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41B1 - 치과 기공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용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41B1
KR101926041B1 KR1020170140266A KR20170140266A KR101926041B1 KR 101926041 B1 KR101926041 B1 KR 101926041B1 KR 1020170140266 A KR1020170140266 A KR 1020170140266A KR 20170140266 A KR20170140266 A KR 20170140266A KR 101926041 B1 KR101926041 B1 KR 10192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ivot
convex portion
pivot shafts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철
Original Assignee
주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철 filed Critical 주현철
Priority to KR102017014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4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3D adjustment, e.g. Ball-and-s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상기 피봇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 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 사이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샤프트가 각각 안착되는 ⊃자 형상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상기 볼록부의 일측 구형 접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자형 하부가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아암 상기 제2아암의 중심 영역에 결합하여 상기 볼록부의 타측 구형 접면을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는 누름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 기공용 교합기{DENTAL TECHNICIAN ARTICULATOR}
본 발명은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기공용 교합기는 구강 내 존재하는 치아에 인상재를 사용하여 치아 및 주변 부위 모형을 떠서 얻어진 치아 모형을 진단 및 보철물 제작을 위해 부착할 때 사용된다. 치아는 일반적으로 턱관절의 운동으로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원호 형상의 구조로 배치된다. 치아에 손상을 입은 경우 교합에 문제가 생겨 치아의 기능 장애를 가져온다. 이러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기존 치아에 삽입할 수 있다. 보철물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합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교합기가 사용된다.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형을 장착하고 인위적으로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보철물 삽입 시 기존 치아와 조화를 이루도록 보철물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여러가지 형태의 교합기가 사용된다.
치아의 교합상태 체크는 실제로 음식물을 씹었을 때 상하 치아가 닫는 부분이 서로 맞아들어 가도록 보철물을 가공하는 작업으로서 실제 턱관절 운동인 상악과 하악의 상하운동, 좌우운동 및 전후방 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도록 수행해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교합기(1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악 프레임(11)과 하악 프레임(12)은 각각 U자 형상의 금속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석고를 이용하여 치 모형을 결합시키는 경우 사람의 치아 구조가 양 끝이 벌어지는 형태의 U 자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악 프레임(11)과 하악 프레임(12)은 결합부(13)로 갈수록 넓어지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교합기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상기 턱관절운동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좌우 측방운동과 전방 및 후방운동 등을 포함하는 운동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합기는 상악 프레임(11)의 피봇 샤프트와 하악 프레임(12)의 피봇 안착부가 만나는 양 접점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실제 운동의 구현에 상당한 제한이 있어 3차원적인 치아 모형의 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8518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1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좌우 측방운동과 전방 및 후방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치아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상기 피봇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 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 사이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샤프트가 각각 안착되는 ⊃자 형상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상기 볼록부의 일측 구형 접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자형 하부가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아암 상기 제2아암의 중심 영역에 결합하여 상기 볼록부의 타측 구형 접면을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는 누름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악프레임은 양끝이 벌어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심컬럼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피봇샤프트 장착 위치에서 내측으로 설정거리만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자형상의 깊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형상의 깊이는 상기 피봇샤프트 장착 접점 중심에서 ⊃자형상의 깊이 단부까지의 거리가 3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록부는 장경이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상기 피봇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 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중심컬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좌우측 상방으로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샤프트가 각각 안착되는 ⊃자 형상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상기 볼록부의 일측 구형 접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를 제공한다.
상기 볼록부와 상기 안착부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석으로 형성하여 자기력으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안착부에 인력을 가지고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는 상악 결합부와 하악 결합부의 피봇 접점을 추가하여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좌우 측방 운동과 전방 운동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교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상악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의 하악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에 치모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윌 삼각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종래의 기본 힌지 1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점 응용 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4점 응용 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기공용 교합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악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하악 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치아 모형이 결합된 교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100)는 상악 결합부(110)와 하악 결합부(120)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악 결합부(110)는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111), 제1아암(112), 스템(113), 피봇대(114), 피봇샤프트(114a), 볼록부(115)를 포함하고, 하악결합부(120)는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121), 하악프레임(121)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1a), 상악결합부(110)를 하악결합부(120)의 상부에 이격하여 조립되도록 입설되는 제1컬럼(column)(122), 제2컬럼(123), 중심컬럼(124), 피봇대(114)의 피봇샤프트(114a)가 장착되는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 제1걸림부(125)와 제2 걸림부(126)의 하부가 연장되어 연결되는 제2아암(128), 제2아암(128) 중심에 형성되는 누름 샤프트 결합공(129)을 포함한다. 상악 결합부(110)의 볼록부(115)를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도록 누름 샤프트 결합공(129)에 스프링(133)을 게재하여 누름샤프트(131)가 결합한다.
