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70B1 -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70B1
KR101833170B1 KR1020170040185A KR20170040185A KR101833170B1 KR 101833170 B1 KR101833170 B1 KR 101833170B1 KR 1020170040185 A KR1020170040185 A KR 1020170040185A KR 20170040185 A KR20170040185 A KR 20170040185A KR 101833170 B1 KR101833170 B1 KR 10183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extension
prosthesis
tooth mode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열
Original Assignee
이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열 filed Critical 이강열
Priority to KR102017004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3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height adjust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고 상기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한 후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을 교합시키고, 교합된 높이를 설정하여 정밀한 보철물 성형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100)은 상악프레임(11)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에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공(1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114)을 포함하는 제1연장대(110)와; 상기 제1연장대(110)와 대응되도록 하악프레임(1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대(120)와; 상기 제1연장대(110)의 체결공(114)에 체결되는 조임나사(130); 및 상기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제2연장대(120)에 일단이 밀착되면 상기 조임나사(130)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교합기(10)의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 사이의 높이가 설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축(140);을 포함하여,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바이트를 제외한 치아모형을 제거한 후 교합기를 교합시켜 상기 바이트와 치아모형이 교합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높이에 의해 보철물의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Dentistry dental technician b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합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구성하여,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바이트를 제외한 치아모형을 제거한 후 교합기를 교합시켜 상기 바이트와 치아모형이 교합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높이에 의해 보철물의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져 보철물을 착용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을 해소하는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턱관절의 운동을 통해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면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장애가 발생한다. 이 경우, 손상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를 사용한다.
상기 교합기는 치아모형을 장착하고,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보철물 삽입시 기존 치아와 융화되도록 보철물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교합기는 아주 간단한 개폐식 기구에서부터 아주 복잡하고 정교한 기구에 이르기까지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조절강도에 의하여 분류하면 비조절성 교합기, 반조절성 교합기, 완전조절형 교합기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비조절성 교합기는 접번식 교합기와 평균식 교합기로 구분되며, 접번식 교합기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교합기로서 구조적으로 조절은 전혀 할 수 없고, 상,하 개폐운동만 할 수 있거나 제한된 범위의 측방운동만을 할 수 있다.
또한, 평균식 교합기는 과로각도(condylar guidance angle)가 평균치인 30°에 비슷하게 이루어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람마다 과로각도가 상이하지만 개인별 조절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교합기에 모형을 부착할 때는 상,하악간의 중심위 교합기록만이 필요하므로 어떤 방법으로도 과로를 조절할 수 없으나 상악구조를 움직일 수 있어 측방운동의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반조절용 교합기는 과로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적 특징이 있으며, 중심위 교합기록과 전방위 교합기록 및 측방위 교합기록 등에 의하여 교합기를 조절할 수 있어 비조절용 교합기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나은 의치 또는 수복물을 제적할 수 있다.
또한, 완전조절용 교합기는 교합기 가운데 가장 정교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반조절용 교합기보다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 교합기를 사용하는 데에는 휠씬 더 복잡한 준비와 조작이 필요한 관계로 사용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치과기공소나 치과기공실에서는 이러한 교합기들을 각기 특성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비조절성 교합기 중 접번식 교합기는 거의 사용이 없는데 반해 평균식 교합기는 임시 의치나 간단한 치관교의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치과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반조절성 교합기는 특히, 총의치 및 국부의치 제작에 가정 적절한 교합기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교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프레임(11)과 하악프레임(12)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악프레임(11)과 하악프레임(12)의 단부 각각에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20)을 석고 고정부(22)로 일체화시켜 성형하여 고정하고, 제작작업이 끝날때까지 상악프레임(11)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동작 이외에는 교합기(10)와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20)을 분리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치아모형을 이용해서 치아보철을 제조하기 위해 트리머를 이용하여 치아모형의 바닥면을 평평하고, 상기 치아모형의 각 치아 하부 중앙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고정핀을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핀이 삽입된 치아모형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형상의 틀에 치과용 석고를 주입하여 경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된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베이스판을 형성한 다음 베이스판의 상단에 고정된 치아모형 중 보철을 요하는 특정 치아부위 즉, 치료부위를 절단하여 절단된 치아모형을 가지고 보철을 제작한다.
