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065B1 -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065B1
KR101375065B1 KR1020130148065A KR20130148065A KR101375065B1 KR 101375065 B1 KR101375065 B1 KR 101375065B1 KR 1020130148065 A KR1020130148065 A KR 1020130148065A KR 20130148065 A KR20130148065 A KR 20130148065A KR 101375065 B1 KR101375065 B1 KR 10137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ide member
interdental
housing
col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봉
Original Assignee
정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봉 filed Critical 정재봉
Priority to KR102013014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거리 중앙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 치간거리를 측정하여 중앙에 가이드 드릴의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하우징(2); 하우징(2)의 수납실(21)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때 몸체 일부가 인출되고, 인출될 때 지시부(24)에 의해 인출 위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측정부(31)가 표시된 슬라이드부재(3);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 하우징(2)의 외부에 돌출되고,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일측 치아(T1)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5); 슬라이드부재(3)에 돌출되고,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외측면이 타측 치아(T2)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6); 및 길이방향에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 각각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가 표시되며, 지시부(24)가 나타내는 측정부(31)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제1,2밀착판(5),(6) 사이의 중심지점이 되도록 상기 안내부(71)의 정보들이 배열되어,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을 측정할 때 지시부(24)가 나타내는 측정부(31)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치간의 중심지점이 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Drill guide device for implant positioning}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 중앙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 치간거리를 측정하여 그 중앙에 가이드 드릴의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체물을 의미하나, 치과에서는 인공치근 이식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임플란트를 치아가 빠져나간 공간의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고,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똑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은 도 1과 같이 임플란트를 본래의 치아가 빠져나간 공간(치간)의 중앙에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인공치아 하부 중앙에 임플란트가 길게 연장되어 있다. 임플란트 식립 전에 치간거리의 정중앙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곳에 가이드 드릴로 먼저 가볍게 천공하여 구멍의 위치를 선정한 다음 상기 천공위치에 더 큰 지름을 갖는 임플란트용 드릴(트위스트 드릴)로 치조골에 식립용 구멍을 깊이 형성하고 이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인공치아가 치간 중앙에 바르게 시술된다.
만약, 도 1의 치간거리(L)의 중심에서 도 2와 같이 한 쪽으로 치우쳐 천공위치를 설정한 상태로 천공작업을 하면,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인공치아를 연결한 후 모습은 인공치아의 좌우균형이 맞지 않는다. 치간거리가 치조골에서의 치조골간 거리와 일치된다면 종래의 자를 이용해서 치간거리의 중심점을 치조골 위에서 알 수 있으나,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치간거리와 치조골간의 거리는 일치되지 않고, 치간거리의 중심도 치조골간거리의 중심과 일치되지 않으므로 치간거리를 알더라도 치조골 위에서 적용할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치조골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치조골 흡수정도가 많게 나타나서 치조골간거리가 커지면 치간거리의 중심점 찾는 게 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임플란트를 치간 중앙에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특허등록번호 10-1019664호의 임플란트 정밀유도식립 장치는, 생크부 하측 외주면에 원통형의 유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부의 상면은 접시머리의 형상을 가지는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 및 타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타원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모따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구비된 유도부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드릴의 천공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구성이 드릴의 유도부 상면과 유도부싱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도부싱의 가공과정이 단순하고, 임플란트 천공용 드릴이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의 섕크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유도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도부의 종류, 예를 들면 유도부의 외경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유도부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가공이 쉬운 중공 원통형 유도부의 종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비교적 단가가 높은 드릴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치간거리의 정중앙을 측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초기 천공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곤란한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시 초기에 치간거리의 정중앙에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천공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거리 정중앙의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거리 중앙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 치간거리를 측정하여 중앙에 가이드 드릴의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는, 수납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납실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때 몸체 일부가 인출되고, 인출될 때 지시부에 의해 인출 위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측정부가 표시된 슬라이드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되고,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일측 치아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
상기 제1밀착판과 대응되게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돌출되고, 환자의 치간을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외측면이 타측 치아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 및
상기 제1밀착판에서 제2밀착판을 향해 연장되고, 길이방향에 슬라이드부재의 측정부 각각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가 표시되며, 지시부가 나타내는 측정부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의 정보 위치가 제1,2밀착판 사이의 중심지점이 되도록 상기 안내부의 정보들이 배치되어, 제1,2밀착판을 환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을 측정할 때 지시부가 나타내는 측정부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의 정보 위치가 치간의 중심지점이 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하우징의 수납실 출입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슬라이드부재가 인출될 때 수납실의 출입구 측벽이 슬라이드부재의 측정부 정보를 나타내는 지시부가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측정부 정보는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방향 측면에 표시된 눈금, 또는 슬라이드부재의 상면 길이방향에 다양한 색상들이 병렬로 배치된 제1색상표시부, 또는 상기 눈금 및 제1색상표시부를 사용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부 정보는 가이드부재의 상면 길이방향에 제1색상표시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색상표시부이다.
