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19B1 -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19B1
KR101478719B1 KR1020140000902A KR20140000902A KR101478719B1 KR 101478719 B1 KR101478719 B1 KR 101478719B1 KR 1020140000902 A KR1020140000902 A KR 1020140000902A KR 20140000902 A KR20140000902 A KR 20140000902A KR 101478719 B1 KR101478719 B1 KR 10147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ular
teeth
tooth
maxillary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김동만
이창호
천용기
조아라
편국남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19B1/ko
Priority to US15/109,564 priority patent/US10126281B2/en
Priority to PCT/KR2014/009434 priority patent/WO20151022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19B1/ko
Priority to US15/899,023 priority patent/US105513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ath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로서, 인간의 상악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상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상악 잇몸부를 포함하는 상악 모형부; 및 상기 상악 모형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하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하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하악 잇몸부를 포함하는 하악 모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전체를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중에서 선택된 치아형 프로브들만을 상기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 형태의 프로브 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할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프로브를 사용하여 분석한 데이터에 비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PROBE DEVICE FOR FOOD TEXTURE PROFILE ANALYSIS HAVING TEETH SHAPE}
본 발명은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식품을 저작할 때 느끼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어금니, 앞니 또는 송곳니에 해당하는 프로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에서 맛이 있다는 것은 단순한 그 맛뿐만이 아니라 혀에서 느끼는 느낌이나 씹히는 촉감 등에 직접 관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람은 식품의 단단함, 연함, 점성, 탄성, 조밀성 및 알맹이의 크기 등을 입안에서의 물리적 자극이나 촉감 등에 의하여 알고, 그것에 의하여 식품의 선도, 숙성도, 삶은 정도, 이물의 유무, 성분 조성 등을 판단하여 그 품질을 평가할 수도 있다.
식품의 조직감(texture)은 그 식품 섭취에 대한 우리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의 식품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품 업계에서는 식품이 소비자가 선호하는 조직감을 갖도록 제품개발단계에서 조직감 분석을 실시한다.
식품의 조직감 분석은 관능 평가와 기기를 이용한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관능 평가의 경우 조직감 평가항목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일반적인 식품의 물성 측정은 여러 종류의 조직감 분석(texture analyser)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일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6-227021호(공개일 : 2006.08.31)에는 다공성 식품 식감 평가 방법, 다공성 식품 데이터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식품 식감 평가 방법, 다공성 식품 데이터 처리 장치는, 다공성 식품의 파쇄 및 저작시에 발생 하는 소리 및 진동을, 샤프니스 및 러프니스를 음향 평가량으로써 이용해 음향 해석하여 음향 해석에 의해 얻어진 수치를 이용하여 관능 시험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다공성 식품의 식감을 평가하도록 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4-12242호(공개일 : 2004.01.15)에는 식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식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는, 뼈전도에 의한 식품의 파쇄의 진동을 측정해, 파쇄의 위치로부터 식감을 정량화하는 식감 측정장치로서, 치아에 상당하는 복수의 박판과 그 양측 방에 접속된 2개의 센서를 갖는 턱뼈에 상당하는 제1 지지재와 복수의 박판으로 기대 사이에 식품을 협지해 파쇄 하기 위해서, 제1 지지재를 이동하는 구동 수단과 센서에 의해 파쇄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전기신호의 시간차와 감쇠에 의한 상대 진폭 차이, 파쇄의 위치와 정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요구하는 산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식감 측정장치들과 같은 기기에 의한 분석은 쉽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에 사용되는 프로브는 대체로 단순한 실린더(cylinder) 형태, 핀(pin) 형태, 원뿔 형태, 칼날(blade) 형태를 지니고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치아에 상당하는 박판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치아를 구성하는 어금니, 앞니, 송곳니 등에 의한 식감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 사용되는 단순한 형태의 프로브들은 인간의 치아 형태와 전혀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인간이 저작해야할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일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6-227021호(공개일 : 2006.08.31)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4-12242호(공개일 : 2004.01.15)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인간의 표준형 치아 형태의 프로브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적용한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브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치아에 대응되는 프로브들 중에서 치아 전체 또는 필요한 치아형 프로브 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로서, 인간의 상악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상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상악 잇몸부를 포함하는 상악 모형부; 및 상기 상악 모형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하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하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하악 잇몸부를 포함하는 하악 모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전체를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중에서 선택된 치아형 프로브들만을 상기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은 멜라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로 조색될 수 있다.