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591B1 - 치아모형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591B1
KR100865591B1 KR1020080031997A KR20080031997A KR100865591B1 KR 100865591 B1 KR100865591 B1 KR 100865591B1 KR 1020080031997 A KR1020080031997 A KR 1020080031997A KR 20080031997 A KR20080031997 A KR 20080031997A KR 100865591 B1 KR100865591 B1 KR 10086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members
fixing
dental model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무철
Original Assignee
임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무철 filed Critical 임무철
Priority to KR102008003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hinge made of 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치아모형 교합기는 하부 및 상부 베이스 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를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로 연결하여 턱관절 운동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한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부재(36), 상기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돌출된 끝단이 서로 맞대어 짐으로써 상기 볼부재(36)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나사(58)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사람의 턱관절의 상하회전 운동을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치아모형을 쉽게 교합기에 장탈착할 수 있고, 또한 그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교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치아모형, 교합기, 베이스부재, 연결부재, 볼부재, 간격유지부재

Description

치아모형 교합기 {DENTAL MODEL ARTICULATOR}
본 발명은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모형을 쉽게 장탈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손상된 경우 사람이 음식물을 저작하거나 삼킬 때 지장을 주게 되고, 그 손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이렇게 손상된 치아는 인공치아 또는 보철물로써 치료하여야 한다.
이러한 보철물은 대응되는 치아와 양호하게 맞물리도록 만들어야 하므로 보철물을 제작할 때는 치아가 양호하게 맞물리는지 여부, 즉 교합상태를 계속 확인하면서 제작하며, 이때 사람의 턱관절 운동을 모의하도록 한 치아모형 교합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사람의 턱관절의 상하 운동뿐만 아니라 구강구조의 인체 기능적 회전 운동도 모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턱관절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구조의 치아모형 교합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미국 특허 제4,382,787호에 게재된 치아모형 교합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형태의 치아모형 교합기(1)는 상하 치아모형(2, 3)에 각각 형성된 슬롯(4, 5)에 장착수단(6, 7)이 각각 장착된 구조로서 장착수단(6, 7)은 한 쌍의 탄성 브라켓(8, 9)과 회전 자재하게 볼결합되며, 각각의 탄성브라켓(8, 9)은 대칭 형상으로서 회전 축결합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장착수단(6, 7)은 그 상면에 결합재를 도포한 다음에 치아모형(2, 3)에 형성된 슬롯(4, 5)에 끼움으로써 접착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치아모형 교합기는 장착수단(6, 7)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모형에 접착 고정하므로 일단 결합된 교합기를 치아모형으로부터 분리하기 곤란하여 장착수단(6, 7)과 치아모형(2, 3)과의 결합 위치 또는 결합관계를 수정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모형(2, 3)에 교합기를 장착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어려워 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장착수단(6, 7)을 슬롯(4, 5)에 끼워 조립하기 때문에 전체 치아모형에서 작업대상 치아모형만을 분리하는 경우에 작업대상 치아모형에 장착된 고정핀의 하부에 힘을 가하여야 하는데 치아모형에 큰 힘을 가하는 경우 치아모형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큰 힘을 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든 작업이 종료되고 나면 치아모형 교합기를 다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교합기를 치아모형으로부터 분리하여야하는데 교합기가 치아모형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보철물을 환자의 손상된 치아에 끼웠을 때 환자가 불편하게 느끼지 않는 정교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하부 치아모형 간에는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손상된 치아가 송곳니와 같이 중간 치아인 경우에는 주위의 손상되지 않은 치아끼리 맞닿아 서로 지지되므로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손상된 치아가 제일 안쪽 어금니인 경우에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교합기가 볼 결합되어 있고, 그 결합상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상부의 치아모형이 뒤쪽으로 처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 치아간에 정확한 간격('상하 고경'이라고도 한다.)이 유지되지 않아 정교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얻을 수 없으며, 이는 치아 기공작업에 있어 치명적이다.
