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545B1 -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545B1
KR101158545B1 KR1020110063638A KR20110063638A KR101158545B1 KR 101158545 B1 KR101158545 B1 KR 101158545B1 KR 1020110063638 A KR1020110063638 A KR 1020110063638A KR 20110063638 A KR20110063638 A KR 20110063638A KR 101158545 B1 KR101158545 B1 KR 10115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holder
mold
tooth mod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073A (ko
Inventor
김중헌
Original Assignee
김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헌 filed Critical 김중헌
Priority to KR102011006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그 바닥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를 형성한 구조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와 수용부에 석고를 주입하고, 트레이와 수용부를 결합하여, 석고를 경화한 뒤 탈형한 치아모형을 구성하여, 그 탈형한 치아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하고,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그 부분치아모형의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측벽키와의 결합에 의해서 치아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the mold for manufacturing of teeth model}
본 발명은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그 바닥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를 형성한 구조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와 수용부에 석고를 주입하고, 트레이와 수용부를 결합하여, 석고를 경화한 뒤 탈형한 치아모형을 구성하여, 그 탈형한 치아모형에서 손상된 치아와 인접하는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 부분치아모형에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측벽키와의 결합에 의해서 치아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다양한 이유(마모, 충치, 파손 등)로 상해서, 한 개의 치아에서 일부가 손실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치아 중에서 하나 이상 손실된 경우,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손실된 치아는 보철물을 장착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도록 한다.
그러한 보철물을 장착하는 치료로는, 크라운(Crown), 브리지(Bridge), 라미네이트, 틀니(부분 틀니, 전체 틀니) 등이 있는데, 이러한 치료를 위한 보철물의 제작은, 보철물의 환자의 잇몸 형태와 남아있는 치아의 형태 등의 본을 뜨는 본 뜨기 작업, 석고로 만들어진 치아모형을 만드는 치아모형 제작 작업, 이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보철물 제조 작업으로 구성하는데, 최종적으로 환자에 적합한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치아모형의 제작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뜨기 작업 및 치아모형 제작 작업의 일반적인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본 뜨기(인상, Impression) 작업의 경우에는, 치열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에 알지네이트(Alginate), 아가(Agar), 고무인상재 등과 같은 인상재((Impression materials)을 채우고, 그 트레이를 환자가 물게해서, 환자가 이와 잇몸 상태가 음각 형상으로 찍힌 구조로 경화한 인상체를 구성한다.
이렇게 트레이에 음형으로 찍힌 인상체는 치과기공소로 보내져서 치아모형을 제작하는데, 앞서 준비된 인상체의 음형에 석고를 부어, 경화? 탈형하면, 환자의 잇몸과 치아 상태를 가지는 치아모형을 만들고, 이 치아모형에서 테두리에 불필요하게 튀어나온 부분은 다듬고 정리(트리밍, trimming)하며, 이 치아모형에서 환자의 손실된 치아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부분치아모형은 다시 원래 자리로 조합하면 환자에게 적합한 치아모형의 제작이 완료하며, 앞서, 치아모형에서 분리?조립할 수 있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각 치아와 치아 사이의 잇몸 라인(gingiva margin)과 치아 앞, 뒤의 잇몸 라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치아모형이 가지는 정확한 잇몸 라인에 의해서 개개인에 적합하고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치아모형의 작업 과정에서, 치아모형에서 절단된 부분치아모형으로 가공한 다음 원래 자리로 정확하게 조합할 수 있는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이 필요하고, 또한, 상기 치아모형은 일반적인 교합기에 조립되어, 상?