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은, 서로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나사부들은, 상기 상악 설치공들 및 상기 하악 설치공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악 모형부는, 식품 물성 분석장치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부재에 결합되는 상악 지지부재; 및 상기 상악 잇몸부의 상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기 상악 잇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기 상악 잇몸부가 결합될 때,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악 잇몸부 사이에 상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상악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모형부는, 상기 식품 물성 분석장치의 테이블에 설치되되, 상기 상악 지지부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블럭들; 상기 지지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악 지지부재; 및 상기 하악 잇몸부의 저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상기 하악 잇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상기 하악 잇몸부가 결합될 때,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하악 잇몸부 사이에 하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하악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악 모형부는, 상기 상악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각각의 결합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위한 상악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악 고정수단은, 볼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악 공간에서 상기 결합 나사부들에 체결되어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을 상기 상악 잇몸부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상악 고정볼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악 모형부는, 상기 하악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각각의 결합 나사부를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위한 하악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하악 고정수단은, 볼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하악 공간에서 상기 결합 나사부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을 상기 하악 잇몸부에 고정하기 위한 하악 고정볼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 형태의 프로브 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할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프로브를 사용하여 분석한 데이터에 비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아 형태의 프로브 장치가 적용된 식품 물성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작관련 물성 분석을 할 경우 고령자의 질환별 요구되는 물성, 식감, 경도, 점도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식품의 조직감측정 및 개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간의 치아와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구성된 치아 형태 프로브 장치가 적용됨으로써, 상악과 하악의 앞니, 송곳니, 어금니 부위에 해당하는 치아형 프로브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조직감을 분석할 수 있고, 앞니는 절단, 송곳니는 파열, 어금니는 저작에 의한 마쇄효과 등을 각각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악 고정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가 식품 물성 분석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악 고정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가 식품 물성 분석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20)는, 식품 물성 분석(10)에 설치되어 식품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브가 인간의 치아 형상 및 치아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식품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할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프로브를 사용하여 분석한 데이터에 비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20)는, 인간의 상악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상악 설치공(32A)들이 각각 형성된 상악 잇몸부(32)를 포함하는 상악 모형부(30)와, 상악 모형부(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하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하악 설치공(42A)들이 각각 형성된 하악 잇몸부(42)를 포함하는 하악 모형부(40)를 포함한다. 즉, 치아 형태를 갖는 프로브 장치(20)는, 인간의 상악 형태로 형성되고 상악 설치공(32A)들이 형성된 상악 모형부(30)와, 하악 형태로 형성되고 하악 설치공(42A)들이 형성된 하악 모형부(40)를 포함한다.
상악 잇몸부(32)와 하악 잇몸부(4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상악 및 하악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악 설치공(32A)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하악 설치공(42A)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악 설치공(32A)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걸림단(32B)가 형성된다. 걸림단(32A)은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이 안착되어 걸리기 위한 구성이다.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은, 멜라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로 조색된 것으로, 인간의 치아와 유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과 서로 맞닿는 접촉부(34A)와, 상악 잇몸부(32)의 상악 설치공(32A)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나사부(34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은 어금니, 송곳니, 앞니 들의 형상 및 모양 그리고 개수(성인 표준)까지 동일하게 형성된다.
