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17B1 - 치아 보철물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17B1
KR102461917B1 KR1020197016443A KR20197016443A KR102461917B1 KR 102461917 B1 KR102461917 B1 KR 102461917B1 KR 1020197016443 A KR1020197016443 A KR 1020197016443A KR 20197016443 A KR20197016443 A KR 20197016443A KR 102461917 B1 KR102461917 B1 KR 10246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bar
dental
superstructur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600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덴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인크. filed Critical 덴카,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6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Abstract

상부구조 및 복수의 치아 바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형상 또는 크기는 다르며, 상부구조는 복수의 치아 바들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의 단편들을 포함하는 치아 바로, 복수의 단편들 각각이 치아 임플란트와 체결되는 형상 및 구조로 되어 있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이 상부구조와 체결되는 형상 및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단편들 각각이 다른 형상 또는 다른 크기로 되어 있는, 치아 바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치아 보철물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미국 연방특허법 35 U.S.C. 11(e)에 의거하여, 본 출원은 2016년 11월 8일에 출원된 US 가출원 제62/419,419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지지형 치아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가 완전히 없거나 일부가 없는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바-지지형 치아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바 피개의치 및 나사-유지 고정식 의치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바-지지형 치아 수복은 치아가 완전히 없거나 일부가 없는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임플란트-바-지지형 치아 수복은 복수의 임플란트에 체결되는 단일 바를 필요로 한다. 바는 상부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화시켜 표준 탈착 가능한 의치에 비해 저작 효율과 교합력을 증대시킨다. 그러나, 단일-바디 구조의 통상적인 바는 취급이 어려운데, 이는 단일-바디 구조의 바는 바의 여러 지점에서 복수의 임플란트와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며, 종종 바 형상을 복잡하게 함으로써 임상 절차가 복잡해지고 기술적으로도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바와 임플란트 사이에 아주 작은 갭이 형성되더라도, 바 전체를 다시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치과 의사들은 임플란트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고정형 의치"(fixed denture)의 바는 상부구조와 고정되는 세라믹 또는 아크릴 재료로 둘러싸여 있다. 이 구조는 다른 보철 구조에 비해 안정성이 더 높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바의 수리나 유지보수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해진다. 예를 들면, 고정형 의치의 상부구조에 크랙이 있거나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 상부구조와 바가 치과 기공실에서 환자 입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통상적인 임플란트-바-지지형 치아 수복을 받기 위해 환자가 치과의사를 여러 번 방문해야 한다. 치과의사가 환자의 잇몸과 교합 본(bite registration impression)을 뜨고 시도된 상부구조와 바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자가 필수적으로 방문해야 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문 시에, 치과의사는 환자를 검진하고, 예비적인 알지네이트 본(alginate impression)과 최종 본을 뜬다. 치과 기공실에서, 마스터 잇몸 모델이 제작되고 치과의사로부터 받은 최종 본을 토대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조된다. 그런 다음, 마스터 잇몸 몰드로부터 통상 왁스로 만들어지는 교합테 또는 블록이 제작된다. 마스터 잇몸 몰드에 교합테가 부착된 상태로 다시 치과의사에게로 보내진다.
세 번째 방문 중에, 교합테가 환자 구강 내로 삽입되어 구강 내부에서 조절되어 상악-하악 관계를 결정하고 교합을 취한다. 또한, 상부구조용으로 사용될 인공 치아가 치과의사와 환자에 의해 선택된다. 조정된 교합테는 다시 치과 기공실로 보내져서 상부구조용 왁스 시연물(try-in)을 제작한다. 기공실은 왁스 테의 외각 에지를 따라 실제 최종 이가 정렬된 왁스 시연물을 다시 보낸다.
네 번째 방문 시에, 치과의사는 왁스 시연물의 외관과 환자 입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검사하여 교합과 교합고경(vertical dimension)을 체크한다. 만약 조절이 필요하다면, 왁스 시연물을 다시 기공실로 보내 이를 리셋하게 한다. 치과 기공실에서, 왁스 시연물이 조절되고 임플란트 위치와 그 유형에 따라 치아 바가 제작된다. 제작된 치아 바는 치과의사에게로 보내진다.
