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01B1 -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01B1
KR102325301B1 KR1020200021661A KR20200021661A KR102325301B1 KR 102325301 B1 KR102325301 B1 KR 102325301B1 KR 1020200021661 A KR1020200021661 A KR 1020200021661A KR 20200021661 A KR20200021661 A KR 20200021661A KR 102325301 B1 KR102325301 B1 KR 102325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holder
abutment
fix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756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0002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단부에 경유삽입부가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기설정된 식립점에 대응하여 구강에 배치되고, 기설정된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경유삽입부의 개구방향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형합되는 정렬돌기가 내주에 돌설된 수납홈이 형성된 지그베이스가 결합되는 제1단계; 각 상기 지그베이스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정렬지지부를 통해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정렬된 정렬베이스로 형성되는 제2단계;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가 형성된 홀더 아날로그가 상기 정렬베이스의 각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되, 상기 각도정렬부가 상기 정렬돌기에 형합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경화성 소재가 충진 및 경화되어 형성된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속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로부터 상기 정렬베이스가 분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각도컨펌모델에 고정된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도정렬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되되,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구강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alignment fixing method of fixing bar for digital overdenture using jig apparatus for alignment of abutment}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성이 개선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 또는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실질적으로 구강에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와 같이 구강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이때, 종래의 결합수단은 상기 치고골에 복수개로 식립 및 고정되는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고정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볼형 부재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상기 볼형 부재 중 어느 하나라도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면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타입의 결합수단에는 복수개의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고정바가 삽입되도록 경유삽입부가 형성되며, 볼타입의 결합수단에 비해 체결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고정바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대상악궁에 기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경유되도록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기설정된 절곡각도에 대응하여 절곡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유삽입부는 상기 고정바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개구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으로 옮기거나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에 배치된 어버트먼트가 체결나사를 통해 회전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가 유동되거나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경유삽입부의 개구방향이 상기 절곡각도와 일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경유삽입부가 정렬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를 억지로 끼워넣는 경우 상기 고정바가 절곡된 상태의 복원력이 어버트먼트 및 픽스츄어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픽스츄어가 식립된 치조골이 녹거나 파절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47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 경유삽입부가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기설정된 식립점에 대응하여 구강에 배치되고, 기설정된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경유삽입부의 개구방향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형합되는 정렬돌기가 내주에 돌설된 수납홈이 형성된 지그베이스가 결합되는 제1단계; 각 상기 지그베이스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정렬지지부를 통해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정렬된 정렬베이스로 형성되는 제2단계;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가 형성된 홀더 아날로그가 상기 정렬베이스의 각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되, 상기 각도정렬부가 상기 정렬돌기에 형합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경화성 소재가 충진 및 경화되어 형성된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속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로부터 상기 정렬베이스가 분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각도컨펌모델에 고정된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도정렬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되되,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구강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강에 실제로 체결된 홀더 어버트먼트의 경유삽입부 방향을 조절하여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를 정밀하게 설정한 후에 절곡경로정보에 맞추어 제조된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고정바의 절곡각도를 구강 외에서 정확하게 보정 가능하므로 고정바의 복원력이 치조골로 전달됨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구강에 홀더 어버트먼트를 체결 즉시 상단부에 지그베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베이스의 상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을 도포 및 경화시켜 홀더 아날로그를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정렬하는 정렬베이스를 신속하게 제조 가능하며, 환자의 내원횟수가 최소화되므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각도컨펌모델이 별도의 정밀한 설계과정 없이 단지 정렬베이스를 통해 정렬된 홀더 아날로그의 하단부에 경화성 소재가 동시에 감싸 충지되고 경화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되면서도 실제 구강과 고도로 정밀하게 제조됨에 따라 시술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구치측에 배치된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의 정렬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전치측에 체결이 완료된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의 정렬홈 위치가 기설정된 식립정보 및 절곡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므로 홀더 어버트먼트의 체결위치 및 방향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홀더 어버트먼트에 고정된 고정바에 디지털 오버덴쳐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고정바를 고정하는 홀더 어버트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구강에 홀더 어버트먼트가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홀더 어버트먼트에 지그베이스가 형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지그베이스의 상면도 