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79B1 -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 Google Patents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79B1
KR101973679B1 KR1020180035451A KR20180035451A KR101973679B1 KR 101973679 B1 KR101973679 B1 KR 101973679B1 KR 1020180035451 A KR1020180035451 A KR 1020180035451A KR 20180035451 A KR20180035451 A KR 20180035451A KR 101973679 B1 KR101973679 B1 KR 10197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ooth model
holder part
dimensional
temporomandibula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753A (ko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ublication of KR2018010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4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3D adjustment, e.g. Ball-and-s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칭에 관한 것으로,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을 구비하는 상부홀더부; 및 상기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하악 치아모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홀더부에 상하, 좌우 운동이 가능하게 분리결합되는 하부홀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제작된 환자의 삼차원 치아모형의 시뮬레이션 동작으로 악관절 운동인 회전 활주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HOLDER FOR REPRODUCING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본 발명은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된 환자의 삼차원 치아모형의 시뮬레이션 동작으로 악관절 운동인 회전 활주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있어 치아는 구강 내에서 섭식, 발성.표정 발현 등 지극히 중요한 기능에 깊게 관계되는 것이고, 따라서 치아의 상실은 이것들을 해치는 치명적인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이 치아를 상실한 구강 내 구조를 재건해주는 것을 치과 보철 즉, 이공치아이라고 한다.
이때,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방법은 3D 스캐너의 일종인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는 방법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3D 스캐너의 일종인 구강 스캐너로 치아 및 잇몸을 스캔하는 과정을 거쳐 삼차원 프린터 및 삼차원 가공기를 통해 제작하게 된다.
즉,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구강 스캐너로 가상의 3D 치아모형 테이터를 만들고, 삼차원 데이터는 인공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 출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를 디자인한다. 인공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자인한 인공치아는 삼차원 가공기로 가공해 인공치아의 형태를 재현한다. 이렇게 제작되어진 인공치아는 치아모형에 잘 맞도록 조정을 하여야 하고 대합되는 치아와 서로 잘 맞아 구강내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삼차원 인공치아 모형이 필요한데 삼차원 인공치아 모형은 구강 스캐너로 얻은 삼차원 데이터를 삼차원 프린터나 삼차원 가공기로 가공해 얻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삼차원 인공치아 모형은 상악모형과 하악모형으로 구성되어지고, 홀더라는 기구를 취합하여 구강내 운동을 재현하도록 한다.
따라서,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치아 및 잇몸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서 인공치아 제작 시 필요한 구강내 조직과 치아의 위치 및 형태를 정확히 기록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삼차원 치아모형 홀더는 악관절의 기본 운동인 회전 활주 운동을 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디지털 치아 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공치아를 디자인 후에 삼차원 가공을 통해 제작된 인공치아가 대합되는 반대편 치아와 잘 맞도록 조정하야야 하는데 악관절과 유사한 운동을 재현하지 못하면 상대편 치아와 잘 맞지 않는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홀더가 구강내 치아의 움직임을 재현하지 못해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이로 인해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78951호(발명의 명칭: 하악운동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등록일자: 2017년 09월 11일)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94993호(고안의 명칭: 교정력 적용시 치아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치아모형교합기, 등록일자: 2002년 10월 3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제작된 환자의 삼차원 치아모형의 시뮬레이션 동작으로 악관절 운동인 회전 활주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는,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을 구비하는 상부홀더부; 및 상기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하악 치아모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홀더부에 상하, 좌우 운동이 가능하게 분리결합되는 하부홀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는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홀더부는 양끝단에 수축과 이완이 가능한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부는 상기 상부홀더부의 힌지부와 분리결합되는 내측면에 힌지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힌지홈과 연계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부는 끝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모형은 상기 상부홀더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악 치아모형은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홀더부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된 고정핀을 통해 상기 상악 치아모형을 상기 상부홀더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악 치아모형을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고정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단부는 중앙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외주면 둘레에 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의 일단부에 해제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상부 해제부는 상기 상부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핀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상기 상악 치아모형을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해제부는 상기 하부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핀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상기 하악 치아모형을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는 상기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90° 이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제작된 환자의 삼차원 치아모형의 시뮬레이션 동작으로 악관절 운동인 회전 활주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하부홀더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고정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하부홀더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고정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홀더부(110), 하부홀더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홀더부(110)는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10)을 구비한다.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10)은 제작기계인 삼차원 프린터나 삼차원 가공기로 모델링하여 제작된 것이다.
