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08B1 - 교합기 - Google Patents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08B1
KR101472808B1 KR20140151187A KR20140151187A KR101472808B1 KR 101472808 B1 KR101472808 B1 KR 101472808B1 KR 20140151187 A KR20140151187 A KR 20140151187A KR 20140151187 A KR20140151187 A KR 20140151187A KR 101472808 B1 KR101472808 B1 KR 10147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ular
support portion
articulator
bent
low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2014015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08B1/ko
Priority to PCT/KR2015/001386 priority patent/WO20160725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모델(200)이 마운팅 되는 하악고정부(11)와, 상기 하악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방만곡지지부(14)와, 상기 상방만곡지지부(14)의 말미에 형성된 회동축(13)과, 상기 회동축(13)으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이 상기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간격조절기 지지부(12)를 포함하는 하악고정대(10)와;
상악모델(300)이 마운팅 되는 상악고정부(21)와, 상기 상악고정부(2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말미에는 회동축(13)의 회동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13)이 걸림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되게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 하방만곡지지부(27)와, 상기 하방만곡지지부(27)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13)의 이탈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부(23)를 포함하는 상악고정대(20);
를 포함하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합기{ARTICULATOR}
본 발명은 전진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의 턱뼈운동과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이와 잇몸의 교합상태를 측정하여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사용되는 기구로써 두개골에 대한 악골 및 치아의 상대적 위치관계나 하악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하여 재현하는 것이다.
실제로 인체에서 상하악골운동은 상악골은 움직이지 않고 하악골이 움직이는 구조로 대부분의 교합기의 구조가 이러한 상하악골운동의 형태를 모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악고정부와 하악고정부의 절첩되어지는 기준축은 과두를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합기의 절첩구조는 과두요소의 위치에 따라 과로유도부가 상악쪽에 있는 아콘(arcon condylar)타입의 교합기와, 과로유도부가 하악쪽에 있는 난아콘(nonarcon condylar)타입의 교합기로 구분되어지는 것으로, 난아콘타입의 경우 하악운동의 재현을 중시하는 비조절성교합기의 구조이므로 사용빈도가 높은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교합기의 문제가 치아모형을 인체의 상악과 하악의 구조와 가장 근접하는 조건으로 상하악 치아 모형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체의 하악운동을 재현하는 구조로 기준축의 위치가 과두에 맞추어 제작되어지게 되는데, 인체해부학적으로 볼때 과두는 구(求)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축의 작동원리와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또한 치아의 상,하운동은 과두의 위치와 근육(저작근)운동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과두의 위치만을 기준축으로 할 경우 근육의 움직임이 배제된 상태이므로 상하악운동을 측정할 때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오차범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합기에 다양한 조절수단을 형성하여 미세하게 오차를 조절토록 하는 것이지만, 비조절성 교합기의 경우 단순 개폐 교합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오차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오차를 수정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교합을 측정할 때 오차가 커지게 되는 것이고, 결국에는 보철물을 환자에게 끼운 상태에서 후가공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교합기는 정확한 교합평면에 상악 및 하악모델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고무줄이나 레이저 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하악모델을 고정시키도록 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마운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보조수단의 자체두께로 인하여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상,하악의 상악과 하악의 운동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교합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상악과 하악을 교합면에 정확하게 마운팅시킬 수 있도록 등록특허공보 제10-0976044호(교합기)가 제안된 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6044호에 개시된 교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모델이 마운팅 되는 하악고정대(210)와 상악모델이 마운팅 되는 상악고정대(110)가 상악고정대(110)의 하단에 형성된 회동축(130)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되고, 상기 회동축(130)은 하악고정대(210)에 형성된 걸림대(220)에 끼워져 축결합되고, 상기 하악고정대(210)와 상악고정대(110)의 후방에 형성된 컬럼은 동일한 수직높이를 갖도록 되어 회동축(130)이 교합평면(α)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면서 하악고정대(210)와 상악고정대(110)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어지게 절첩 작동되며, 상기 상악모델과 하악모델의 회전운동의 접선(β)이 교합평면(α)에 수직으로 맞닿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접선(β)과, 상악모델 및 하악모델은 도 5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교합기는 상악고정대(110)가 후방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나 걸림대(220)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한 구조이다. 이에 반해 인체의 턱뼈 운동은 전진운동이므로 이와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교합기가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6044호(공고일자: 2010년08월18일)
본 발명은 전진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의 턱뼈운동과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교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모델(200)이 마운팅 되는 하악고정부(11)와, 상기 하악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방만곡지지부(14)와, 상기 상방만곡지지부(14)의 말미에 형성된 회동축(13)과, 상기 회동축(13)으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이 상기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간격조절기 지지부(12)를 포함하는 하악고정대(10)와;