치기공 작업공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치과 병원 등에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악 및 하악 각각에 대한 본을 뜨게 되고, 또한 치료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바이트로 본을 뜬다.
이렇게 본을 뜬 상악과 하악 및 바이트를 치기공소에 전달하면, 상기 치기공소에서는 상악 및 하악의 본을 통해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20)을 석고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치아모형(20)의 치료부위에 바이트(30)를 삽입시켜, 환자의 구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모형(20)과 바이트(30)가 구성된 상태에서 교합기(10)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기(10)에 고정된 치아모형(20)에서 바이트(30)를 제거한 후, 치료부위에 대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치과병원 등에서 본을 뜬 상악과 하악에 석고를 부어 치아모형을 형성하는데, 이 경우, 석고의 반죽상태나 주변온도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응고된 석고가 수축 또는 팽창 등의 미세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아모형은 석고와 같이 단단한 상태를 유지하여 치료부위 외에 위치한 치아모형의 상악 및 하악이 교합됨에 따라, 바이트가 위치된 치료부위에서는 부정확한 교합이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에 의해 교합기에서 바이트를 제거한 후 보철물을 제작할 경우, 치아모형의 미세한 변형 및 치료부위의 부정확한 교합에 의해 완성된 보철물을 환자에게 이식하게 되면 상술한 문제점에 의해 부정확한 교합으로 환자는 보철물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으로 착용의 불편성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에게 이식된 보철물은 단단한 석고로 이루어진 치아모형을 통해 보철물을 형성하게 되나, 실제적으로 환자의 잇몸은 피부조직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이식된 보철물에 의한 이물감에 의해 더욱더 착용의 불편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20295호(2001.04.16.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16046호(2011.02.23.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73893호(2014.08.0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합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구성하여,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바이트를 제외한 치아모형을 제거한 후 교합기를 교합시켜 상기 바이트와 치아모형이 교합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높이에 의해 보철물의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져 보철물을 착용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을 해소하는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 프레임 각각에 치아모형을 고정하여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 및 하악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어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고 상기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한 후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을 교합시키고, 교합된 높이를 설정하여 정밀한 보철물 성형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악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제1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와 대응되도록 하악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조임나사; 및 상기 제1연장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제2연장대에 일단이 밀착되면 상기 조임나사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교합기의 상악 및 하악프레임 사이의 높이가 설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 프레임 각각에 치아모형을 고정하여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 및 하악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어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고 상기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한 후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을 교합시키고, 교합된 높이를 설정하여 정밀한 보철물 성형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악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제1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와 대응되도록 하악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제2연장대에 하단이 밀착됨에 따라 교합기의 상악 및 하악프레임 사이의 높이가 설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축; 및 상기 제1연장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에 의해 높이가 설정되면 상기 승강축을 압박하여 설정높이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고정부는, 상기 제1연장대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삽입홈이 형성되는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대의 체결공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일측에 단속핀이 형성된 압착핀; 및 상기 압착핀의 단속핀과 연장지지부재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이 항상 승강축의 일측을 압박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연장대의 삽입공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축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공 및 승강축 각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 프레임 각각에 치아모형을 고정하여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교합기를 통해 보철물 성형방법에 있어서, 석고로 본을 뜬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과 상기 치아모형 중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에 교합기를 