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767A - 치아모형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모형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767A
KR20000015767A KR1019980055143A KR19980055143A KR20000015767A KR 20000015767 A KR20000015767 A KR 20000015767A KR 1019980055143 A KR1019980055143 A KR 1019980055143A KR 19980055143 A KR19980055143 A KR 19980055143A KR 20000015767 A KR20000015767 A KR 2000001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articulator
hinge unit
hi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듀크 케이 김
이기천
Original Assignee
이기천
듀크 케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천, 듀크 케이 김 filed Critical 이기천
Publication of KR2000001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pivotable lower part, i.e. mandibule motion sim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4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3D adjustment, e.g. Ball-and-s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Abstract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는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1힌지유니트와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와 피봇상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2힌지유니트를 구비한다. 이 교합기는 제 1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1클램프와, 제 2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제 2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2클램프를 갖는다. 이 교합기는 또한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레버와 제 2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레버를 구비한다. 제 1레버와 제 2레버는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전방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후방운동을 제한한다. 제 1 및 제 2레버는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외측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부쪽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치아모형교합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아교합기 및 모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모형의 기부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 방법과 이 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의사는 통상 병에 걸린 치아의 음각본(negative impression)을 만든다. 음각본은 수행할 작업정도에 따라서 부분본, 일측본 또는 양측본이 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아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몰드로서 기능한다. 전형적으로 음각본은 트레이를 열가소성재료로 일부 채움으로써 얻어진다. 채워진 트레이는 치아와 그에 인접한 잇몸이 열가소성재료속으로 들어가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환자의 입 속에 삽입된다.그 후 바로 열가소성재료는 경화하여 환자의 치아와 그에 인접한 잇몸의 정확한 본을 보유하게 될 것이다. 이 후의 치아다이의 형성 중에 "핑크스톤(pink stone)"으로 알려진 주입 가능한 캐스팅스톤이 열가소성재료로 형성된 음각본 속에 부어진다. 그 후 핑크스톤은 공극을 배제하도록 압축되어 모든 기포를 제거하고, 핑크스톤이 적어도 약간 경화된 후에 왁스나 유사윤활제가 핑크스톤의 표면상에 싸여진다.
그 후 기부가 치아다이와 결합되어 치아모형을 완성한다. 일반적으로 기부는 몰드를 "옐로우스톤"으로 불리는 주입 가능한 경화성 스톤으로 채움으로써 만들어진다. 치아다이와 기부의 결합은 핀들의 제 1부분들을 치아다이 속에 삽입한 후 옐로우스톤의 경화 전에 핀들의 나머지 부분들을 몰드 속으로 넣음으로써 달성된다. 이 후에 몰드를 제거하면 박혀진 핀들에 의해 기부에 고정된 치아다이가 치아모형에 제공된다. 이런 처리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4,481,162호에 기재되어 있다. 한 쌍의 치아모형과 교합기요소를 결합함에 의해 환자의 입의 완전한 모형이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보철의치 또는 크라운을 개발하기 위해 치아모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교합기가 오랜 세월동안 사용되어 왔다. 어떤 교합기는 고정피봇운동만을 제공하는 단순한 디자인을 갖는 반면, 그 외의 것들은 아주 복잡하며 특정 환자에게 독특한 교합 및 저작정합의 전체범위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다. 간단한 교합기는 일반적으로 충분히 정확히 정합된 보철복원을 제공하여 치과의사의 광범위한 검진을 불필요하게 하는데는 부적절하다. 복잡한 교합기는 매우 비싸며, 특히 경험 없는 치과전문가가 사용하기가 어렵다.
