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962A - 치모형 제작 장치 - Google Patents

치모형 제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962A
KR20120054962A KR1020100116382A KR20100116382A KR20120054962A KR 20120054962 A KR20120054962 A KR 20120054962A KR 1020100116382 A KR1020100116382 A KR 1020100116382A KR 20100116382 A KR20100116382 A KR 20100116382A KR 20120054962 A KR20120054962 A KR 2012005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otruding
holder
assembl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헌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중헌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헌,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중헌
Priority to KR102010011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4962A/ko
Publication of KR2012005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모형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한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를 수용부에 위치시켜, 석고를 투입, 경화 및 탈형한 치모형을 구성하여, 탈형한 치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부과의 결합에 의해서 치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치모형 제작 장치{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odel of teeth}
본 발명은 치모형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한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를 수용부에 위치시켜, 석고를 투입, 경화 및 탈형한 치모형을 구성하여, 탈형한 치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부과의 결합에 의해서 치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다양한 이유(마모, 충치, 파손 등)로 상해서, 한 개의 치아에서 일부가 손실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치아 중에서 하나 이상 손실된 경우,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손실된 치아는 보철물을 장착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도록 한다.
그러한 보철물을 장착하는 치료로는, 크라운(Crown), 브리지(Bridge), 라미네이트, 틀니(부분 틀니, 전체 틀니) 등이 있는데, 이러한 치료를 위한 보철물의 제작은, 보철물의 환자의 잇몸 형태와 남아있는 치아의 형태 등의 본을 뜨는 본 뜨기 작업, 석고로 만들어진 치모형을 만드는 치모형 제작 작업, 이 치모형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보철물 제조 작업으로 구성하는데, 최종적으로 환자에 적합한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치모형의 제작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뜨기 작업 및 치모형 제작 작업의 일반적인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본 뜨기(인상, Impression) 작업의 경우에는, 치열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에 알지네이트(Alginate), 아가(Agar), 고무인상재 등과 같은 인상재((Impression materials)을 채우고, 그 트레이를 환자가 물게해서, 환자가 이와 잇몸 상태가 음각 형상으로 찍힌 구조로 경화한 인상체를 구성한다.
이렇게 트레이에 음형으로 찍힌 인상체는 치과기공소로 보내져서 치모형을 제작하는데, 앞서 준비된 인상체의 음형에 석고를 부어, 경화? 탈형하면, 환자의 잇몸과 치아 상태를 가지는 치모형을 만들고, 이 치모형에서 테두리에 불필요하게 튀어나온 부분은 다듬고 정리(트리밍, trimming)하며, 이 치모형에서 환자의 손실된 치아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부분치아모형은 다시 원래 자리로 조합하면 환자에게 적합한 치모형의 제작이 완료하며, 앞서, 치모형에서 분리?조립할 수 있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각 치아와 치아 사이의 잇몸 라인(gingiva margin)과 치아 앞, 뒤의 잇몸 라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치아모형이 가지는 정확한 잇몸 라인에 의해서 개개인에 적합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치모형의 작업 과정에서, 치모형에서 절단된 부분치아모형으로 가공한 다음 원래 자리로 정확하게 조합할 수 있는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이 필요하고, 또한, 상기 치모형은 일반적인 교합기에 조립되어, 상?하 교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해야하고, 교합기에 조립된 치모형은 다양한 방향으로 교합 상태를 점검하게 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해야 함은 물론, 반복되는 교합 상태 점검에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그러한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의 예를 보면, 국내특허등록 제0417880호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425005호에는, 다수개의 핀홈이 형성된 베이스(베이스어댑터, 또는, 베이스 부재)가 구성되고, 기존 치모형의 각 하부에 수핀을 일체로 구성하여, 분리되는 부분치아모형의 수핀이 베이스의 암핀에 끼워지면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앞서 예시한 첫 번째 국내특허에서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가 구비되고, 각 커넥터에는 베이스어댑터가 조립되어, 커넥터의 각도 조절로 교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참고로, 국내실용신안 제0220295호에는 상하운동과 함께, 틀모형의 교모면을 따라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이 가능한 ‘치과기공용 교합기’의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치모형에서,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은 