및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정렬베이스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일체형 정렬베이스에 홀더 아날로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홀더 아날로그가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고정바의 각도 체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바 벤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홀더 어버트먼트에 고정된 고정바에 디지털 오버덴쳐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고정바를 고정하는 홀더 어버트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종래의 틀니처럼 구강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도 종래의 보철처럼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지지되는 치아수복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치열궁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바(1430)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고정바(1430)는 복수개의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통해 구강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내측에는 홀더삽입부(6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더삽입부(65)의 상측으로 관통된 고정홀(66)에 클립(67)의 일단부가 매립되며 상기 고정홀(66)에 충진되는 레진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클립(67)이 상기 홀더삽입부(65)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강(1)에 식립된 임플란트(2)의 상측으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체결되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통해 상기 고정바(143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삽입부(65)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바(1430)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삽입되면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1430)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구강(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는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구강(1)의 치열궁에 대응하도록 양단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1430)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호 맞물리는 범위가 치열궁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구강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구강(1)에 장착되고 저작시 턱의 움직임을 통해 유동되거나 연조직인 잇몸이 과도하게 가압됨을 방지하므로 사용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2)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상기 고정바(14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소로 식립 및 체결된다. 이때,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중앙부에 관통된 체결홀(1413)을 통해 체결나사(1420)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나사(1420)의 하단부가 상기 임플란트(2)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경유삽입부(1414)가 함몰되며,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바(143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내측 수평간격은 상기 고정바(143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소정의 여유공차를 포함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상측으로 가압스크류(1440)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가압스크류(1440)와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내측단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형성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 외측을 감싸는 홀더커버부(1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커버부(1450)에는 상기 경유삽입부(1414)와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연통삽입부(1454)가 하향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커버부(145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압스크류(144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체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스크류(1440)가 체결되면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가압스크류(1440)가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는 상기 경유삽입부(1414)와 상기 연통삽입부(1454) 사이로 노출되므로 상기 홀더커버부(1450)로 인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라 함은 후술되는 지그베이스 및 정렬결합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5의 1410)가 기설정된 식립점에 대응하여 구강(도 5의 1)에 배치된다. 그리고, 기설정된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도 5의 B)에 대응하여 상기 경유삽입부(도 5의 1414)의 양측 개구방향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5의 1410)의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도 5의 1414)와 형합되는 정렬돌기(도 5의 12a)가 내주에 돌설된 수납홈(도 5의 12)이 형성된 지그베이스(도 5의 10)가 결합된다(s10).
여기서, 상기 지그베이스는 상기 정렬돌기(도 5의 12a)가 형성된 고정용 지그베이스(도 5의 10)와 상기 수납홈이 정원형으로 함몰된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구강(도 5의 1)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5의 1410)에 결합되는 지그베이스는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도 5의 10)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도 5의 10)는 상기 정렬돌기(도 5의 12a)가 상기 경유삽입부(도 5의 1414)에 형합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고정바의 정렬 고정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를 구강에 정렬 고정하는 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를 구강에 정렬 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도 7의 1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정렬지지부(도 7의 71)를 통해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정렬된 정렬베이스(도 7의 71)로 형성된다(s20). 이때, 상기 정렬지지부(도 7의 71)는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된 부분이고 상기 정렬베이스(도 7의 70A)는 상기 정렬지지부(도 7의 71)와 상기 정렬지지부(도 7의 71)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복수개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도 7의 10)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정렬베이스(도 8의 70A)의 각 상기 수납홈(도 8의 12)에 홀더 아날로그(도 8의 80)가 결합된다(s30). 여기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도 8의 80)의 상단부에는 상기 경유삽입부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도 8의 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정렬부(도 8의 81)가 상기 수납홈(도 8의 12)의 내주에 돌설된 상기 정렬돌기(도 8의 12a)에 형합된다. 이때, 상기 정렬베이스(도 8의 70A)의 수납홈(도 8의 12)은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의 수납홈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도정렬부(도 8의 81)가 상기 정렬돌기(도 8의 12a)에 형합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도 8의 80)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경화성 소재가 충진 및 경화되어 각도컨펌모델(도 9의 7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컨펌모델(도 9의 70B)을 통해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도 9의 80)가 구속되고, 상기 홀더 아날로그(도 9의 80)로부터 상기 정렬베이스(도 9의 70A)가 분리된다(s30).