하 교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해야하고, 교합기에 조립된 치아모형은 다양한 방향으로 교합 상태를 점검하게 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해야 함은 물론, 반복되는 교합 상태 점검에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그러한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의 예를 보면, 국내특허등록 제0417880호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425005호에는, 다수개의 핀홈이 형성된 베이스(베이스어댑터, 또는, 베이스 부재)가 구성되고, 기존 치아모형의 각 하부에 수핀을 일체로 구성하여, 분리되는 부분치아모형의 수핀이 베이스의 암핀에 끼워지면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앞서 예시한 첫 번째 국내특허에서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가 구비되고, 각 커넥터에는 베이스어댑터가 조립되어, 커넥터의 각도 조절로 교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참고로, 국내실용신안 제0220295호에는 상하운동과 함께, 틀모형의 교모면을 따라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이 가능한 ‘치과기공용 교합기’의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치아모형에서, 부분치아모형의 조합 수단은 부분치아모형과 베이스와의 결합이 수핀(금속핀)과 암핀(상기 수핀을 수용할 수 있는 금속핀)으로 구성되므로, 치아모형에서 부분치아모형을 만들기 전에, 우선 치아모형에 드릴로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접착제로 수핀을 꼽아 경화하는 과정으로 수핀과 치아모형을 일체화하기 때문에,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정확성과 전문성을 요구함을 물론, 치과용 드릴링 머신과, 소모품인 수핀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고, 많은 제작 공간과, 많은 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드릴링에 의해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서 수핀이 형성된 치아모형과 조립하는 베이스는 별도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앞서 치아모형에 고정된 핀에 끼움되는 암수핀을 조립하고, 베이스 제작을 위한 별도의 틀에 석고를 부은 다음, 이형제를 바른 치아모형을 베이스 제작 틀과 조립하며, 일정 시간을 경화?탈형하여 제작되므로, 제작 시간이 추가되고, 베이스의 탈형 과정이나, 치아모형 제작 및 보철물의 제작 과정 중에서, 핀과 핀홈의 반복적인 조립과 분해에 의해서, 핀홈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컸으며, 또, 핀홈이 손상되면, 이러한 치아모형을 교합기와 조립하고, 교합 상태를 과정 중에서 부분치아모형이 흔들리게 되므로, 보철물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앞서 예시한 두 번째 국내실용신안에서는 만들어진 치아모형과 교합기의 결합은, 기존의 일반적인 치아모형과 교합기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교합기와 결합하는 부분을 치아모형 뒷부분에 대고, 석고를 부어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교합기에 치아모형을 고정하게 되므로, 석고가 경화하는 동안 움직이 않도록 고정해야하므로 불편하고, 석고는 치아모형 후면에서 그대로 발라지므로 치아모형 후면이 지저분해지고, 또한, 교합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맞지 않은 경우 부분치아모형을 빼내거나 다시 조립하는 것이 불편하며, 또, 교합 상태를 완료한 다음 결합된 치아모형과 교합기에서 석고를 제거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앞서 예시한 첫 번째 국내특허에서는, 상?하 치아에 따른 각각의 치아모형이 조립된 베이스어댑터에 각각 조립되고, 그 각 베이스어댑터에는 각각 커넥트가 조립되면, 그 한 쌍의 커넥터는 힌지 결합된 구조에 의해서, 상?하 교합 상태를 맞추고 있으나, 제작된 치아모형과 그것으로 제조된 보철물을 환자 개개인에 따른 교합 상태와 맞추기 위해서는, 앞서 예시한 세 번째 국내실용신안과 같은 교합기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교합기에 적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작하는 치아모형은 그러한 교합기와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그 바닥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를 형성한 구조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와 수용부에 석고를 주입하고, 트레이와 수용부를 결합하여, 석고를 경화한 뒤 탈형한 치아모형을 구성하여, 그 탈형한 치아모형에서 손상된 치아와 인접하는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 부분치아모형에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측벽키와의 결합에 의해서 치아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는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에는 홀더와 확장구를 순차로 조립하되, 홀더에는 관통된 확장공이 형성되어, 홀더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누름턱을 형성하고, 홀더 하부에는 일정 폭으로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홀더의 확장공에 확장구를 조립한 형태의 인서트를 본체의 관통공에 끼운 다음, 본체에 조립된 인서트의 확장구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눌러 홀더의 하단이 확장되고, 확장된 홀더의 하단은 본체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누름턱의 밀착성을 향상하고, 치아모형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도록 한다.