다섯 번째 방문 시에, 치과의사는 치아 바가 임플란트와 맞는지 그리고 임플란트와 제대로 접합하는지를 검사한다. 조절이 필요하다면, 임플란트에 맞게 형상을 조정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조절 지령과 함께 기공실로 다시 보내진다.
제작된 바가 환자 입에 제대로 맞을 때까지, 바 시연과 조절 과정이 반복된다. 바가 제대로 맞는다는 확인이 되면, 치과 기공실은 바에 낮게 왁스 시연물을 수정하고 왁스 시연물을 인베스트하여 아크릴로 변환하여 최종 상부구조를 제작한다. 최종적으로, 상부구조와 바가 치과의사에게로 배달되어 환장에 장착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바-지지형 의치와 이러한 임플란트-바-지지형 의치를 사용하는 과정이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임플란트-바-지지형 의치의 디자인과 제조 공정을 개선해야 한다는 계속적인 요망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을 위한 장치는 상부구조와 복수의 치아 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두 개는 형상과 크기가 다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상부구조는 복수의 치아 바들과 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아 바는 별개로 된 단편들을 복수 개 포함하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치아 임플란트와 체결되기 위한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상부구조와 체결되기 위한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고; 및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형상과 크기가 다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도면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잘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형태의 특정 측면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바-지지형 수복의 일 예시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바-지지형 수복의 저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아 바의 원위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아 바의 혀 측에서 바라 본 도면(lingual view)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아 바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바-지지형 수복에 사용되는 상부구조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아 바의 일부분을 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의 치아 바들을 상부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물은 완전- 또는 부분-아치 보철을 위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을 위한 장치(100)는 상부구조(110) 및 복수의 치아 바(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에서, 4개의 치아 바(120)들이 상부구조(110)에 체결되어 있다. 복수의 치아 바(120)들 각각은 다른 치아 바와 떨어져 있다.
도 1a 및 도 1b에 4개의 치아 바(120)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부구조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치아 바(120)의 수가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치아 바(120)는 적어도 두 개의 치아 바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기로는 완전-아치 상부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3개 또는 4개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치아 바(120)들 각각 또는 적어도 하나는 상부구조의 곡선 형상에 따라 곡선형태로 되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치아 바(120)는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계면(130)과 빔 구조(140)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계면(130)은 치아 임플란트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임플란트 계면(130)은 빔 구조(140)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를 참고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환자 잇몸에 고정된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 바(120)의 임플란트 계면(130)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임플란트 계면(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한다. 치아 바(120)는 치아 바(120)의 빔 구조(140)와 임플란트 계면(13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치아 임플란트의 수용부에 조여지는 나사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 계면(130)이 치아 임플란트의 수용부 내로 제대로 삽입될 때, 임플란트 계면(130)의 중심축선(150)은 치아 임플란트 중심축선에 정렬된다.
모든 빔 구조(140)의 구강 측 면(160)은 빔 구조(140)의 상면(180) 또는 치아 바(120) 위에 상부구조(110)를 올바르게 위치시키기 위한 교합 평면에 대해 거의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빔 구조(140)의 경사(angulation)는 임플란트 계면(130)의 중심축선(150)과 평행하지 않고 임플란트 계면(130)의 중심축선(150)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2a 참조.
빔 구조(140)의 설 측 면(170)도 상면(180) 또는 교합 평면에 대해 거의 동일한 각도로 되어 있다. 구강 측 면(160) 및 설 측 면(17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듯이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 측 면(160)의 기울어진 정도는 상면(180)과 직교하는 가상선(260)과 약 30도 미만이다. 빔 구조(140)는 구강 측, 설 측, 근심(mesial) 측 또는 원심(distal) 측 상에 적어도 하나의 계단 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상부구조(110)를 지지하기 위해 상면(180)과 하면(190)을 포함하는 설 측 상의 계단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면(180)의 가상선(200)과 하면(190)의 가상선(210)은 평행할 수 있다.
