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272A -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2272A KR20110052272A KR1020090109240A KR20090109240A KR20110052272A KR 20110052272 A KR20110052272 A KR 20110052272A KR 1020090109240 A KR1020090109240 A KR 1020090109240A KR 20090109240 A KR20090109240 A KR 20090109240A KR 20110052272 A KR20110052272 A KR 201100522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sion rod
- occlusal plane
- sliding hole
- tooth model
- support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모형을 통해 환자의 교합평면의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하며, 교정을 위한 왁스업 작업시 교합평면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는 치아모형이 장착되며,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서포트부를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서포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로드와, 상기 제1 연장로드에 힌지 결합된 제2 연장로드와, 상기 제2 연장로드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을 진단 또는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치아모형과 인접하는 일측면이 반지름이 8 내지 1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진단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장로드와 제2 연장로드는 각각 상기 지지축과 제1 연장로드의 교점과 상기 진단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제2 연장로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연장로드의 힌지포인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치아모형, 교합평면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모형을 통해 환자의 교합평면의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하며, 교정을 위한 왁스업 작업시 교합평면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치아의 부정교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교합평면이다.
통상적으로 치아의 씹는 면을 교합면이라고 하며, 각각 치아의 교합면을 앞뒤로 연장한 가상선들의 연결체를 교합평면이라 부른다.
저작 및 연하등 턱운동을 할때는 아래턱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교합평면이 맞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치아에 힘이 집중되고 무리가 가게 된다. 따라서 무리가 가는 치아는 상대적으로 파절 등의 위험성이 높으며, 충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환자의 부정교합 여부를 판단할 때, 교합평면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 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에 더하여 교정을 위해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교정용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교합평면을 고려하여 인공치아의 형태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자연 상태의 상악과 하악 치아의 교합평면은 평탄한 평면이 아니라 스피만곡(curve of spee), 윌슨만곡(curve of wilson)이라 불리는 곡면을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교합평면이 정확한지를 진단하는 것 또는 치아의 재건을 위해 사용되는 보철물을 환자의 교합평면에 맞도록 제작하는 것 등이 의사나 기공사의 숙련도에 의해 정확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교합평면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거나 그에 맞춰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환자의 교합평면을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진단 및 확인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치아 모형을 통해 교합평면의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인공치아의 제작시 교합평면을 고려하여 부정교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공치아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교합평면을 확인할 수 있는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는 치아모형이 장착되며,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서포트부를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서포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로드와, 상기 제1 연장로드에 힌지 결합된 제2 연장로드와, 상기 제2 연장로드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을 진단 또는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치아모형과 인접하는 일측면이 반지름이 8 내지 1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진단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장로드와 제2 연장로드는 각각 상기 지지축과 제1 연장로드의 교점과 상기 진단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제2 연장로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연장로드의 힌지포인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로드는 일단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축을 향해 인입된 제1 슬라이딩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장공이 마련된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고정바디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길이정보가 표시된 제1 인출바디와, 상기 제1 가이드장공을 통해 제1 슬라이딩홀로 삽입된 상기 제1 인출바디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고정바디에 체결되는 제1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1 인출바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1 인출바디를 향해 인입된 제2 슬라이딩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는 제2 가이드장공이 마련된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제2 슬라이딩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 고정바디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길이정보가 표시된 제2 인출바디와, 상기 제2 인출바디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진단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힌지체결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장공을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홀에 삽입된 상기 제2 인출바디를 고정시키도록 제2 고정바디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단템플레이트는 상호 직교하며 상기 곡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제2 중심선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곡면이 각각 반지름이 9cm, 10cm, 11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트와, 구치부의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을 위해 곡면이 각각 반지름이 18cm, 20cm, 2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치아모형을 통한 교합평면의 상태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확인할 수 있어, 교합평면 진단의 정확성 및 인공치아 제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의 기술구성 및 사용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100)는 치아모형(10)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지지축(120)과, 이 지지축(120)에 설치되는 제1 연장로드(130)와, 제1 연장로드(130)에 힌지결합되는 제2 연장로드(140) 및 제2 연장로드(140)에 체결되는 진단템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치아모형(10)이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서포트부(111)가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110)는 일반적인 교합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지지축(120)을 탈거하고 상악 치아모형(10)을 지지하는 상악지지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서포트부(111)에 체결하여 일반적인 교합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베이스부(110)는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만을 위해 사용되도록 지지축(120)이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트부(111)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부재(1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재(112)의 단부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120)은 상기 서포트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데,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구형인 돌출부재(112)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축(120)의 일측은 내장된 스프링(122)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축(120)을 서포트부(111)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때, 신축가능한 지지축(120)의 일측을 가압하여 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장착 후에는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양단이 서포트부(111)를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지지축(120)이 서포트부(11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연장로드(130)는 지지축(120)의 중앙으로부터 지지축(1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로드(130)는 제1 고정바디(131)와, 제1 고정바디(131)에 결합되는 제1 인출바디(134)와, 제1 인출바디(134)를 제1 고정바디(13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138)를 포함한다.