이어서,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된 상기 고정바(도 10의 1430)가 상기 각도컨펌모델(도 10의 70B)에 고정된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도 10의 80)의 각도정렬부(도 10의 81)에 동시에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상기 고정바(도 10의 1430)가 상기 구강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로 이동되어 고정된다(s40).
이처럼, 본 발명은 구강에 실제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경유삽입부 개구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고정바의 절곡오차를 컨펌할 수 있는 각도컨펌모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컨펌모델의 제조과정이 실제 구강에서 시작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바의 절곡오차가 정밀하게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상기 고정바의 절곡각도가 상기 구강에 고정된 홀더 어버트먼트와 정확하게 매칭되도록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복잡하고 정밀한 설계과정 및 제조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난이도가 낮으며 경제적이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는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구강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각 경유삽입부의 양측 개구방향과 대응되도록 절곡각도가 컨펌 및 보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구강에 홀더 어버트먼트가 체결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도 1의 60)의 설계를 위한 3차원 작업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상기 식립정보(A)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매칭되도록 상기 구강(1)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형성된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개구방향은 상기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B)를 기반으로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식립정보(A)는 상기 구강(1)의 전치측에 설정되는 전치측 식립점(A1) 및 구치측에 설정되는 구치측 식립점(A2)을 포함하여 복수개로 설정된다. 이때, 각 상기 식립점(A1,A2)은 구강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쌍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경로정보(B)는 한쌍의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을 직선으로 통과하도록 연장된 중앙라인(B1)과, 한쌍의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을 각각 직선으로 통과하도록 연장된 양측라인(B2)을 포함하여 설정된다. 이때, 상기 양측라인(B2)은 상기 중앙라인(B1)의 양단측에 기설정된 절곡각도(d)로 교차되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절곡경로정보(B)는 실제 고정바의 절곡 기준점이 되는 절곡점(g)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점(g)은 상기 중앙라인(B1)과 상기 양측라인(B2)으로부터 상기 고정바의 반경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교차되는 부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 v로 표시된 일점쇄선은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따라 절곡된 고정바를 가상으로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후술되는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정렬 고정방법을 통해 상기 구강(1)에 체결되며, 이때 각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경유삽입부(1414)는 각 상기 식립점(A1,A2)을 통과하는 상기 절곡경로정보(B)와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구강(1)에 체결 고정된다 함은 상기 식립점(A1,A2)에 대응하여 상기 구강(1)에 식립된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에 상기 체결나사(1420)를 통해 체결 고정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구강(1)에 체결 고정된 각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몸체부(11)와 정렬헤드(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에 상기 수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2)의 내주에 상기 정렬돌기(12a)가 돌설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12)과 연통되는 관통공(13)이 상향 관통된다. 상기 관통공(13)은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체결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내부에 삽입 관통된 체결나사(1420)를 체결하는 드라이버/드릴 등의 고정수단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헤드(14)는 상기 몸체부(11)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상면부를 가로지르는 직선형의 정렬홈(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홈(15)은 상기 정렬돌기(12a)와 평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정렬헤드(14)의 형상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정렬헤드(14)는 원형, 타원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돌기(12a)는 상기 경유삽입부(1414)와 형합되는 수평폭을 가지며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상하로 함몰된 길이 미만으로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상기 정렬돌기(12a)가 형합된다.