상악모델(300)이 마운팅 되는 상악고정부(21)와, 상기 상악고정부(2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말미에는 회동축(13)의 회동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13)이 걸림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되게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 하방만곡지지부(27)와, 상기 하방만곡지지부(27)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13)의 이탈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부(23)를 포함하는 상악고정대(20);
를 포함하는 교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인체의 턱뼈 운동은 전진 운동이고,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이와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두개골에 대한 악골 및 치아의 상대적 위치관계나 하악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 재현함에 있어 종래에 비해 오차범위가 줄어들며, 이에 따라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복귀수단과 간격조절기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고정부의 전진운동 및 평면 회전 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전진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의 턱뼈운동과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하악모델(200)이 마운팅 되는 하악고정부(11)와, 상기 하악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방만곡지지부(14)와, 상기 상방만곡지지부(14)의 말미에 형성된 회동축(13)과, 상기 회동축(13)으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이 상기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간격조절기 지지부(12)를 포함하는 하악고정대(10)와;
상악모델(300)이 마운팅 되는 상악고정부(21)와, 상기 상악고정부(2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말미에는 회동축(13)의 회동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13)이 걸림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되게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 하방만곡지지부(27)와, 상기 하방만곡지지부(27)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13)의 이탈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부(23)를 포함하는 상악고정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13)의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기 지지부(12)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부(23)의 일면의 대면 간격이 변화되며, 상기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 최소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대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40)가 상기 간격조절기 지지부(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상악고정대(20)와 하악고정대(10)로 이루어져 하악고정대(10)의 회동축(13)에 의하여 상,하로 절첩되는 것으로, 하악고정대(10)의 수평도를 조절함으로써 교합평면(α)을 설정하고, 그 설정되어진 교합평면(α)에 하악모델(200)과 상악모델(300)을 마운팅하여 치아의 배열관계를 확일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교합기는 상악고정대(20)와 하악고정대(10)를 포함한다.
상악고정대(20)는 상악고정부(21)와 하방만곡지지부(27)와 걸림턱(22)과 가이드부(23)를 포함한다.
하악고정대(10)는 하악고정부(11)와 상방만곡지지부(14)와 회동축(13)과 간격조절기 지지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악고정대(10)의 간격조절기 지지부(12)에는 간격조절기(40)가 장착되고, 상악고정대(20)의 가이드부(23)에는 복귀수단이 구비된다.
상악고정부(21)와 하악고정부(11)에는 상아모델(300)과 하악모델(2000이 각각 석고로 고정된다.
상악고정대(20)의 하방만곡지지부(27)는 수평의 상악고정부(21)의 후방에서부터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악고정부(2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한 쌍으로 절곡되고 말미에는 회동축(13)의 회동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13)이 걸림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리되게 하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3)는 상기 하방만곡지지부(27)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13)의 이탈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방만곡지지부(27)의 걸림턱(22)이 형성된 부위에 양측이 연결되되, 전방을 향하여 중간 부위가 돌출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돌출된 부위의 중간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벽(24)이 형서되어 있으며 이 돌출벽(24)에는 회동축(13)의 이탈 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가이드부(23)가 걸림턱(22)의 상측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측에도 장착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회동축(13)이 걸림턱(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회동축(13)을 가이드 하게 된다.
하악고정대(10)는 상방막곡지지부(14)는 하악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말미에는 회동축(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간격조절기 지지부(12)는 상기 회동축(13)으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이 상기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구비된다.
복귀수단은 밀대(31)와 스프링(32)으로 구성되는데 밀대(31)는 돌축벽(24)에 관통되고 관통된 상태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일측은 회동축(13)에 접촉된다. 스프링(32)은 상기 밀대(31)가 회동측(13)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밀대(31)에, 타측은 돌출벽(24)에 고정되거나 접촉된다. 복귀수단에 의해 하악고정대(10)의 회동축(13)은 걸림턱(22)으로의 걸림이 유지된다. 그리고 인력으로 하악고정대(10)를 전방 이동시킬 경우 회동축(13)은 걸림턱(22)으로부터 살짝(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아님, 가이드부(23)가 걸림턱(22)의 아래에 위치될 경우는 완전 이탈 가능) 이탈되고 좌,우 비틀어지면서 이탈도 가능하다. 한편, 인력을 해제하면 복귀수단에 의해 회동축(13)은 걸림턱(2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걸림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합기는 회동축(13)의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간격조절기 지지부(12)의 일면과 가이드부(23)의 일면의 대면 간격이 변화되며,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 최소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대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40)가 상기 간격조절기 지지부(12)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의 주요부의 동작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복귀수단의 동작관계를 나타내고, 도 6은 간격조절기(40)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동축(13)은 돌축벽(24)에 설치된 복귀수단의 밀대(31)와 스프링(32)에 의해 걸림턱(2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다가 인력으로 하악고정대(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회동축(13)은 걸림턱(22)으로부터 살짝 이탈된다. 또한 인력에 따라 좌,우 비틀어지면서 이탈도 가능하며 인력 해제시 복귀수단에 의해 회동축(13)은 걸림턱(22)의 내측면으로 밀착되면서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합기는 종래와 달리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전진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의 턱뼈운동과 유사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간격조절기 지지부(12)의 상면과 가이드부(23)의 돌출벽(24)의 하면은 보통의 경우 접촉된 상태이나, 간격조절기(40)(통상의 볼트일 수 있음)를 회전시키면 간격조절기(40)의 조임상태에 따라 간격조절기 지지부(12)와 가이드부(23)의 돌출벽(24)과의 이격공간이 조절되어 하악고정대(10)의 제한각도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악고정대