하악 설치공(42A)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악 설치공(32A)과 같이 내부에 걸림단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단은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이 안착되어 걸리기 위한 구성이다.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은,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과 동일하게 멜라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로 조색된 것으로, 인간의 치아와 유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과 서로 맞닿는 접촉부(44A)와, 하악 잇몸부(42)의 하악 설치공(42A)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나사부(44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은 어금니, 송곳니, 앞니 들의 형상 및 모양 그리고 개수(성인 표준)까지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악 모형부(30)는, 식품 물성 분석장치(10)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부재(12)에 결합되는 상악 지지부재(36))와, 상악 잇몸부(32)의 상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악 지지부재(36)와 상악 잇몸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상악 지지부재(36)와 상악 잇몸부(32)가 결합될 때, 상악 지지부재(36)와 상악 잇몸부(32) 사이에 상악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상악 연결부재(38)를 포함한다. 즉, 상악 잇몸부(32)는 상악 연결부(38)를 사이에 두고 상악 지지부(36)의 저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하악 모형부(40)는, 식품 물성 분석장치(10)의 테이블(14)에 설치되되, 상악 지지부재(36)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블럭(45)들과, 지지블럭(45)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악 지지부재(46)와, 하악 잇몸부(42)의 저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악 지지부재(46)와 하악 잇몸부(42) 사이에 배치되어 하악 지지부재(46)와 하악 잇몸부(42)가 결합될 때, 하악 지지부재(46)와 하악 잇몸부(42) 사이에 하악 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하악 연결부재(48)를 포함한다. 즉, 하악 잇몸부(42)는 하악 연결부(48)를 사이에 두고 하악 지지부(46)의 상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악 모형부(30)는, 상악 설치공(32A)으로 끼워지는 각각의 결합 나사부(34B)를 고정하기 위한 위한 상악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악 고정수단은, 볼트공(52A)을 구비하여 상악 공간(S1)에서 결합 나사부(34B)들에 체결되어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을 상악 잇몸부(32)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상악 고정볼트(50A)들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고정볼트(50)가 상악 공간(S1)에서 상악 설치공(32B)으로 끼워져 상악 설치공(32B)으로 삽입된 결합 나사부(34B)에 체결되어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를 상악 잇몸부(32)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악 치아형 프로브(34)가 상악 설치공(32B)으로 삽입되어 단턱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악 공간(S1)으로부터 상악 고정볼트(50A)가 상악 설치공(32B)으로 삽입된 후 결합 나사부(34B)가 상악 고정볼트(50A)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공(52A)에 체결되므로,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는 상악 잇몸부(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악 고정볼트(50A)를 풀게 되면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는 상악 잇몸부(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악 모형부(40)는, 하악 설치공(44A)으로 끼워지는 각 하악 치아형 프로브(44)의 결합 나사부(44A)를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위한 하악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하악 고정수단은, 볼트공(52B)을 구비하여 하악 공간(S2)에서 하악 치아형 프로브(44)의 결합 나사부(44B)에 체결되어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을 하악 잇몸부(42)에 고정하기 위한 하악 고정볼트(50B)들로 이루어진다. 물론, 하악 고정볼트(50B)를 풀게 되면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는 하악 잇몸부(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악 고정수단과 하악 고정수단은,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과 하악 치아형 프로브(44)들을 상악 잇몸부(32)와 하악 잇몸부(42)에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탈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어금니형, 송곳니형, 앞니형으로 구성된 치아형 프로브(34,44)들 중에서 필요한 치아형 프로브(33,44)만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전체의 치아형 프로브(34,44)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 형태를 갖는 프로브 장치(20)는 다양한 구조의 식품 물성 분석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승,하강 작동하도록 된 승,하강부재(12)와 테이블(14)를 구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을 구비한 상악 모형부(30)가 식품 물성 분석장치(10)의 승,하강부재(12)에 결합되고, 하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을 구비한 하악 모형부(40)가 식물 물성 분석장치(10)의 테이블(14)에 설치된 지지블럭(45)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악 치아형 프로브(34)의 상면에 물성을 측정한 식품을 안착시킨다.
이어서, 식품 물성 분석장치(10)를 작동시켜 승,하강부재(12)를 하강시킨다.