이를 통해,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돌기(12a)가 각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기반으로 상기 절곡경로정보(B)와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강(1)의 전치측에 체결 고정된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결합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정렬돌기(12a)가 상기 중앙라인(B1)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구강(1)의 구치측에 체결 고정된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결합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정렬돌기(12a)가 상기 양측라인(B2)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상단부에 결합시, 상기 몸체부(11)의 하단 테두리(12b)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마진부(1417)에 접촉되거나 상기 수납홈(12)의 상측 내면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상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정렬돌기(12a)를 통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배열각도뿐만 아니라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실제 구강(1)에 체결된 높이까지 고려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구강(1)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컨펌모델(도 9의 70B)의 제조과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상기 구강(1) 또는 기제조된 인상모델에 체결 고정하는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정렬베이스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각 상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상기 정렬지지부(71)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렬베이스(70A)는 경화된 상기 정렬지지부(71)와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성품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화성 레진은 치과 또는 치기공소에서 치아수복 치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과용 레진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화성 레진은 경화되기 전 유동성과 소정의 점성을 갖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여 이격된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각 외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레진이 소정의 점성을 가지므로 상기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잇몸측으로 과도하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성 레진은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아수복시 사용되는 구강용 자외선램프 등을 통해 상기 구강(1) 내에서 광경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성 레진은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냉각처리시 경화되는 레진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면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연결하는 브릿지로서의 정렬지지부(71)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화성 레진은 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정렬지지부(71)를 통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 간의 이격된 간격과 위치, 그리고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형합된 상기 정렬돌기(12a)가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대응하여 정렬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일체형 정렬베이스에 홀더 아날로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홀더 아날로그가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베이스(70A)의 각 상기 수납홈(12)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홀더 아날로그(80)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2의 14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경유삽입부(도 2의 1414)와 대응되는 상기 각도정렬부(81)가 상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 상기 수납홈(12)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상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정렬돌기(12a)와 상기 각도정렬부(81)가 형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통해 상기 홀더 아날로그(80)가 상기 절곡경로정보(도 4의 B)에 대응하는 방향 및 상기 식립점(도 4의 A1,A2)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통해 상기 각도정렬부(81)가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대응하여 정렬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경화성 소재가 충진된다. 상세히, 상기 경화성 소재는 치과 또는 치기공소에서 채득된 인상체를 기반으로 석고모델을 제조시 사용되는 치과용 석고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과용 석고는 상술한 치과용 레진과 마찬가지로 경화되기 전 유동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 사이 및 외곽에 상기 치과용 석고가 감싸 충진되면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치과용 석고가 밀착 가능하게 가변되면서 일체형 덩어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석고가 경화되면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 사이가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80)가 상기 식립점(도 4의 A1,A2)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로 구속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은 상기 경화성 소재가 경화됨에 따라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가 매립된 매립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화성 소재가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충전된 상태로 경화되므로, 상기 매립홈(72)의 내주는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하단부 외면과 정확하게 형합 매칭될 수 있다.