11: 하악고정부
12: 간격조절기 지지부
13: 회동축
14: 상방만곡지지부
20: 상악고정대
21: 상악고정부
22: 걸림턱
23: 가이드부
27: 하방만곡지지부
40; 간격조절기
200: 하악모델
300: 상악모델

Claims (2)

  1. 하악모델(200)이 마운팅 되는 하악고정부(11)와,
    상기 하악고정부(1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방만곡지지부(14)와,
    상기 상방만곡지지부(14)의 말미에 형성된 회동축(13)과,
    상기 회동축(13)으로부터 연장되며 선단이 상기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간격조절기 지지부(12),
    를 포함하는 하악고정대(10)와;
    상악모델(300)이 마운팅 되는 상악고정부(21)와,
    상기 상악고정부(21)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며 말미에는 회동축(13)의 회동 지지를 위하여 회동축(13)이 걸림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악고정부(11)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되게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 하방만곡지지부(27)와,
    상기 하방만곡지지부(27)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13)의 이탈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구비된 가이드부(23),
    를 포함하는 상악고정대(20);
    를 포함하는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3)의 회전에 따라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기 지지부(12)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부(23)의 일면의 대면 간격이 변화되며,
    상기 하악고정부(11)와 상악고정부(21) 간의 간격 최소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대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기(40)가 상기 간격조절기 지지부(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KR20140151187A 2014-11-03 2014-11-03 교합기 KR10147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1187A KR101472808B1 (ko) 2014-11-03 2014-11-03 교합기
PCT/KR2015/001386 WO2016072562A1 (ko) 2014-11-03 2015-02-11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1187A KR101472808B1 (ko) 2014-11-03 2014-11-03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808B1 true KR101472808B1 (ko) 2014-12-15

Family

ID=5267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1187A KR101472808B1 (ko) 2014-11-03 2014-11-03 교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2808B1 (ko)
WO (1) WO20160725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31B1 (ko) * 2015-05-15 2015-06-16 이동우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KR101816497B1 (ko) 2017-10-12 2018-01-09 이상진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2129526B1 (ko) 2019-03-12 2020-07-02 주식회사 키스톤 3d 데이터로 형성된 교합정보를 실물 교합기에 옮기기 위한 3d 프린팅 커넥터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2244666B1 (ko) * 2020-11-18 2021-04-23 김의형 교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17A (ja) * 1997-05-16 1999-02-02 Kazuhiro Nagata 完全再現性咬合器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KR101247272B1 (ko) 2012-09-25 2013-03-25 홍영휘 교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46B1 (ko) * 2009-03-11 2011-02-23 (주)보원덴탈 치아모형 교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17A (ja) * 1997-05-16 1999-02-02 Kazuhiro Nagata 完全再現性咬合器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JP2013521097A (ja) 2010-03-05 2013-06-10 リ,チェ−ブン 咬合器
KR101247272B1 (ko) 2012-09-25 2013-03-25 홍영휘 교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31B1 (ko) * 2015-05-15 2015-06-16 이동우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KR101816497B1 (ko) 2017-10-12 2018-01-09 이상진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KR102129526B1 (ko) 2019-03-12 2020-07-02 주식회사 키스톤 3d 데이터로 형성된 교합정보를 실물 교합기에 옮기기 위한 3d 프린팅 커넥터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2244666B1 (ko) * 2020-11-18 2021-04-23 김의형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562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808B1 (ko) 교합기
JP5688619B2 (ja) 咬合器
KR100976044B1 (ko) 교합기
JP3815916B2 (ja) 下顎の中心位顎間関係記録装置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KR101529231B1 (ko)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KR101686844B1 (ko) 치아배열에 용이한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US20060147877A1 (en) Dental face bow
KR101472809B1 (ko) 교합기
KR102105277B1 (ko) 교합기
JP3680139B2 (ja) 咬合の構築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咬合器
JP2008113717A (ja) 咬合器
US7361019B2 (en) Dental instrument
JP2007300984A (ja) 歯科用咬合器及び口角基準アーム
KR100920892B1 (ko) 치아교합기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JP6407782B2 (ja) 歯科用咬合器
KR102651529B1 (ko) 교합기
KR101422993B1 (ko) 교합기에 장착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하악 모델 측정용 지그
KR102244666B1 (ko) 교합기
KR101432421B1 (ko)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교합기
JP7374488B2 (ja) 咬合平面再現装置及び咬合平面再現方法
KR100633016B1 (ko) 치아 악교정 모형물 고정장치
JP2554037B2 (ja) 局部義歯の保持装置及び同装置用保持体
KR101518736B1 (ko) 치아교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