치아 바(120)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에 체결되는 형상과 구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추가로 포함한다. 개방 홀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에 체결되게 구성된 이 구조의 예시로는 외부 조인트 타입, 내부 조인트 타입 또는 테이퍼 조인트 타입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 계면(130)은 치아 임플란트의 상부 내에 삽입되거나 체결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치아 바(1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사가 관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사가 적어도 하나의 치아 임플란트 내에 체결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통홀(220)은 빔 구조(140)와 임플란트 계면(130)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20)은 치아 바(120)를 치아 임플란트 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치아 임플란트 내로 나사 체결되는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을 수용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치아 바(120) 치수의 일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치아 바(120)의 길이(240)는 40mm 미만일 수 있고, 치아 바(120)의 폭(250)은 적어도 3mm일 수 있다. 그러나 치아 바(120)의 길이(240)와 폭(25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부구조(110)는 치아 바(120)를 수용하기 위해 점막 면 위에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공간(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도 3a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부구조(110)는 치아 바(12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공간(300)을 복수 개 포함한다. 각 하우징 공간(300)은 대응 치아 바(120)에 꼭 맞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공간(300)은 구강 측, 설 측, 근심 측, 원심 측 및 상 측 각각 위에 적어도 50㎛의 마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마진은 각 구강 측, 설 측, 근심 측, 원심 측 및 상 측 위에 적어도 10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이 마진은 각 구강 측, 설 측, 근심 측, 원심 측 및 상 측 위에 적어도 200㎛일 수 있다.
상부구조(110)는 기계적,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치아 바(120)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부구조(110) 및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바(120)는 나사로 체결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우징 공간(300)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310)을 포함한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치아 바(120)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230)을 포함한다. 나사 구멍(310) 및/또는 나사 구멍(230)은 나사와 맞물리는 나선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사들이 위치하여 나사 구멍(310) 및 나사 구멍(230)을 통해 조여져서 상부구조(110)와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바(120)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의치 베이스 레진, 치아 시멘트, 치아 접착제 또는 일시적 수복을 위한 치아 레진 같은 치아 소재의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 공간(300)에 도포된다. 치아 바(120) 위에 상부구조(110)가 놓인 후에 치아 소재가 경화하면, 상부구조(110)가 치아 바(120)와 견고하게 체결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치아 바(120)의 빔 구조(140)는 추가적인 체결을 위한 치아 재료가 충진되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나 오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빔 구조(140)는 구강 면, 설 면, 근심 면 및/또는 원심 면 위에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나 오목부(320)의 깊이는 2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의 치아 바(120) 중 적어도 두 개는 다른 형상 및/또는 다른 크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치아 바들 각각이 다른 형상 또는 다른 크기로 되어 있다.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부구조(110)는 아크릴 폴리머로 제작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부구조(110)는 세라믹이나 지르코니아로 제작된다.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치아 바(120)는 티타늄 또는 코발트-크롬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1) 환자 입의 위턱과 아래턱의 제1 본 그리고 임플란트의 위치와 방향에 대한 디지털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 2) 위턱과 아래턱 간의 관계에 대한 디지털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 3) 위턱 또는 아래턱의 시연 상부구조 및 복수의 치아 바를 디지털 방식으로 설계하는 단계, 4) 시연 상부구조 및 치아 바를 제작하는 단계, 5) 시연 상부구조에 의해 치아 바들을 연결하는 위턱 또는 아래턱의 2차 본을 취하는 단계, 6) 2차 본의 디지털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 7) 상부구조 디자인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8) 위턱 또는 아래턱의 최종 상부구조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에서, 코핑을 구비하는 위턱과 아래턱의 치아 본을 물리적으로 뜬다. 본 코핑을 구비하는 물리적인 본을 스캔하여 디지털 기록을 만든다. 물리적 본들을 직접적으로 스캔하거나 본의 석재 모델을 스캔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부 및/또는 스캔 바디가 임플란트 위에 놓이는 환자 턱은 경구 내에서 스캔한다.