상기 측정부와 안내부는 제1색상표시부와 제2색상표시부 색상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은 지시부를 형성하는 수납실 출입구 일측에 측정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납실과 연통되게 표시창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부재가 하우징의 수납실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의 베이스에 스톱퍼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인출된 슬라이드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이 고정수단은 하우징의 베이스상에 돌출되는 보울트;
상기 보울트가 슬라이드부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울트에 체결되어 조임 및 해지하여 슬라이드부재를 하우징의 베이스에 고정 및 해지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에서 슬라이드부재가 인출되어 제1,2밀착판의 외측면이 양측 치아 측면에 밀착되어 치간 사이의 거리가 자동 측정되고, 측정된 치간거리 중앙부분을 안내부재의 눈금과 숫자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내부재의 확인된 위치의 안내에 따라 가이드 드릴로 치조골에 얕게 천공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게 되므로 치간 중앙에 임플란트를 식립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드릴이 치간 사이 정중앙에 구멍을 얕게 천공하고 이후 지름이 좀 더 큰 드릴로 천공작업의 수행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여기에 체결된 인공치아는 좌우균형이 맞아 대합치아의 교합력을 분산하는 효과로 인하여 임플란트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와 치아 사이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치간거리(인접면거리)의 중앙점에 식립을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드릴을 치간거리의 중심에 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시술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존하여 해왔던 방식을 토대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조골상에 천공할 지점을 쉽게 찾아 천공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하는 단축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환자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거리 중앙에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임플란트 시술시 치간거리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임플란트가 경사지게 식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 고정수단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슬라이드부재가 분리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를 측정하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의 중심을 측정하여 치조골에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일 실시예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의 중심을 측정하여 치조골에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의 중심을 측정하여 치조골에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또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의 중심을 측정하여 치조골에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또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가이드부재가 가이드 드릴의 천공위치를 안내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천공위치 안내에 따라 임플란트를 시술하여 치간거리 중앙에 임플란트가 바르게 식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출원인이 실제 임플란트를 시술함에 있어, 치간의 중심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갤리퍼로 치간거리를 측정하여 치간거리의 중심점을 알아내어도 도 1과 같이 치간거리보다는 치조골간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이들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아 중심점을 알고 있어도 이를 치조골 위에서 적용할 방법이 없어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1)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몸체 일부가 인출되는 슬라이드부재(3), 상기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 치간거리(L)를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일측 치아(T1)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5), 상기 제1밀착판(5)과 대응되고 외측면이 타측 치아(T2)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6); 및 상기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치간거리(L)의 중심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슬라이드부재(3)를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용하여, 이 슬라이드부재(3)와 협력하여 치간거리(L)의 중심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2)은 슬라이드부재(3)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갖는 수납실(21)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 일측에 수납실(21)과 연통되게 표시창(2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21) 일측 하부에는 베이스(23)가 연장된다.
