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839B1 -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839B1
KR101790839B1 KR1020150007014A KR20150007014A KR101790839B1 KR 101790839 B1 KR101790839 B1 KR 101790839B1 KR 1020150007014 A KR1020150007014 A KR 1020150007014A KR 20150007014 A KR20150007014 A KR 20150007014A KR 101790839 B1 KR101790839 B1 KR 10179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prosthesis
fixture
implant
referenc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707A (ko
Inventor
오세만
Original Assignee
오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만 filed Critical 오세만
Priority to KR102015000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8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픽스쳐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기둥과, 체결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보철물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끼움부와, 보철물의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기둥과 끼움부의 경계에 돌출형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끼움부에 형성되되 보철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 및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캐닝 데이터 추출시 어버트먼트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을 통하여 캐드캠장비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함에도 불구하고 캐드캠장비를 활용하여 정확하고 정교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abutment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쐐기형태로 식재되는 바이콘타입에서도 보철물의 임프레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이콘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보철물로 구성된다.
픽스쳐는 턱뼈에 식립되어 치근의 역할을 하고, 보철물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인공치아의 외형을 이루며, 어버트먼트는 보철물을 픽스쳐에 고정시키며 보철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픽스쳐와 턱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치과에서 인상을 체득한 임프레션을 참고하여 수작업으로 제작하였다.
그런데 보철물을 수작업으로 제작하면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캐드캠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치과에서의 캐드캠시스템은 설계에서 제품제조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것으로, 보철물을 수작업으로 재현하는 경우 보철물의 재현도가 매우 낮은 반면에, 캐드캠시스템을 이용한 보철물 재현도는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을 위하여 캐드캠시스템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캐드캠 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보철물을 끼우고자 하는 위치의 3차원 스캔 데이터가 매우 중요하며, 해당 위치의 3차원 데이터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PEEK(Polyether ether ketone) 또는 금속재에 표면을 코팅하여 스캐닝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스캔바디가 사용된다.
스캔바디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할 때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깊이 및 방향 등의 3차원 데이터를 미리 예측하여 적합성이 높은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플란트 보조 부속으로써, 스캔바디를 이용하여 구강내 3차원 데이터를 스캐닝한 후 스캔바디와 어버트먼트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보철물의 형상 및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는 보철물 내부의 체결부분이 정밀하고도 정교하게 캐드캠장비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임플란트 부속은 제조사에 따라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체결방식이 매우 다양하며, 이로 인하여 스캔바디를 활용하는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의 종류에 따라서 정밀도가 크게 차이난다.
즉, 임플란트 부속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방식에 따라서 크게 헥사타입(또는 옥타곤타입)과 바이콘타입(또는 넌헥사타입)으로 나뉘어진다.
헥사타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부분이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나사로 조임되는 구조로써,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와 결합될 때 방향성이 설정되므로 어버트먼트의 체결부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스캔바디를 활용하면 어버트먼트의 방향성 및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데이터로 추출한 후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반면에, 바이콘타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부분이 쐐기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할 때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강제로 박아서 체결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되는 깊이나 체결되는 방향이 특정되지 않기 때문에 스캔바디를 활용할 수 없다.
그런데 바이콘타입은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막아서 세균침투, 악취 및 흔들림, 잇몸뼈의 손실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많아서 임플란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시술성공률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시술이 권장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 캐드캠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콘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한 후 스톤을 임프레션하고 그 임프레션한 결과물을 참고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어버트먼트는 크기와 기준면의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머징을 위한 최소단위가 구성되지 않고 스캐닝 데이터의 정확성이 매우 떨어지며, 특히 기준면을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기준면의 사이즈가 매우 작기 때문에 캐드캠장비의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세밀한 가공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제작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긴밀하게 체결되지 않고 헛돌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캐드캠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 후, 수작업으로 후가공을 하거나, 또는 보철물을 처음부터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제작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그리고 보철물 제작에 수작업이 반드시 반영되기 때문에 정밀도가 떨어지며, 임플란트 시술시 부정교합과 임플란트 실패의 원인이 된다.