단계 2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상부 및 하부 교합을 취하고, 교합을 스캔하여 상부 및 하부 관계에 대한 디지털 기록을 얻는다. 교합을 위해 미국 특허 제8,277,216호; 제8,899,983호 및 제8,998,6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본 트레이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기존의 의치나 보철물을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가 입을 완전히 닫는 방식으로 CT 스캔을 수행하여 디지털 기록을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위턱 및 아래턱에 대한 각 디지털 기록과 위턱과 아래턱 관계의 디지털 기록 상의 대응 면을 매칭함으로써, 위턱 및 아래턱 기록들이 디지털 방식으로 정렬되어 환자 구강을 시뮬레이션한다. 단계 1의 디지털 기록 내의 스캔된 본 코핑은 임플란트 위치와 방향을 가리킨다. 시뮬레이션된 환자의 구강에 따라, 복수의 랜드마크 기록을 사용하여 디지털적으로 시연 상부구조가 설계되고, 기록된 임플란트 위치와 방향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바들이 디지털적으로 기록된다. 치아 바들을 디지털적으로 설계한 후, 시연 상부구조의 점막 면 위에 하우징 공간들이 생성된다. 각 하우징 공간은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지고 대응 치아 바에 맞게 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하우징 공간은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지고 복수의 치아 바들을 커버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단계 3에서 생성된 시연 상부구조의 디지털 디자인으로부터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시연 상부구조가 제작된다. 단계 4는 치아 바들의 제작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치아 바들은 밀링에 의해 제작된다.
단계 5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치아 바들이 환자 입 안으로 삽입되어 임플란트에 연결된다. 단계 5는 치아 바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 턱의 2차 본을 포함한다. 본 재가 시연 상부구조의 점막 면 위에 특히 하우징 공간 주위와 안쪽에 도포되며, 시연 상부구조는 치아 바들 위에 안착되어 물리적으로 실제 치아 바 위치의 본 위에서 기록된다.
단계 6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본을 사용하여 시연 상부구조를 스캔하여 디지털 기록을 얻는다.
단계 7에서,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단계 6에서 획득한 디지털 기록을 참고하여, 하우징 공간이 조절되고 및/또는 생성된다. 각각의 조절된 하우징 공간은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지고 대응 치아 바와 맞게 설계되어 있다. 정중선 또는 교합평면 같이 다른 조절이 필요하다면, 최종 상부구조의 디지털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그러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8에서, 최종 상부구조가 제작된다. 일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아크릴 블록이나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 블록을 밀링 가공하여 최종 상부구조를 제작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3D 프린팅으로 최종 상부구조가 제작된다.
특정한 일부 실시형태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형태도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을 연구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등가의 변형 실시예 및/또는 변형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모든 등가물을 커버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참고문헌, 출원, 특허 및 간행물들은 그 전부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Claims (20)

  1.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을 위한 장치로, 상기 장치는 상부구조와 복수의 치아 바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두 개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크기이고,
    복수의 치아 바들은 서로 떨어져서 상부구조에 위치하고,
    상부구조가 복수의 치아 바들에 체결되되, 상부구조에 체결된 복수의 치아 바들 사이에 복수의 갭이 형성되도록 체결되고, 각각의 갭은 2개의 다른 치아 바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계면과 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구조는 복수의 치아 바들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는 하우징 공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구조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상부구조와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하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공간과 복수의 치아 바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치아 바 사이 공간을 채우는 치아 소재.