도 2 역시 종래의 교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한 쌍의 연결부재(11, 12)가 회전축 결합에 의하여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연결부재(11, 12)의 끝단에는 각각 볼(13)이 형성되어 있어 이 볼에 몰딩부재(14, 15)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회전 자재하게 연결되며, 이 몰딩부재(14, 15)는 치아모형(16, 17) 상에 형성된 요부(18)에 고정되는데 이때 시멘트나 석고를 사용하여 매립시킴으로써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교합기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몰딩부재(14, 15)를 치아모형(16, 17)에 석고 등으로 고정할 때에 석고(20) 등이 고정핀(19)에도 같이 도포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다시 고정핀(19) 부분에 도포된 석고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석고를 부을 때 조심스럽게 부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고정핀(19) 부분에 석고 등이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테이프 등으로 고정핀(19) 부분을 가려 석고가 고정핀(19) 위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을 선행하여야하므로 시간과 작업공정의 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구나 도포된 석고(20)에 의하여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치아모형(16, 17)의 저면이 고르지 않아 치아모형(16, 17)을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작업대 위에서 작업할 경우에 작업 중 흔들림이 발생하여 섬세한 치과 기공작업에 문제가 있으며, 석고(20)가 굳을 때까지의 시간동안 작업자는 다른 작업을 하거나 기다려야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체 치아모형으로부터 작업대상인 일부 치아모형을 분리할 때에 파손의 우려가 있어 큰 힘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 구조의 교합기 역시 앞서 기술한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교합기가 볼 결합되어 있고, 그 결합상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대응되는 치아에 적합한 형상의 보철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턱관절의 상하운동만을 모의하거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모의하여야 하는데 이상에서 설명한 교합기를 포함한 종래의 교합기들은 턱관절의 상하운동만을 모의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모의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을 뿐, 하나의 장치 내에서 이들 기능 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수가 없어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교합기가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치아모형을 쉽게 장탈착할 수 있으며, 턱관절의 상하운동만을 모의하거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모의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치아모형을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치아모형으로부터 작업대상인 부분 치아모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를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로 연결하여 턱관절 운동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한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부재(36), 상기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돌출된 끝단이 서로 맞대어 짐으로써 상기 볼부재(36)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나사(58)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턱관절의 상하운동만을 모의하거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모의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하부 베이스부재(30) 또는 상부 베이스부재(40)는 평판(31)과, 상기 평판(31)에 형성된 홈부(32)와, 상기 홈부(32)의 내부에 홈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조절나사(33)와, 치아모형을 지지하는 돌출지지부재(37) 및 볼부재(36)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33)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평판(31)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회전노브(34)가 부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고정부재(35)가 부착되며, 상기 돌출지지부재(37)는 상기 고정부재(35)와 대향되는 위치의 평판 측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35)와 함께 작용하여 치아모형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치아모형을 교합기에 쉽게 장탈착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연결부재(50, 60) 각각에는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59)가 부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59)에는 간격유지부재(59)의 설정상태를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너트(52)가 간격유지부재(59)에 의하여 관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의 평판(31)에는 치아모형에 삽입된 고 정핀(90)을 볼 수 있도록 관통구멍(38)이 형성된 구조로서, 이에 의하여 전체 치아모형으로부터 작업대상인 일부 치아모형을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사용자가 턱관절의 상하운동만을 모의하거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모의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치아모형을 쉽게 장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룽러 그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이에 의하여 정교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전체 치아모형으로부터 작업대상인 일부 치아모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교합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교합기는 하부 베이스부재(30)와 상부 베이스부재(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는 하부 연결부재(50) 와 상부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부 베이스부재(30)와 상부 베이스부재(40) 및 하부 연결부재(50)와 상부 연결부재(60)는 각각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되어 있어 하부 베이스부재인지 아니면 상부 베이스부재인지, 또는 하부 연결부재인지 아니면 상부 연결부재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하나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제작비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하부 베이스부재와 하부 연결부재의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상부 베이스부재와 상부 연결부재의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 베이스부재(30)는 도 5에서와 같이 평판(31)과, 상기 평판(31)의 내부에 형성된 홈부(32)와, 상기 홈부(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절나사(33)와, 상기 조절나사(33)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노브(nob, 34)와, 하부 연결부재(50)와 연결되는 볼부재(36)를 포함한다.
하부 베이스부재(30)의 평판(31)에는 일정길이의 사각 홈부(32)가 하부 베이스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평판(31)의 홈부(32)의 내부에는 조절나사(33)가 설치되는데, 이 조절나사(33)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며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노브(34)가 평판(31)의 측면에 위치되고, 조절나사(33)의 타측 끝단에는 'ㄴ'자 형상의 고정부재(35)가 부착되어 있어 조절나사(33)의 회전노브(34)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의 끝단에 설치된 고정부재(35)가 나사가 회전됨에 따라 전후진하여 치아모형(70, 80)을 고정하거나 느슨하게 한다.
회전노브(34)가 부착되는 평판(31) 측면의 양쪽 모서리부 각각에는 치아모형(70)을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돌출지지부재(37)가 형성된다.