상기 출입구 측벽은 치간거리(L)를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때 그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 즉 슬라이드부재(3) 상면에 표시된 눈금과 숫자 또는 제1색상표시부(31a)를 지시하는 지시부(24)가 된다. 상기 지시부(24)는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때 눈금과 숫자 또는 제1색상표시부(31a)가 그와 일직선상에 놓여 일치되면 그 눈금과 숫자 또는 제1색상표시부(31a)가 측정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눈금과 숫자 또는 제1색상표시부(31a)가 상기 지시부(24)에 의해 측정되면, 치간거리(L)를 측정하는 시술자는 상기 측정된 눈금과 숫자 또는 제1색상표시부(31a)를 후술하는 가이드부재(7) 상면에 표시된 안내부(71)에 대응시켜 치간거리(L)의 중심점을 간편하게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표시창(22)은 치간거리(L) 측정을 위해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할 때 측정부(31)의 정보, 즉 눈금과 숫자 및 제1색상표시부(31a)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표시창(22)을 준비한 이유는 본 발명의 장치가 치간거리(L)의 중심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어두운 입안에서 사용되므로 제1색상표시부(31a)가 없어 눈금과 숫자만으로 측정된 정보를 파악할 경우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까다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상기 베이스(23)에는 슬라이드부재(3)가 탄성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 근처에 스톱퍼(25)가 장착된다. 상기 스톱퍼(25)는 스크류를 체결하면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의 재질은 금속재나 또는 고압소독이 가능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2)의 수납실(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삽입 및 인출식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가이드부재(7)와 협력하여 치간거리(L)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즉,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몸체가 인출되는데, 인출되는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면에 측정부(31)가 표시된다.
상기 측정부(31)는 슬라이드부재(3)의 길이방향 측단부를 따라 표시된 눈금과 이 눈금을 지시하는 숫자를 사용한다. 상기 눈금의 간격은 본 발명의 장치가 소형구조물임을 감안하여 0.5mm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들 눈금을 지시하는 숫자는 1씩 증가되게 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7mm, 8mm, 9mm, 10mm, 11mm, 12mm가 되게 하였다.
이를 위해 제1,2밀착판(5),(6)의 두께를 각각 1mm로 하고 가이드부재(7)의 길이를 5mm로 설정하여, 이들을 합하면 2mm + 5mm =7mm가 되어 최소 7mm의 치간거리(L)부터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7∼12mm 수치의 범위는 치아 상실도가 높은 소구치, 대구치의 치관폭을 의미하며, 폭이 7mm보다 작은 전방 치아가 상실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가이드부재(7)의 길이가 짧은 또 다른 장치를 사용하면 전방 치아가 상실된 치간거리의 중앙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부재(7)의 자유단부가 제2밀착판(6)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슬라이드부재(3)를 이동시키면 제1,2밀착판(5),(6)과 가이드부재(7)의 전체 길이는 7mm가 되고,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4)가 슬라이드부재(3)를 밀어 인출시키면 제1,2밀착판(5),(6)은 점차 멀어지게 되어 이들 사이의 거리는 점차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2밀착판(6)의 내측면과 일치된 부분의 숫자는 "7"이 되어 치간거리(L)를 나타내는 최소숫자 7mm가 되고, 이 지점에서부터 슬라이드부재(3)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 즉 제1밀착판(5) 방향으로 갈수록 숫자가 증가하게 된다.(도면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정부(31)는 다양한 색상으로 슬라이드부재(3)의 인출되는 거리를 나타낼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제1색상표시부(31a)가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색상표시부(31a)는 숫자와 대응되게 규칙적인 간격, 즉 상기 숫자가 1mm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그와 대응되게 1m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제1색상표시부(31a)는 눈금과 대응되게 0.5mm 간격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이들의 간격이 너무 근접되어 색상 두께가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어두운 입속에서 사용됨을 감안하면 두께가 얇은 색상 구별에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지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정부(31)는 이미 설명한 상기 눈금과 숫자 및 제1색상표시부(31a)를 동시에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색상표시부(31a)의 색상은 빨강색이 숫자 "12"와, 초록색이 숫자 "11"과, 황토색이 숫자 "10"과, 하늘색이 숫자 "9"와, 분홍색이 숫자 "8"과 대응되게 배치하였다. 