제1 고정바디(131)는 일단이 상기 지지축(12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지지축(120)을 향해 인입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홀(1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 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홀(132)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장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인출바디(134)는 제1 고정바디(131)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1 슬라이딩홀(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봉(135)과, 제1 삽입봉(135)의 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 연장로드(140)의 제2 고정바디(141)와 결합되는 힌지결합체(137)를 포함한다.
제1 삽입봉(135)은 제1 슬라이딩홀(132)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체이며, 외주면에는 제1 고정바디(131)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길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눈금(125)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봉(135)의 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제1 고정부재(138)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홀(13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138)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인출바디(134)를 제1 고정바디(131)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인데, 제1 삽입봉(135)이 제1 슬라이딩홀(132)을 따라 소정 깊이 삽입되었을 때, 제1 고정부재(138)가 제1 가이드장공(133)을 통해 제1 슬라딩홀 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체결홀(136)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 인출바디(134)를 제1 고정바디(131)에 대하여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인출바디(134)가 제1 고정바디(131)에 대하여 인출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연장로드(130)는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삽입봉(135)이 제1 슬라이딩홀(13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지지축(120)으로부터 제2 연장로드(140)와 결합되는 힌지포인트까지의 길이가 9cm가 되고, 제1 삽입봉(135)이 제1 슬라이딩홀(132)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제1 연장로드(130)의 전체 길이가 11cm까지 단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로드(140)는 힌지결합체(137)에 힌지결합되는 제2 고정바디(141)와, 제2 고정바디(14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인출바디(144)와, 제2 인출바디(144)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체결부(148) 및 제2 인출바디(144)를 제2 고정바디(14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147)를 포함한다.
제2 고정바디(141)는 상기 힌지결합체(137)에 회전 가능하게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데, 제2 고정바디(141)의 일단 양측을 힌지결합체(137)가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며, 힌지결합체(137)와 제2 고정바디(141)를 관통하는 힌지축(126)의 단부에 조임너트부재(127)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조임너트부재(127)를 풀면 상기 힌지축(126)을 중심으로 제2 고정바디(141)와 힌지결합체(137)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임너트부재(127)를 죄면 제2 고정바디(141)와 힌지결합체(137)가 소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2 고정바디(141)의 타단에도 제2 슬라이딩홀(142)이 힌지결합체(137)를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제2 슬라이딩홀(142)과 연통되는 제2 가이드장공(143)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인출바디(144)는 제2 슬라이딩홀(142)에 삽입되는 제2 삽입봉(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제2 인출바디(144)의 단부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표시할 수 있게 눈금(125)이 표시되어 있다.
제2 삽입봉(145)에도 제2 체결홀(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장공(143)을 통해 삽입되는 제2 고정부재(147)의 돌기가 제2 체결홀(146)에 나사결합 되어 제2 인출바디(144)를 제2 고정바디(141)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힌지체결부(148)는 제2 인출바디(144)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고정홀(149)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체결부(148)는 후술하는 진단템플레이트(1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며, 측면에 상기 고정홀(149)과 연통되는 관통홀(12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관통홀(128)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단템플레이트(150)가 삽입되었을 때, 관통홀(128)에 나사결합되어 삽입됨으로써 진단템플레이트(150)를 고정하는 고정핀(129)이 삽입된다.