한편, 헥사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에도 시술과정에서 본을 뜨기 위한 스캔바디를 체결하고, 본을 뜬 이후에 분리하며, 보철물이 완성된 상태에서 다시 어버트먼트를 장착하는 등 시술절차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다.
KR 101214641 B1 KR 101274075 B1 KR 101359377 B1
본 발명은 쐐기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에도 구강 내 3차원 스캔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가능토록 하여 캐드캠장비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정교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스캔바디가 필요없이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여 시술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보철물을 정교하게 가공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에 쐐기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콘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때려박아서 고정할 경우에 픽스쳐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기둥과, 상기 체결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보철물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에 끼임되어진 보철물의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기둥과 끼움돌부의 경계에 돌출형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끼움돌부에 형성되되 보철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 및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캐닝 데이터 추출시 어버트먼트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면을 끼움돌부의 일면의 전체에 형성토록 구성함으로써 쐐기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콘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을 통하여 캐드캠장비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제작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쐐기 구조로 조립되는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함에도 불구하고 캐드캠장비를 이용한 정교하고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며, 이렇게 제작된 보철물을 정확한 위치에 시술할 수 있고, 시술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의하면,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에도 캐드캠 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의 형태 및 크기를 상하악간 관계에 맞도록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철물의 재현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 시술시 동반되는 문제점, 즉 보철물의 재현도가 낮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부정교합에 의하여 치과와 기공소를 반복하면서 교합조정하는 작업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짐은 물론, 임플란트 시술기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스캔바디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이 이루어지므로 시술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스캔바디와 같은 별도의 부속이 필요치 않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의 임플란트 시술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의 외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로써 픽스쳐에 결합되는 체결기둥(10)과, 체결기둥(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보철물이 결합되는 끼움부(20)와, 상기 체결기둥(10)과 끼움부(20)의 경계에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커트부(30)와, 상기 끼움부(20)에 결합되는 보철물(P)이 체결된 상태에서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준면(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체결기둥(10)은 픽스쳐(F)의 체결구멍에 끼워져 어버트먼트(A)의 지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픽스쳐(F)의 체결구멍과 체결기둥(10)은 쐐기형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막아서 세균침투, 악취 및 흔들림, 잇몸뼈의 손실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구 등을 이용한 타격으로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픽스쳐(F)의 체결구멍과 어버트먼트(A)의 체결기둥(10)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인 상광하협의 기둥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서로 대응되게 원기둥 형태 또는 다각형 기둥형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기둥(10)의 상부에는 보철물(P)의 체결구멍에 끼워져 보철물을 지지하는 지대주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한 끼움부(20)가 구비되며, 이 끼움부(2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보철물(P)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20)에는 어버트먼트(A)에 보철물(P)이 체결된 상태에서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위치값을 추출하여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준면(5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면(50)은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캐닝 데이터 추출시 어버트먼트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면으로써 회전방지와 기준면(5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준면(50)은 구강 내에서의 픽스쳐(F)에 대한 어버트먼트(A)의 위치 값, 즉 픽스쳐(F)가 치조골에 식립되고 어버트먼트(A)가 픽스쳐에 쐐기 방식으로 때려박아서 체결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A)가 체결된 깊이와 방향, 중심 좌표의 값을 산출하기 위한 스캐닝 데이터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A)를 픽스쳐(F)의 체결구멍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시술용 공구 등을 사용하여 쐐기 방식으로 박아서 어버트먼트(A)를 체결하면 어버트먼트가 유동되지 않고 긴밀히 고정되며, 그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위치값을 산출하여 캐드캠장비의 기입력된 라이브러리 정보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며,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스캔바디를 이용한 구강 내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하여 정밀하고 정교하게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면(50)은 하측의 면적이 넓고 상측의 면적이 