미합중국 특허 제 4,734,033호는 피봇운동을 제공하는 록크 가능한 볼 및 소켓요소와 병진운동을 제공하는 신축성부재를 합체한 치과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장치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볼 및 소켓기구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상하측 치아모형의 위치를 서로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때 이루어진다. 상술한 교합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며 경험 있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볼을 소켓 속에 고정하기 위해 일단 접착제를 사용하면 치아모형은 교합상태에 대하여 재조정될 수 없다. 그 결과 전체 치아모형 및 교합기조립체는 폐물이용부없이 사용한 후에 폐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싸고 사용하기 편하며 치과전문가가 치아틀의 정렬을 반복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치아틀용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치아틀과 사용될 수 있도록 재활용 가능한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형치아의 용이한 추출 및 분리를 위해 노출된 다우얼핀(dowel pin)을 갖는 치아모형 또는 치아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틀 및 몰드의 사시도.
도 2는 치아틀을 형성하기 위한 치아몰드의 부분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A-A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기부로부터 몰드를 제거한 후의 치아틀의 단면도.
도 5는 다우얼핀의 끝의 노출 후의 도 4의 절결도.
도 6은 완성된 상측 치아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구체예에 따른 교합기의 힌지유니트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하측아암유니트와 다리의 가동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상하측 루프를 구비하는 제 1구체예에 따른 교합기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상측 아암유니트의 좌측왕복운동을 도시한 도.
도 11은 상하측 치아틀과 조립되는 교합기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틀과 조립된 교합기의 사시도.
도 13은 단일편의 힌지유니트조립체를 사용하는 교합기의 제 2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제 2구체예에 따른 교합기의 조립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치아다이 2 치아
4 테이퍼형상의 다우얼핀 5 기부
8 반달형 캐비티 9 기부의 바닥면
10 몰드 11, 13 평행벽
15, 15' 암나사삽입체 16 편자형 패드
17 볼유니트 18 커넥팅로드
19 노치 20, 21 외측 및 내측다리
22 공간 23 볼
32, 33 테이퍼형상 갭 42 상측루프
43 하측루프 44 상측아암유니트
45 하측아암유니트 46 스트립
47 개구 48 내측날개부
49 외측날개부 51 볼트
52 원통형 구멍 53, 53' 직립다리
54 리셉터클 55, 55' 원통형 돌출부
60, 60' 원통형 핀 61, 61' 외측다리
62, 62' 평행레버 68 상측지지점
71 하측지지점 100 힌지유니트조립체
152 상측커플러 153 하측커플러
154 원통형 구멍 155 노치
157 반구형 스토퍼 164 하측치아틀
200 교합기 300 교합기
302, 304 상측 및 하측아암유니트 310 상측루프
311 볼트 312 너트
313 구멍 314, 324 리셉터클
315 상측개구 320 하측루프
325 하측개구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 및 이점들은 후속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일부 명백하게 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그 외의 이점은 상세한 설명과 그 청구의 범위 및 첨부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교합기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1힌지유니트와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와 피봇상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2힌지유니트로 구성된다.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및 제 2돌출부중의 적어도 하나의 후방굽힘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로부터 연장되는 레버를 갖는다. 교합기는 또한 제 1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1클램프와, 제 2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제 2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2클램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클램프를 제 1힌지유니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로부터 돌출하는 제 1커플러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클램프를 제 2힌지유니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2커플러가 제 2힌지유니트로부터 돌출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 