부분치아모형과 베이스와의 결합이 수핀(금속핀)과 암핀(상기 수핀을 수용할 수 있는 금속핀)으로 구성되므로, 치모형에서 부분치아모형을 만들기 전에, 우선 치모형에 드릴로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접착제로 수핀을 꼽아 경화하는 과정으로 수핀과 치모형을 일체화하기 때문에,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정확성과 전문성을 요구함을 물론, 치과용 드릴링 머신과, 소모품인 수핀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고, 많은 제작 공간과, 많은 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드릴링에 의해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서 수핀이 형성된 치모형과 조립하는 베이스는 별도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앞서 치모형에 고정된 핀에 끼움되는 암수핀을 조립하고, 베이스 제작을 위한 별도의 틀에 석고를 부은 다음, 이형제를 바른 치모형을 베이스 제작 틀과 조립하며, 일정 시간을 경화?탈형하여 제작되므로, 제작 시간이 추가되고, 베이스의 탈형 과정이나, 치모형 제작 및 보철물의 제작 과정 중에서, 핀과 핀홈의 반복적인 조립과 분해에 의해서, 핀홈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컸으며, 또, 핀홈이 손상되면, 이러한 치모형을 교합기와 조립하고, 교합 상태를 과정 중에서 부분치아모형이 흔들리게 되므로, 보철물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앞서 예시한 두 번째 국내실용신안에서는 만들어진 치모형과 교합기의 결합은, 기존의 일반적인 치모형과 교합기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교합기와 결합하는 부분을 치모형 뒷부분에 대고, 석고를 부어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교합기에 치모형을 고정하게 되므로, 석고가 경화하는 동안 움직이 않도록 고정해야하므로 불편하고, 석고는 치모형 후면에서 그대로 발라지므로 치모형 후면이 지저분해지고, 또한, 교합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맞지 않은 경우 부분치아모형을 빼내거나 다시 조립하는 것이 불편하며, 또, 교합 상태를 완료한 다음 결합된 치모형과 교합기에서 석고를 제거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앞서 예시한 첫 번째 국내특허에서는, 상?하 치아에 따른 각각의 치모형이 조립된 베이스어댑터에 각각 조립되고, 그 각 베이스어댑터에는 각각 커넥트가 조립되면, 그 한 쌍의 커넥터는 힌지 결합된 구조에 의해서, 상?하 교합 상태를 맞추고 있으나, 제작된 치모형과 그것으로 제조된 보철물을 환자 개개인에 따른 교합 상태와 맞추기 위해서는, 앞서 예시한 세 번째 국내실용신안과 같은 교합기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교합기에 적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작하는 치모형은 그러한 교합기와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한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를 수용부에 위치시켜, 석고를 투입, 경화 및 탈형한 치모형을 구성하여, 탈형한 치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부과의 결합에 의해서 치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치모형 제작 장치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고정홈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홈의 내주연 상부 부분은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을 형성하고, 그 고정홈 주변은 수용부의 형상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로 구성하며, 내부가 관통되고,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확장홈을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원통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로 끼움되되, 상단이 하부보다 지름이 넓은 확장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확장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 내부에 홀더와 확장구가 순차로 조립되어, 확장부에 의해 걸림턱이 원주 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치모형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홀더의 걸림턱은 일부분이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키를 일체로 더 형성하며, 상기 확장구의 외주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키홈을 상기 홀더의 돌출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키홈과 돌출키를 결합한 다음, 확장구의 회전으로 홀더를 회전함에 따른 트임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트임부에 위치하는 일부 치모형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는 상부로 돌출된 바닥돌기부를 더 형성하되, 그 돌기부는 상기 내부쪽에 위치하는 측벽에 형성된 돌기부와 같은 평면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치모형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확장구 상부에는 돌출된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통한 홀더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확장구의 상부에는 돌출된 조립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저면에는 상기 조립돌기에 대응되는 구조의 조립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확장구와 본체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측벽돌기부는 상부를 따라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용부에서 치모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한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를 수용부에 위치시켜, 석고를 투입, 경화 및 탈형한 치모형을 구성하여, 탈형한 치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부과의 결합에 의해서 치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치모형 제작 장치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고정홈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홈의 