  5.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의 모든 빔 구조의 구강 측 면이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빔 구조의 구강 측 면이 치아 바의 상부 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모든 빔 구조의 설 측 면들이 복수의 치아 바들의 상부 면들에 대해 동일하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빔 구조의 구강 측 면 또는 설 측 면 중 적어도 하나가 치아 바의 대응 임플란트 계면을 통과하는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치아 바는 치아 바의 구강 측, 설 측, 근심 측 또는 원심 측 위에 적어도 하나의 계단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치아 바는 적어도 하나의 측 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치아 바는 임플란트 계면의 저면을 통해 빔 구조의 상부 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은 치아 바를 치아 임플란트에 체결시키기 위한 제1 나사를 수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바를 상부구조에 체결하기 위한 제2 나사를 수용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 각각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 각각이 대응하는 치아 임플란트와 체결되는 형상 및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치아 임플란트와 각각이 체결되어 있는 복수의 치아 바들은, 두 개의 다른 치아 바들 사이의 갭 크기가 다르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빔 구조는 단일 면으로 형성되는 구강 측 면 및 두 면들이 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설 측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계면이 빔 구조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임플란트 계면이 빔 구조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치아 바들의 수가 적어도 세 개 또는 네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바-지지형 보철용 장치.
  19. 복수의 별개의 단편들을 포함하는 치아 바로,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치아 임플란트와 체결되는 형상 및 구조로 되어 있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상부구조와 체결되는 형상 및 구조로 되어 있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형상 또는 크기가 다르고;
    상부구조에 체결된 복수의 단편들은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며;
    상부구조에 체결된 복수의 단편들 사이에 복수의 갭이 형성되되, 각각의 갭은 2개의 다른 단편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바.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구조의 곡선 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상부구조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하우징 공간 내에 삽입되는 형상인 빔 구조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은 빔 구조의 저면에 돌출하게 형성된 임플란트 계면을 추가로 포함하고;
    임플란트 계면은 빔 구조의 저면에서 중앙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단편들 각각에 빔 구조와 임플란트 계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관통홀 내에 삽입되는 제1 고정 수단은 치아 임플란트의 수용부에서 수용되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복수의 단편들을 치아 임플란트와 견고하게 체결되며;
    복수의 단편들 전부가 아닌 적어도 2개의 단편 각각은, 복수의 단편을 상부구조와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제2 고정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부구조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바.
KR1020197016443A 2016-11-08 2017-11-08 치아 보철물 KR102461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9419P 2016-11-08 2016-11-08
US62/419,419 2016-11-08
PCT/US2017/060682 WO2018089529A2 (en) 2016-11-08 2017-11-08 Dental prosthe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00A KR20190069600A (ko) 2019-06-19
KR102461917B1 true KR102461917B1 (ko) 2022-11-01

Family

ID=6206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43A KR102461917B1 (ko) 2016-11-08 2017-11-08 치아 보철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8719B2 (ko)
EP (1) EP3538018B8 (ko)
KR (1) KR102461917B1 (ko)
CN (1) CN110099650B (ko)
WO (1) WO20180895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214B1 (en) * 2019-12-17 2023-12-06 Clinica San Martino S.R.L. A ca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uperstructure for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and providing the same.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2300A1 (en) 2003-01-21 2004-07-22 Aravena Ines Monica Multi-adjustable drill guide and framework system for dental prosthetic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8599C (sv) * 1985-07-24 1989-11-16 Inst Applied Biotechnology Anordning foer infaestning av ett flertal taender vid i tandbenet implanterade faestelement
SE454236C (sv) * 1986-08-29 1989-08-03 Dan Lundgren Anvaendning av ett prefabricerat konstruktionselement till implantatfixerad protes
CH686114A5 (fr) * 1991-09-27 1996-01-15 Helmut Hader Structure de support d'une prothese dentaire.