1클램프는 단일편을 형성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의 연장부 및 일체부가 될 수 있으며 제 2클램프는 단일편을 형성하기 위해 제 2힌지유니트의 연장부 및 일체부가 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합기의 제 1힌지유니트는 원통형단부를 갖는 제 3돌출부를 가지며 제 2힌지유니트는 제 1힌지유니트의 제 3돌출부를 피봇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 제 3돌출부를 갖는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합기는 제 1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레버와 제 2힌지유니트의 제 2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레버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레버는 모두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전방굽힘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후방굽힘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전방굽힘운동은 제 1 및 제 2레버로부터의 운동으로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레버는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굽힘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외측굽힘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부쪽으로 배치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교합기는 제 1클램프를 제 1치아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볼유니트와 제 2클램프를 제 2치아틀에 연결하기 위한 제 2볼유니트를 구비한다. 제 1볼유니트는 제 1부와 제 2부를 갖는데, 제 1부는 제 1힌지유니트에 대하여 피봇 및 회전운동하도록 제 1클램프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부는 제 1치아틀 내에 배치된다. 제 2볼유니트는 제 1부와 제 2부를 갖는데, 제 1부는 제 2힌지유니트에 대하여 피봇 및 회전운동하도록 제 2클램프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부는 제 2치아틀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볼유니트의 제 1부는 구형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경화성재료를 수용하며, 기부주위로 돌출하는 측벽을 갖는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기부에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와, 경화성재료를 몰드 속에 주입하는 단계와, 치아다이 속에 다우얼핀을 배치하는 단계와, 다우얼핀이 기부상의 패드를 침투할 때까지 다우얼핀을 갖는 치아다이를 경화성재료 속에 배치하는 단계와, 경화성재료가 경화하여 치아틀을 형성한 후에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와, 패드 속에 묻힌 다우얼핀의 끝을 노출시키기 위해 패드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치아모형의 형성방법을 포함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기부는 치아다이의 형상을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인접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를 가진다. 패드의 형상은 캐비티의 형상과 동일하며 패드는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면, 특징 및 패드는 도면과 첨부특허청구의 범위를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을 보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여기서 여러 도면에서 동일부호는 대응부분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최적 구체예를 상세히 참조한다.
도 1은 치아모형의 사시도이다. 일단 의사가 환자의 입의 본을 음각형태로 만들면, 그 후 음각형태는 예를 들어 금이나 자기크라운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치아(2)를 구비하는 치아다이(1)를 적절한 석고재료로 만드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테이퍼형상의 다우얼핀(4)의 일단부들이 대응치아와 일직선상으로 치아다이(1)의 잇몸부속으로 삽입된다. 다우얼핀(4)의 타단부들은 팽창된 스티렌-폴리머(보통 스티로폼으로 알려져 있음)나 그 외의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편자형상의 패드(16)속에 삽입되는데 이 편자형상의 패드는 유사한 형상 또는 반달형상의 캐비티(8)속에 넉넉하게 끼워진다. 이 캐비티(8)는 몰드(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두 개의 융기된 대체로 평행한 벽(11)(13)에 의해 이루어진다.
패드(16)는 몰드(10)의 내측에 형성된 캐비티(8) 속에 놓여진다. 그 후 몰드(10)는 석분이나 석고분으로 알려진 물섞인 석고같은 주입가능한 경화성재료로 채워진다. 석고재료가 경화하기 전에, 다우얼핀(4)의 하측끝이 패드(16)를 침투하여 캐비티(8)의 바닥면과 접촉할 때까지 치아다이(1)와 치아다이의 바닥에 미리 견고히 부착된 다우얼핀(4)이 몰드(10)속으로 삽입된다. 경화된 석고재료는 도 3에 도시한 기부(5)를 형성한다. 여기서 패드(16)의 두께는 다우얼핀(4)의 노출길이를 결정한다.
