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36B1 - 치아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36B1
KR101518736B1 KR1020140034760A KR20140034760A KR101518736B1 KR 101518736 B1 KR101518736 B1 KR 101518736B1 KR 1020140034760 A KR1020140034760 A KR 1020140034760A KR 20140034760 A KR20140034760 A KR 20140034760A KR 101518736 B1 KR101518736 B1 KR 10151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wer frame
hinge member
upper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패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패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패밀리
Priority to KR102014003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pivotable lower part, i.e. mandibule motion sim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hinge made of 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rectilinea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는 힌지부재가 구비된 지지아암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받침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중앙에 형성된 상부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받침부 상면으로 결합되는 하악설치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받침부 저면으로 결합되는 상악설치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받침부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부 작동공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부 작동공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후 및 양측 방향으로 교합기를 사용하여 정확히 교정하되, 특히, 하악설치판이 설치된 하부프레임 전체를 전후 슬라이딩하여 교정할 수 있어, 구강의 저작 운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재현함은 물론, 보다 안전하고 정확히 사람의 치아와 교합되는 치아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아교합기{Dental model articulator}
본 발명은 치아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와 유사한 조건으로 상악 및 하악골의 운동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환자의 치아에 정확하게 교합되는 치아보철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치아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상하악의 공간적 위치관계 및 각종 하악운동을 모형상으로 재현하고 치아보철물 특히 인공치아의 형태, 배열, 교합 및 교교상태(咬交狀態)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또한, 교합기는 인공치아를 각 치아의 고유위치에 배열하고 악관절운동(Temporo Mandibular Joint Movement)에 따른 하악운동(Mandibular Movement)을 재현하는데 사용되는 인공적인 기계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합기는 상하 개폐운동만 할 수 있거나 제한된 범위의 측방운동(Lateral Movement)만을 할 수 있는 비조절성 교합기(Non Adjustable Articular)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래의 교합기에 있어서는 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운동과 좌우수평이동 밖에는 할 수 없어, 상치와 하치를 교합시켜주는 교정작업에 있어서 정확한 교합을 이룰 수가 없어서 수차의 교정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 기술로 등록특허 10-0920892 " 치아교합기"가 소개되었다.
상기 치아교합기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해 하악골거치부가 상하, 좌우, 전후로 움직이는 작용한다.
그러나, 상치와 하치를 정확하고 미세하게 교합하는데 한계가 있어, 수차의 교정을 해야하는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부에 하악골설치판이 구비된 하부프레임 전체를 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는 하악작동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구강의 저작 운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치아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는 힌지부재가 구비된 지지아암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받침부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중앙에 형성된 상부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받침부 상면으로 결합되는 하악설치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받침부 저면으로 결합되는 상악설치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받침부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부 작동공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장치부는 상부프레임의 배면부 작동공에 삽입되어, 하부프레임의 힌지부재와 밀착하여 작동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부프레임의 작동공을 막기 위해 마련된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공은 일단에 하부프레임의 힌지부재와 조절부재가 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제1통공부와, 타단에 마감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제2통공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제1통공부는 제2통공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삼각형, 사다리꼴 및 구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배면부 작동공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 지지아암의 힌지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후 및 양측 방향으로 교합기를 사용하여 정확히 교정하되, 특히, 하악설치판이 설치된 하부프레임 전체를 전후 슬라이딩하여 교정할 수 있어, 구강의 저작 운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재현함은 물론, 보다 안전하고 정확히 사람의 치아와 교합되는 치아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치아교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합기의 상부프레임 및 유동장치부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장치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합기의 작용 전을 나타낸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합기의 작용 후를 나타낸 