또, 상기 본체의 관통공의 하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홀더의 하단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된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확장구의 일단에는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 파인 기본홈과, 이 기본홈보다 더 깊게 파인 확장홈을 순차로 형성하고, 확장구의 끝단에는 확장구의 지름과 같은 지름을 가진 형태이며, 기본홈과 확장홈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기가 순차로 구성되어, 확장구와 조립된 홀더의 고정턱이 확장홈에 끼워지고, 돌기는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지닌 인서트가 본체에 조립되어, 본체에 조립된 확장구를 위에서 누르게 되면 홀더의 고정턱이 기본홈에 안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의 하단 고정턱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본체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턱의 밀착성을 향상하고, 치아모형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조립구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조립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 저면에도 상기 조립돌기에 대응되는 구조의 조립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조립구와 본체 간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도록 하며, 본체의 측벽키는 아래쪽에서 상부로 향할 수록 점차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용부에서 성형된 치아모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그 바닥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를 형성한 구조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와 수용부에 각각 석고를 주입하고, 트레이와 수용부를 서로 결합하여, 석고를 경화한 뒤 탈형한 치아모형을 구성하여, 그 탈형한 치아모형에서 손상된 치아를 인접하는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 부분치아모형에 형성된 요철과 수용부에 형성된 측벽키와의 결합에 의해서 치아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정밀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본체에는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에는 홀더와 확장구를 순차로 조립되며, 홀더에는 관통된 확장공이 형성되고, 이 홀더 상단으로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누름턱을 형성하고, 홀더 하부에는 일정 폭으로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홀더의 확장공에 확장구를 조립한 구조로 이루어진 인서트를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끼워 조립한 다음, 본체에 조립된 인서트의 확장구를 위에서 하측으로 눌러 홀더의 하단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본체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턱의 밀착성을 향상하고, 치아모형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본체의 관통공 하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홀더의 하단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된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확장구의 하단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얕은 홈 형태로 파인 기본홈과, 이 기본홈보다 더 깊게 파인 확장홈을 순차로 형성하고, 확장구의 최하단에 해당하는 끝단은 확장구의 지금과 같은 지름을 가지도록, 즉, 다시 말하자면 기본홈과 확장홈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기가 순차로 구성됨으로써, 확장구와 조립된 홀더의 고정턱이 확장홈에 끼워지고 돌기는 하측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인서트가 본체의 관통공에 조립한 다음, 확장구의 상단을 눌러 홀더의 고정턱이 기본홈에 안착하게 되면, 홀더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본체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턱의 밀착성 향상하고, 치아모형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구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조립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 저면에는 상기 조립돌기에 대응되는 구조의 조립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조립구와 본체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본체의 측벽키는 상부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용부에서의 성형된 치아모형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따른 본체와 조립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의 다른 예시에 따른 본체와 조립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이용한 치아모형 제작을 위해 본 뜨기한 트레이와 조립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이용한 치아모형 제작을 위해 본 뜨기한 트레이와 조립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서 치아모형을 탈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치아모형이 부분 절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홀더와 확장구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로 제작되어 조립된 치아모형이 교합기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은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치열 형태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게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그 바닥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를 형성한 구조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가 구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본 뜨기한 트레이와 수용부에 석고를 주입하고, 트레이와 수용부를 결합하여, 석고를 경화한 뒤 탈형한 치아모형을 구성하여, 그 탈형한 치아모형에서 손상된 치아와 인접하는 치아의 경계를 따라 절단?분리함으로써, 환자의 정확한 잇몸 라인을 가지는 부분 치아모형으로 구성하며, 이 부분 치아모형에 형성된 요철과 본체의 수용부에 형성된 측벽키와의 결합에 의해서 치아모형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는, 본체(10)와 함께, 홀더(20)와 확장구(30)가 조립된 형태인 인서트 및 조립구(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하기에서는 이들 각 구성요소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그 상면에 수용부(11)와 관통공(12)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조립홈(13)과 끼움 수단인 고정돌기(14)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수용부(11)는 관통공(12)을 중심에다 두고 그 둘레를 일부 감싸는 구조이다.