즉, 치아수복의 최초단계에서 구강(1)을 통해 채득된 인상체 또는 설계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조됨으로 인해 구강(1)에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최종 식립/체결시 발생하는 오차를 반영하지 못하는 종래의 인상모델과 달리, 본 발명은 구강(1)에 최종 식립/체결된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통해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은 별도의 정밀한 측정기구 없이 상기 구강(1)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결합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형성, 상기 정렬베이스(70A)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80)를 결합, 상기 홀더 아날로그(80)를 기반으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을 제조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80)가 매립된 상태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하단부에는 구속정렬면(8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립홈(72)은 상기 경화성 소재가 경화되기 전 상기 구속정렬면(82)에 밀착되도록 충진되므로, 상기 구속정렬면(82)과 상기 매립홈(72)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80)가 상기 매립홈(72)에 매립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은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도정렬부(81)가 양측으로 개구된 방향 및 상기 홀더 아날로그(80)가 매립된 높이까지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통해 정렬된 상태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이 정밀한 설계과정 없이도 실제 구강(1)과 고도로 매칭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바(도 2의 1430)의 절곡각도(d)가 정확하게 컨펌 및 보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에서 고정바의 각도 체크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바 벤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을 통해 상기 절곡경로정보(도 4의 B) 및 상기 식립점(도 4의 A1,A2)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고정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 상단부로 상기 절곡경로정보(도 4의 B)에 대응하여 절곡된 상기 고정바(1430)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30)가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80)의 각도정렬부(81)로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가 각 상기 각도정렬부(81)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상기 각도정렬부(8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테두리에 간섭되거나 상기 각도정렬부(81)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절곡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되는 고정바(1430)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절곡오차를 보정한다. 이러한 절곡오차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각도(도 4의 d)가 정밀하게 보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30)가 각 상기 각도정렬부(81)에 측면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접촉 간섭없이 삽입되면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상기 고정바(1430)는 상기 구강(도 4의 1)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4의 1410)의 상단부로 이동되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4의 1410)의 각 경유삽입부(도 4의 1414)에 동시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크류(도 2의 1440)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도 2의 1410)의 각 상단부에 체결되면,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가압스크류(도 2의 1440)와 상기 경유삽입부(도 2의 1414)의 내측면 사이에 가압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오차를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을 통해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오차로 인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체결된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에 외력이 가해짐과, 이로 인한 치조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 벤딩장치(90)는 베이스부(91), 절곡가이더(92) 및 취부스틱(98)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91)는 소정의 두께 및 넓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조절 슬롯홀(93)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바(1430)의 중앙부가 평탄 지지되도록 스토퍼부(94)가 상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가이더(9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따라 이동되며, 절곡블록(95)과 가압고정부(96)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곡블록(95)은 일면이 상기 스토퍼부(94)의 타면과 대향되며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측이 상기 스토퍼부(9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절곡되도록 상기 스토퍼부(94)와 대면되는 상기 절곡블록(95)의 각 일면측 모서리에 절곡지지단(95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쌍으로 대칭 구비되는 상기 절곡가이더(92)의 각 절곡지지단(95a) 사이 간격은 상기 절곡점(도 4의 g) 사이 간격(wg)과 대응되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각 상기 절곡지지단(95a)의 위치가 상기 절곡점(g)에 대응되도록 안내하는 간격표식부(97)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타측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부(96)는 상기 절곡블록(95)이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따라 이동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96)의 가압력을 통해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가압고정부(96)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테두리가 클램핑되어 이동된 위치가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취부스틱(98)은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일단측에 취부삽입공(98a)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부(98b)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바(1430)는 상기 스토퍼부(94)와 한쌍의 상기 절곡블록(95) 사이에 그 중앙부가 배치된다. 또한, 각 상기 절곡블록(95)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바(1430)의 양단부가 각 상기 취부스틱(98)의 취부삽입공(98a)에 삽입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취부스틱(98)을 양손으로 쥐고 구부리면서 가해지는 굽힘력을 통해 상기 절곡경로정보(도 4의 B)에 대응하여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취부삽입공(98a)을 통해 상기 고정바(1430)의 각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이 상기 절곡지지단(95a)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절곡지지단(95a)에 인접한 상기 취부스틱(98)의 일단은 굽힘력을 받치는 지점이 되고 상기 핸들부(98b)측은 굽힘력을 가하는 지점이 된다. 따라서, 지렛대 원리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상기 고정바(1430)를 손쉽게 절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고정부(92)는 연장볼트부와 가압너트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연장볼트부는 상기 절곡블록(95)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하단부가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너트는 상기 연장볼트부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된다. 