그러나 색상 배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시술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인접된 제1색상표시부(31a)들의 색상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것을 선택 배치하여 헷갈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하우징(2) 내부에 장착되고,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슬라이드부재(3)를 인출시키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는 탄성이 축적되어 인장하려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한다. 즉, 탄성부재(4)는 항상 인장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인장되어 슬라이드부재(3)를 계속 밀어내어 슬라이드부재(3) 선단부가 스톱퍼(25)에 밀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3)를 하우징(2)의 수납실(21)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탄성력이 축적되고 이 상태에서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일측 치아(T1)와 타측 치아(T2) 사이에 끼운 후 놓게 되면 탄성부재(4)는 축적된 탄성력이 풀리면서 슬라이드부재(3)를 밀어내 제1,2밀착판(5),(6) 외측면이 상기 양측 치아(T1)(T2)의 측면에 밀착되어 치간거리(L)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밀착판(5)은 하우징(2)의 외부에 돌출되어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일측 치아(T1) 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제1밀착판(5)은 도면에서와 같이 하우징(2)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일측 치아(T1) 측면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그 치아(T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제1밀착판(5)의 두께는 본 발명의 측정부(31) 조건일 경우 1mm가 된다. 물론, 제1밀착판(5)의 두께는 측정부(31)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밀착판(5)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 치간거리(L)를 측정하는 시작부분 또는 끝부분이 된다.
상기 제2밀착판(6)은 제1밀착판(5)과 대응되게 슬라이드부재(3) 외부에 돌출되어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타측 치아(T2)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밀착판(6)은 도면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치아(T2) 측면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치아(T2)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제2밀착판(6)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양측 치간거리(L)를 측정하는 끝부분 또는 시작부분이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7)는 제1밀착판(5)에서 제2밀착판(6)을 향해 연장되고,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때 제1,2밀착판(5),(6) 사이의 중심점을 측정하여 가이드 드릴의 천공위치를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7)의 길이방향 단부는 하우징(2)의 수납실(21) 출입구, 즉 지시부(24)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7)는 길이방향에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 각각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가 표시된다. 하우징(2)의 지시부(24)가 지시하는 측정부(31)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제1,2밀착판(5),(6) 사이의 중심지점이 되도록 상기 안내부(71)의 정보들이 배열된다. 따라서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지시부(24)가 나타내는 측정부(31)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치간거리(L)의 중심지점이 되게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는 가이드부재(7)의 상면 길이방향에 상기 제1색상표시부(31a)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색상표시부(71a)가 된다. 