또한 평판(31)에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회전노브(34)가 부착되는 평판(31)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그 외곽선이 원호 모양인 관통구멍(38)이 조절나사축(39)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관통구멍(38)을 형성하는 이유는 하부 베이스부재(30)에 치아모형(70)을 장착하게 되면 하부 베이스부재(30)에 의하여 고정핀(90)이 가리게 되고, 이 경우 작업자가 고정핀(90)을 볼 수 없으므로 전체 치아모형으로부터 작업대상인 일부 치아모형을 분리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돌출지지부재(37)와 'ㄴ'자 형상으로 된 고정부재(35)의 수직면의 내측면 각각에는 치아모형(7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돌기부(1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판(31)의 측면에 조절나사(33)를 회전시키는 회전노브(34)와 대향되는 위치의 평판(31)의 측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연결부재(50)와 결합되는 볼부재(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연결부재(50)는 도 6 및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ㄷ'자 모양의 프레임(53)의 중앙 부분에 2개의 바(51)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된다.
'ㄷ'자 모양의 프레임(53)의 일측은 2개의 측벽(54)으로 이루어지고, 이 2개의 측벽(54)의 끝단은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원형판의 그 중심부에는 회전축(55)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53)의 타측은 하나의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이 측벽의 끝단은 일부가 절개된 원형고리 형상의 끼움부(5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끼움부(56)에는 원형고리의 수평중앙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의하여 상부 연결부재(60)의 회전축이 끼움부(56)에 장탈착될 때 쉽게 장탈착될 수 있다.
또한 'ㄷ'자 모양의 프레임(53)의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된 바(51)의 각각의 끝단에는 베이스부재(30)에 부착된 볼부재(3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홈(57)이 파져있다.
그리고 각각의 바(51)에는 그 끝단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부분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을 통해 손잡이가 달린 조임나사(58)가 관통 설치된다.
조임나사(58)를 설치한 이유는 바(51)와 볼부재(36)가 연결될 때, 이들간의 그 결합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인데, 조임나사(58)를 강하게 죄게 되면 구 형상의 볼부재(36)의 회전이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교합기는 턱관절의 상하운동만 모의하게 되며, 조임나사(58)를 풀어 느슨하게 하면 볼부재(36)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턱관절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모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교합기의 운동 형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바(51)와 프레임(53)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에 손잡이가 달린 간격유지부재(59)가 고정너트(52)를 그 사이에 끼운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간격유지부재(59)를 이루는 나사의 길이는 프레임(53)을 관통하고도 일정부분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간격유지부재(59)는 종래의 교합기가 볼 결합되어 있고, 그 결합상태를 고 정,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은 도 8에서와 같이 상하부 연결부재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59)의 프레임(53)으로부터 돌출된 나사의 끝단이 서로 맞대어 짐으로써 유지되고, 이러한 설정상태는 간격유지부재(59) 상에 설치된 고정너트(52)를 죔으로써 고정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부 연결부재(50)와 상부 연결부재(60)를 미리 조립하여둔 다음,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의 각각의 평판의 측면에 설치된 회전노브(34)를 돌려 나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하부 치아모형(70, 80)을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에 각각 설치한 후, 회전노브(34)에 의하여 조절나사(33)를 다시 죄어 상하부 치아모형(70, 80)을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에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상하부 연결부재(50, 60) 각각을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의 볼부재(36)에 끼운 다음, 원하는 형태의 턱관절 운동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도록 조임나사(58)를 죄어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하부 연결부재(50, 60)를 연결한 후, 왁스바이트(wax bite, 상하부 치아모형간의 간격을 점검하는 재료)를 상하부 치아모형 사이에 끼우고, 간격유지부재(59)의 나사의 돌출 길이를 적절히 조정한 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너트(52)를 죄면 교합기의 조립이 완성되고, 이에 따라 교합상태를 점검하면서 보철물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합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합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3의 교합기에 치아모형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베이스부재(또는 하부 베이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연결부재(또는 하부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치아모형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베이스부재에 치아모형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합기 2, 3 : 치아모형
4, 5 : 슬롯 6, 7 : 장착수단
8, 9 : 탄성브라켓 11, 12 : 연결부재
13 : 볼 14, 15 : 몰딩부재
16, 17 : 치아모형 18 : 요부
19 : 고정핀 20 : 석고
30 : 하부 베이스부재 31 : 평판
32 : 홈부 33 : 조절나사
34 : 회전노브 35 : 고정부재
36 : 볼부재 37 : 돌출지지부재 38 : 관통구멍
39 : 조절나사축 40 : 상부 베이스부재
50 : 하부 연결부재 51 : 바
52 : 고정너트 53 : 프레임
55 : 회전축 56 : 끼움부
57 : 홈 58 : 조임나사
59 : 간격유지부재 60 : 상부 연결부재
70 : 하부 치아모형 80 : 상부 치아모형
90 : 고정핀 100 : 돌기부

Claims (5)

  1.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를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로 연결하여 턱관절 운동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한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베이스부재(30, 4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부재(36),