제2 연장로드(140) 역시 제2 고정바디(141)와 힌지결합체(137)가 결합되는 힌지포인트로부터 상기 힌지체결부(148)의 단부까지의 연장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삽입봉(145)이 제2 슬라이딩홀(142)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는 9cm이며, 제2 삽입봉(145)을 인출시켜 11cm까지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로드(130)와 제2 연장로드(140)는 모두 제1, 제2 고정바디(141)에 대하여 제1, 제2 인출바디(144)가 각각 소정길이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의 전체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진단템플레이트(150)를 통한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을 더욱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그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 중에 기재한다.
진단템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홀(149)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진단곡면(15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진단곡면(152)이 반지름이 10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선을 상호 직교하도록 교차하는 제1, 제2 센터라인(153,154)과, 제1, 제2 센터라인(153,154)을 중심으로 양측에 다수의 보조선(155)들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센터라인(153,154) 및 보조선(155)들은 치아모형(10)에 대한 상기 진단템플레이트(150)의 위치를 선정하고, 치아모형(10)의 대칭성과 동고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진단템플레이트(1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반지름이 각각 9cm, 10cm, 11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는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트(156a,156b,156c)와, 반지름이 각각 18cm, 20cm, 2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는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157a,157b,157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에 따라 턱관절로부터 전치 첨단까지의 거리가 대략 8 내지 12cm로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9 내지 11cm의 범주 내에서 이격거리가 형성되고, 8 내지 9cm 또는 11 내지 12cm는 일반적으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후술하는 Y 평면 계측방법을 통해 교합평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지축(120)과 전치첨단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도록 제1 연장로드(130)와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며, 이 경우 교합평면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템플레이트(150)의 진단곡면(152)이 제1 연장로드(130)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구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연장로드(130)와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가 9 내지 11cm의 길이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제1, 제2 연장로드(130,140)의 연장길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 트(156a,156b,156c)를 각각 구비하여 교합평면의 진단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구치와 대구치의 경우 교합평면을 진단할 때, 상술한 것처럼 각각 반지름이 18cm, 20cm, 22cm인 구의 곡면에 대응하는 진단곡면(152)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157a,157b,157c)를 사용하여 교합평면을 더욱 용이하게 진단 및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10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부(110)에 환자의 하악 치아모형(10)을 장착한다.
하악 치아모형(10)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지지축(120)가 상기 서포트부(111)의 결합부분이 환자의 턱관절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교합평면의 진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교합평면의 진단방법 중 하나인 SOPA를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진단하는 방법을 예로 들면, 먼저 SOPA는 Peter E. Dawson이 고안한 방법으로 하악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교합기 상에서 모사하는 방법이다.
SOPA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4인치(약 10cm)인 원을 그리고, 하악 치아모형(10)의 전치 첨단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4인치인 원을 그린다. 두 원을 그리면 두 개의 교점이 형성되는데, 치아모형(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교점을 중심으 로 다시 반지름이 4인치인 원을 그릴 수 있으며, 이 원이 SOPA Line이 된다. 바로 이 SOPA Line의 원호가 하악의 교합면을 지나가도록 교합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SOPA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교합평면을 진단 및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연장로드(130)와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가 각각 10cm가 되도록 제1 인출바디(134)와 제2 인출바디(144)를 각각 제1 고정바디(131)와 제2 고정바디(141)로부터 인출시키고, 제2 연장로드(140)에 제2 템플레이트(156b)를 장착한다. 그리고 제2 템플레이트(156b)의 제1, 제2 센터라인(153,154)의 중심이 하악 치아모형(10)의 전치 첨단에 위치하도록 하면 제2 템플레이트(156b)의 하부 곡면이 하악 치아모형(10)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대응하게 되므로 이를 바탕으로 치아모형(10)의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템플레이트(156b)의 각도는 힌지체결부(148)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이 형성되도록 필요에 따라 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람에 따라 하악의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판단에 따라서 제1 템플레이트(156a) 또는 제3 템플레이트(156c)를 장착하여 교합평면을 진단할 수도 있다.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Y 평면 계측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제1 연장로드(130)의 단부가 하악 전치첨두에 위치하도록 제1 연장로드(130)의 길이를 조절하고, 제1 연장로드(13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를 조절한다. 즉, 예를 들어 제1 연장로드(130)의 단부가 하악 전치 첨두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연장로드(130)의 길이를 11cm가 되도록 조절한다면, 제2 연장로드(140) 역시 길이가 11cm가 되도록 제2 인출바디(144)를 제1 고정바디(131)로부터 인출시켜 길이를 세팅한다. 그리고 제2 연장로드(140)의 단부에 제1, 제2 연장로드(130,140)의 길이에 대응하는 반지름의 구 곡면을 갖는 제3 템플레이트(156c)를 설치하고, 제3 템플레이트(156c)의 중심이 하악 전치 첨두에 위치하도록 제1, 제2 연장로드(130,140)를 회전시켜 위치를 세팅함으로써 제3 템플레이트(156c)의 하부 곡면을 통해 치아모형(10)의 교합평면을 진단 또는 확인한다.