상악 치아모형(10)은 상부홀더부(110)에 구비되되, 상부홀더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된 고정핀(111)을 통해 상악 치아모형(10)을 상부홀더부(110)에 구비된다.
고정핀(111)은 일단부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홀더부(110)에 회전을 통해 결합된다.
고정핀(111)의 길이는 상악 치아모형(10)의 관통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살짝 길게 형성된다.
고정핀(111)은 상부홀더부(110)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결합되어 상악 치아모형(10)을 상부홀더부(1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상부홀더부(110)의 일단부에 해제부(112)가 구비되되, 상부 해제부(112)는 상부홀더부(110)에 결합되는 고정핀(111)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핀(111)으로부터 결합을 해제시켜 상악 치아모형(10)을 살짝 돌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상부홀더부(110)로부터 이탈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해제부(112)는 상부홀더부(110)에 누름이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상악 치아모형(10)을 상부홀더부(110)로부터 살짝 이탈시킨다.
상악 치아모형(10)은 상부 해제부(112)를 통해 상부홀더부(110)로부터 살짝 이탈시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상부홀더부(110)와 하부홀더부(120)는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부홀더부(110)는 양끝단에 수축과 이완이 가능한 힌지부(113)가 형성된다.
힌지부(113)는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으로 인해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하부홀더부(120)의 힌지홈(123)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부홀더부(110)에 형성된 힌지부(113)는 끝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면을 기준으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하부홀더부(120)로부터 상하, 좌우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홀더부(110)는 하부홀더부(120)를 기준으로 90° 이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여 악관절 운동인 회전 활주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한다.
하부홀더부(120)는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하악 치아모형(20)을 구비하고, 상부홀더부(110)에 상하, 좌우 운동이 가능하게 분리결합된다.
삼차원 하악 치아모형(20)은 제작기계인 삼차원 프린터나 삼차원 가공기로 모델링하여 제작된다.
하악 치아모형(20)은 하부홀더부(120)에 구비되되, 하부홀더부(120)의 일단부에 결합된 고정핀(121)을 통해 하악 치아모형(20)을 상부홀더부(110)에 구비된다.
하부홀더부(120)에 결합된 고정핀(121)은 상부홀더부(110)의 고정핀(111)과 같이 일단부가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홀더부(120)에 회전 결합된다.
하부홀더부(120)의 고정핀(121)은 상부홀더부(110)에 결합된 고정핀(111)과 길이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하부홀더부(120)의 일단부에 해제부(122)가 구비되되, 하부 해제부(122)는 하부홀더부(120)에 결합되는 고정핀(121)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핀(121)으로부터 결합을 해제시켜 상악 치아모형(20)을 살짝 돌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하부홀더부(120)로부터 이탈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 해제부(122)는 하부홀더부(120)에 누름이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하악 치아모형(20)을 하부홀더부(120)로부터 살짝 이탈시킨다.
하악 치아모형(20)은 하부 해제부(122)를 통해 하부홀더부(120)로부터 살짝 이탈시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하부홀더부(120)는 상부홀더부(110)의 힌지부(113)와 분리결합되는 내측면에 힌지홈(123)이 형성된다.
힌지홈(123)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되, 힌지부(113)의 끝단에 형성된 라운드 형상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힌지홈(123)은 상부홀더부(110)가 하부홀더부(120)를 중심으로 회전 활주운동인 좌우 운동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좌우 운동의 재현으로 인해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홀더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홈(123)과 연계되는 가이드홈(12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4)은 상부홀더부(110)가 하부홀더부(120)에 결합시 상부홀더부(110)의 힌지부(113)가 용이하게 하부홀더부(120)의 힌지홈(1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홀더부가 결합되는 하부홀더부(120a)의 다른 일 실시예로, 상부홀더부가 결합되는 하부홀더부(120a)의 내측면에 2개 이상의 힌지홈(123a)이 형성되되, 도면을 기준으로 3개가 형성된다.