내주연 상부 부분은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을 형성하고, 그 고정홈 주변은 수용부의 형상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로 구성하며, 내부가 관통되고,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확장홈을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원통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로 끼움되되, 상단이 하부보다 지름이 넓은 확장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확장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 내부에 홀더와 확장구가 순차로 조립되어, 확장부에 의해 걸림턱이 원주 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치모형의 고정이 견고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홀더의 걸림턱은 일부분이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키를 일체로 더 형성하며, 상기 확장구의 외주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키홈을 상기 홀더의 돌출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키홈과 돌출키를 결합한 다음, 확장구의 회전으로 홀더를 회전함에 따른 트임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트임부에 위치하는 일부 치모형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는 상부로 돌출된 바닥돌기부를 더 형성하되, 그 돌기부는 상기 내부쪽에 위치하는 측벽에 형성된 돌기부와 같은 평면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치모형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확장구 상부에는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통한 홀더의 회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확장구의 상부에는 돌출된 조립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저면에는 상기 조립돌기에 대응되는 구조의 조립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확장구와 본체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상기 측벽돌기부는 상부를 따라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용부에서 치모형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모형 제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모형 제작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에 따른 본체와 조립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의 다른 예시에 따른 본체와 조립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를 이용한 치모형 제작을 위해 본 뜨기한 트레이와 조립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를 이용한 치모형 제작을 위해 본 뜨기한 트레이와 조립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에서 치모형을 탈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치모형이 부분 절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A)와 (B)는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에 홀더와 확장구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치모형 제작 장치로 제작되어 조립된 치모형이 교합기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은 치모형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한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를 수용부에 위치시켜, 석고를 투입, 경화 및 탈형한 치모형을 구성하여, 탈형한 치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부과의 결합에 의해서 치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모형 제작 장치는, 본체(10)와 함께, 홀더(20), 확장구(30), 조립구(40)가 더 포함되어 구성하며, 각 구성 및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그 상면에 수용부(11)와 고정홈(12)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조립홈(13)과 끼움수단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고정홈(12)과 조립홈(13)을 순차로 구성하고, 고정홈(12)을 감싸는 형태로 수용부(11)가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수용부(11)는 적절한 폭과 깊이로 사람의 치열의 형태로 홈을 형성한 구조이며, 그 수용부(11)는 하부로 갈수록 좁은 공간을 가지는데, 그 이유는 이 수용부(11)에 부어져 경화된 석고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수용부(11)의 구조는 치모형을 제작하는 구조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1)의 측벽과 바닥에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며, 이 돌기부는 위치에 따라 수용부(11)의 측벽에는 측벽돌기부(11a)를 구성하고, 수용부(11)의 바닥에는 바닥돌기부(11b)를 구성하는데, 측벽돌기부(11a)는 마주보는 측벽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하며, 바닥돌기부(11b)는 수용부(11)의 바닥에 형성하되, 내부쪽 측벽(안쪽에 위치된 측벽, 상대적으로 짧은 쪽)에 형성된 측벽돌기부(11a)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적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되(내부쪽 측벽과 그 바깥쪽 측벽의 전체 길이가 다르므로, 폭 길이 전체로 바닥돌기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도2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돌기부(11a)와 바닥돌기부(11b)는 평면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측벽돌기부(11a)와 바닥돌기부(11b)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조합한 단면 