    상기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돌출된 끝단이 서로 맞대어 짐으로써 상기 볼부재(36)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나사(58)와,
    상기 하부 및 상부 연결부재(50, 60)에 설치되어 상하부 치형모형 사이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5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하부 베이스부재(30) 또는 상부 베이스부재(40)는 평판(31)과, 상기 평판(31)에 형성된 홈부(32)와, 상기 홈부(32)의 내부에 홈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조절나사(33)와, 치아모형을 지지하는 돌출지지부재(37) 및 볼부재(36)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33)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평판(31)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회전노브(34)가 부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고정부재(35)가 부착되며,
    상기 돌출지지부재(37)는 상기 고정부재(35)와 대향되는 위치의 평판 측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35)와 함께 작용하여 치아모형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59)에는 간격유지부재(59)의 설정상태를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너트(52)가 간격유지부재(59)에 의하여 관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5.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베이스부재(30, 40)의 평판(31)에는 치아모형에 삽입된 고정핀(90)을 볼 수 있도록 관통구멍(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KR1020080031997A 2008-04-07 2008-04-07 치아모형 교합기 KR10086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97A KR100865591B1 (ko) 2008-04-07 2008-04-07 치아모형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97A KR100865591B1 (ko) 2008-04-07 2008-04-07 치아모형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591B1 true KR100865591B1 (ko) 2008-10-28

Family

ID=4017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997A KR100865591B1 (ko) 2008-04-07 2008-04-07 치아모형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59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43B1 (ko)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WO2011027924A1 (ko) * 2009-09-03 2011-03-10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1117342B1 (ko) 2011-10-14 2012-03-07 김세훈 교합기
KR101332180B1 (ko) 2012-06-08 2013-12-02 (주)명문덴탈 임플란트 보철제작이 가능한 일회용 치아모형 교합기
KR101444053B1 (ko) 2014-02-26 2014-09-23 예동해 치과용 교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497A (en) * 1995-08-15 1997-04-22 Cho; Kyung-Rok Tray modeling system and articulator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KR20000015767A (ko) * 1998-08-03 2000-03-15 이기천 치아모형교합기
US6540809B1 (en) 1996-02-21 2003-04-01 Mykroli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chromium anisotropic metal particles
KR200313638Y1 (ko) *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497A (en) * 1995-08-15 1997-04-22 Cho; Kyung-Rok Tray modeling system and articulator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US6540809B1 (en) 1996-02-21 2003-04-01 Mykroli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chromium anisotropic metal particles
KR20000015767A (ko) * 1998-08-03 2000-03-15 이기천 치아모형교합기
KR200313638Y1 (ko) *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7924A1 (ko) * 2009-09-03 2011-03-10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0976043B1 (ko)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WO2011108777A1 (ko) * 2010-03-05 2011-09-09 Lee Chae-Bung 교합기.
WO2011108776A1 (ko) * 2010-03-05 2011-09-09 Lee Chae-Bung 교합기
KR101117342B1 (ko) 2011-10-14 2012-03-07 김세훈 교합기
WO2013055021A1 (ko) * 2011-10-14 2013-04-18 Kim Se Hun 교합기
US9636193B2 (en) 2011-10-14 2017-05-02 Se Hun Kim Articulator
KR101332180B1 (ko) 2012-06-08 2013-12-02 (주)명문덴탈 임플란트 보철제작이 가능한 일회용 치아모형 교합기
KR101444053B1 (ko) 2014-02-26 2014-09-23 예동해 치과용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591B1 (ko) 치아모형 교합기
EP0277026B1 (en) Flexible dental model articulator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JPH01204666A (ja) 溝付きの歯列模型義歯床用可撓性鋳型
US73991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WO2014193734A2 (en) Components, system &amp; method for making dentures in a single visit
JP2009531145A (ja) 歯科咬合器
JP2005534450A (ja) 歯型鋳込治具本願は、米国国民であるロナルドイーハフマン名義で、2003年8月4日に米国を除くすべての加盟国を指定国としてpct国際出願されたものである。
US6247927B1 (en) Disposable articulator having tray support with opening which accepts a projection from a tray
KR101291713B1 (ko) 치아 보철용 3차원 측정장치
US3521354A (en) Dowel assembly and method
JPH1014942A (ja) 義歯製作器具
US20140017627A1 (en) Auxiliary device for articulator
US5026279A (en) Dental articulator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KR101816497B1 (ko)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JP3645189B2 (ja) 義歯製作装置
KR100927245B1 (ko) 교합기
JP2801869B2 (ja) 歯科用平行模型成形装置
KR100920892B1 (ko) 치아교합기
JP2001137262A (ja) 上下接合人工歯
JPS6455965U (ko)
WO2005067810A1 (es) Dispositivo ortodóncico de brackets individualizables de montaje rápido, y método de aplicación
US20080050694A1 (en) Dental articulator
JP2594492Y2 (ja) 咬合器
JP2005288114A (ja) 顎模型等保持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