몰드(10)내부의 석고재료가 경화하기 전에, 양측의 외측 및 내측다리(20)(21)가 몰드(10)를 이루는 측벽(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볼유니트가 삽입된다. 볼유니트(17)는 몰드(10)의 벽의 두께주위로 끼워지도록 볼(23)과 내측다리(21)사이에 충분히 긴 공간(22)을 갖는다. 볼유니트(17)의 양측다리(20)(21)는 바람직하게는 석고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19)를 갖는다. 노치(19)는 기부(5)내의 볼유니트(17)의 보유특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방법으로서, 노치(19)와 같은 목적으로 다리(20)(21)에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볼유니트(17)는 또한 다리(20)(21)와 볼(23)사이에 배치된 커넥팅로드(18)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원통형상을 갖는 커넥팅로드(18)를 도시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내측다리(21)와 하나의 외측다리(20)의 대신에 커넥팅로드(18)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인접한 내측다리와 하나의 외측다리(20)가 있도록 삼각형상(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볼유니트(17)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고재료가 볼유니트(17)의 양측에서 경화하기 전에 암나사삽입체(15)(15')가 기부(5)속에 위치된다. 삽입체(15)(15')는 경화된 석고재료속에 삽입될 때 석고재료가 삽입체(15)(15')의 나사부속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하나의 폐쇄단부를 갖는다. 삽입체(15)(15')의 각각은 틀의 상하측 치아모형사이의 거리를 고정하기 위한 후측 스톱부로서 기능하는 손잡이숫나사(14)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이 것은 금이나 자기로 보철물을 만들어야 할 때 상하측 모형사이의 고정거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손잡이나사(14)와 삽입체(15)는 손잡이나사(14)를 삽입체(15)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수직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하측 치아모형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모형(10), 볼유니트(17) 및 두 개의 삽입체(15)의 부분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몰드(10)의 벽에 대한 편자형상의 캐비티(8)의 위치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8)의 외측벽(11)과 몰드(10)의 내측면(7)에는 갭(12)이 있다. 캐비티(8)의 외측벽 및 내측벽(11)(13)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다.
몰드(10)의 제거 후에, 경화된 석고재료는 치아다이(1)에 대한 기부(5)를 제공한다. 몰드(10)의 제거 후에 치아틀의 단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편자형상의 패드(16)는 여전히 다우얼핀(4)의 끝(4')을 통하여 기부(5)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선 A-A에서 본 절결도이다. 도 5는 또한 기부(5)로부터 패드(8)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다우얼핀(4)의 끝(4')을 나타낸다. 다우얼핀(4)의 끝(4')은 기부(5)로부터 돌출하여 치과전문가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완전한 상측치아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다우얼핀(4)의 노출된 핀(4')은 각각의 치아(3)의 반대측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출된 끝(4')의 단부는 대체로 기부(5')의 바닥면(9)과 동일면상의 표면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 모형치아(3)가 추출될 때까지 대응하는 다우얼핀(4)을 바닥으로부터 누름으로써 모형치아(3)가 치아모형의 나머지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분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형치아(3)와 인접치아부 사이를 절단하기 위해 얇은 톱이 사용된다. 그 후 소형해머로 다우얼핀(4)의 노출끝(4')을 가볍게 두드려 그 다우얼핀(4)를 기부(5')로부터 뽑음으로써 모형치아(3)가 제거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유니트(17)의 볼(23)은 기부(5')에서 돌출하는 한편, 외측 및 내측다리(20)(21)는 경화된 기부(5')속에 묻히고 따라서 기부(5)의 일체부가 된다. 상측치아틀에 관한 상기 설명은 또한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은 하측치아틀에도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구체예에 따른 교합기의 힌지유니트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완전한 교합기(2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교합기는 예를 들어 도 6의 몰드구체예에 의해 제조된 치아모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유니트조립체(100)는 "M"형상의 상측아암유니트(44)와 역"M"형상의 하측아암유니트(45)를 구비한다. 상측아암유니트(44)는, 사람의 아래턱뼈가 "L"형상을 갖는 반면 아래턱뼈에 연결된 위턱뼈는 거의 편평하고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하측아암유니트(45)의 높이보다 낮다. 상측아암유니트(44)는 하측아암유니트(45)쪽으로 연장되는 다리의 반대측 상측아암유니트(44)의 중간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는 상측커플러(152)를 갖는다. 상측커플러(152)는 도 10에 도시한 스프링장착 상측루프(42)를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구멍(52)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하측아암유니트(45)는 상측아암유니트(44)쪽으로 연장되는 다리(61)(61')의 반대측의 하측아암유니트(45)의 중간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는 하측커플러(153)를 가진다. 하측커플러(153)는 스프링장착 하측루프(43)를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구멍(154)을 갖는다.
