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5Y1 - 치과 기공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용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5Y1
KR200300715Y1 KR20-2002-0029330U KR20020029330U KR200300715Y1 KR 200300715 Y1 KR200300715 Y1 KR 200300715Y1 KR 20020029330 U KR20020029330 U KR 20020029330U KR 200300715 Y1 KR200300715 Y1 KR 200300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necting rod
cast
dental
arti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록
Original Assignee
조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록 filed Critical 조경록
Priority to KR20-2002-0029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악 및 상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자유로운 상하, 좌우, 전후방 운동을 보장하여 보철 제작시 인체의 턱관절 실제운동상태를 시뮬레이션 하면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있어서,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연결부재를 탄성재질의 연결암과, 연결봉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암과 연결봉의 접속부에는 편평한 공간부, 장착홈 및 걸림턱을 설계하여 상기 연결봉의 장착홈으로부터의 삽탈착에 의해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를 상하, 좌우, 전후방으로 운동시킬 수 있게되어 최적의 교합작업 조건을 제공하고 그 구성의 단순성에 의해 제작비용의 절감 및 작동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기공용 교합기{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본 고안은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악 및 상악의 자유로운 상하, 좌우, 전후방 운동을 보장하여 보철 제작시 인체의 턱관절 실제운동상태를 시뮬레이션 하면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일반적으로 턱관절의 운동을 통하여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치아에 손상을 입은 경우 이러한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 장애를 불러온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기존 치아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가 사용되는데, 상기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형을 장착하고 인위적으로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 하여 실제 보철물 삽입시 기존 치아와 융화되도록 보철물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교합상태 체크는 실제로 음식물을 씹었을때 상하 치아가 닫는 부분이 서로 맞아들어 가도록 보철물을 가공하는 작업으로서 상하악의 상하운동, 좌우운동 및 전후방 운동을 시뮬레이션 하여 최적의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교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4,382,787 호 에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위한 교합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악 치아 모형 캐스트(21) 및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2) 사이에 이것들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상하악 연결부재(3)가 설치되고, 치아 모형 캐스트와 연결부재 사이에는 이것들을 매개하는 장착수단(26,27)이 위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는 거울상의 두개의 상하 암(4,5)으로 구성되며 상기 암은 서로 피봇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암의 상단에는 볼이 장착되는데 이것은 치아 모형 캐스트와 상기 상하악 연결부재를 이어주는 장착 수단에 형성된 둥근 소켓에 맞물려 전체적으로 상하악 치아 모형 케스트가 결합된다. 상기 상하악 연결부재(3)의 상하 암(4,5)은 피봇 수단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는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하 치아의 교합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밖에도 특허 제 1992-0011012 호, 공개 특허 제 2000-0015767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0243841 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 20-0220295 호에도 여러 형태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4,382,787 호에 공지된 교합기는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가 상하로만 운동되고 전후방 및 좌우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인체의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없어 정교한 교합 작업을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 제 1992-0011012 호 등에 공지된 교합기는 그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여 생산단가 및 판매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한 그 작동상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상하 운동 뿐만 아니라, 전후방 및 좌우 운동을 보장하여 실제 턱관절 운동을 사전에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작이 간단하고 제작비도 절감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교합기의 연결부재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4 는 상기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 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암과 연결봉이 삽탈착된 상태도,
도 6 은 상기 연결부재 접속부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상악 치아 모형 캐스트 22 :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
1 : 연결부재(종래) 3 : 연결부재
4 : 상부 암 5 : 하부 암
26, 27 : 장착수단 8 : 연결암
9 : 연결봉 10 : 접속부
11 : 장착홈 12 : 걸림턱
13 : 횡방향 로드 14 : 종방향 로드