한편, 수용부(11)는 적절한 폭과 깊이로 사람의 치열의 형태로 홈을 형성한 구조이며, 이 수용부(11)는 하부로 갈수록 좁은 공간을 가지는데, 그 이유는 이 수용부(11)에 석고를 투입하여 경화한 뒤에 본체(10)으로부터 치아모형이 성형된 석고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성형 된 치아모형은 수용부(11)의 구조에 대응되게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수용부(11)에서 치아 모형의 탈형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부(11)의 구조는 턱뼈와 치아의 형상에 따른 치아모형을 제작하는 일반적인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1)의 양 측벽에는 돌출된 측벽키(11a)를 형성하고, 수용부(11)의 바닥에는, 바닥 폭보다 좁은 바닥키(11b)가 바닥 중앙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하는데, 측벽키(11a)는 수용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러한 측벽키(11a)가 측벽을 따라 아주 조밀한 형태로 배열되고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측벽키(11a)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조합한 단면 등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측벽키(11a)는 투입된 석고가 경화된 후에 치아모형(200)의 탈형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측벽키(11a)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도1을 보면, 측벽키가 상부로 갈수록 좁은 폭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닥키(11b)는 사각 단면을 가지되,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도6을 보면, 바닥키가 상부록 갈수록 좁은 폭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면구조로 형성함은 모두 성형 된 치아 모형의 탈형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수용부(11)의 측벽키(11a)와 바닥키(11b)의 구조는 각각 측벽과 바닥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구조이지만, 이것은 수용부(11)에 의해 만들어지는 치아모형(200)이 가지는 요철(201)에 의해, 수용부(11)와 치아모형(200)이 서로 맞물려 요철형태로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수용부(11)의 측벽키(11a)와 바닥키(11b)는 수용부(11)의 측벽과 바닥에 대해 돌출된 구조는 물론, 이와 반대로 홈(요부)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측벽키(11a)와 바닥키(11b)를 홈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치아 모형(200)의 요철은 이와 반대구조로 성형 되는 것이다.
또,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12)은 원통 형상으로 관통된 구멍으로 구성되며, 관통공(12)은 상기 수용부(11)와 일정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관통공(12)은 수용부(11)에 의해 반 원호 정도가 감싸지는 구조 및 위치(즉, 치열로 보았을 때 앞니의 바로 안쪽 중심 부분이 관통공의 위치이다)로 구성하며, 관통공(12)의 중간 위치 부분은 후설하는 홀더(20)의 지름보다 약간 더 작게 구성하고, 제일 좁은 단면을 가지는 부분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공간)이 형성되어, 입구에서 홀더(20)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며, 관통공(12)의 하단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홈(12a)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4)를 더 구성하는데, 이 고정돌기(14)는 원통 형상 또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고정돌기(14)는 후설하는 조립구(40)의 조립수단(42)과 결합 되는 구조이다.
추가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저면에는 하부가 트이거나 또는 하부와 측면방향으로 트인 구조의 조립홈(13)을 더 구성하며, 이러한 조립홈(13)에는 후술하는 조립구(40)의 조립돌기(43)가 끼움 된 상태로 조립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상면에 관통공(12)을 구성하고, 이 관통공(12) 을 중심에다 두되, 관통공(12)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관통공(12)을 반원형으로 감싸면서 치열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수용부(11)를 일체로 구성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4) 및 조립홈(13)이 일체로 구성된 본체(10)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2 및 도6을 참고하여, 인서트를 설명하면, 인서트는 홀더(20)와 확장구(30)가 결합된 구조로, 우선 홀더(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으로 돌출된 누름턱(22)을 일체로 형성하는데, 누름턱(22)은 홀더(20)에 대해 수직으로 평평하게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돌출된 가장자리의 부분의 단면은 호 형상으로 자연스럽게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홀더(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관통된 확장공(21)을 형성하고, 홀더(20)의 하단 내주연을 따라 내부로 돌출된 고정턱(22b)을 일체로 형성하며, 홀더(20) 하부에는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트인 트임부(21a)를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여, 후술하는 확장구(30)가 확장공(21)에 끼움 될 경우(도 6 참조) 상기 트임부(21a)에 의하여 고정턱(22b)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확장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2 및 도9를 참고하여 확장구(30)를 설명하면, 확장구(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확장구(30)의 하부 외주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파인 기본홈(31)과 확장홈(32)을 순차로 형성하는데, 확장홈(32)은 기본홈(31)보다 더 깊이 파인 구조로 형성하며, 이 확장홈(32)의 아래측에 해당하는 확장구(30) 끝단 외주연은 확장홈(32)을 기준하여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기(33)(돌기는 확장구와 같은 지름을 가지는데, 즉, 돌기는 확장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를 형성한다.