상측아암유니트(44)는 하측아암유니트(45)의 대응다리(61)(61')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평행한 직립다리(53)(53')를 갖는다. 상측아암유니트(44)는 상측아암유니트(44)의 두 개의 외측다리(53)에 형성된 리셉터클(54)과 결합하는 하측아암유니트(45)의 두 개의 외측다리(61)(61')의 단부에 형성된 원통형핀(60)(60')에 의해 하측아암유니트(45)에 피봇상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측아암유니트(44)의 중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돌출부(55)(55')는 하측아암유니트(45)의 중간다리(58)의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리셉터클(59)에 수용된다. 원통형돌출부(55)(55')는 각각 리셉터클(59)(59')에 대하여 피봇운동한다.
하측아암유니트(45)는 하측아암유니트(45)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평행레버(62)(62')를 구비한다. 각 외측다리(61) 또는 (61')는 각각의 레버(62) 또는 (62')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좌측레버(62)는 좌측다리(61)의 내측에 놓이고 우측레버(62')도 우측다리(61')의 내측에 놓인다. 레버(62)(62')의 기능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교합기의 힌지유니트조립체(100)은 사출성형같은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같은 유연하고 탄성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유연한 성질 때문에, 힌지유니트조립체(100)는 상측아암유니트(44)와 하측아암유니트(45)가 상호해체없이 서로에 대한 시계방향비틀림(60) 또는 반시계방향비틀림(70)을 갖게 한다. 상측아암유니트(44)의 비틀림은 상측지지점(68)에 중심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측 및 하측지지점(68)(71)은 동일회전축을 공유한다. 외측다리(61)(61')와 레버(62)(62')의 구성 때문에 우측다리(61')는 도면부호 7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우측 및 후방으로보다 좌측 및 전방으로 더 연장된다(전방이동은 도면부호 72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좌측다리(61)는 도면부호 7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및 후방으로보다 우측 및 전방으로 더 연장된다(전방이동은 도면부호 75로 나타낸다).
상측 및 하측커플러(152)(153)의 각각은 테이퍼형상의 갭(32) 또는 (33)을 가지는데, 그 폭은 볼트(51)의 조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측 및 하측커플러(152)(153)는 또한 갭(32) 또는 (33)의 폭의 조정을 돕기 위하여 기부에 형성된 노치(155)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측 볼유니트가 상측 루프(42)의 개구(47)속으로 삽입될 때(도 9 참조), 볼(51)이 헐렁해져 갭(32)이 그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일단 볼유니트가 개구(47)속에 놓이면 볼트(51)는 갭(32)의 폭을 줄이는 너트(50)에 대하여 조여지므로 상측 루프(42)가 볼유니트와 견고히 결합된다. 하측루프(43)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하측아암유니트(45)의 측면도와 다리의 가동성을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측아암유니트(45)의 외측다리(61)(61')는 여러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레버(62)(62')의 변위 때문에 다리(61)(61')는 특정방향으로 운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 1구체예에 있어서, 다리(61)(61')(61만을 도시)의 전방운동의 범위는 도면부호 66으로 지시되어 있으며 다리(61)(61')의 후방운동의 범위는 도면부호 67로 지시되어 있다. 다리(61)의 후방운동은 레버(62)의 하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작은 반구형 스토퍼(157)에 의해 제한된다. 갭(63)의 폭은 또한 레버(62)에 대한 다리(61)의 운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갭(63)의 폭은 약 1-4mm이며, 반구형 스토퍼(157)와 외측다리(61)사이의 갭은 약 0.5-1.5mm이다. 상술한 운동은 구강생리학에 따른 관절구의 운동을 근사하게 시뮬레이트한다.