15 : 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교합기의 연결부재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암과 연결봉이 삽탈착된 상태도이고, 도 6 은 상기 연결부재 접속부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와,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 및 연결부재를 매개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통상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는 상악 치아 모형 캐스트(21)의 장착수단(26)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연결암(8)과,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2)의 장착수단(27)에 연결되는 연결봉(9)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암(8)은 양 단부에 연결봉(9)과 결합되는 접속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9)은 상기 접속부(10)에 결합되는 횡방향 로드(13)와 상기 횡방향 로드로부터 돌출되어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장착수단(27)에 결합되는 종방향 로드(14)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횡방향로드(13)의 양단부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편평한 공간부(15)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15) 내부에 상기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가 피봇가능하며 또한 삽탈착될 수 있는 장착홈(11)을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10)의 외주면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합기는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1,22)와 장착수단(26,27) 및 연결부재(1)로 구성된다.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에는 보철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델이 장착되고,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1,22)는 실제 턱과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부재(1)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1)와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1,22) 사이에 볼결합가능한 소켓을 구비하는 장착수단(26,27)이 결합된다. 장착수단은 접착제에 의해 치아모형 캐스트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와 연결부재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는 상부의 연결암(8)과 하부의 연결봉(9)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암(8) 수평축 상단 중앙부에는 장착수단의 소켓부와 볼결합가능한 볼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암 수평축 양단은 수직 방향으로 꺾어져 연장되고 그 양 말단부에는 연결봉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접속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는 편평한 공간부(15)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15) 내부에는 연결봉(9)이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0)는 연결봉이 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운동하는 경우의 운동범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적당한 면적의 편평한 공간부(15)를갖는 합성수지 판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9)은 상기 접속부(10)의 장착홈(11)에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로드(13)와 상기 횡방향 로드(13)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종방향 로드(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봉(9)은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의 양 단부는 상기 접속부(10) 내에 구성된 장착홈(11)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암(8)은 탄성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 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의 양 단부를 장착홈(11)에 끼워 넣으면 그후 연결암(8)의 양 수직축은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연결암(8)과 연결봉(9)이 안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의 횡방향 로드(13) 말단은 라운드 처리가 되어있어 장착홈(11) 내에서 상하로 피봇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 운동에 의해 상하악 치아 모형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상하 방향 교합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봉의 종방향 로드(14)는 하악 치아 모형의 장착수단(27)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종방향 로드(14)의 말단부에는 볼이 형성된다. 상기 볼은 장착수단에 형성된 소켓부에 결합된다.
도 3a 는 상기 연결부재(1)의 정면도, 도 3b 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10)의 배면은 '┛','┗'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고, 장착홈(11), 공간부(15) 그리고 걸림턱(12)이 차례로 단차지게 구성된 형태인 접속부를 포함하는 연결암(8)을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상기 개방 구조에 의하면, 사출 성형시 장착홈을 형성키 위해 따로 심을 박는등 다른 부수적인 작업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의 편리성과 제작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5 에는 상기 연결부재(1)의 연결암(8)과 연결봉(9)이 삽탈착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보철 제작시 교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가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및 전후로 움직일 수 있어야 실제 턱관절 운동과 유사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확도 높은 교합작업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봉(9)은 접속부(10) 내부의 장착홈(11)에서 탈착된 상태로 편평한 공간부(15)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상기 접속부 외주면에 걸림턱(12)을 형성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쉽게 변형될 수 있고 그후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암(8)의 수직축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켜 상기 연결봉의 횡방향 로드(13) 양 단부를 상기 접속부내 장착홈(11)으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연결봉(9)이 이탈된 경우 연결봉에 접속된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2)는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된다. 특히 상기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의 일측 단부만이 이탈되었을 경우 상기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는 이탈된 쪽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반대쪽이 이탈된 경우는 이와 반대의 현상이 발생된다. 횡방향 로드(13)의 양 단부가 모두 이탈된 경우 하악 치아 모형은 전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봉의 이탈후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접속부 내부에 적절한 공간부(15)가 형성되어야한다. 