치(사랑니)로 구분된다. 상악과 하악의 치아는 치아 폭경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근원심 치아폭경(mesiodistal tooth width)은 대구치는 9 ~ 11mm, 소구치는 6 ~ 8mm, 견치(송곳니)는 6.5 ~ 8.0 mm, 절치(앞니)는 5.0 ~ 8.5 mm의 폭경을 나타낸다. Russell C. Wheeler의 치아크기표 데이터에 따르면 성인 하악의 평균 치아폭경은 제2대구치가 약 10.5 mm, 제1대구치가 약 11.0 mm, 제1,제2소구치가 약 7.0 mm, 견치는 약 7.0 mm, 측절치는 5.5 mm, 중절치는 5.0 mm 이고, 상악에서는 제2대구치는 약 9.0 mm, 제1대구치는 약 10.0 mm, 제1,제2소구치는 약 7.0 mm, 견치는 7.5 mm, 측절치는 6.5 mm, 중절치는 8.5 mm이다.
본 발명은 식립될 임플란트 치아의 폭경, 높이와 같거나 작은 폭경, 높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식립될 임플란트의 중앙점을 잡기 위한 몸체(1)와 상기 몸체를 조종하기 위한 손잡이(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는 원통형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몸체는 치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기구로 상하, 좌우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대구치와 소구치 폭경의 원통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치용(중절치, 측절치, 견치)은 심미적인 치아수복을 위해 입술의 볼륨감을 평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는 원통형보다는 표준화된 전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는 식립될 인공치아의 위치에 안치된다. 몸체(1)의 직경은 결손된 치아의 폭경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약간 작은 것도 가능하다. 몸체 직경과 치아 폭경의 차는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하 치열궁의 치아 구조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 협측 교두정이 하악 제1대구치의 협측면 열구(groove)에 접촉하고, 상악 치아는 같은 이름의 하악 치아에 대해 교두 반 정도 후방에서 교합하며, 상악 최후방 대구치와 하악 중절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1치 대 2치의 관계를 이루고, 상하 치아의 미세한 위치 변화는 부정교합의 원인이 되므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정할 때 상·하악 치아 간의 적절한 위치 관계를 술자가 눈으로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도 5에서 처럼 제1 대구치와 제2 대구치가 결손된 경우에는 제1 대구치의 드릴 펀칭 위치를 올바르게 정립하는 것은 숙련된 술자에게도 쉽지 않아, 잘못된 위치에 드릴 펀칭을 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식립위치 가이드는 술자가 눈으로 드릴 위치 및 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의 높이는 식립될 인공치아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약간 낮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6 ~ 8 mm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작된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가이드기구를 가지고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사진이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는 상하 치열궁에서 결손, 특히 여러개 결손된 치아의 위치 관계를 술자가 눈으로 파악하고, 펀칭 드릴날을 위치와 각도를 정확하게 정립할 수 있게 한다.
몸체의 직경은 식립하고자 하는 치아의 폭경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몸체 직경은 11 mm, 10 mm, 9 mm, 8 mm, 7 mm 와 같이 1 mm 단위의 직경차를 가지는 세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직경 9 ~ 11 mm의 몸체는 주로 대구치를, 7 ~ 9 mm는 소구치, 견치의 식립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료이거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치아 모형으로 성형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의 정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중앙홀(3)의 직경은 삽입되는 드릴날의 직경에 의존하게 되는 데, 최초 치조골 천공을 위한 드릴날은 보통 직경 2.0 mm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중앙홀(3)의 직경은 2.0 ~ 2.5 mm 이 바람직하나, 드릴날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약간의 유격을 고려할 때 2.2 ~ 2.3 mm 직경이 더욱 바람직하다.
치조골 천공을 위해 위치한 드릴날로부터 상기 몸체(1)를 빼낼 수 있도록 상기 몸체(1)는 중앙홀(3)으로부터 몸체(1)의 외경까지 개방홈(4)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홈(4)은 일자형(도 8b) 또는 일정한 개방각(θ)을 가지는 방사형(도 8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릴날로부터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방사형이 바람직한 데, 방사각(θ)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30 ~ 45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사형은 위치 정립과 분리 용이성을 위해 중앙홀(3)에서 소정 거리까지는 일자형을 가지는 형태(도 8c)도 가능하다. 상기 개방홈의 위치, 방향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술자가 몸체에 삽입된 드릴날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 방향 및 각도로 정확하고 정밀한 드릴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개방홈은 후방(설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는 중앙홀 주변부에 날카로운 수직 돌기(5)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몸체(3)의 직경은 이식될 치아의 폭경과 같거나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고 인접 치아에 의해 좌우 고정되지만, 치아의 전후 장경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않아 몸체가 흔들릴 수 있어 몸체에 수직 돌기(5)를 형성함으로써 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돌기는 원칙적으로 몸체(3) 하부에 형성되나, 좌,우 치아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몸체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는 막대모양으로 몸체(1)에 고정된다. 손잡이(1)의 막대는 사용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 위치에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2)의 몸체쪽과 손잡이쪽은 서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몸체쪽 부분을 범용의 다른 치과 도구(치경 등)와 체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구조를 바탕으로 2개 이상의 인접된 치아가 결손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2개 이상의 인접된 치아가 결손된 경우 상술한 가이드기구를 이용하여 첫번째 치조골 천공을 실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접한 결손 치아의 천공 위치를 하기와 같은 가이드기구를 이용하여 정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 결손된 치아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9은 도 8의 가이드기구를 치아 결손 부위에 안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는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3)이 형성되고,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6)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7);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중앙홀과 고정핀 간의 연장부(6) 길이는 인접한 치간 거리를 감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의 치간 거리는 7.0±0.5 mm,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는 8.2±0.5 mm,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는 10.0±0.5 mm 이다. 따라서, 환자에 따른 치간 거리를 계산하여 치간 거리는 가이드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7)은 연장부(8)와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분리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 결합형으로는 연장부 끝단에 홈에 고정핀을 끼우는 구조이거나 나사 형태의 고정핀으로 연장부에 돌려 끼우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핀과 연장부의 이러한 체결은 공지된 체결구조는 모두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기구는 첫번째 치조골 천공 위치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번째 천공 위치를 정립하는 것이므로 몸체(3)의 직경은 식립될 치아의 폭경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나, 식립될 치아의 폭경, 장경에 근접한 직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를 바탕으로 2개 이상의 인접된 치아가 결손된 경우에 적용될 있는 또 다른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를 제공한다.
도 12는 인접한 2개 이상의 임플란트 식립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몸체와 몸체 가이드부의 분리, (b)는 몸체를 몸체 가이드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는 중앙홀(3)과 개방홈(4)이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를 삽입하기 위한 몸체 가이드부(8)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가이드부(8)는 일측면이 개방된 링 모양으로서 개방 면은 장착된 몸체(1)의 개방홈(4)과 대응되어 술자가 중앙홀(3)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 가이드부(8)의 내경은 몸체(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형태일 수 있고, 몸체 가이드부(8)의 개방된 링이 탄성 부재(플라스틱 또는 철 등의 금속)인 경우에는 링 모양의 내경은 몸체(1) 보다 작게 설계되어 개방 링을 조금 벌려 몸체(1)를 삽입하면 개방 링의 복원력에 의해 몸체(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 가이드부(8)의 일측에는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6)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7)은 연장부(8)와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분리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 결합형으로는 연장부 끝단에 홈에 고정핀을 끼우는 구조이거나 나사 형태의 고정핀으로 연장부에 돌려 끼우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핀과 연장부의 이러한 체결은 공지된 체결구조는 모두 가능하다.
상기 몸체 가이드부(8)의 일단에서는 몸체 가이드홈(9)이 형성된다. 몸체(1)를 상기 몸체 가이드부(8)에 삽입 후, 몸체 손잡이(2)를 좌우로 움직여 몸체 가이드홈(9) 속으로 밀어넣는 것으로 몸체(1)와 몸체 가이드부(8)는 서로 결합되고, 몸체 손잡이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으로 술자는 시술 부위에 맞게 몸체(1)의 개방홈을 조정하여 임플란트를 위한 천공 위치를 용이하게 정립하여 효과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1: 몸체 2: 손잡이
3: 중앙홀 4: 개방홈
5: 수직돌기 6: 연장부
7: 고정핀 8: 몸체 가이드부
9: 몸체 가이드홈