고정시켜 교합상태를 유지하는 1차 교합단계와; 상기 1차 교합단계를 통해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이 교합되면, 상기 바이트가 위치한 부분에 위치한 치아모형을 제거하는 치아모형 제거단계와; 상기 치아모형 제거단계를 통해 바이트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면, 바이트와 이와 대응하는 치아모형 상호를 교합시키는 2차 교합단계와; 상기 2차 교합단계를 통해 2차 교합이 완료되면, 교합기의 일측에 구성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교합기의 설정높이를 설정하는 교합상태 설정단계와; 상기 교합상태 설정단계를 통해 교합기의 지지수단을 통해 설정높이가 설정되면, 치료부위에 구성된 바이트를 제고하고 치아모형을 재장착시키는 바이트 제거단계; 및 상기 바이트 제거단계를 통해 바이트가 제거되면,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이 고정된 교합기를 통해 치료부위에 맞춰 보철물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을 통해 설정된 교합기 설정높이만큼 상기 보철물의 높이를 맞춰지도록 하여 착용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이 해소되도록 하는 보철물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합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구성하여,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바이트를 제외한 치아모형을 제거한 후 교합기를 교합시켜 상기 바이트와 치아모형이 교합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높이에 의해 보철물의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져 보철물을 착용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합기의 작용상태도로서,
2a는 교합기에 치아모형을 구성한 상태도이고, 2b는 치아모형의 치료부위에서 바이트를 제거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에 치아모형을 고정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다른 일례를 보인 교합기의 사시도.
도 6a 내지 6f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에 따른 보철물성형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8a 내지 8b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탄성고정부의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교합기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치아모형(20)이 고정되는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이 구성되고, 상기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는 지지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100)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이 교합되는 위치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함으로서, 보철물의 제작할 때 상기 지지수단(100)에 설정된 기준점에 맞춰지도록 하여 이식된 보철물에 의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을 해소하여 착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100)은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 각각에서 연장되는 제1 및 제2연장대(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연장대(110)(1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축(140), 및 상기 승강축(130)의 일측을 압박시켜 상기 승강축(140)의 설정높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나사(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장대(110)(120)는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연장대(110)는 상기 상악프레임(11)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2연장대(120)는 상기 하악프레임(12)의 일측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대(110)의 일측에는 승강축(140)이 삽입되는 삽입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12)은 상기 승강축(140)이 삽입된 상태를 지지하여, 상기 승강축(140)의 승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삽입공(112)에는 삽입된 승강축(14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회전모멘트의 작용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평면 또는 돌기 등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11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승강축(140)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113)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구조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회전방지부재(113)가 돌기로 형성되면 상기 승강축(140)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113)의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승강축(140)의 일부도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113)는 상기 승강축(140)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연장대(110)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공(112)에 삽입된 승강축(140)의 일단을 강제 압박하여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조임나사(130)가 체결되는 체결공(11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장대(120)는 상기 하악프레임(1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축(140)의 승강높이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연장대(120)에 승강축(140)의 하단이 밀착되면, 상기 승강축(140)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조임나사(130)는 상기 제1연장대(110)의 체결공(114)에 체결되어 상기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된 승강축(140)의 일단을 압박시켜 상기 승강축(140)의 승강높이가 단속되도록 하는 압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조임나사(130)는 체결공(114)에 체결되어 상기 승강축(140)의 일단을 압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조임나사(130)는 육각머리볼트, 일자 또는 십자홈머리 나사, 또는 세트스크류 등이다.