도 9는 상하측루프(42)(43)를 구비하는 제 1구체예에 따른 교합기(2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루프(42)(43)는 또한 클램프로도 알려져 있다. 루프(42)(43)는 바람직하게는 강이나 플라스틱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루프(42) 또는 (43)는 볼트(51)가 회전되어 상측루프(42)를 상측커플러(152)에 고정하는 동안 너트(50)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측날개부(49)를 갖는다. 상측루프(42)는 또한 외측날개부(49)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측커플러(152)의 외측면의 주위에 놓여져 상측커플러(152)에 대하여 상측루프(42)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내측날개부(48)를 갖는다. 일단 상측루프(42)가 상측커플러(152)에 놓여지면, 볼트(51)가 구멍(52)을 통하여 삽입되고 너트(50)와 나합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너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측루프(42)의 수용단부는 대응하는 외측나사를 갖는 볼트(51)와 나합하게 하는 내부나사를 가질 수 있다. 상측루프(42)의 내측날개부(48)는 상측루프(42)가 상측커플러(152)에 대하여 피봇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루프(43)는 상측루프(4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그 설명의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상측루프(42)는 상측치아틀에 대한 볼유니트(17)의 볼(23)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47)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하측루프(43)는 하측치아틀에 대한 볼유니트의 볼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47')를 이룬다. 개구(47) 또는 (47')의 직경은 볼(23)을 단단하고 견고하게 보유하기 위해 볼(23)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다. 개구(47) 또는 (47')는 외측날개부(49)와 내측날개부(48)를 원형상태로 연결하는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립(46)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평행스트립(46)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커넥터(41)가 제공되므로 볼(23) 또는 (23')을 보유할 때 강한 보유 및 압축강도를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커넥터(41)와 연결된 평행스트립(46)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측루프(43) 또는 상측루프(42)는 얇은 고체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은 제 1구체예에 따른 교합기(200)의 상측 아암유니트의 좌측왕복운동을 도시한다. 특히 모형치아를 갖는 턱의 운동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휨운동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되시되어 있다.
도 11은 상하측 치아틀과 조립되는 교합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상측치아틀(163)의 볼(23)은 상측루프(42)에 의해 이루어진 개구(47)속으로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하측치아틀(164)의 볼(23')은 하측루프(43)에 의해 이루어진 개구(47')속으로 삽입된다. 일단 각 루프(42) 또는 (43)가 삽입되면, 볼트(51)가 조여져 대응하는 치아틀을 제자리에 견고히 고정한다. 각 볼(23) 또는 (23')의 외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볼이 루프(42)내에서 슬리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칠거나 샌드블라스트된 표면을 갖는 중간절편(161) 또는 (161')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200)을 사용한 교합의 완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측치아틀(163)은 상측볼유니트(17)를 통하여 상측아암유니트(44)에 연결되는데, 볼유니트(17)의 다리들은 상측치아틀(163)속에 묻히고 볼(23)은 상측루프(42)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하측치아틀(164)은 하측볼유니트(17')를 통하여 하측아암유니트(45)에 연결되는데, 볼유니트(17')의 다리들은 하측치아틀(164)속에 묻히고 볼(23')은 하측루프(43)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상측아암유니트(44)의 길이는 힌지유니트조립체(100)의 하측아암유니트(45)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완전히 조립된 치아틀은 "L"형상의 아래턱뼈를 갖는 인간의 턱뼈의 치아틀과 비슷하게 배열된다.
도 13은 별개의 루프 및 아암의 대신에 단일편의 힌지유니트조립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2구체예에 따른 교합기(300)를 나타낸다. 제 2구체예에 따르면, 교합기(300)는 서로에 대하여 피봇상태로 연결된 상측아암유니트(302)와 하측아암유니트(304)를 구비한다. 상측 및 하측아암유니트(302)(304)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 1구체예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 2구체예에서는 상측커플러와 하측커플러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상측커플러에 연결된 별개의 루프를 갖는 대신에 제 2구체예에 따른 교합기(300)는 상측아암유니트(302)의 중간에 부착된 상측루프(310)와, 하측아암유니트(304)의 중간에 부착된 하측루프(320)를 갖는다. 상측루프(310)는 볼트(311)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313)과, 대응너트(312)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314)을 가진다. 하측루프(320)는 볼트(311)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323)과, 대응너트(312)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324)을 갖는다. 상측루프(310)는 상측치아틀에 연결된 상측볼유니트를 장착하기 위한 상측개구(315)를 이룬다. 하측루프(320)는 하측치아틀에 연결된 하측볼유니트를 장착하기 위한 하측개구(325)를 이룬다.