Claims (7)

  1. 식립될 임플란트 치아의 폭경,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폭경, 높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에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홀 주변부에 형성된 수직 돌기;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2.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에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홀 주변부에 형성된 수직 돌기;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3. 중앙에는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을 삽입하기 위한 중앙홀이 형성되고, 드릴날의 고정 상태에서 드릴날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중앙홀 일측면에 개방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홀 주변부에 형성된 수직 돌기; 및
    상기 몸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링 모양을 가지며, 일단에는 몸체의 손잡이부가 끼워지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며, 일측면에서는 인접한 임플란트 천공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인접한 임플란트의 치조골 천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몸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술자가 상기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날의 삽입 위치 및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개방홈은 술자의 시야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홈의 개방각은 30 ~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20150129507A 2015-09-14 2015-09-14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176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07A KR101763763B1 (ko) 2015-09-14 2015-09-14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07A KR101763763B1 (ko) 2015-09-14 2015-09-14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21A KR20170031921A (ko) 2017-03-22
KR101763763B1 true KR101763763B1 (ko) 2017-08-01

Family

ID=5849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07A KR101763763B1 (ko) 2015-09-14 2015-09-14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87A1 (ko)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KR20210145533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20220000642A (ko) 2020-06-26 2022-0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및 편평도 측정 장치
KR20220085877A (ko) 2020-12-15 2022-06-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847A (zh) * 2019-04-23 2019-06-21 池州市灿果口腔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种植导板的手机引导导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073A1 (en) * 1992-06-20 1994-01-06 University Of Manchester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s
US20080220390A1 (en) * 2007-03-07 2008-09-11 Michael Klein Dental tool guide assembly
KR101291754B1 (ko) *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073A1 (en) * 1992-06-20 1994-01-06 University Of Manchester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s
US20080220390A1 (en) * 2007-03-07 2008-09-11 Michael Klein Dental tool guide assembly
KR101291754B1 (ko) *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87A1 (ko)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KR20210145533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102396302B1 (ko) * 2020-05-25 2022-05-10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가이드 장치
KR20220000642A (ko) 2020-06-26 2022-0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및 편평도 측정 장치
KR20220085877A (ko) 2020-12-15 2022-06-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장치
KR20220124131A (ko) 2020-12-15 2022-09-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21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941B (zh) 製作牙科手術導板之方法
US7429175B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20080057467A1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7153132B2 (en) Mini-dental implant surgical stent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KR102608567B1 (ko) 인공치아이식 드릴-가이드 생성방법
TWI650107B (zh) 種植體手術引導裝置
KR101621373B1 (ko)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823549B1 (ko) 무치악 환자용 교합 채득 도구
JP2006341067A (ja) 医療用ガイド部材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US8465282B2 (en) Oral implant placement system and method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EP1900338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TWM458948U (zh) 植牙手術導引板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EP3692944A1 (en) Surgical drill guide for edentulous patients
US9149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bone engaging dental implant surgical stent placement system
JP6174829B1 (ja) 採得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