이하에서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악 결합부(110)와 하악결합부(120)를 각각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악 결합부(110)의 상악프레임(111)은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피봇대(114)는 상악프레임(111)의 타원형 형상의 장축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된다. 제1아암(112)이 상악프레임(111)과 피봇대(114)를 연결한다. 피봇대(114)와 동축으로 연장하여 피봇샤프트(114a)가 형성된다. 피봇샤프트(114a)는 하악결합부(120)의 ⊃자형 제1,2 걸림부(125,126)에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피봇대(114)의 중심 영역에는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115)가 형성된다. 볼록부(115)는 피봇대(114)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볼록부(115)의 크기는 안착부(127)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템(113)은 피봇대(114)의 볼록부(115)를 사이에 두고 피봇대(114)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스템(113)을 잡고 고경을 조정할 수 있다. 스템(113)에는 상악결합부(110)의 닫힘량을 제한하도록 스톱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악결합부(120)의 하악 프레임(121)은 양 끝이 벌어지는 U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악 치모형이 결합된다. 연결부(121a)는 하악 프레임(121)의 U자형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하악프레임(121)의 U 자형 단부 각각에 제1컬럼(122)과 제2컬럼(123)이 입설된다. 제1컬럼(122)과 제2컬럼(123)은 설정 거리 하악결합부(120) 상에 상악결합부(110)가 이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높이가 설정된다. 중심컬럼(124)은 연결부(121a)에 입설된다. 제1컬럼(122)과 제2 컬럼(123)의 상단은 ⊃ 형상의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의 ⊃ 형상의 홈에 피봇샤프트(114a)가 장착되고,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는 피봇샤프트(114a) 장착 위치에서 내측으로 설정거리(m)만큼 공간이 형성되도록 ⊃ 형상의 깊이가 설정된다. 중심컬럼(124)은 상단에 볼록부(115)의 구형 접면이 안착하여 운동 가능하도록 상응하는 라운드진 형상의 안착부(127)가 형성된다. 안착부(127)는 좌우측 가장자리'l' 및 상 하단은 라운드진 영역보다 돌출되어 볼록부(132)가 피봇할 때 받침점 역할을 하게 한다. 제2아암(128)은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의 하부가 연장하여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2아암(128)의 중심에는 누름 샤프트 결합공(129)이 형성된다. 누름 샤프트(131)는 헤드(132)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라운드진 헤드(132)가 피봇대(114)의 볼록부(115)에 접촉하여 피봇대(114)가 누름 샤프트(131)의 접점을 축으로 하여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누름샤프트(131)는 스프링(133)을 게재하여 누름샤프트 결합공(129)에 결합하여 탄성을 가지고 누름샤프트(131)의 헤드(132)가 볼록부(115)를 눌러 헤드(132)의 접점을 중심으로 피봇대(114)가 틸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합기(100)는 탄성을 가지고 누름샤프트(131)가 누르고 있으므로 그 탄성에 대하여 누름샤프트 헤드(132)와 볼록부(115)의 접점을 축으로 피봇샤프트(114a)를 좌우전후방으로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피봇샤프트(114a)와 제1걸림부(125)의 접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대(114)를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피봇샤프트(114a)와 제2걸림부(126)의 접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대(114)를 틸트하여 교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중심컬럼(124)의 안착부(127)와 볼록부(115)를 접점으로 하여 피봇대(114)를 틸트할 수 있는 데, 특히 제1 및 제2 걸림부(125,126) 각각 'm'만큼 깊이의 공간을 가지고 있어, 피봇대(114)는 Bennett movement를 위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한다. 'm'은 피봇샤프트(114a)가 걸림부(125,126)에 장착됐을 때 피봇샤프트(114s)의 걸림부측 외주면과 걸림부(125,126)의 내측 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m'은 베넷 무브먼트 이동 최대 기준인 3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악 치아모형(150)이 결합된 상악 결합부(110)는 피봇샤프트(114a)가 하악 치아모형(160)이 결합된 하악결합부(120)의 제1컬럼(122)과 제2컬럼(123)의 제1걸림부(125)와 제2걸림부(126)에 안착하게 된다. 누름샤프트(131)의 헤드(132)가 스프링(133)의 탄성으로 볼록부(131)를 누르고, 볼록부(131)의 헤드(132)와의 접점 배면은 중심컬럼(124)의 안착부(127)에 안착하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측방 및 전후방 가동 범위와 종래 교합기의 가동 범위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윌(bonwill) 삼각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은 종래의 기본 힌지 1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점 응용 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10은 4점 응용 타입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철물은 사람의 구강에 장착되므로, 교합기 역시 사람의 구강과 유사하게 운동 시 회전에 필요한 공간을 가진 교합기를 사용하여야 보철물이 치아의 맞물리는 면의 접촉 상태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onwill 삼각형은 각 변이 4인치인 정삼각형으로, 좌후과두의 중심과 하악의 양 중절치 절단의 정중부(하악 중절치 근심부empresure)를 연결한 선이 삼각형이 된다는 이론이다. 