아울러, 확장구(30)의 지름은 홀더(20)의 확장공(21)과 같거나 조금 작게 구성되어 확장구(30)가 홀더(20)의 확장공(21)에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홀더(20)와 확장구(30)가 조립된 인서트의 구조를 도 6 및 도 9에 따라 설명하면, 홀더(20)의 확장공(21)으로 확장구(30)가 끼움되어, 확장구(30)의 돌기(33)가 홀더(20)의 고정턱(22b)보다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고, 홀더(20)의 고정턱(22b)이 확장구(30)의 기본홈(31)에 걸려서 홀더(20)에서 확장구(30)가 빠지지 않으며, 누름턱(22) 방향의 확장공(21)에 끼움 된 확장구(30)를 하향으로 누르면 돌기(33)와 확장홈(32)이 외부 하측으로 드러나고, 고정턱(22b)은 기본홈(31)까지만 걸린 상태에 이르게 되며, 홀더(20)의 하단에 해당하는 고정턱(22b)의 외단은 본체(10)의 걸림홈(12a)에 지지되어 더 이상 밀리지 않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홀더(20)의 하부는 지름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조립구(4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구(4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가 트인 구조를 가지며, 일측면에 관통된 끼움부(41)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조립수단(42)을 다수 개 구성한 구조이다.
이 조립구(40)의 끼움부(4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구(40)의 후단에 해당하는 측면에서 관통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되면서 하부로 트인 구조를 가지며, 조립구(40)에 구비된 조립수단(42)은 내측돌출부(42a)와 외측돌출부(42b)로 구성되며, 내측돌출부(42a)는 원형 테두리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형태인 확장트임부(42a´)을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내측돌출부(42a)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와 이격 된 형태로 형성된 외측돌출부(42b)는 원형 테두리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수단(42)은, 앞서 설명한 본체(10)의 고정돌기(14)가 조립수단(42)의 내측돌출부(42a)에 끼움되는 구조에 의해서, 조립구(40)가 본체(10)에 고정되는 구조이며, 상기 내측돌출부(42a)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돌출부(42b)는 내측돌출부(42a)를 보호하는 구조이다.
추가로, 상기 조립구(40)의 상부에는 돌출된 조립돌기(43)를 더 형성하는데, 이 조립돌기(4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하측의 조립홈(13)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 조립돌기(43)가 본체(10)의 조립홈(13)에 끼움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본체(10)에 조립구(40)를 조립할 때 조립돌기(43)를 조립홈(13)에 먼저 맞추면, 나머지 다수개의 조립수단(42)과 본체의 고정돌기(14)의 조립(위치 맞추어 끼워 넣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조립홈(13)과 이에 대응되는 조립돌기(43)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3방향으로 배치된 본체(10)의 고정돌기(14)와 이에 대응되는 조립구(40)의 조립수단(42)의 조립만으로도 본체(10)와 조립구(40)의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와 확장구(30)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어, 딱딱한 재질의 본체(10)는 치아모형(200)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확장구(30) 역시 딱딱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확장구(30)에 구비된 기본홈(31), 확장홈(32), 돌기(33)의 내구성을 유지하며, 이 확장구(30)의 작용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홀더(20)와 조립구(4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조립구(40)의 조립돌기(43)와 본체(10)의 조립홈(1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후에 설명되는 석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홀더(20) 역시 이에 조립되는 확장구(30)와 홀더(20)가 조립되는 본체(10)의 관통공(12) 사이에서 원활한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관통공(12)에 홀더(20)와 확장구(30)가 조립된 형태인 인서트가 조립되고, 본체(10) 저면으로 조립구(40)가 조립되어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이용한 치아모형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의 치아를 음형으로 본 뜨기한 트레이(100)를 준비하고, 준비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는 본체(10)에 인서트를 조립하는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관통공(12)에 인서트를 끼워넣고, 확장구(30)를 아래쪽으로 더 눌러서, 확장구(30)가 반대쪽인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면서, 홀더(20)의 고정턱(22b)이 확장구(30)의 기본홈(31)에 걸린 상태에 이르게 되며, 홀더(20)의 하단에 해당하는 고정턱(22b)의 외단은 본체(10)의 걸림홈(12a)에 지지되어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홀더(20)의 