상기 제2색상표시부(71a)는 제1색상표시부(31a)와 대응되므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유단부에서부터 제1밀착판(5) 방향으로 빨강색, 초록색, 황토색, 하늘색, 분홍색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참고로 제2색상표시부(71a)와 대응되는 제1색상표시부(31a)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밀착판(6)에서 제1밀착판(5) 방향으로 분홍색, 하늘색, 황토색, 초록색, 빨강색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와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 정보, 즉 측정부(31)의 제1색상표시부(31a)와 안내부(71)의 제2색상표시부(71a) 색상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게 대응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에 표시된 숫자는 1mm 간격으로 기재되어 있고 제1색상표시부(31a)들은 틈새를 갖도록 0.7mm 간격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색상표시부(31a)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제거하려면 제1색상표시부(31a)들의 폭을 1mm 간격으로 설정하면 된다. 한편, 가이드부재(7)의 제2색상표시부(71a)들은 틈새 없이 0.5mm 간격으로 밀접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는 1mm 단위로 치간거리(L)를 측정하게 되므로 제1색상표시부(31a)들의 폭이 최대 1mm이고,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는 치간거리(L)의 1/2인 중앙을 나타내므로 제2색상표시부(71a)들의 최대 폭은 0.5mm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간거리(L)를 측정하기 위해 제1,2밀착판(5),(6)이 양측 치아(T1)(T2)와 밀착된 상태에서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빨강색을 지시하면, 시술자는 가이드부재(7)에 표시된 제2색상표시부(71a)의 빨강색 우측단부 후방, 즉 가이드부재(7)의 자유단부 후방 지점이 치간거리(L)의 중앙이 되는 것을 즉시 알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의 수직하부 치조골에 가이드 드릴을 천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초록색을 지시하면 제2색상표시부(71a)의 초록색 중앙 후방,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황토색을 지시하면 제2색상표시부(71a)의 황토색 중앙 후방,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하늘색을 지시하면 제2색상표시부(71a)의 하늘색 중앙 후방,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분홍색을 지시하면 제2색상표시부(71a)가 분홍색 중앙 후방의 치조골에 가이드 드릴을 천공하면 치간거리(L) 중앙에 임플란트를 바르게 식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는 1mm간격으로 표시된 눈금과 제2색상표시부(71a)에 표시된 숫자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2밀착판(5),(6)이 양측 치아(T1)(T2)에 밀착되어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슬라이드부재(3)를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하우징(2)의 베이스(23)상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보울트(81), 상기 보울트(81)가 슬라이드부재(3)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에 형성되는 슬롯(82), 및 상기 슬롯(82)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울트(81)에 체결되어 조임 및 해지하여 슬라이드부재(3)를 하우징(2)의 베이스(23)에 고정 및 해지하는 너트(83)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간거리(L)를 측정할 때 상기 너트(83)를 체결하면 슬라이드부재(3)가 하우징(2)에 고정되고, 너트(83)를 풀면 슬라이드부재(3)가 왕복이동하게 되므로, 치간거리(L) 측정시 슬라이드부재(3)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가이드 드릴의 위치 선정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간거리(L) 중심을 선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시술자가 슬라이드부재(3)를 수납실(21)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치간 사이의 공간에 삽입한 후 슬라이드부재(3)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4)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는 밀려나 제1,2밀착판(5),(6) 외측면이 각각 양측 치아(T1)(T2)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환자들의 치간거리(L)가 다를 경우 슬라이드부재(3)의 인출 길이가 그때마다 다르게 된다.
예컨대, 어느 환자의 치간거리(L)를 측정하였더니 도 9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가 이동하여 측정부(31)의 숫자 "12" 및 제1색상표시부(31a)의 빨강색이 하우징(2)의 출입구에 위치한 지시부(24)에 일치되었다면, 그 환자의 치간거리(L)는 12mm가 되고, 그 중심은 6mm가 된다.
측정된 치간거리(L)는 제1밀착판(5)의 외측면에서부터 제2밀착판(6)의 외측면 길이가 되고, 가이드부재(7)가 상기 제1밀착판(5)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에서 측정된 치간거리(L)의 중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밀착판(5)이 1mm이고 가이드부재(7)의 전체 길이가 5mm이므로 이들의 합은 6mm가 되므로 상기 측정된 치간거리(L)의 중심위치는 가이드부재(7)의 자유단부가 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드릴의 천공 위치는 상기 자유단부 후방이 되고 그와 수직한 하부 치조골에 가이드 드릴을 천공하면 치간거리(L)의 중앙에 구멍이 천공된다.