만약 제1 연장로드(130)의 단부가 하악 전치 첨두에 위치하는 연장길이가 9cm 또는 10cm인 경우에는 각각 제2 연장로드(140)의 길이도 이와 동일하게 세팅하고, 진단템플레이트(150)는 제1 템플레이트(156a) 또는 제2 템플레이트(156b)를 사용하여 곡면의 반지름이 제1 연장로드(130)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트(156a,156b,156c)는 전치와 절치 측의 교합평면을 진단할 때 주로 사용하고,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157a,157b,157c)는 대구치 및 소구치의 교합평면을 진단 및 확인할 때 사용하면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연장로드(170)와 제2 연장로드(173)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제2 장공(171,17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단부로부터 이격거리가 표시된 눈금이 마련되어 있어서, 하나의 체결부재(175)가 각각의 단부로부터 동일 이격거리가 되도록 제1, 제2 연장로 드(170,173)를 체결하고 제2 연장로드(173)의 하단에는 상술한 진단템플레이트(150)를 장착하여 치아모형(10)의 교합평면을 진단 및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100)는 치아모형(10)의 교합평면을 진단하고, 교정을 위해 보철물을 제작할 때, 이상적인 교합평면이 형성될 수 있게 보철물을 제작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축과 제1, 제2 연장로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진단템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트와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진단템플레이트를 이용해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을 진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를 이용해 SOPA 방법에 따른 교합평면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제1, 제2 연장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110; 베이스부
120; 지지축
130; 제1 연장로드
140; 제2 연장로드
150; 진단템플레이트
Claims (4)
- 치아모형이 장착되며, 지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서포트부를 갖는 베이스부와;상기 서포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과;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로드와;상기 제1 연장로드에 힌지 결합된 제2 연장로드와;상기 제2 연장로드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을 진단 또는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치아모형과 인접하는 일측면이 반지름이 8 내지 1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진단템플레이트;를 구비하고,상기 제1 연장로드와 제2 연장로드는 각각 상기 지지축과 제1 연장로드의 교점과 상기 진단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제2 연장로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연장로드의 힌지포인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장로드는 일단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축을 향해 인입된 제1 슬라이딩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장공이 마련된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슬라이딩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고정바디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길이정보가 표시된 제1 인출바디와, 상기 제1 가이드장공을 통해 제1 슬라이딩홀로 삽입된 상기 제1 인출바디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고정바디에 체결되는 제1 고정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제2 연장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1 인출바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1 인출바디를 향해 인입된 제2 슬라이딩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는 제2 가이드장공이 마련된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제2 슬라이딩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 고정바디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길이정보가 표시된 제2 인출바디와, 상기 제2 인출바디에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진단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힌지체결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장공을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홀에 삽입된 상기 제2 인출바디를 고정시키도록 제2 고정바디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진단템플레이트는 상호 직교하며 상기 곡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제2 중심선이 표시되어 있고,상기 곡면이 각각 반지름이 9cm, 10cm, 11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진단템플레이트는 구치부의 교합평면의 진단 및 확인을 위해 곡면이 각각 반지름이 18cm, 20cm, 22cm인 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3 보조템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9240A KR101100929B1 (ko) | 2009-11-12 | 2009-11-12 |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9240A KR101100929B1 (ko) | 2009-11-12 | 2009-11-12 |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2272A true KR20110052272A (ko) | 2011-05-18 |