상하측루프(310)(320)의 각각은 테이퍼형상의 갭(317) 또는 (327)을 갖는데, 그 폭은 볼트(311)의 조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볼유니트가 상측루프(310)의 개구(315)속에 삽입될 때, 볼트(311)가 헐렁해져 갭(317)이 그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일단 볼유니트가 개구(315)속에 놓이면, 볼트(311)가 너트(312)에 대하여 조여져 갭(317)의 폭을 줄이고 따라서 상측루프(310)가 볼유니트와 견고히 결합하게 한다. 이 것은 하측루프(32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4는 교합기(300)의 조립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측 및 하측루프(310)(320)는 그 사이에 수직한 커넥터를 갖는 평행스트립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는 유연한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상하측루프(310)(320)가 파손 없이 쉽게 휘어지게 한다.
제 2구체예에 있어서, 상측아암유니트(302)와 하측아암유니트(304)는 사출성형법같은 적합한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교합기(300)의 재료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특성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는 이런 변경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제시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이지 않게 생각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보다는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지시되며, 따라서 청구의 범위의 의미와 동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화는 그 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자 한다.

Claims (20)

  1.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1힌지유니트와,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를 피봇상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후방굽힘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연장된 레버를 갖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2힌지유니트와,
    제 1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 1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1클램프와,
    제 2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 2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2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제 1클램프를 제 1힌지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1힌지유니트로부터 돌출하는 제 1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3.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제 2클램프를 제 2힌지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 2힌지유니트로부터 돌출하는 제 2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힌지유니트는 원통형단부를 갖는 제 3돌출부를 가지며 제 2힌지유니트는 제 1힌지유니트의 제 3돌출부를 피봇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 제 3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는 원통형단부를 가지며,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는 원통형단부를 피봇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6.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레버와 제 2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레버는 제 2힌지부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전방굽힘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후방굽힘운동을 제한하는데, 전방굽힘운동은 제 1 및 제 2레버로부터의 운동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레버는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굽힘운동을 향상시키는 한편 외측굽힘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내측부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레버는 제 2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후방굽힘운동을 더욱 제한하기 위하여 그 각 단부에서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클램프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과 그 사이에 형성된 커넥터를 가지며, 다수의 스트립은 제 1 및 제 2치아틀의 적어도 하나를 조정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제 1클램프를 제 1치아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볼유니트와 제 2클램프를 제 2치아틀에 연결하기 위한 제 2볼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볼유니트은 제 1부와 제 2부를 가지는데 제 1부는 제 1힌지유니트에 대하여 피봇 및 회전운동하도록 제 1클램프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부는 제 1치아틀속에 배치되며, 제 2볼유니트는 제 1부와 제 2부를 가지는데 제 1부는 제 2힌지유니트에 대하여 피봇 및 회전운동하도록 제 2클램프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부는 제 2치아틀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볼유니트의 제 1부는 구형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제 1클램프는 단일편을 형성하도록 제 1힌지유니트의 연장부 및 일체부이며, 제 2클램프는 단일편을 형성하도록 제 2힌지유니트의 연장부 및 일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4.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갖는 제 1힌지수단과,
    제 1힌지유니트의 제 1 및 제 2돌출부와 피봇상태로 결합하기 위하여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돌출부를 가지는데, 이 제 1 및 제 2돌출부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및 제 2돌출부의 후방굽힘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연장된 레버를 가지며, 제 1힌지수단과 피봇상태로 결합하기 위한 제 2힌지수단과,
    제 1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 1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1클램프수단과,
    제 2치아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제 2힌지유니트에 연결된 제 2클램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또한 제 1클램프수단을 제 1힌지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 1힌지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커플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또한 제 2클램프수단을 제 2힌지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 2힌지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2커플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또한 제 1힌지수단의 제 1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레버수단과 제 2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레버수단을 구비하며, 제 1 및 제 2레버수단은 제 2힌지수단의 제 1 및 제 2돌출부의 전방굽힘운동은 향상시키는 한편 후방굽힘운동은 제한하는데 전방굽힘운동은 제 1 및 제 2레버수단으로부터의 운동으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틀을 고정하기 위한 교합기.