상기 측정방법은 눈금과 숫자로 치간거리(L)의 중심을 측정하였으나, 어두운 입안에서 숫자의 확인이 까다로우므로 상기 제1,2색상표시부(31a)(71a)를 통해 보다 쉽게 치간거리(L)의 중앙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치간거리(L) 측정의 경우 수납실(21) 출입구 측벽에 위치한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빨강색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단 지시부(24)는 제1색상표시부(31a)의 빨강색을 지시하고 있다. 이후 시술자는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에서 제2색상표시부(71a)의 빨강색을 찾아 그 우측 후방이 치간거리(L)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색상표시부(71a) 빨강색 우측 후방과 수직한 하부 치조골에 가이드 드릴을 천공하여 치간거리(L)의 중앙 위치를 선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도 10은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초록색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단 지시부(24)는 제1색상표시부(31a)의 초록색을 지시하고 있다. 시술자는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에서 제2색상표시부(71a)의 초록색을 찾아 그 중앙 후방이 치간거리(L)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도 11은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황토색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단 지시부(24)는 제1색상표시부(31a)의 황토색을 지시하고 있다. 시술자는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에서 제2색상표시부(71a)의 황토색을 찾아 그 중앙 후방이 치간거리(L)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도 12는 지시부(24)가 제1색상표시부(31a)의 하늘색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단 지시부(24)는 제1색상표시부(31a)의 하늘색을 지시하고 있다. 시술자는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에서 제2색상표시부(71a)의 하늘색을 찾아 그 중앙 후방이 치간거리(L)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드릴은 임플란트 시술시 잇몸 절개 후 치조골에 처음 사용하는 드릴이다. 즉, 천공용 드릴이 아니고 드릴천공 작업을 위한 위치선정을 해주는 초기에 사용된 드릴이다. 이 가이드 드릴은 시술자가 생각한 치조골에서의 드릴천공을 위한 위치선정을 위해 얕게 천공한 후 위치가 틀리면 위치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름이 1.5mm 정도가 되는 가이드 드릴의 끝은 뾰쪽하므로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의 눈금이나 색상과 일치시키기 편리하고 뾰쪽한 드릴 끝을 치조골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이드부재(7)를 시술자 방향으로 밀치고 나서 드릴작업을 하면 된다.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술자가 색상의 구별만으로 치간거리(L) 중앙을 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좁고 어두운 구강 내에서 치간거리(L) 중심을 쉽게 측정하여 가이드 드릴을 치조골에 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4와 같이 임플란트(9) 시술을 치간거리(L) 중앙에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환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가 좌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식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한쪽으로 치우쳐서 임플란트를 식립한 경우 임플란트 보철물의 중앙부위에 대합치의 교합력이 오지 않아 임플란트 수명이 경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다.
1 :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2 : 하우징
3 : 슬라이드부재 4 : 탄성부재
5 : 제1밀착판 6 : 제2밀착판
7 : 가이드부재 31 : 측정부
31a : 제1색상표시부 71 : 안내부
71a : 제2색상표시부 81 : 보울트
82 : 슬롯 83 : 너트

Claims (10)

  1. 수납실(21)이 형성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의 수납실(21)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때 몸체 일부가 인출되고, 인출될 때 지시부(24)에 의해 인출 위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측정부(31)가 표시된 슬라이드부재(3);
    상기 하우징(2)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
    상기 하우징(2)의 외부에 돌출되고, 환자의 치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일측 치아(T1)에 밀착되는 제1밀착판(5);
    상기 제1밀착판(5)과 대응되게 상기 슬라이드부재(3)에 돌출되고, 환자의 치간을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외측면이 타측 치아(T2)에 밀착되는 제2밀착판(6); 및
    상기 제1밀착판(5)에서 제2밀착판(6)을 향해 연장되고, 길이방향에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 각각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가 표시되며, 지시부(24)가 나타내는 측정부(31)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제1,2밀착판(5),(6) 사이의 중심지점이 되도록 상기 안내부(71)의 정보들이 배열되어, 제1,2밀착판(5),(6)을 환자의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을 측정할 때 지시부(24)가 나타내는 측정부(31)의 정보와 대응되는 안내부(71)의 정보 위치가 치간의 중심지점이 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의 길이방향 단부가 하우징(2)의 수납실(21) 출입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슬라이드부재(3)가 인출될 때 수납실(21)의 출입구 측벽이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 정보를 나타내는 지시부(24)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3)의 측정부(31)의 정보는 슬라이드부재(3)의 길이방향 측면에 표시된 눈금과 숫자, 또는 슬라이드부재(3)의 상면 길이방향에 다양한 색상들이 병렬로 배치된 제1색상표시부(31a), 또는 상기 눈금과 숫자 및 제1색상표시부(3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 정보는 가이드부재(7)의 상면 길이방향에 제1색상표시부(31a)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색상표시부(7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측정부(31)와 안내부(71)는 제1색상표시부(31a)와 제2색상표시부(71a) 색상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게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지시부(24)를 형성하는 수납실(21) 출입구 일측에 측정부(31)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납실(21)과 연통되게 표시창(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가 하우징(2)의 수납실(2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2)의 베이스(23)에 스톱퍼(2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출된 슬라이드부재(3)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의 안내부(71) 정보는 눈금, 또는 숫자, 또는 눈금 및 숫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하우징(2)의 베이스(23)상에 돌출되는 보울트(81);