작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는 힌지부재(11a)가 구비된 지지아암(11)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받침부(1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지지아암(11)의 힌지부재(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1) 및 상기 연결부(21) 중앙에 형성된 상부 받침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하부받침부(12) 상면으로 결합되는 하악설치판(3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받침부(22) 저면으로 결합되는 상악설치판(4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받침부(22)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바(50)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배면부 작동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23)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10) 지지아암(11)의 힌지부재(11a)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10)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6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결합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20), 하악설치판(30), 상악설치판(40), 지지바, 유동장치부(6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바닥면과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다리가 설치되고, 정면으로 봤을 때, 'u' 형태를 갖고 있으며, 양측으로 상호 대응하게 지지아암(11)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아암(11)이 상호 마주보는 면에 단부가 구형태를 갖는 힌지부재(11a)가 각각 구비되며, 중앙으로 정면으로 길게 연결형성되는 하부받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하부받침부(12)에는 하악설치판(30)이 구비되되, 상기 하악설치판(30)은 결합부재에 의해 하부받침부(1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하부치아모형(92)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지지아암(11)의 힌지부에 힌지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연결부(21)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 중앙으로 일체형으로 상부받침부(22)가 형성되되, 하부받침부(12)와 상호 대칭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받침부(22)에는 상악설치판(40)이 구비되되, 상기 상악설치판(40)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부받침부(2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상부치아모형(91)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치아모형은 환자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석고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지지바(50)는 상부프레임(20)이 힌지부재(11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형성되는 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50)와 상호 대응 작용하게 하부프레임(10)의 하부받침부(12) 단부 상면에는 지지테이블(7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받침부(22) 단부로 상기 지지바(50)를 고정 및 해제하여 상부프레임(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노브(80)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배면부에 작동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23)에, 하부프레임(10)의 힌지부재(11a)와 상호 밀착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10)을 전후이동시키기 위해 유동장치부(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동장치부(60)은 상부프레임(20) 배면부 작동공(23)에 삽입되되, 지지아암(11)에 형성된 힌지부재(11a)의 일단부 외주면과 밀착하여 구비되는 조절부재(61)와, 상기 조절부재(61)와 힌지부재(11a)의 일단부가 밀착하여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탄성부재(62)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62)를 지지하거나 상기 작동공(23)을 막아 마감처리 하기 위해 마련된 마감부재(6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61)는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기 위해 삼각형, 사다리꼴 및 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장치부(60)이 상부프레임(20)의 배면부 설치되어 작용하기 위해 마련된 작동공(23)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23)은 일단에 하부프레임(10)의 힌지부재(11a)와 유동장치부(60)의 조절부재(61)가 밀착되기 위해 제1통공부(23-1)이 형성되고, 타단에 마감부재(63)가 삽입되어 결합고정하기 위해 제2통공부(23-2)이 형성되되, 상기 제1통공부(23-1)는 제2통공부(23-2)보다 작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1통공부(23-1)을 작게 형성함은 작동공(23)에 조절부재(61)가 삽입되되, 상기 조절부재(61)의 일부가 제1통공부(23-1)부를 관통된 상태로 힌지부재(11a)와 밀착하여 탄성부재(62)에 의해 작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럼, 상기와 구성되는 치아 교합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상부 및 하부치아모형(91)(92)을 각각의 설치판(30)(40)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치아모형(91)(92)이 상호 대칭하게 위치하기 위해, 상부프레임(20)을 힌지부재(11a)를 기준으로 일정의 각도로 다단계로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치아모형(92)을 상호 대칭형성시키되, 상기 조절노브(80)를 사용하여 지지바(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상기 각각의 치아모형(91)(92)이 각각의 설치판(30)(40)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치아모형(91)과 하부치아모형(92) 가장 바람직한 거리(a)에 따른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손으로 하부프레임(1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프레임(10) 지지아암(11)에 결합된 힌지부재(11a)의 단부가 작동공(23)의 제1통공부(23-1)에 일부가 관통되어 돌출된 조절부재(61)를 밀착가압하여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조절부재(61)와 연결된 탄성부재(62)가 수축한 상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손으로 하부프레임(10)을 가압했던 것을 해제하게 되면,