힌지홈(123a)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되, 힌지부의 끝단에 형성된 라운드 형상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개 이상으로 형성된 힌지홈(123a)은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120a)를 중심으로 회전 활주운동인 좌우 운동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구강내 치아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홀더부(120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2개 이상의 힌지홈(123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힌지홈(123a)과 연계되는 가이드홈(124a)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4a)은 상부홀더부가 하부홀더부(120a)에 결합시 상부홀더부의 힌지부가 용이하게 하부홀더부(120a)의 힌지홈(123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고정핀(111a, 12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부홀더부와 하부홀더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단부는 중앙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외주면 둘레에 돌기(111a', 121a')가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핀(111a, 121a)은 상악 치아모형이 상부홀더부에, 하악 치아모형이 하부홀더부에 각각 구비될 경우에 중앙에 형성된 틈새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고정핀(111a, 121a)은 상악 치아모형과 하악 치아모형이 각각 구비되면, 좁아졌던 틈새의 간격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외주면 둘레에 돌출형성된 돌기(111a', 121a')로 인해 한층 구비상태가 견고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110 : 상부홀더부
111 : 고정핀
112 : 해제부
113 : 힌지부
120 : 하부홀더부
121 : 고정핀
122 : 해제부
123 : 힌지홈
124 : 가이드홈
10 : 상악 치아모형
20 : 하악 치아모형

Claims (8)

  1.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상악 치아모형을 구비하는 상부홀더부; 및
    상기 제작기계에 의해 제작된 삼차원 하악 치아모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홀더부에 상하, 좌우 운동이 가능하게 분리결합되는 하부홀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는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더부는 양끝단에 수축과 이완이 가능한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부는 상기 상부홀더부의 힌지부와 분리결합되는 내측면에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힌지홈과 연계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부는 끝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아모형은 상기 상부홀더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악 치아모형은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홀더부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된 고정핀을 통해 상기 상악 치아모형을 상기 상부홀더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악 치아모형을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고정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상부홀더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단부는 중앙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외주면 둘레에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홀더부의 일단부에 상부 해제부와 하부 해제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상부 해제부는 상기 상부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핀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상기 상악 치아모형을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해제부는 상기 하부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핀에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어 누름이나 회전을 통해 상기 하악 치아모형을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부는 상기 하부홀더부를 기준으로 90° 이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KR1020180035451A 2017-03-28 2018-03-27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KR101973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62 2017-03-28
KR20170039162 201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753A KR20180109753A (ko) 2018-10-08
KR101973679B1 true KR101973679B1 (ko) 2019-04-29

Family

ID=6386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51A KR101973679B1 (ko) 2017-03-28 2018-03-27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7647B (zh) * 2019-06-15 2023-06-20 广西科技大学 基于颞下颌关节稳定性的牙颌骨三维数字建模方法
US10959817B2 (en) * 2019-08-14 2021-03-30 Sdc U.S. Smilepay Spv Dental model hold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3258A1 (en) 2008-12-31 2010-07-08 Cadent Ltd. Dental Articulator
KR101100929B1 (ko) 2009-11-12 2012-01-02 주식회사 쿠보텍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KR101478706B1 (ko) * 2013-12-04 2015-01-02 (주)로봇앤드디자인 치아모형 교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215B1 (ko) * 2013-09-17 2015-04-24 변태희 교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3258A1 (en) 2008-12-31 2010-07-08 Cadent Ltd. Dental Articulator
KR101100929B1 (ko) 2009-11-12 2012-01-02 주식회사 쿠보텍 치아모형의 교합평면 진단 및 확인장치
KR101478706B1 (ko) * 2013-12-04 2015-01-02 (주)로봇앤드디자인 치아모형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753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1385C2 (en) Orthodontic appliance.
US8352060B2 (en) Computer-aided fabrication of a removable dental prosthesis
TWI634874B (zh) 用於植體之掃描體以及包含其之植體組件
US9456882B2 (en) Impressionless dental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EP3384872B1 (en) Scanable tray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JP2016540608A (ja) 歯のない人の咬合を記録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8501031A (ja) 歯科用補綴物を製造する方法
KR101973679B1 (ko) 악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삼차원 치아모형용 홀더
JP7161046B2 (ja) デジタル三次元歯列模型システム
CA2705041A1 (en)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ducing edentulous dentures
US6821115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t least one tooth for receiving a crown, bridge and the like
KR101472808B1 (ko) 교합기
KR20080094279A (ko)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KR101725277B1 (ko) 치아모형 스캐너용 지그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WO2018225355A1 (ja) 咬合記録器具及び咬合器
KR102213452B1 (ko) 치아모형의 스캔 장치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KR20000015767A (ko) 치아모형교합기
KR200469131Y1 (ko)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KR102660107B1 (ko)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KR20190080585A (ko) 치아 교합 기록 채득 방법 및 치아 교합 기록 채득 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바이트 포크 연결장치
JP2021049336A (ja) 歯牙固定具及び歯牙固定具の製造方法
RU140377U1 (ru) Высокоточный артикулятор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челюст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