  18. 경화성재료를 수용하며, 기부주위로 돌출하는 측벽을 갖는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기부에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와,
    경화성재료를 몰드 속에 주입하는 단계와,
    치아다이 속에 다우얼핀을 배치하는 단계와,
    다우얼핀이 기부상의 패드를 침투할 때까지 다우얼핀을 갖는 치아다이를 경화성재료 속에 배치하는 단계와,
    경화성재료가 경화하여 치아틀을 형성한 후에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와,
    패드 속에 묻힌 다우얼핀의 끝을 노출시키기 위해 패드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다이용 치아틀의 형성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기부는 치아다이의 형상을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인접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다이용 치아틀의 형성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패드의 형상은 캐비티의 형상과 동일하며 패드는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다이용 치아틀의 형성방법.
KR1019980055143A 1998-08-03 1998-12-15 치아모형교합기 KR20000015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08998A 1998-08-03 1998-08-03
US09/128,089 1998-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67A true KR20000015767A (ko) 2000-03-15

Family

ID=2243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143A KR20000015767A (ko) 1998-08-03 1998-12-15 치아모형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7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80B1 (ko) * 2001-07-21 2004-02-11 김영문 치아모형 교합기
WO2008103481A1 (en) * 2007-02-23 2008-08-28 Yunoh Jung Dental modeling system with drillable tray base
KR100865591B1 (ko) * 2008-04-07 2008-10-28 임무철 치아모형 교합기
ITNA20080059A1 (it) * 2008-10-17 2010-04-18 Massimiliano Mosella Sistema di produzione modelli di precisione odontotecnici
KR101719925B1 (ko) * 2015-12-08 2017-03-24 김성후 교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80B1 (ko) * 2001-07-21 2004-02-11 김영문 치아모형 교합기
WO2008103481A1 (en) * 2007-02-23 2008-08-28 Yunoh Jung Dental modeling system with drillable tray base
KR100865591B1 (ko) * 2008-04-07 2008-10-28 임무철 치아모형 교합기
ITNA20080059A1 (it) * 2008-10-17 2010-04-18 Massimiliano Mosella Sistema di produzione modelli di precisione odontotecnici
KR101719925B1 (ko) * 2015-12-08 2017-03-24 김성후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6079A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US3200497A (en) Method of reproducing dental relationships on an articulator
US4705476A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artificial dentures
JP5194020B2 (ja) 歯科モデル、咬合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WO1997031585A9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US20120295219A1 (en) Dental articulator for positioning the arcades without the use of plaster
AU721372B2 (en) Mould for forming a basis for a dental cast model
JP2001511681A (ja) 歯科鋳造用鋳型装置
US7175437B2 (en) Dental bridge holder alignment mechanism
US6247927B1 (en) Disposable articulator having tray support with opening which accepts a projection from a tray
US20020102514A1 (en) Encased stone dental model base body and method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20000015767A (ko) 치아모형교합기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US4952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replacement dental structures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7210932B2 (en) Pin-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KR100417880B1 (ko) 치아모형 교합기
US3406451A (en) Gothic arch bisector and relator
KR960002094Y1 (ko) 바이트 트레이 교합 유지구
US20020110779A1 (en) Dental mold and articulator for use in aligning dental models
JPH0551301B2 (ko)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