수축했던 탄성부재(62)가 복원되는 작용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0)의 지지아암(11)에 결합된 힌지부재(11a)의 단부가 작동공(23)의 제1통공부(23-1)부에 일부가 관통되어 돌출된 조절부재(61)를 밀착 가압했던 것이 해체되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하여 각각의 프레임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부치아모형(91)과 하부치아모형(92)이 상호 대칭되게 한 상태에서(도5참조) 하부프레임(10)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상부치아모형(91)과 하부치아모형(92)의 위치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가장 바람직한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그 거리(a)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상악골과 하악골 정확히 교정하여 환자의 기존 치아와 정확하게 교합할 수 있는 이점 및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환자의 치아 교합상태에 맞게 진료하여 치아보철물 등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프레임
11: 지지아암
11a: 힌지부재
20: 상부프레임
21: 연결부
22: 상부받침부
23: 작동공
30: 하악설치판
40: 상악설치판
50: 지지바
60: 유동장치부
61: 조절부재
62: 탄성부재
63: 마감부재
70: 지지테이블
80: 조절노브

Claims (4)

  1.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는 힌지부재(11a)가 구비된 지지아암(11)이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받침부(12)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지지아암(11)의 힌지부재(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1) 및 상기 연결부(21) 중앙에 형성된 상부받침부(22)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하부받침부(12) 상면으로 결합되는 하악설치판(3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받침부(22) 저면으로 결합되는 상악설치판(4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부받침부(22)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바(50)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배면부 작동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23)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10) 지지아암(11)의 힌지부재(11a)와 상호 작용함으로, 하부프레임(10)을 전후이동시키는 유동장치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장치부(60)는 상부프레임(20)의 배면부 작동공(23)에 삽입되어, 하부프레임(10)의 힌지부재(11a)와 밀착하여 작동하는 조절부재(61)와, 상기 조절부재(61)에 연결되며,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62)와, 상기 탄성부재(62)를 지지하고 상부프레임(20)의 작동공(23)을 막기 위해 마련된 마감부재(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23)은 일단에 하부프레임(10)의 힌지부재(11a)와 조절부재(61)가 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제1통공부(23-1)와, 타단에 마감부재(63)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제2통공부(23-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제1통공부(23-1)는 제2통공부(23-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61)는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구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합기.
KR1020140034760A 2014-03-25 2014-03-25 치아교합기 KR10151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60A KR101518736B1 (ko) 2014-03-25 2014-03-25 치아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60A KR101518736B1 (ko) 2014-03-25 2014-03-25 치아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736B1 true KR101518736B1 (ko) 2015-05-15

Family

ID=5339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60A KR101518736B1 (ko) 2014-03-25 2014-03-25 치아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7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9919A (en) * 1983-01-12 1985-04-09 Fabrications Automatiques Gerbelot Articulator for the dental art
JPH06178785A (ja) * 1992-10-15 1994-06-28 Takatoshi Ono 自由運動に切替可能な平均値咬合器
US6299442B1 (en) * 1999-02-15 2001-10-09 Whip Mix Corporation Field calabratable artic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9919A (en) * 1983-01-12 1985-04-09 Fabrications Automatiques Gerbelot Articulator for the dental art
JPH06178785A (ja) * 1992-10-15 1994-06-28 Takatoshi Ono 自由運動に切替可能な平均値咬合器
US6299442B1 (en) * 1999-02-15 2001-10-09 Whip Mix Corporation Field calabratable articu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01B1 (ko) 인공치아 교합기
US20120329003A1 (en) Articulator
KR101657990B1 (ko) 인공치아 교합기
KR100976044B1 (ko) 교합기
KR101926041B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KR101472808B1 (ko) 교합기
JP2008006144A (ja) 歯科治療においてあらゆる下顎位の再現を迅速にかつ正確に、上下顎模型を咬合器にマウントし、其の時の下顎顆頭にあたるコンダイルの位置を記録する事によって、歯科治療に役立つ事の出来る咬合器とフェイス・ボウ。
KR101518736B1 (ko) 치아교합기
KR101529231B1 (ko)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US5494440A (en) Dental articulator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US4368041A (en) Dental simulator and method for recording jaw movements
JP2763718B2 (ja) 自由運動に切替可能な平均値咬合器
KR101686844B1 (ko) 치아배열에 용이한 상악 모델 장착용 기준부재가 구비된 교합기
US7083410B2 (en) Dental articulator
US20200093580A1 (en) Dental articulator capable of fixed horizontal condyle and adjustable horizontal condyle
KR101397438B1 (ko)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된 교합기
US10350038B1 (en) Dental articulator system and apparatus
KR101796001B1 (ko) 임플란트 모형 교합기
KR100920892B1 (ko) 치아교합기
KR100454222B1 (ko) 교합기
KR200220295Y1 (ko)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101432420B1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