누름턱(22)의 저면 일부가 본체(10) 상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본 뜨기한 트레이(100)와 인서트가 조립된 본체(10)의 내부공간인 수용부(11)에 각각 석고(또는, 치과용 시멘트, 또는, 캐스팅 스톤 등)을 부어 넣은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0)와 석고가 체워진 본체(10)를 서로 마주보게 조립한 다음, 서로 압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석고가 경화한 뒤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되어 성형된 치아모형(200)을 트레이(100)와 본체(10)에서 분리하게 되면, 이 치아모형(200) 하부에는 바닥키(11b)에 대응되는 홈부가 성형되고, 외측면으로도 요철(201)이 성형되며, 본뜨기한 환자의 잇몸과 치아 형상으로 성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체(10)에서 분리된 치아모형(200)은,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은 갈아내고, 또한,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된 치아 부분은 치아와 치아 사이를 경계로 디스크나 실톱 등으로 요철(201) 부분까지 정밀하게 분리한 부분치아모형(202)을 구성하게 되며, 분리된 부분치아모형(202)은 정리(다듬질 등)한다.(참고로, 치아의 부분 보철물을 만들 때는 부분치아모형은 그대로 두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하며, 하나의 치아가 완전히 손실된 경우에는 부분치아모형에서 잇몸 라인의 상부, 즉, 치아 부분은 완전히 제거하도록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정리된 부분치아모형 및 치아모형에 왁스로 온전한 치아 모양을 왁스업 하며, 이러한 왁스업에 의해 치아 모양(치아 일부분 모양, 또는 치아 전체 모양)을 가진 왁스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또한, 치아모형(200)과 부분치아모형(202)은 다시 본체(10)에 조립되는데, 치아모형(200)과 부분치아모형(202)의 요철(201)은 본체(10)의 수용부(11)의 측벽키(11a)와 바닥키(11b)에 정확하게 끼움되고, 또 분리가 용이하고, 흔들림이 없으며, 기존 치아 모형과 달리 부분치아모형(202)의 고정을 위한 핀 조립에 필요한 드릴링 작업 등이 필요없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에 조립한 치아모형(200)은 교합기(300)와 조립하여 치아 모형(200)의 교합 상태를 점검하는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조립된 치아모형(200)의 관통공(12)에 홀더(20)와 확장구(30)가 조립된 형태인 인서트를 조립한 다음, 확장구(3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확장구(30)가 아래로 밀려 들어가면서 홀더(20)의 하단은 확장되고, 확장된 홀더(20)하단은 본체(10)의 걸림홈(12a)에 밀착되어 누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누름턱(22)이 치아모형(200)을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치아모형(200)이 본체(10)에 온전히 고정되고, 이에 따라 치아모형(200)의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홀더(20)와 확장구(30)가 조립된 인서트가 끼워진 방향의 반대쪽 위치, 다시 말해서, 본체(10)의 하측방향에서 확장구(30)의 돌기(33)를 밀어올리게 되면, 확장구(30)가 밀려올라가면서 홀더(20)의 고정턱(22b)은 확장홈(32)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20)와 확장구(30)가 일체로 조립된 인서트 전체가 밀려올라가게 되어, 본체(10)의 관통공(12)으로부터 인서트 전체의 제거도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저면으로 조립구(40)를 조립한 다음, 조립구(40)의 끼움부(41) 내부로 교합기(300)의 끝 부분을 밀어 넣어, 조립구(40)의 하부 공간에 교합기(300)의 끝 부분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조립구(40)의 저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조립구(40)의 하측 공간에 석고(400)를 채워 넣고, 경화시키게 되면, 교합기(300)에 치아모형(200)이 조립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안정된 상태로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같이 교합기(300)에 안정된 상태로 조립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는, 교합기(300)를 통하여 치아모형(200)의 상?하의 교합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아울러, 교합기(300)에 조립된 본체(10)에 치아모형(200)이 다시 조립된 다음에 재조립되는 홀더(20)의 누름턱(22)이 치아모형(200)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 치아모형(200)이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교합기(300)에 고정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의하여 치아모형의 교합 상태를 점검하게 되며, 고정상태의 점검은 교합기(300)를 다양한 방향으로의 운동, 즉, 상하운동과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이 때,본체(10)의 측벽키(11a)에 의해서 치아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의 좌우 방향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고, 본체(10)의 바닥키(11b)에 의해서 치아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의 전후 