등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돌기부의는 후에 치모형(200)의 탈형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측벽돌기부(11a)는 상부로 갈수록 좁은 단면(도7을 보면, 측벽돌기부가 상부로 갈수록 좁은 폭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돌기부(11b)는 내부 측벽쪽이 제일 높고, 그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11)의 돌기부의 구조는 각각 측벽과 바닥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구조이지만, 필요한 것은, 이 수용부(11)에 의해 만들어지는 치모형(2000)이 가지는 요철(201)에 의해, 수용부(11)와 치모형(200)이 요철로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수용부(11)의 돌기부는 수용부(11)에는 측벽과 바닥에 대해 돌출된 구조는 물론, 반대로 홈(요부)의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12)은 원통 형상의 홈으로 구성하며, 고정홈(12)은 상기 수용부(11)와 일정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고정홈(12)이 수용부(11)에 의해 반 원호가 정도가 감싸지는 구조 및 위치(즉, 치열로 보았을 때 앞니의 바로 안쪽 부분에 해당하는 수용부의 위치이다)로 구성하며, 고정홈(12)의 상부의 구조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고정홈(12)은 관통된 홀(구명)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나, 용이한 탈형을 위해서, 홈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부(11)와 고정홈(12)은 상부가 트인 구조로, 그 깊이는 거의 같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10)의 저면에는 돌출된 끼움부(14)를 더 구성하는데, 이 끼움부(14)는 원통 형상, 또는 내부 빈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끼움부(14)는 후설하는 조립구(40)의 고정수단(42)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추가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저면에는 하부가 트이거나, 또는, 하부와 측면으로 트인 구조의 조립홈(13)을 구성하며, 이러한 조립홈(13)은 후설하는 조립구(40)의 조립돌기(43)가 끼움되어 조립하는 구조이다.
이렇게 상면의 고정홈(12)과 저면의 조립홈(13)을 순차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홈(12) 쪽에, 고정홈(12)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고정홈(12)을 반원호 정도 감싸면서 치열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수용부(11)를 일체로 구성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조립수단(14) 및 조립홈(13)을 일체로 구성된 구조의 본체(10)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2 및 도6을 참고하여, 홀더(20)를 설명하면, 홀더(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21)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걸림턱(21)은 원주를 따라 온전히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0) 상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걸림턱(21) 형성하지 부분인 트임부(23)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1)에서부터 아주 좁은 간격의 홈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확장홈(21´)을 원주 방향으로 따라 다수개 형성하고, 또, 홀더(20) 상부 내측 상부에는 내측 중앙으로 돌출된 돌출키(22)를 내주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한다.
이어서, 도2 및 도9를 참고하여 확장구(30)를 설명하면, 확장구(3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확장구(30)의 상단은 하부보다 넓은 지름을 가지는 확장부(31)를 형성하는데, 앞서 확장부(33)는 확장부(3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확장부의 상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넓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확장구(30)의 외주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키홈(32)을 형성하며, 그 키홈(32)의 단면은 앞서 홀더(20)의 돌출키(22)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러한 키홈(32)은 홀더(20)의 돌출키(22)의 위치에 따라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한다.
또, 상기 확장구(30)의 상부에는 돌출된 손잡이(33)를 일체로 더 형성하여, 확장구(30)의 상부 쪽에서 손잡이(33)를 이용하여, 확장구(30)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조립구(40)를 설명하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구(4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가 트인 구조를 가지며, 또한, 일측면에 관통된 끼움부(41)를 형성하고,상부에는 조립수단(42)을 다수개 구성한 구조이다.
앞서 끼움부(4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관통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관통되면서 하부로 트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조립수단(42)은 내측돌출부(42a)와 외측돌출부(42b)로 구성하며, 내측돌출부(42a)는 원형 테두리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인 확장홈(42a´)을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내측돌출부(42a)와 일정 거리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형성하는 외측돌출부(42b)는 원형 테두리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조립수단(42)의 구조는, 앞서 본체(10)의 고정돌기(14)가 돌출부(42)(원통 형상)이 상기 내측돌출부(42a)에 끼움되면서, 돌출부(42)가 내측돌출부(42a)에 끼이는 구조에 의해서, 본체(10)와, 조립구(40)가 본체(10)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참고로, 외측돌출부(42b)는 내측돌출부(42a)를 보호하는 구조이다.