이러한 작동으로 상악 치아형 프로브(34)들의 접촉부(34A)들은 하악 치아형 프로브(44)의 접촉부(44A)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식품 물성 분석장치(10)는 내장된 센서들을 통하여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 사이에 위치한 식품의 물성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식품 물성 분석장치(10)의 구체적 작동 및 측정 동작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식품이 인간의 치아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된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의 맞물림을 통하여 식품의 물성이 측정될 수 있음으로써, 원뿔 형이나 블레이드 형과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로브들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분석한 데이터에 비하여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식품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 중에서 필요한 위치의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만 남기고 나머지는 분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금니에 해당하는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들만을 남기고 다른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들은 제거한 후, 전술한 과정으로 식품의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어금니의 저작에 의한 마쇄효과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 중에서 필요한 프로브만 남기고 다른 프로브는 제거하고 사용하거나, 상,하악 치아형 프로브(34,44)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어금니는 물론, 송곳니나 앞니 등의 기능을 통하여 식품의 조직감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식품 물성 분석장치 12 : 승,하강부재
14 : 테이블 20 : 프로브장치
30 : 상악 모형부 32 : 상악 잇몸부
32A,42A : 접촉부 32B,42B : 결합 나사부
34 : 상악 치아형 프로브 36 : 상악 지지부재
38 : 상악 연결부재 40 : 하악 모형부
42 : 하악 잇몸부 44: 하악 치악형 프로브
45 : 지지블럭 46 : 하악 지지부재
48 : 하악 연결부재 50A : 상악 고정볼트
52B : 하악 고정볼트 52A ,52B : 볼트공

Claims (5)

  1.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로서,
    인간의 상악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상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상악 잇몸부를 구비하는 상악 모형부; 및
    상기 상악 모형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하악용 치아 모형들이 설치되기 위한 하악 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된 하악 잇몸부를 구비하는 하악 모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악 설치공들에는, 어금니들, 송곳니들, 앞니들의 형상과 같은 형상 및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전체를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 중에서 선택된 치아형 프로브들만을 상기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은 멜라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로 조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과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은,
    서로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상악 잇몸부 및 하악 잇몸부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나사부들은,
    상기 상악 설치공들 및 상기 하악 설치공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모형부는,
    식품 물성 분석장치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부재에 결합되는 상악 지지부재; 및 상기 상악 잇몸부의 상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기 상악 잇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기 상악 잇몸부가 결합될 때, 상기 상악 지지부재와 상악 잇몸부 사이에 상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상악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모형부는,
    상기 식품 물성 분석장치의 테이블에 설치되되, 상기 상악 지지부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블럭들; 상기 지지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악 지지부재; 및 상기 하악 잇몸부의 저면 영역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상기 하악 잇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상기 하악 잇몸부가 결합될 때, 상기 하악 지지부재와 하악 잇몸부 사이에 하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링 형상의 하악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모형부는,
    상기 상악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각각의 결합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위한 상악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악 고정수단은,
    볼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악 공간에서 상기 결합 나사부들에 체결되어 상기 상악 치아형 프로브들을 상기 상악 잇몸부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상악 고정볼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악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각각의 결합 나사부를 탈,장착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위한 하악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하악 고정수단은,
    볼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하악 공간에서 상기 결합 나사부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악 치아형 프로브들을 상기 하악 잇몸부에 고정하기 위한 하악 고정볼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KR1020140000902A 2014-01-03 2014-01-03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KR10147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902A KR101478719B1 (ko) 2014-01-03 2014-01-03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US15/109,564 US10126281B2 (en) 2014-01-03 2014-10-07 Probe device for analyzing physical properties of food, having teeth form