    상기 보울트(81)가 슬라이드부재(3)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3)에 형성되는 슬롯(82); 및
    상기 슬롯(82)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울트(81)에 체결되어 조임 및 해지하여 슬라이드부재(3)를 하우징(2)의 베이스(23)에 고정 및 해지하는 너트(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KR1020130148065A 2013-11-30 2013-11-30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KR10137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065A KR101375065B1 (ko) 2013-11-30 2013-11-30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065A KR101375065B1 (ko) 2013-11-30 2013-11-30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065B1 true KR101375065B1 (ko) 2014-03-17

Family

ID=5064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065A KR101375065B1 (ko) 2013-11-30 2013-11-30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17A1 (ko) * 2019-03-19 2020-09-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N112914763A (zh) * 2021-03-09 2021-06-08 攀枝花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种植牙用引导固定装置
KR20240015226A (ko) 2022-07-26 2024-02-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과 관련된 예상 오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367A (ko) * 2004-04-22 2005-10-2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20070021907A (ko) * 2005-08-19 2007-02-23 정유진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KR20100118661A (ko) * 2009-04-29 2010-11-08 조성용 임플란트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US20130157219A1 (en) 2011-12-16 2013-06-20 Kai-Szu Lo Dental implant guid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367A (ko) * 2004-04-22 2005-10-26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20070021907A (ko) * 2005-08-19 2007-02-23 정유진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KR20100118661A (ko) * 2009-04-29 2010-11-08 조성용 임플란트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US20130157219A1 (en) 2011-12-16 2013-06-20 Kai-Szu Lo Dental implant guid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9917A1 (ko) * 2019-03-19 2020-09-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N112914763A (zh) * 2021-03-09 2021-06-08 攀枝花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种植牙用引导固定装置
CN112914763B (zh) * 2021-03-09 2022-03-04 攀枝花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种植牙用引导固定装置
KR20240015226A (ko) 2022-07-26 2024-02-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과 관련된 예상 오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62370B1 (ko) 2022-07-26 2024-05-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과 관련된 예상 오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1884B2 (en) Method for providing procedure guide information using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US6062856A (en) Dental implant hole guide extension
EP0694292B1 (en) Radiographic depth and prosthetic positioning guide
KR10137506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위치 선정장치
US20030134252A1 (en) Implant guide arrangement
CN107635507B (zh) 用于种植牙手术的导针
US11759289B2 (en) Non-incisional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WO2011018851A1 (ja) ボーンキャリパー
KR101854349B1 (ko) 어버트먼트 지그
KR20190041668A (ko)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KR100611946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0591081B1 (ko) 임프란트 식립위치 유도구
KR100995836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12658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KR200488107Y1 (ko)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즈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반달모양의 티슈펀치
RU2678014C2 (ru) Набор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US10010391B2 (en) Device for evaluating dental crown contacts
KR20130101266A (ko)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CN217938434U (zh) 一种颚侧种植先锋预备器
CN218979268U (zh) 一种颧种植基准方向指示杆
JPH078285B2 (ja) インプラント植立溝形成装置
CN212679318U (zh) 穿颧种植体探测器
KR20220042830A (ko) 골폭 및 골중심 측정을 이용한 골중심 식립구 형성 유도장치
RU2798668C1 (ru) Способ точного введения микроимплантата пр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х или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х операциях,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и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шаблон устройства
RU92608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компостер-кондуктор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десны вокруг денталь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