US5419700A (en) * 1993-10-22 1995-05-30 Sillard; Rannar Reinforced joint for fitting dental applianc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5575651A (en) * 1994-07-27 1996-11-19 Weissman; Bernard Prosthetic dental bridge foundation
US6056547A (en) * 1997-03-05 2000-05-02 Medentech, Inc.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5885078A (en) 1997-08-28 1999-03-2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for constructing accurately fitting frameworks for endosseous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US6506052B1 (en) * 2000-03-15 2003-01-14 Larry I. Hoffman Conversion system for non-implant anchored dentures
DE20201981U1 (de) 2001-02-08 2002-07-04 Ucaray Dienstleistungssystem I Kiefer-Zahnprothese
US6692254B1 (en) * 2002-02-01 2004-02-17 Barry A. Kligerman Implant supported dental prosthesis foundation bar
CA2399740A1 (en) 2002-08-26 2004-02-26 Yvan Fortin Universal teeth prosthesi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39663Y1 (ko) * 2007-04-26 2008-04-24 홍창환 기공 보철물 고정 판넬핀
EP2106768A1 (en) 2008-03-31 2009-10-07 Fundacja Uniwersytetu Medycznego Method of stabilizing a complete denture in the lower jaw and a bar retention system to apply this method
US8529255B2 (en) 2009-01-16 2013-09-10 V2R Biomedical Inc Dental prosthesis system
US8998615B2 (en) 2009-05-19 2015-04-07 Dent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8277216B2 (en) 2009-05-19 2012-10-02 Tae Hyung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20150164620A1 (en) 2009-09-09 2015-06-18 Dental Innovision Ltd Dental bridge system and method
CN102078224B (zh) * 2009-11-26 2012-11-28 东莞宝钰精瓷工业有限公司 植牙赝复体的设计方法
EP2741708A4 (en) * 2011-08-10 2015-05-27 Kamil Tech Ltd REMOVABLE TOOTH IMPLANT BRIDGE SYSTEM
US9055993B2 (en) 2013-08-29 2015-06-16 Global Dental Science Llc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EP3067012B1 (en) * 2015-03-10 2019-04-24 Dispotech S.r.l.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and custom dental prosthe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2300A1 (en) 2003-01-21 2004-07-22 Aravena Ines Monica Multi-adjustable drill guide and framework system for dental prosth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8018A4 (en) 2019-11-20
EP3538018A2 (en) 2019-09-18
US10568719B2 (en) 2020-02-25
WO2018089529A3 (en) 2018-07-26
KR20190069600A (ko) 2019-06-19
CN110099650B (zh) 2021-06-04
US20180125614A1 (en) 2018-05-10
CN110099650A (zh) 2019-08-06
EP3538018B8 (en) 2022-10-26
EP3538018B1 (en) 2022-08-24
WO2018089529A2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Accuracy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Effect of Interimplant Distance in an Edentulous Arch.
Gherlone et al. Conventional Versus Digital Impressions for" All-on-Four" Restorations.
EP1229853B1 (en) Healing components for use in taking impressions
US5993208A (en) Method for precisely fixing a uniform predetermined thickness of a palatal prostheses
US20070281279A1 (en) Custom impression transfer coping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20150173864A1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s
Mino et al. In silico comparison of the reproducibility of full-arch implant provisional restorations to final restoration between a 3D Scan/CAD/CAM technique and the conventional method
US20090017421A1 (en) Method of Preparing an Artificial Dental Prosthetic and Seating Thereof
KR101790839B1 (ko)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170319313A1 (en) Bite registration tool, bite registration tool set, and suitable bite registration method
KR102461917B1 (ko) 치아 보철물
Sánchez-Monescillo et al. All-on-four rehabilitation using photogrammetric impression technique
KR102407028B1 (ko) 맞춤형 치과용 장치
Gayathridevi et al. Impression techniques in implants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Rutkūnas et al.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digital workflows for implant-supported screw-retained zirconia FPD bars: Fit and cement gap evaluation using SEM analysis
EP2335640B1 (en) Use of a jig with dental analogs and models
Massad et al. A Prosthesis Retention System for Full‐Arch,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bdelfattah et al. An effective approach for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for a trismus patient seek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linical report
Alshoubaki et al. Overview on Steps of Complete Dentures: A Review
Attia et al. Influence of inlay preparation design on the trueness of different impression techniques
Al Humaid Accuracy of Fit of Digitally Fabricated Prototypes With Different Printers: A Comparative Study
Shanka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Accuracy of Definitive Casts Using Different Splinting Techniques on Implant Level Impressions in All-On-Four Treatment Protocol-an in Vitro Study
Banjar Accuracy of 3d Printed Casts from Digital Implant Scans Versus Stone Casts from Conventional Impressions: A Comparative Study in the Anterior Maxi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