본윌 삼각형은 각 변이 4인치로 도 6에서는 약 12cm로 가정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근래에는 10.7 ~11cm로 조정되고 있다. 역삼각형의 하단 꼭지점이 하악 전지 위치고, 상부의 2개의 꼭지점이 하악과두 포지션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교합기의 가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i,ii는 피봇샤프트와 하악 결합부의 컬럼의 접점을 나타내고, iii은 누름 샤프트 헤드와 피봇샤프트의 접점을 나타낸다. 피봇샤프트의 양 접점을 축으로 틸트를 통해서만 조절할 경우, 전치부의 운동에 무리가 있고 ISS와 RS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베네트 앵글은 하악이 측방운동을 할때 전하 내방으로 이동하는 과두(condyle)의 궤적이 수평면상에서 gagittal plane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즉, 하악 운동을 사람 머리위에서 볼때 나오는 궤적이다. 베네트 앵글은 작업측 과두에서는 RT 0~4mm의 회전 및 후방 이동이 있고 균형측 과두에서 iss와 pss두 파트로 나누어진다. iss(Immediate Side Shift)는 2개의 다른 양상 중 추기에 나타나는 운동은 하악 전체가 측방으로 쏠릴때 나타나는 횡축 이동 현상. PSS(Progressive Side Shift)는 ISS가 끝나고 가동측의 과두(condyle)는 회전하면서 비가동 과두는 전내방으로 비교적 똑바로 이동하는 운동 경로를 말한다. 따라서, 종래의 교합기는 MICP(CO, ICP) 위주의 작업만 가능하고 정밀 가이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8은 3점 응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점선은 본윌 삼각을 나타낸다. 도 8은 걸림부(125,126) 단부까지 3㎜의 공간이 피봇샤프트(114a)와 걸림부(125,126)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교합기의 본윌삼각형을 나타낸다. 3mm의 마진으로 인하여 하악 6번 포지션에서 4.4mm의 가동 폭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장경이 1cm인 볼록부와 안착부의 접점으로 인해 가동범위가 확대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선은 본윌 삼각형을 나타낸다. 축의 중심이 볼록부의 장경 크기에 따라 1cm의 마진이 발생하고, 도8에서 설명된 3mm의 공간에 추가해서 하악 6번 포지션의 재현 가능 공간(ISS, PSS)이 빗금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장경이 2cm인 볼록부와 안착부의 접점으로 인해 가동범위가 확대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악 6번 포지션의 가능 범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기공용 교합기는 환자 각각마다 차이가 있는 환자 각각의 턱 관절상태, 이를 테면 환자의 ISS(Immediate side shift), Bennett 각도(수평과로각), 시상과로각 등이 여유 공간을 주어 인접치에 있는 파셋 펑션, 마모면을 적용하고, 무치악일 경우 교합기가 가진 운동로에 맞추어 제작하면 종래의 교합기에 비해 적용이 용이하고 기능적인 배열이 가능해 지며, 보철물의 교합 상태를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럼(122), 제2컬럼(123), 중심컬럼(124)이 제1 실시예와 같이 각각 입설하지 않고, 중심컬럼(124)의 하부가 하악프레임(121)에서 연장되고, 제1컬럼(122)과 제2컬럼(123)은 중심컬럼(124)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샤프트(131)에 스프링(133)을 게재하여 탄성력으로 헤드(132)가 볼록부(115)를 누르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볼록부(115)와 헤드(132)를 서로 다른 극의 자석으로 형성하여 자기력으로 헤드(132)가 볼록부(115)를 누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부(115)와 안착부(127)를 서로 다른 극의 자석으로 형성하여 누름샤프트(131)와 스프링(133)의 구성을 생략하고도 볼록부(115)와 안착부(127)가 척력에 의해 붙어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교합기 110 : 상악 결합부
111 : 상악프레임 112 : 제1아암
113 : 스템 114 : 피봇대
114a : 피봇샤프트 115 : 볼록부
120 : 하악 결합부 121 : 하악프레임
121a : 연결부 122 : 제1컬럼
123 : 제2컬럼 124 : 중심컬럼
125 : 제1걸림부 126 : 제2걸림부
127 : 안착부 128 : 제2아암
129 : 누름 샤프트 결합공
131 : 누름샤프트 132 : 헤드

Claims (5)

  1.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상기 피봇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 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 사이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샤프트가 각각 안착되는 ⊃자 형상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상기 볼록부의 일측 구형 접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자형 하부가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아암 상기 제2아암의 중심 영역에 결합하여 상기 볼록부의 타측 구형 접면을 탄성을 가지고 눌러주는 누름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악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프레임은 양끝이 벌어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심컬럼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피봇샤프트 장착 위치에서 내측으로 설정거리만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자형상의 깊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4. 