상기 승강축(140)은 상기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삽입공(112)을 통해 승강되면서 조임나사(130)에 의해 승강높이가 단속됨으로써,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에 대한 교합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승강축(140)은 상기 삽입공(112)에 형성된 회전방지부재(113)와 대응되는 형상 또는 구조로 형성되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승강축(140)의 하단부에는 제2연장대(120)와의 밀착면적을 확대시켜 안정적인 승강높이 설정이 유도되도록 하는 지지판(14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축(140)에는 상기 지지판(142)이 상기 승강축(140)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나사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승강축(140)의 하단에 지지판(142)을 일체화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지지판(142)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합기(10)의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에 지지수단(100)을 구성한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치아모형이 고정되는 부분에 지지수단(100)이 구성된 상태이고, 도 5는 치아모형에 간섭되지 않는 부분에 지지수단(100)을 구성한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의 보철물성형 방법은, 1차 교합단계(S1)와, 치아모형 제거단계(S2)와, 2차 교합단계(S3)와, 교합상태 설정단계(S4)와, 바이트 제거단계(S5) 및 보철물 성형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1차 교합단계(S1)는 본 뜬, 상악 및 하악 치아모형과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된 상태의 치아모형에 교합기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즉, 석고 등을 통해 본을 뜬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과 상기 치아모형 중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교합기(10)의 상악 및 하악 프레임(11)(12)의 일단에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 각각을 고정시킴으로써, 치아모형(20)이 교합기(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모형 제거단계(S2)는 상기 1차 교합단계(S1)를 통해 치아모형에 교합기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치아모형 중 치료부위가 위치된 치아모형에서 바이트를 제외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교합단계(S3)는 상기 치아모형 제거단계(S2)를 통해 바이트를 제외한 부분의 치아모형이 제거된 상태에서, 교합기를 통해 상악 및 하악을 2차 교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1차 교합시에 바이트(30)가 위치된 치아모형 중 타방에 위치한 치아모형이 대응하는 부분에서 먼저 교합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치료부위에 대한 정밀한 보철물 성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뜬 치아모형에 석고 등을 이용하여 치아모형을 성형할 때 신축되는 등의 변형에 의해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높이를 정밀하게 성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치료부위에 위치한 바이트(30)를 제외한 치아모형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바이트(30)의 타방에 위치한 치아모형과의 교합이 간섭되지 않게 됨으로써, 치료부위에 대한 교합높이가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교합상태 설정단계(S4)는 상기 2차 교합단계(S3)를 통해 바이트와 치아모형을 2차 교합하면, 교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교합기의 일측에 구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교합높이를 설정한다.
이는, 바이트(30)와 타방의 치아모형이 교합되도록 한 후, 상악 프레임(11)의 일측에 구성된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된 승강축(140)을 하방으로 내린다.
이어서, 하강시킨 승강축(140)의 하단부가 하악 프레임(12)의 일측에 구성된 제2연장대(120)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연장대(110)의 일단에 구성된 조임나사(130)를 상기 승강축(140) 측으로 조임시켜, 상기 조임나사(130)에 의해 상기 승강축(1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2차 교합된 교합기의 교합높이가 승강축(140)에 의해 설정이 완료된다.
상기 바이트 제거단계(S5)는 상기 교합상태 설정단계(S4)를 통해 교합기의 높이가 설정되면, 상기 바이트(30)를 제거하고 제거되었던 치아모형을 재장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철물 성형단계(S6)는 상기 바이트 제거단계(S5)를 통해 바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바이트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재장착하면,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을 통해 치료부위에 보철물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는, 바이트(30)를 제거한 후 치아모형을 재장착하고, 장착된 치아모형을 교합기(10)를 통해 교합시켜, 치료부위에 보철물의 성형을 수행한다.
이때, 최초 보철물은 치료부위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 상태이므로, 교합기(10)의 상하 교합을 통해 절삭공정을 수행하여 보철물의 높낮이 및 외부 성형을 한다.