좁은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으로, 끼움부(20)의 형상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캔데이터 추출을 위한 기준면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캐드캠장비를 활용한 머징 최소수치를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끼움부(20)의 최상단 원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단된 면으로 기준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A)는 어버트먼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준면(50)의 타측면에 보조 회전방지부(60)를 더 형성하면,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기준면(50)과 보조 회전방지부(60)에 의하여 어버트먼트(A)와 보철물이 맞물린 상태를 양측에서 고정함으로써 보철물의 유동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 회전방지부(60)는 기준면(50)이 형성되는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기준면(50)과 보조 방지부(60)에 맞물려 보철물(P)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성을 갖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20)에는 수평으로 끼움부(2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서 컷팅라인(7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컷팅라인(70)은 어버트먼트가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컷팅라인(70)을 형성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 복수로 컷팅라인(7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 내 상황이나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서 컷팅라인(70)을 이용하여 상부를 절단하고 짧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어버트먼트(A)로 다양한 높이의 어버트먼트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컷팅라인(70)의 높이 값을 캐드캠장비의 라이브러리에 정보화함으로써 어버트먼트(A)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닝을 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때 시술자가 컷팅라인을 따라서 절단할 경우에도 절단된 어버트먼트(A)의 크기에 적합한 크기의 체결구멍을 갖도록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A)를 커팅라인(70)을 절단하여 높이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때려박는 쐐기 타입의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를 시술함에도 불구하고 정밀하고 정교하게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버트먼트(A)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함으로써 바이콘타입의 임플란트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구강 내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철물을 제작한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환자의 구강 내 치조골에 바이콘 타입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S110)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캐드캠장비의 라이브러리 활용이 가능하도록 머징 최소수치를 충족하는 기준면(50)을 갖는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단계(S120)와,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위치설정이 완료된 후 오랄 인서트 스캐너를 이용한 구강 내 3차원 스캐닝을 통하여 어버트먼트의 기준면(50)에 기초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캐드캠 장비에 제공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위치 및 삽입된 깊이와 방향 중심좌표를 기반으로 기입력된 어버트먼트의 라이브러리정보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된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 내에 체결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내 치조골에 바이콘 타입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S110)는, 인공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를 구강 내에서 설정하기 위한 단계로써, 픽스쳐(F)가 삽입되는 깊이를 설정하고, 픽스쳐(F)를 기준으로 어버트먼트가 삽입되는 깊이가 설정되며, 이를 통하여 보철물의 체결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캐드캠장비의 라이브러리 활용이 가능하도록 머징 최소수치를 충족하는 기준면(50)을 갖는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단계(S120)는, 픽스쳐(F)에 대한 어버트먼트(A)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써 보철물(P)을 설계할 때 구강 내에서 어버트먼트(A)의 기준면(50)을 기준으로 보철물을 설계하며, 정확한 스캔 데이터를 추출을 위해서는 어버트먼트(A)에 형성되는 기준면(50)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머징 최소수치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위치설정이 완료된 후 오랄 인서트 스캐너를 이용한 구강 내 3차원 스캐닝을 통하여 어버트먼트의 기준면에 기초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30)는, 픽스쳐(F)에 대한 어버트먼트(A)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그 설정된 위치를 3차원 스캔 데이터로 추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구강 내에서 스캐닝을 할 경우에는 오랄 인서트 스캐너를 사용하지만, 어버트먼트(A)가 체결된 상태에서 치아본을 뜨는 즉, 어버트먼트 임프레션(abutment impression)을 이용하여 스캐닝하는 경우에는 치아 본에 동일한 어버트먼트(A)를 체결한 후 별도의 스캐너 장비나 캐드캠 장비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의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위치설정이 완료된 후 어버트먼트 임프레션(abutment impression)으로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230)와, 상기 단계에서 채득된 인상정보를 3차원 스캐닝을 통하여 어버트먼트의 기준면(50)에 기초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40)를 통하여 구강 내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3차원 스캔 데이터에는 주변치아의 높이, 폭, 치열, 교합상태 및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의 환자의 턱뼈와 주변치아와의 관계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캐드캠 장비에 제공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위치 및 삽입된 깊이와 방향 중심좌표를 기반으로 기입력된 어버트먼트의 라이브러리정보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가공하는 단계(S140)는, 어버트먼트(A)의 기준면의 표면 데이터를 인식하여 어버트먼트의 길이를 구한 후, 어버트먼트(A)가 체결된 방향성 및 기울어짐 각도 등 위치관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캐드캠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게 된다.