PCT/KR2014/009434 WO2015102210A1 (ko) 2014-01-03 2014-10-07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US15/899,023 US10551365B2 (en) 2014-01-03 2018-02-19 Probe device for analyzing physical properties of food, having teeth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902A KR101478719B1 (ko) 2014-01-03 2014-01-03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719B1 true KR101478719B1 (ko) 2015-01-05

Family

ID=5258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902A KR101478719B1 (ko) 2014-01-03 2014-01-03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485A1 (ko) * 2016-05-31 2017-12-07 한국식품연구원 6자유도의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20170135366A (ko) * 2016-05-31 2017-12-08 한국식품연구원 6자유도의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101816542B1 (ko) * 2016-06-20 2018-01-09 한국식품연구원 시료차폐수단이 구비된 식품물성 분석용 치아모형 및 이를 이용한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101816541B1 (ko) * 2016-06-20 2018-01-09 한국식품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식품물성 분석용 치아모형 및 이를 이용한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WO2019107765A1 (ko) * 2017-11-30 2019-06-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KR102061418B1 (ko) 2018-06-29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의 조직감 반복 측정 시스템
KR20200039344A (ko) 2018-10-05 2020-04-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54Y2 (ja) * 1987-10-01 1994-06-29 株式会社ニッシン 歯牙着脱可能な歯科実習用マネキン
JP2000107207A (ja) * 1998-10-07 2000-04-18 Ono Sokki Co Ltd 顎運動シミュレート方法
JP2004012242A (ja) * 2002-06-05 2004-01-15 Ajinomoto Co Inc 食感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54Y2 (ja) * 1987-10-01 1994-06-29 株式会社ニッシン 歯牙着脱可能な歯科実習用マネキン
JP2000107207A (ja) * 1998-10-07 2000-04-18 Ono Sokki Co Ltd 顎運動シミュレート方法
JP2004012242A (ja) * 2002-06-05 2004-01-15 Ajinomoto Co Inc 食感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485A1 (ko) * 2016-05-31 2017-12-07 한국식품연구원 6자유도의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20170135366A (ko) * 2016-05-31 2017-12-08 한국식품연구원 6자유도의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101816542B1 (ko) * 2016-06-20 2018-01-09 한국식품연구원 시료차폐수단이 구비된 식품물성 분석용 치아모형 및 이를 이용한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KR101816541B1 (ko) * 2016-06-20 2018-01-09 한국식품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식품물성 분석용 치아모형 및 이를 이용한 저작운동 시뮬레이터
WO2019107765A1 (ko) * 2017-11-30 2019-06-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KR20190063800A (ko) 2017-11-30 2019-06-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KR102058781B1 (ko) 2017-11-30 2019-12-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KR102061418B1 (ko) 2018-06-29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의 조직감 반복 측정 시스템
KR20200039344A (ko) 2018-10-05 2020-04-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 재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719B1 (ko) 치아 형태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US10551365B2 (en) Probe device for analyzing physical properties of food, having teeth form
CN109009177B (zh) 一种基于薄膜压力传感器的单颗牙咬合力测量装置
KR10177911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
JP6457618B2 (ja) 物体の構造的特性を特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
AU2017357848A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CN110567825B (zh) 一种用于测试的仿生口腔结构及其应用
CN104523087A (zh) 一种智能枕头及监控睡眠质量的方法
ATE460882T1 (de) Echtzeitüberwachung des zustandes des vegetativen nervensystems
JP2015144695A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デバイス
Isobe et al. The influence of denture supporting tissue properties on pressure-pain threshold–Measurement in dentate subjects–
KR101585055B1 (ko) 볼헤드 연동구조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KR101585052B1 (ko) 베어링 연동구조를 갖는 식품 물성 분석용 프로브 장치
Augusti et al. Effect of different dental articulating papers on SEMG activity during maximum clenching
KR101919447B1 (ko) 교합력 측정장치
KR101204501B1 (ko) 임플란트용 높이측정기구
JP2020134526A (ja) 食感評価システム及び食感評価方法
JP5143764B2 (ja) ガムベースの設計方法
JP2007206000A (ja) 口唇圧測定装置
CN107260188B (zh) 一种基于力传感器的多方向咬合力测量装置
CN212037804U (zh) 一种振动反馈的种植牙动度检测装置
Dan et al. First bite for hardness judgment as haptic exploratory procedure
CN111110382A (zh) 一种振动反馈的种植牙动度检测装置
CN210893978U (zh) 一种用于测试的仿生口腔结构
WO2012037923A3 (de) Vorrichtung zur ermittlung patientenspezifischer kaukräf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