즉, 상기 가압너트가 상기 연장볼트부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가해지는 회전 체결력을 통해 상기 가압너트와 상기 절곡블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절곡블록(95)과 상기 가압너트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 슬롯홀(93)의 테두리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절곡가이더(92)의 이동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한쌍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에 대응하여 구강(1)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배치된다 함은 상기 식립점(A1,A2)에 대하여 상기 구강(1)에 기식립된 상기 임플란트(2)의 상단부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예비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예비 체결된다 함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임플란트(2)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도 2의 1420)가 2~3회 회전을 남기고 느슨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치측에 예비 체결된 한쌍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술한 상기 고정바(1430)의 정렬 고정과정에서 상기 정렬베이스(도 7의 71)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10)와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수납홈(12)에 돌설된 상기 정렬돌기(12a)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경유삽입부(1414)에 형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2)에 예비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회전 조작되는 방향으로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정렬홈(15)이 형성되되, 상기 정렬홈(15)은 상기 정렬돌기(12a)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홈(1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정렬돌기(12a)도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정렬돌기(12a)가 형합된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양측 개구방향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정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정렬홈(15)에 정렬결합바(30)가 동시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결합바(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되며, 단면 직경이 상기 정렬홈(15)의 내측가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결합바(30)는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으로 인한 변형이 최소화되는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렬결합바(30)는 상기 절곡경로정보(도 4의 B)에 따라 절곡되기 전 상태인 선형의 고정바(14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이웃하는 상기 정렬홈(15)에 상기 정렬결합바(30)가 동시에 삽입되면 한쌍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동시에 회전이 구속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치측에 배치된 한쌍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중앙라인(B1)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해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며, 예비 체결된 상기 체결나사(1420)가 상기 임플란트(2)에 완전히 회전 체결됨에 따라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전치측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치측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로부터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상기 정렬결합바(30)를 통해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정렬돌기(12a)에 형합되어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관통공(13)에 회전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1420)에만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중앙라인(B1)과 평행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기설정된 상기 전치측 식립점(A1) 및 상기 중앙라인(B1)에 대응하여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렬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전치측 식립점(A1) 중 일측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가 교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치측 식립점(A2) 중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배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즉, 구강(1)의 정준선을 기준으로 일측 전치측에 체결 고정된 홀더 어버트먼트(1410)와 일측 구치측에 예비 체결된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각각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와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상면부에 형성된 정렬홈(25)과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에 형성된 정렬홈(1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각 지그베이스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상기 수납홈(22)이 정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므로 상기 전치측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체결 고정된 방향이 유지된다. 즉,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상기 전치측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수납홈(12)에 상기 정렬돌기(12a)가 돌설되므로 상기 구치측의 일측에 예비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와 연동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각 상면부에 형성된 정렬홈(15,2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배치되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 구치측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양측라인(B2)에 평행하게 회전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상기 정렬홈(15)에 상기 정렬결합바(30)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체결나사(1420)를 회전 체결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에 대응하면서도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양측라인(B2)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이 상기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를 이용하여 타측 구치측에도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상술한 방법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점(도 4의 g)은 구강(1)의 치열궁영역,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 반경 및 상기 고정바(1430)의 단면 직경이 고려되어 설정된다. 이는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따라 절곡된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구강(1)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경유삽입부(1414)에 동시에 삽입시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간섭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은 상기 절곡점(도 4의 g)으로부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 반경 및 상기 고정바(1430)의 단면 직경 합을 초과하는 간격으로 구강(1)의 정중선측으로 이격되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라인(B2)은 상호 이웃하는 상기 전치측 식립점(A1) 및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을 연결하는 가상라인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상기 양측라인(B2)은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상기 절곡각도(d) 중심 및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을 연결하는 가상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상기 관통공(13)의 중심점 및 상기 정렬홈(15)의 내측 테두리 사이 간격이 상기 중앙라인(B1)과 상기 양측라인(B2)이 상기 절곡각도(d)로 배치된 상태가 고려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상기 수납홈(12)의 중심점과 상기 정렬홈(15)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수직 이격간격은 상기 절곡경로정보(B) 및 상기 절곡각도(d)에 따라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18771112-pat00001