방향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며, 홀더(20)와 확장구(30)가 일체로 조립된 인서트에 의해 치아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를 긴밀히 고정하므로, 반복하는 교합 상태 점검에도 마모와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흔들림을 방지하며, 교합기(300)을 비스듬히 기울이거나, 뒤집었을 때에도 치아모형(200) 및 부분치아모형(20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립구(40)의 사용으로, 교합기를 고정하기 위한 석고가 경화되기 전에 석고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조립구 하측공간)이 마련되어있어, 깔끔한 마감 작업이 가능하며, 조립구(4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교합기(300)에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분리할 때에는 조립구(40)를 비틀면 조립구(40)하측의 석고가 쉽게 빠지게 되므로 석고의 제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는, 본체(10)의 측벽키(11a) 및 바닥키(11b)에 의해서 치아모형(200) 또는 정리한 부분치아모형(202)의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부분치아모형(202)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드릴링 작업과 핀 고정 작업은 물론, 별도의 베이스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치아모형 제작에 따른 작업 시간이 종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보다 단축되고,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게 되고, 제작 비용의 절감과 치아모형의 강도를 유지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는 본체(10)와 조립구(40) 간의 간편한 조립으로 통상의 교합기(300)와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므로, 교합 상태 점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10 : 본체 11 : 수용부
11a : 측벽키 11b : 바닥키
12 : 관통공 13 : 조립홈
14 : 고정돌기 20 : 홀더
21 : 확장공 21a : 트임부
22b : 고정턱 22 : 누름턱
30 : 확장구 31 : 기본홈
32 : 확장홈 33 : 돌기
40 : 조립구 41 : 조립돌기
42 : 조립수단 100 : 트레이
200 : 치아모형 300 : 교합기

Claims (5)

  1. 삭제
  2. 치열의 형상대로 깊이와 폭을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에 있어서,
    상기 몰드 본체의 수용부 측벽에는, 상?하를 따라 돌출된 측벽키를 측벽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하고, 수용부의 바닥에는 바닥의 중앙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바닥키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이격 되어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관통공을 형성한 몰드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몰드 본체의 관통공에 조립되며, 홀더에 확장구가 조립된 형태의 인서트를 추가로 구성하되,
    상기 홀더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 형상으로 관통된 확장공을 형성하고, 이 홀더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누름턱을 형성하고, 홀더 하부에는 일정 폭으로 제거된 구조의 트임부를 다수개 형성한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는 상기 홀더의 확장공에 끼움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하단 외주면으로 기본홈과 확장홈 및 돌기가 구비된 확장구로 구성되어,
    이들 홀더의 확장공에 확장구가 조립된 인서트를 몰드 본체의 관통공에 조립하여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를 구성하게 되며,
    몰드 본체에 조립된 인서트의 확장구를 눌러 홀더의 확장으로 누름턱의 밀착성 및 치아모형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몰드 본체의 측벽키 및 바닥키에 의해 분리된 치아모형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3. 제 2항에 있어서,
    몰드 본체의 관통공 하단 내주연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하단 내주연에는 내부 중앙으로 돌출된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고, 홀더의 누름턱의 가장자리는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확장구의 일단에는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 파인 기본홈과 이 기본홈 보다 더 깊게 파인 확장홈이 순차로 형성되며, 확장구의 최하단에 해당하는 끝단에는 기본홈과 확장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기가 순차로 구성되어,
    홀더의 확장공에 확장구가 끼움 되어, 홀더의 고정턱이 확장구의 확장홈에 끼워지고, 돌기는 아래측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인서트를 구성하여,