상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상악프레임, 상기 상악프레임의 일단부에 축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하는 피봇대, 상기 피봇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 및 상기 피봇대의 중심 영역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형 접면을 제공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 치모형이 결합하는 하악프레임, 상기 하악 프레임의 단부에 입설되는 중심컬럼, 상기 중심컬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좌우측 상방으로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컬럼과 제2컬럼, 상기 제1컬럼과 상기 제2컬럼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봇샤프트가 각각 안착되는 ⊃자 형상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상기 볼록부의 일측 구형 접면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중심컬럼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안착부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석으로 형성하여 자기력으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안착부에 인력을 가지고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1020170140266A 2017-10-26 2017-10-26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10192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66A KR101926041B1 (ko) 2017-10-26 2017-10-26 치과 기공용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66A KR101926041B1 (ko) 2017-10-26 2017-10-26 치과 기공용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041B1 true KR101926041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66A KR101926041B1 (ko) 2017-10-26 2017-10-26 치과 기공용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79B1 (ko) * 2019-11-11 2020-03-06 정다이 맞춤형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 장치의 제작 장치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KR102244666B1 (ko) 2020-11-18 2021-04-23 김의형 교합기
KR20220030015A (ko) 2020-09-02 2022-03-10 버드솔 주식회사 치과 기공용 교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576A (en) 1974-05-15 1976-06-29 Eveland Melborne D Dental apparatus and method
KR200313638Y1 (ko)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0601345B1 (ko) 2005-03-12 2006-07-18 (주)알파덴트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576A (en) 1974-05-15 1976-06-29 Eveland Melborne D Dental apparatus and method
KR200313638Y1 (ko)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0601345B1 (ko) 2005-03-12 2006-07-18 (주)알파덴트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0976044B1 (ko)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79B1 (ko) * 2019-11-11 2020-03-06 정다이 맞춤형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 장치의 제작 장치
KR102105277B1 (ko) * 2019-12-11 2020-04-27 김영수 교합기
KR20220030015A (ko) 2020-09-02 2022-03-10 버드솔 주식회사 치과 기공용 교합기
KR102244666B1 (ko) 2020-11-18 2021-04-23 김의형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41B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20230240810A1 (en) Methods of separating occlusal surfa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EP3791824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JPWO2004096077A1 (ja) 人工歯、該人工歯を排列するためのジグ、排列方法、並びに、義歯
JP2005525841A (ja) 歯列
KR101472808B1 (ko) 교합기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JP4546572B1 (ja) 人工臼歯
US6394804B1 (en) Articulator for dental casts
US7083410B2 (en) Dental articulator
JPH09545A (ja) 歯科用咬合器
US3105300A (en) Artificial teeth
KR100902318B1 (ko) 3차원 동작이 가능한 교합기
JP4986576B2 (ja) 咬合器
KR101397438B1 (ko)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된 교합기
KR200220295Y1 (ko) 치과기공용 교합기
KR101422993B1 (ko) 교합기에 장착되는 구치부 고경에 의한 교합평면의 교정이 가능한 하악 모델 측정용 지그
JP4184742B2 (ja) 歯科用咬合器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CN214511360U (zh) 一种用于假牙的咬合架
JP2003235873A (ja) 咬合器
KR101628607B1 (ko) 로봇암 적용 교합기 및 그의 교합 방법
KR20220030015A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JP4497668B2 (ja) 義歯用人工臼歯
JP3747396B2 (ja) 機能的な非調節性咬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