여기서, w0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수납홈(22) 중심점과 상기 정렬홈(25)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수직 이격간격(w0), w1은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관통공(13) 중심점과 상기 정렬홈(15)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제1간격(w1), L은 상기 전치측 식립점(A1)과 구치측 식립점(A2)을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라인 길이(L), θ는 상기 양측라인(B2)과 상기 가상라인 사이의 각도(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관통공(13)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구치측 식립점(A2)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구강(1)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 및 이에 사용되는 서지컬 가이드(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다음의 일련의 단계를 통해 구강(1)에 체결 고정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를 상기 구강(1)에 식립하기 위한 상기 서지컬 가이드(50)가 준비된다. 이때, 상기 서지컬 가이드(50)는 내면부가 상기 구강(1)에 형합되며, 상기 식립점(도 4의 A1,A2)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에 가이드 슬리브(52)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52)는 중앙부에 가이드홀(51)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돌기(5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51)은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를 식립하는 드릴의 외주 직경과 대응하는 내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2a)는 상기 베이스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대칭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슬리브(52)가 상기 서지컬 가이드(50)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돌기(52a)가 정렬되는 방향은 상기 중앙라인(B1) 및 상기 양측라인(B2)과 각각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서지컬 가이드(50)는 상기 구강(1)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51)에 가이드되어 상기 임플란트(도 1의 2)가 식립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전치측의 상기 가이드홀(51)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에 형성된 상기 정렬홈(15)이 일직선으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결합바(3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정렬홈(15)이 상기 정렬돌기(12a)와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정렬결합바(30)를 통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구속되면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중앙라인(B1)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통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전치측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구치측의 상기 가이드홀(5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52a)가 상기 양측라인(B2)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정렬홈(15)이 상기 가이드돌기(52a)를 기준으로 회전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통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구치측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구강(1)에 실제로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경유삽입부(1414)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경로정보(B)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맞추어 제조된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을 통해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각도(d)를 구강외에서 정확하게 보정 가능하므로 상기 고정바(1430)의 복원력이 치조골로 전달됨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1)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 즉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상면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을 도포 및 경화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 아날로그(80)를 상기 절곡경로정보(B)에 대응하여 정렬하는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신속하게 제조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체결과 상기 정렬베이스(70A)의 제조가 실질적으로 당일 수행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내원횟수가 최소화되어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컨펌모델(70B)이 별도의 정밀한 설계과정 없이 단지 상기 정렬베이스(70A)를 통해 정렬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70)의 하단부에 경화성 소재가 동시에 감싸 충지되고 경화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더욱이, 이러한 각도컨펌모델(70B)이 실제 구강(1)과 고도로 정밀하게 제조됨에 따라 시술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구치측에 배치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전치측에 체결이 완료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에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정렬홈(25) 내측 테두리 및 수납홈(22)의 중심 사이 수직 이격간격이 기설정된 식립정보 및 절곡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따라서, 기설정된 식립정보(A) 및 절곡경로정보(B)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체결위치 및 방향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고정용 지그베이스 20: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
12,22: 수납홈 12a: 정렬돌기
15,25: 정렬홈 30: 정렬결합바
50: 서지컬 가이드 52a: 가이드돌기
60: 디지털 오버덴쳐 70A: 정렬베이스
71: 정렬지지부 70B: 각도컨펌모델
80: 홀더 아날로그 81: 각도정렬부
90: 고정바 벤딩장치 1410: 홀더 어버트먼트
1414: 경유삽입부 1430: 고정바
A: 식립정보 B: 절곡경로정보

Claims (5)

  1. 상단부에 경유삽입부가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가 기설정된 식립점에 대응하여 구강에 배치되고, 기설정된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경유삽입부의 개구방향이 정렬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형합되는 정렬돌기가 내주에 돌설된 수납홈이 형성된 지그베이스가 결합되는 제1단계;