추가로, 상기 조립구(40)의 상부에는 돌출된 조립돌기(43)를 더 형성하는데, 이 조립돌기(43)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조립홈(13)에 대응되는 구조로, 조립돌기(43)가 조립홈(13)에 끼움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본체(10)에 조립구(40)를 조립할 때, 조립돌기(43)을 조립홈(13)에 먼저 맞추면, 나머지 다수개의 조립수단(42)과 본체의 고정돌기(14)의 조립(위치 맞추어 끼워 넣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수단(42)과 조립돌기(43)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와 확장구(30)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하고, 또, 확장구(30)와 조립구(40)는 탄성이 있는 재질(또는, 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딱딱한 본체(10)는 치모형(200)을 지지와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딱딱한 재질의 확장구(30)구는 탄성 재질의 홀더(20)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탄성 재질의 조립구(40)는 그 조립돌기(43)와 본체(10)의 조립홈(1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후에 설명되는 석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본체(10)의 조립돌기(43)에 홀더(20)와 확장구(30)를 순차로 조립되고, 그 본체(10) 저면으로 조립구(40)가 조립되는 구조의 치모형 제작 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치모형 제작 장치를 이용한 치모형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의 치아를 음형으로 본 뜨기한 트레이(100)를 준비하고, 준비한 치모형 제작 장치는 본체(10)에 홀더(20)를 조립하는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고정홈(12)에 홀더(20)를 끼워넣고, 홀더(20)의 걸림턱(21)이 본체(10) 상부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트레이(100)를 수용부(11) 상부와 위치를 일치시킨 다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1)로 석고(또는, 치과용 시멘트, 또는, 캐스팅 스톤 등)을 부어 넣고, 일정 시간을 두어 경화한 뒤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한 치모형(200)을 트레이(100)와 본체(10)에서 분리하며, 이 치모형(200)은 하부에 요철(201)을 가지고, 본 뜨기한 환자의 잇몸과 치아 형상을 가진다.
이어서 본체(10)에서 분리된 치모형(200)은,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은 갈아내고, 또한,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된 치아 부분은 치아와 치아 사이를 경계로 디스크나 실톱 등으로 요철(201) 부분까지 정밀하게 분리한 부분치아모형(202)을 구성하며, 분리한 부분치아모형(202)은 정리(다듬질 등)한다.(참고로, 치아의 부분 보철물을 만들 때는 부분치아모형은 그대로 두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하며, 하나의 치아가 완전히 손실된 경우에는 부분치아모형에서 잇몸 라인의 상부, 즉, 치아 부분은 완전히 제거하도록 정리하는 일반적이며, 이렇게 정리된 부분치아모형 및 치모형에 왁스로 온전한 치아 모양의 왁스업을 하며, 이러한 왁스업에 의해 치아 모양(치아 일부분 모양, 또는 치아 전체 모양)을 가지는 왁스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또, 치모형(200)과 부분치아모형(202)은 다시 본체(10)에 조립되는데, 치모형(200)과 부분치아모형(202)의 요철(201)은 본체(10)의 수용부(11)의 측벽돌기부(11a) 및 바닥돌기부(11b)에 맞게 끼움과 분리가 용이하고, 기존과 달리 핀 조립을 위한 드릴링 작업이 없는 특징이 있다.