    몰드 본체에 조립된 인서트의 확장구를 눌러, 홀더의 고정턱이 기본홈에 안착하면서, 홀더 하단이 확장되어 몰드 본체의 걸림홈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몰드 본체와 인서트 간의 조립 및 분해의 간편성과 누름턱의 밀착성 유지 및 치아모형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63638A 2011-06-29 2011-06-29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KR10115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38A KR101158545B1 (ko) 2011-06-29 2011-06-29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38A KR101158545B1 (ko) 2011-06-29 2011-06-29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073A KR20110099073A (ko) 2011-09-06
KR101158545B1 true KR101158545B1 (ko) 2012-06-25

Family

ID=4495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638A KR101158545B1 (ko) 2011-06-29 2011-06-29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66B1 (ko) * 2011-06-09 2013-06-10 김연순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KR101496080B1 (ko) * 2014-01-03 2015-03-02 심규현 치과기공물 제작방법
CN106725943B (zh) * 2017-02-03 2018-08-10 华侨大学 一种适用于3d打印牙模的咬合架
CN108836527A (zh) * 2018-04-26 2018-11-20 北京大华旺达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板
CN109938868B (zh) * 2019-04-10 2021-03-23 王仲 一种用于记录下颌骨髁状突正中关系位置的装置及其方法
US10959817B2 (en) * 2019-08-14 2021-03-30 Sdc U.S. Smilepay Spv Dental model hold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121A (ja) * 1993-12-24 1995-07-18 Isamu Ikehara 作業用歯型模型の製造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00253A (ja) * 1996-09-12 2000-01-07 Bent Moogensen 歯科塑造モデル用のベ―スを形成する型
EP1600116A2 (en) 2004-05-22 2005-11-30 Neotek TDP Limited Dental cast model apparatus
KR20070057784A (ko) * 2004-08-02 2007-06-07 디스커스 덴탈 임프레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치과용 인상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121A (ja) * 1993-12-24 1995-07-18 Isamu Ikehara 作業用歯型模型の製造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00253A (ja) * 1996-09-12 2000-01-07 Bent Moogensen 歯科塑造モデル用のベ―スを形成する型
EP1600116A2 (en) 2004-05-22 2005-11-30 Neotek TDP Limited Dental cast model apparatus
KR20070057784A (ko) * 2004-08-02 2007-06-07 디스커스 덴탈 임프레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치과용 인상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073A (ko) 201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45B1 (ko)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US5393227A (en) Dental impression handling tool and method
US6884068B2 (en) Dental model base configured for customized aperture formation
US3937773A (en) Method of constructing dental models using guide pins and apertured retainer
KR101415674B1 (ko) 치아 모형, 교합기 및 그 생성 방법
US6425759B1 (en) Dental cast tray assembly
ITMI942224A1 (it) Apparato e metodo per creare un modello dentale
US5403185A (en) Dental articulator
US6106284A (en) Dental cast tray assembly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8506297B2 (en) Dental model
JP2009100880A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JP2009531145A (ja) 歯科咬合器
JP4405931B2 (ja) 間接法作業模型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WO2010147060A1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歯科作業模型の嵌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KR200446181Y1 (ko) 치아모형 교합기용 플레이트
WO2004002360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JP4112732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の基台
US8573973B2 (en) Disposable articulator having at least one continuous opening for acceptance of stabilization means
US7210932B2 (en) Pin-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O2002039922A1 (en) Dental cast tray assembly
US6537066B1 (en) Supporting plate for a denture model
KR101013215B1 (ko)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