    각 상기 지그베이스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정렬지지부를 통해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정렬된 정렬베이스로 형성되는 제2단계;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가 형성된 홀더 아날로그가 상기 정렬베이스의 각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되, 상기 각도정렬부가 상기 정렬돌기에 형합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 하단부를 감싸도록 경화성 소재가 충진 및 경화되어 형성된 각도컨펌모델을 통해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속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로부터 상기 정렬베이스가 분리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각도컨펌모델에 고정된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도정렬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되되, 상기 절곡오차가 보정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구강에 체결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지그베이스의 각 상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 단계와, 각 상기 지그베이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상기 정렬지지부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정렬베이스를 통해 상기 각도정렬부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정렬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하단부의 이격된 사이 및 외곽에 상기 경화성 소재가 감싸 충진되는 단계와, 상기 경화성 소재가 경화되어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하단부가 매립된 상기 각도컨펌모델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도컨펌모델에 매립된 상태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구속정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또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경화성 레진 및 상기 경화성 소재는 경화되기 전 상기 지그베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외면에 밀착 가능하게 가변되도록 유동성을 가지되, 완전 경화된 상태에서 각 상기 지그베이스 또는 각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하단부 사이 간격이 유지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한쌍의 전치측 식립점에 대응하여 상기 구강에 배치된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정렬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가 각 결합되되, 상기 정렬돌기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의 중앙라인과 평행하게 정렬 구속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가 지지되어 전치측에 체결 고정되는 단계와,
    수납홈이 정원형으로 함몰된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가 전치측 일측에 체결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에 교체 결합되고 일측 구치측 식립점에 대응하여 상기 구강에 배치된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의 각 정렬홈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및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가 지지되어 구치측에 체결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의 수납홈 중심점과 상기 정렬홈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수직 이격간격은
    Figure 112020018771112-pat00002

    에 의해 산출되되, 여기서 w0은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의 수납홈 중심점과 정렬홈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수직 이격간격, w1은 고정용 지그베이스의 관통공 중심점과 정렬홈의 내측 테두리 사이의 제1간격, L은 전치측 식립점과 구치측 식립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라인 길이, θ는 양측라인과 가상라인 사이의 각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KR1020200021661A 2020-02-21 2020-02-21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KR10232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61A KR102325301B1 (ko) 2020-02-21 2020-02-21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61A KR102325301B1 (ko) 2020-02-21 2020-02-21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56A KR20210106756A (ko) 2021-08-31
KR102325301B1 true KR102325301B1 (ko) 2021-11-11

Family

ID=7748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61A KR102325301B1 (ko) 2020-02-21 2020-02-21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4585A1 (en) 2007-10-19 2009-04-23 Denis John Diangelo Dental framework
US9452034B1 (en) 2012-10-23 2016-09-27 Javier Urquiola Hybrid passively fitting prosthodontic frameworks
US20190175307A1 (en) 2016-05-27 2019-06-13 Errecieffe S.R.L. Anchoring assembly for a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75B1 (ko)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4585A1 (en) 2007-10-19 2009-04-23 Denis John Diangelo Dental framework
US9452034B1 (en) 2012-10-23 2016-09-27 Javier Urquiola Hybrid passively fitting prosthodontic frameworks
US20190175307A1 (en) 2016-05-27 2019-06-13 Errecieffe S.R.L. Anchoring assembly for a dental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56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74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US71047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of dental implants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US20110300509A1 (en)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a dental abutment
KR101544774B1 (ko)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TW201345494A (zh) 齒列矯正裝置設置具
US11896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KR20210043166A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013298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US20200205947A1 (en)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Implant-Supported Dentures
KR102325301B1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오버덴쳐 장착용 고정바의 정렬 고정방법
KR102385388B1 (ko) 어버트먼트 정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KR20210043168A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20210020232A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WO201921037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itting dental prostheses
US112730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gital overdenture an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nd fixing bar bending apparatus for holder device applied thereto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712788B1 (ko)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KR102438919B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KR102292489B1 (ko) 어버트먼트 홀더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KR102459371B1 (ko) 지그장치를 이용한 홀더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KR20230033134A (ko)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KR10233297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