KR101100929B1 KR101100929B1 (ko) | 2012-01-02 |
Family
ID=4436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9240A KR101100929B1 (ko) | 2009-11-12 | 2009-11-12 |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092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8470A1 (ko) * | 2011-10-17 | 2013-04-25 | Kim Se Hun | 교합기 |
FR3028409A1 (fr) * | 2014-11-17 | 2016-05-20 | Patrick Ampen | Accessoire d'aide a l'analyse de symetrie d'arcades dentair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3679B1 (ko) * | 2017-03-28 | 2019-04-29 | 이우형 |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04226A (en) | 1982-03-18 | 1985-03-12 | Gordon Woodford W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 models for forming a gnathological positioner |
DE8617182U1 (de) | 1986-06-27 | 1987-01-15 | Ludwigs, Horst, 4800 Bielefeld | Aufstellhilfe für das lagerichtige Aufstellen der Zähne bei Unterkiefer-Totalprothesen |
DE4330296B4 (de) | 1993-09-07 | 2008-09-04 |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Aufstellkalotte in einem Artikulator sowie entsprechende Aufstellkalotte |
JP4970194B2 (ja) | 2007-08-23 | 2012-07-04 | 株式会社松風 | 咬合平面分析器および咬合器並びに咬合平面分析方法 |
-
2009
- 2009-11-12 KR KR1020090109240A patent/KR101100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8470A1 (ko) * | 2011-10-17 | 2013-04-25 | Kim Se Hun | 교합기 |
FR3028409A1 (fr) * | 2014-11-17 | 2016-05-20 | Patrick Ampen | Accessoire d'aide a l'analyse de symetrie d'arcades dentaires |
WO2016079154A1 (fr) * | 2014-11-17 | 2016-05-26 | Ampen Patrick | Accessoire d'aide a l'analyse de symetrie d'arcade denta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0929B1 (ko) | 2012-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261B1 (ko) |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 |
KR101273386B1 (ko) |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 |
KR101544774B1 (ko) |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 |
JP2005525830A (ja) | 両顎拡張装置 | |
CN203138722U (zh) | 种植支抗的定位导向构件 | |
KR101291754B1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 |
KR101909829B1 (ko) | 치과용 페이스 보우 | |
KR101100929B1 (ko) |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 |
CN109350291B (zh) | 牙种植手术植体轴向角度测量装置及分析测量方法 | |
CN117618134A (zh) | 一种可塑性口腔种植定位器及其定位方法 | |
KR102284036B1 (ko) | 치과용 드릴 가이드 장치 | |
KR101720640B1 (ko) | 교합 측정용 게이지 | |
CN105434065A (zh) | 植牙用钻孔定位辅助装置 | |
CN215306848U (zh) | 一种用于正畸支抗钉植入的导板 | |
JP6261231B2 (ja) | 歯列測定装置 | |
CN107115155B (zh) | 一种精确描绘基骨弓线和牙弓曲线的方法 | |
JPWO2004082511A1 (ja) | 歯科用フェイスボウ | |
CN216570276U (zh) | 一种用于种植导向的牙支持式腓骨就位导板 | |
CN204092240U (zh) | 植牙用钻孔定位辅助装置 | |
KR101365907B1 (ko) | 상하악 악간관계 조정장치 | |
CN209966602U (zh) | 一种新型正畸微种植体导板 | |
KR20180043869A (ko) | 치과용 견인장치 | |
KR101042380B1 (ko) |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 |
CN206777413U (zh) | 一种颌平面测量仪器 | |
CN221470050U (zh) | 口腔美学与牙合平面信息转移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