캐드캠 장비에는 어버트먼트(A)에 대한 라이브러리 정보가 저장되어 어버트먼트(A)의 기준면(50)의 위치 값을 기반으로 보철물의 외형을 설계한 후 밀링장치를 이용하여 깎아내어 보철물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된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 내에 체결하는 단계(S150)는, 보철물, 즉 임플란트의 최종 마감물인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끼워 고정하는 임플란트의 최종 시술단계로써 보철물을 세팅한 후, 인접치아와의 접촉 및 상,하 교합을 측정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삭제
10: 체결기둥
20: 끼움부
30: 스커트부
50: 기준면
60: 보조 회전방지부
70: 컷팅라인

Claims (5)

  1.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기둥(10)과 상기 체결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보철물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끼움부(20)와 상기 보철물의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기둥(10)과 끼움부(20)의 경계에 돌출형성되는 스커트부(30)로 이루어져 보철물을 지지하는 바이콘 타입(때려박는 형태)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끼움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끼움부(20)에 보철물(P)이 체결된 상태에서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위치값을 추출하여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 내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준면(50)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면(50)은 하측의 면적이 넓고 상측의 면적이 좁은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되고, 끼움부(20)의 형상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캔데이터 추출을 위한 기준면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캐드캠장비를 활용한 머징 최소수치를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끼움부(20)의 최상단 원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단된 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준면(50)의 타측면에 보조 회전방지부(60)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준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7014A 2015-01-14 2015-01-14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79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014A KR101790839B1 (ko) 2015-01-14 2015-01-14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014A KR101790839B1 (ko) 2015-01-14 2015-01-14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07A KR20160087707A (ko) 2016-07-22
KR101790839B1 true KR101790839B1 (ko) 2017-10-26

Family

ID=5668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014A KR101790839B1 (ko) 2015-01-14 2015-01-14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73B1 (ko) 2019-05-27 2019-09-09 주식회사 에즈덴탈 넌헥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체결 구조
KR102607246B1 (ko) 2022-12-08 2023-11-29 신천호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용 스캔 정보 취득 방법 및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용 스캔 정보 취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94B1 (ko) * 2019-01-11 2019-06-12 박덕희 보철물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는 임플란트용 티베이스
CN111227965B (zh) * 2020-01-17 2022-03-0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仿牙周膜牙种植体表面结构的设计与制造方法
KR102599233B1 (ko) * 2023-01-27 2023-11-07 박덕희 임플란트 크라운 cad 전용 라이브러리 및 크라운 가공용 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641B1 (ko) 2010-09-13 2012-12-21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849B1 (ko) * 2014-04-01 2014-10-23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75B1 (ko) 2011-04-01 2013-06-1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구강 구조 스캔용 기준핀
KR101359377B1 (ko) 2012-03-30 2014-02-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641B1 (ko) 2010-09-13 2012-12-21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849B1 (ko) * 2014-04-01 2014-10-23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73B1 (ko) 2019-05-27 2019-09-09 주식회사 에즈덴탈 넌헥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체결 구조
KR102607246B1 (ko) 2022-12-08 2023-11-29 신천호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용 스캔 정보 취득 방법 및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용 스캔 정보 취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07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653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US10179034B2 (en) Bracket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producing a bracket system for the correction of tooth malpositions
US11813127B2 (en) Tooth restoration system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US11033356B2 (en) Dental tool and guidance devices
KR10155415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AU201020967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KR101790839B1 (ko)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632378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20080066812A (ko) 치과 임플란트 부품의 제조방법
EP3310295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of a subperiosteal dental implant device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638561B1 (ko)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EP3538018B1 (en) Dental prostheses
KR101707910B1 (ko) 치과 임플란트 관련 시술에 유용한 방법, 시스템 및 액세서리
US20210236248A1 (en) Dental restoration, method of producing it, computer program and method of restoring a tooth
EP3750506B1 (en) Denture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ure
KR10165335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스캔바디
AU2019201385B2 (en) A dentist tool
KR102670676B1 (ko)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20230151788A (ko)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20240034288A (ko) 가이드픽싱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