그리고, 상기 교합기(10)의 일측에 구성된 지지수단(100)을 통해 보철물의 높이를 맞추게 된다. 즉, 상기 지지수단(100)의 승강축(140)의 하단부가 제2연장대(120)에 밀착되는 높이가 맞춰지도록 보철물의 절삭 및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보철물의 높이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치아모형의 변형 등에 의해 보철물의 높이가 맞춰지지않게 됨에 따라 이질감 또는 이물감으로 착용의 불편성을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지지수단(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장대(110)(120)와, 승강축(140) 및 상기 승강축(140)의 일단을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탄성고정부(15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고정부(150)는 상기 승강축(14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140)의 설정된 높이가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탄성고정부(150)는 압착핀(152) 및 상기 압착핀(152)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5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대(110)에는 상기 탄성고정부(150)의 스프링(154)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장지지부재(1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재(116)에는 압착핀(152)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핀(152)은 일단이 체결공(114)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홈(117)에 삽입된 상태가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왕복 슬라이딩되며, 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항상 승강축(140)의 일측을 밀착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승강축(140)이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압착핀(152)의 일측에는 스프링(154)의 탄성작용에 의해 항상 승강축(140)의 일단을 압박시키는 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단속핀(15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단속핀(156)은 제1연장대(110)와 연장지지부재(116) 사이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핀(152)의 일단은 승강축(140)의 일단을 압박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54)은 상기 압착핀(152)의 단속핀(156)과 연장지지부재(116)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152)이 항상 승강축(140)의 일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고정부(150)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모형(20) 중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고 바이트(30) 만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악 및 하악을 교합시킨다.
그리고, 제1연장대(110)에 구성된 탄성고정부(150)의 압착핀(152)을 잡아당겨 상기 압착핀(152)에 의해 압박되는 승강축(140)의 압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승강축(140)은 삽입공(112)에서 자유롭게 승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축(140)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게 되어, 상기 승강축(140)의 하단부가 제2연장대(120)에 밀착되면 잡아당겼던 압착핀(152)을 놓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압착핀(152)은 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축(140)을 압박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승강축(140)의 하강높이를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지수단 110: 제1연장대
112: 삽입공 113: 회전방지부재
114: 체결공 116: 연장지지부재
117: 삽입홈 120: 제2연장대
130: 조임나사 140: 승강축
142: 지지판 144: 고정나사
150: 탄성고정부 152: 안착핀
154: 스프링 156: 단속핀

Claims (5)

  1. 삭제
  2. 상악 및 하악 프레임 각각에 치아모형을 고정하여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치료부위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고 상기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삽입한 후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을 교합시키고, 교합된 높이를 설정하여 정밀한 보철물 성형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100)은 상악프레임(11)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에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공(1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114)을 포함하는 제1연장대(110)와;
    상기 제1연장대(110)와 대응되도록 하악프레임(1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대(120)와;
    상기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제2연장대(120)에 하단이 밀착됨에 따라 교합기(10)의 상악 및 하악프레임(11)(12) 사이의 높이가 설정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축(140); 및
    상기 제1연장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140)에 의해 높이가 설정되면 상기 승강축(140)을 압박하여 설정높이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탄성고정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고정부(150)는, 상기 제1연장대(110)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삽입홈(117)이 형성되는 연장지지부재(11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대(110)의 체결공(114)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지지부재(116)의 삽입홈(117)에 삽입되며 일측에 단속핀(156)이 형성된 압착핀(152); 및
    상기 압착핀(152)의 단속핀(156)과 연장지지부재(116)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압착핀(152)이 항상 승강축(140)의 일측을 압박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대(110)의 삽입공(112)에는,
    상기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승강축(14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공(112) 및 승강축(140) 각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5. 상악 및 하악 프레임 각각에 치아모형을 고정하여 치료부위에 대한 보철물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교합기를 통해 보철물 성형방법에 있어서,