특히, 치아가 아주 작아서, 분리된 부분치아모형(202)의 내측 쪽에 위치한 측벽돌기부(11b)의 수가 적더라도, 그 내측 쪽에 위치한 측벽돌기부(11b)와 연결된 바닥돌기부(11b)가 있으므로, 용이한 조립, 분리가 가능하고, 본체(10)에 조립된 부분치아모형(202)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렇게 본체(10)에 조립한 치모형(200)은 교합기(300)와 조립하여 교합 상태를 점검하는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조립된 치모형(200)의 고정홈(12)에 홀더(20)를 조립하고, 확장구(30)를 홀더(20) 내부로 조립하되, 홀더(20)의 돌출키(22)와 확장구(30)의 키홈(32)을 맞춰 끼워 넣어, 확장구(30)가 둘출키보다 아래로 위치하도록 밀어 놓은 상태에서, 확장구(30)의 손잡이(33)를 돌려 회전하여, 키홈(32)과 돌출키(2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 확장구(3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끼움된 확장구(30)의 확장부(31)가 홀더(20)의 걸림턱(21)을 원주 방향으로 밀면서, 치모형(200)을 지지하게 되므로, 치모형(200)이 본체(10)에 온전히 고정되어, 치모형(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저면에는 조립구(40)를 조립하고, 조립구(40)의 끼움부(41)로 교합기(300)의 끝 부분을 밀어 넣어, 조립구(40)의 하부 공간에 교합기(300)의 끝 부분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조립구(40)의 저면이 위로 향하게 해서, 조립구(40)의 공간에 석고(400)를 채워 넣고, 경화시켜, 교합기에 치모형 제작 장치를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교합기에 치모형 제작 장치는, 교합기를 통해서 치모형의 상?하의 교합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아울러, 교합 본체(10)에 치모형(200)이 조립된 후에 조립되는 홀더(20)의 걸림턱(21)은 치모형(200)이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도 가지는 것은 물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2)를 돌려, 돌출키(22)에 키홈(32)을 일치시켜 확장구(30)를 당겨서 키홈(32)을 돌출키(22)에 맞춘 다음, 회전하면, 홀더(20)가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특정 위치의 부분치아모형(202)에 홀더(20)의 트임부(23)를 위치한 상태에서는, 트임부(23)에 있는 부분치아모형(202)을 용이하게 분리, 수정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교합기에 고정된 치모형 제작 장치는, 치모형 제작 장치에 고정된 치모형의 교합 상태를 교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의 운동, 즉, 상하운동과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 등을 점검하는데, 본체(10)의 측벽돌기부(11a) 및 바닥돌기부(11b)에 의해서, 치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의 흔들림을 방지함(돌기부는 가이드 역할과 함께, 키 역할을 함께한다)은 물론, 확장구(3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확장된 홀더(20)에 의해 걸림턱(21)이 치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를 긴밀히 고정하므로, 반복하는 교합 상태 점검에도 마모와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립구(40)의 사용으로, 교합기를 고정하기 위한 석고가 경화하기 전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깔끔한 작업이 가능하며, 조립구(4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교합기(300)에서 치모형 제작 장치를 분리할 때에는, 조립구(40)를 비틀면 석고가 빠지게 되므로, 석고의 제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치모형 제작 장치는, 본체(10)의 측벽돌기부(11a) 및 바닥돌기부(11b)에 의해서, 치모형(200) 또는, 정리한 부분치아모형(202)의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별도의 드릴링 작업을 통한 핀 고정 작업은 물론, 별도의 베이스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치모형 제작에 따른 작업 시간이 기존 보다 단축되고,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줄며, 제작 비용이 절약되고, 치모형의 강도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치모형 제작 장치는 본체(10)와 조립구(40)의 조립으로 통상의 교합기(300)와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므로, 교합 상태 점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10 : 본체 11 : 수용부
11a : 측벽돌기부 11b : 바닥돌기부
12 : 고정홈 13 : 조립홈
14 : 조립수단 14a´ : 확장홈
20 : 홀더 21´ : 확장홈
21 : 걸림턱 22 : 돌출키
30 : 확장구 31 : 확장부
32 : 키홈 33 : 손잡이
40 : 조립구 41 : 조립돌기
42 : 돌출부 100 : 트레이
200 : 치모형 300 : 교합기

Claims (6)

  1. 치열의 형상대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치모형 제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를 따라 돌출된 측벽돌기부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돌기부에 의해 분리된 치모형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모형 제작 장치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고정홈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홈의 내주연 상부 부분은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을 형성하고, 그 고정홈은 주변은 수용부의 형상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로 구성하며,
    내부가 관통되고,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을 포함하는 상부에는 확장홈을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원통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 내부로 끼움되되, 상단이 하부보다 지름이 넓은 확장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확장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 내부에 홀더와 확장구가 순차로 조립되어, 확장부에 의해 걸림턱이 원주 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치모형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걸림턱은 일부분이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키를 일체로 더 형성하며,