상기 공간부(15)의 광협에 따라 치아 모형 캐스트의 이동범위의 광협이 결정된다. 이렇게 횡방향 로드의 말단부가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접속부 내주면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내에서 연결봉의 완전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와 같은 운동이 보장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악 치아 모델의 적절한 움직임을 위해 상기 횡방향 말단부의 삽탈착을 적절히 이용하여 모든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운동을 유도할 수 있게된다. 도 4, 도 5 에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장착홈이 접속부내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장착홈(11)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접속부(10) 중앙 뿐만 아니라 적절한 모든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은 상기 접속부(1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접속부(10)의 외곽 형상은 연결봉(9)이 공간부(15)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면 크게 제한이 없으나 도 4, 도 5 및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 모형의 전후 운동에 의한 교합 작업시에는, 상기 연결암(8) 수직축과 연결봉(9)의 종방향 로드(14)가 이루는 각(angle)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가 장착홈(11)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되어야 상하악 치아 모형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되게 이동될 수 있는바 이러한 운동을 최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속부(10)의 외곽 형상이 부채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6b 와 같이 접속부(10)의 외곽형상이 원형인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도 6a 및 도 6b 에는 장착홈(11)이 접속부 내부 중앙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11)의 위치는 공간부(15) 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상하 운동뿐만 아니라, 전후방 및 좌우 운동이 보장되어 실제 턱관절 운동을 사전에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 원활한 교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조작이 간단하고 제작비도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와,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 및 연결부재를 매개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는 통상의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는 상악 치아 모형 캐스트(21)의 장착수단(26)에 연결되는 탄성 재질의 연결암(8)과,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22)의 장착수단(27)에 연결되는 연결봉(9)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암(8)은 양 단부에 연결봉(9)과 결합되는 접속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9)은 상기 접속부(10)에 결합되는 횡방향 로드(13)와 상기 횡방향 로드(13)로 부터 돌출되어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장착수단(27)에 결합되는 종방향 로드(14)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횡방향 로드(13)의 양단부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편평한 공간부(15)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15) 내부에 상기 연결봉(9)의 횡방향 로드(13)가 피봇가능며 또한 삽탈착될 수 있는 장착홈(11)을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10)의 외주면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20-2002-0029330U 2002-10-01 2002-10-01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200300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30U KR200300715Y1 (ko) 2002-10-01 2002-10-01 치과 기공용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30U KR200300715Y1 (ko) 2002-10-01 2002-10-01 치과 기공용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Y1 true KR200300715Y1 (ko) 2003-01-14

Family

ID=4939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330U KR200300715Y1 (ko) 2002-10-01 2002-10-01 치과 기공용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25B1 (ko) 2015-12-08 2017-03-24 김성후 교합기
CN108888371B (zh) * 2017-08-14 2024-05-28 深圳市植合体技术有限公司 用于制作种植牙备孔的牙咬可调导板装置及种植备孔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25B1 (ko) 2015-12-08 2017-03-24 김성후 교합기
CN108888371B (zh) * 2017-08-14 2024-05-28 深圳市植合体技术有限公司 用于制作种植牙备孔的牙咬可调导板装置及种植备孔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13546B2 (ja) 歯型トレイ副組立体
EP0277026B1 (en) Flexible dental model articulator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US4786253A (en) Dental model articulator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4865544A (en) Dental model articulator
WO2001001881A2 (en) Dental model base assembly
US5221203A (en) Cast dental model articulator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JP2009531145A (ja) 歯科咬合器
JPH04256747A (ja) 咬合器と咬合方法
US6705864B2 (en) Dental articulator
JP4002614B2 (ja) 歯模型咬合器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09689A1 (en) Dental articulator
KR20110099073A (ko) 치아모형 제작용 몰드
US8419425B2 (en) Dental model articulator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US7059851B2 (en) Dental model articulator
JP2005531372A (ja) 歯のモデル成形及び咬合システムと方法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5026279A (en) Dental articulator
US6394804B1 (en) Articulator for dental casts
WO2006091982A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20220287806A1 (en) Disposable dental artic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