    석고로 본을 뜬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과 상기 치아모형 중 치료부위에 바이트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에 교합기를 고정시켜 교합상태를 유지하는 1차 교합단계(S1)와;
    상기 1차 교합단계(S1)를 통해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이 교합되면, 상기 바이트가 위치한 부분에 위치한 치아모형을 제거하는 치아모형 제거단계(S2)와;
    상기 치아모형 제거단계(S2)를 통해 바이트가 위치된 부분의 치아모형을 제거하면, 바이트와 이와 대응하는 치아모형 상호를 교합시키는 2차 교합단계(S3)와;
    상기 2차 교합단계(S3)를 통해 2차 교합이 완료되면, 교합기의 일측에 구성된 청구항 2의 지지수단을 통해 교합기의 설정높이를 설정하는 교합상태 설정단계(S4)와;
    상기 교합상태 설정단계(S4)를 통해 교합기의 지지수단을 통해 설정높이가 설정되면, 치료부위에 구성된 바이트를 제거하고 치아모형을 재장착시키는 바이트 제거단계(S5); 및
    상기 바이트 제거단계(S5)를 통해 바이트가 제거되면, 상악 및 하악의 치아모형이 고정된 교합기를 통해 치료부위에 맞춰 보철물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을 통해 설정된 교합기 설정높이만큼 상기 보철물의 높이를 맞춰지도록 하여 착용시 이질감 또는 이물감이 해소되도록 하는 보철물 성형단계(S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KR1020170040185A 2017-03-29 2017-03-29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KR10183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185A KR101833170B1 (ko) 2017-03-29 2017-03-29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185A KR101833170B1 (ko) 2017-03-29 2017-03-29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170B1 true KR101833170B1 (ko) 2018-02-28

Family

ID=6140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185A KR101833170B1 (ko) 2017-03-29 2017-03-29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CN115245395A (zh) * 2022-07-27 2022-10-28 荣嘉医疗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合成树脂牙
KR20220165907A (ko) * 2021-06-09 2022-12-16 김현수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223A1 (en) * 1981-12-21 1983-07-07 Gerbelot-Barrillon, Pierre Articulator for dentistry
WO1983003962A1 (fr) * 1982-05-19 1983-11-24 Gerbelot Barrillon Pierre Articulateur pour l'art dentaire
JPH1014941A (ja) * 1996-07-01 1998-01-20 Osamu Kabaya 咬合器
JP3558190B2 (ja) * 1996-06-28 2004-08-25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義歯製作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2223A1 (en) * 1981-12-21 1983-07-07 Gerbelot-Barrillon, Pierre Articulator for dentistry
WO1983003962A1 (fr) * 1982-05-19 1983-11-24 Gerbelot Barrillon Pierre Articulateur pour l'art dentaire
JP3558190B2 (ja) * 1996-06-28 2004-08-25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義歯製作器具
JPH1014941A (ja) * 1996-07-01 1998-01-20 Osamu Kabaya 咬合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558190호(2004.08.25.)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KR20220165907A (ko) * 2021-06-09 2022-12-16 김현수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KR102519986B1 (ko) 2021-06-09 2023-04-10 김현수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CN115245395A (zh) * 2022-07-27 2022-10-28 荣嘉医疗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合成树脂牙
CN115245395B (zh) * 2022-07-27 2024-01-26 荣嘉医疗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合成树脂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3748739A (en) Oral implant stabilizer and denture support
US5915962A (en) Dental implant and prosthesis positioning
KR101833170B1 (ko) 치기공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통한 보철물성형 방법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RU2771108C2 (ru) Выравн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ндартны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набор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выравн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такого набора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WO2005099614A1 (ja)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EP33482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EP0574868A2 (de) Apparatur zur Führung eines zahnärztlichen Instrumentes oder eines Messgerätes und Verfahren zur Präparation von Zähnen und zur Herstellung von Restaurationen
Dikbas et al. Fabricating sectional-collapsible complete dentures for an edentulous patient with microstomia induced by scleroderma.
JP2004113398A (ja) 咬合器及び義歯の作製方法及び義歯作製における咬合高径の調整方法
JP3198037U (ja) 総義歯口腔再建装置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RU28018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CN216455452U (zh) 一种口腔修复用挡舌器
CN216257553U (zh) 一种防止意外松脱的全瓷义齿
CN216455383U (zh) 一种微种植支抗钉植入辅助装置
RU110974U1 (ru) Надесневая опора для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рижимом к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е альвеолярного отростка
CN211610167U (zh) 一种口腔修复矫正辅导装置
RU228042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ременных несъемных проте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