    상기 확장구의 외주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키홈을 상기 홀더의 돌출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키홈과 돌출키의 결합으로 트임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트임부에 위치하는 일부 치모형의 분리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는 상부로 돌출된 바닥돌기부를 더 형성하되, 그 돌기부는 상기 내부 쪽에 위치하는 측벽에 형성된 돌기부와 같은 평면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확장구 상부에는 돌출된 손잡이를 형성하여,
    바닥돌기부에 의해 치모형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손잡이를 통한 홀더의 회전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가 트인 구조의 조립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조립구의 상면에는 조립수단을 일체로 더 형성하며, 그 조립수단은 원형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와, 상기 내측돌출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확장홈과, 상기 내측돌출부와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원형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된 외부돌출부로 구성하며,
    상기 치모형 제작 장치의 저면에는 돌출된 구조의 고정돌기를 다수개 형성되어,
    본체에 조립구가 조립되어 교합기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구의 상부에는 돌출된 조립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저면에는 상기 조립돌기에 대응되는 구조의 조립홈이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측벽돌기부는 상부를 따라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와 확장구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하며,
    확장구와 조립구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확장구와 본체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치모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모형 제작 장치.
KR1020100116382A 2010-11-22 2010-11-22 치모형 제작 장치 KR2012005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82A KR20120054962A (ko) 2010-11-22 2010-11-22 치모형 제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82A KR20120054962A (ko) 2010-11-22 2010-11-22 치모형 제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62A true KR20120054962A (ko) 2012-05-31

Family

ID=4627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82A KR20120054962A (ko) 2010-11-22 2010-11-22 치모형 제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49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2710A (zh) * 2013-09-28 2013-12-25 韶关市丹雪牙科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假牙的分模方法
CN109674549A (zh) * 2019-01-17 2019-04-26 杭州佳杰齿科有限公司 一种义齿模型底座
WO2020175737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덴솔프라임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2710A (zh) * 2013-09-28 2013-12-25 韶关市丹雪牙科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假牙的分模方法
CN109674549A (zh) * 2019-01-17 2019-04-26 杭州佳杰齿科有限公司 一种义齿模型底座
WO2020175737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덴솔프라임 지그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US11331173B2 (en) * 2019-02-26 2022-05-17 Yunsoon Kim Method of manufacturing denture by using ji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2601B2 (en) Dental model and process of making same
ITMI942224A1 (it) Apparato e metodo per creare un modello dentale
US3470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die
US20140295371A1 (en) Impressionless dental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158545B1 (ko)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JP2009531145A (ja) 歯科咬合器
JP2001511681A (ja) 歯科鋳造用鋳型装置
US20190201167A1 (en) Dental tools system and method
JP2017534354A (ja) 予備成形されたプロテーゼベースブランクを製造する型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ITRM940500A1 (it) "corredo di elementi per la col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modelli di gesso per protesi dentarie, e sistemi di colatura che impiegano tali elementi".
US5846076A (en) System for casting a dental model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US20090208895A1 (en) Plaster dental cast gum plate molding mold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6537066B1 (en) Supporting plate for a denture model
KR101013215B1 (ko)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KR101329732B1 (ko) 치아모델 제조용 모형조립체
JP4257160B2 (ja) 歯科技工のための補綴物製作用可撤模型の基台
US4129281A (en) Dowel receiving core for casting dental restorations
JP4822818B2 (ja) 歯科補綴物用可撤模型の基台成形トレー
JP3825011B2 (ja) 歯科作業模型の製造方法、及び、歯科作業模型用基台の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