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0Y1 -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 Google Patents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0Y1
KR200486370Y1 KR2020170002606U KR20170002606U KR200486370Y1 KR 200486370 Y1 KR200486370 Y1 KR 200486370Y1 KR 2020170002606 U KR2020170002606 U KR 2020170002606U KR 20170002606 U KR20170002606 U KR 20170002606U KR 200486370 Y1 KR200486370 Y1 KR 200486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vertical pin
occlusal
upper structure
arti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호
Original Assignee
이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호 filed Critical 이헌호
Priority to KR2020170002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3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height adjust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하악 모형이 거치되는 하부구조체와, 상기 하부구조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악 모형이 거치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상부구조체에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악 모형에 대한 상기 상악 모형의 높이를 한정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을 포함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가 상기 상부구조체의 선단부에 축 결합되어 있어,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상기 상부구조체의 전방 또는 상부로 회전하여 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Articulator capable of bending incisal pin}
본 고안은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치과 기공용 교합기와 관련된다.
치과기공물은 금니, 도재 치아 등 원래의 치아를 대체하여 이식되는 치과 보철물을 말하는 데,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치과기공물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부분치아모형 또는 치아모형의 교합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합상태의 점검은 왁싱 단계, 메탈코핑 단계 등 거의 모든 기공 과정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진다.
교합 상태의 점검은 별도로 제작된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을 실제 악관절의 작동을 고려하여 움직이도록 제작된 교합기에 부착하고, 하악 모형에 대한 상악 모형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턱 관절은 사람마다 미세하게 다르고 좌우 대칭이 아닐 경우가 많다. 또 수직교합고경도 사람마다 다르다. 이러한 다양한 안면 구조를 반영하여 실제 저작 운동을 최대한 가깝게 재현하도록 일반적인 교합기에서는 각종 작동 범위의 세팅을 변경할 수 있다.
교합 수직 고경 핀(흔히 incisal pin 또는 vertical rod)은 교합기에 구비된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의 높낮이를 정확히 맞추는 데에 사용된다. 수시로 열고 닫으며 상, 하악 모형의 맞물림을 확인하기에 교합 수직 고경 핀은 일정하게 맞춰진 높이를 계속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합 수직 고경 핀은 교합기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장착되는데, 이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술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작업 도구의 접근을 막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서는 교합기에 교합 수직 고경 핀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시에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을 교합기에서 분리하였다가 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리 및 재결합 방식은 보철물 제작 작업의 진행에 따라 수시로 교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180호 (2009.08.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3638호 (2003.05.0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227호 (2016.01.27)
본 고안은 교합 수직 고경 핀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거나 작업 도구의 진입을 불편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손쉽게 해소하며, 이때 술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 교합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하악 모형이 거치되는 하부구조체와, 상기 하부구조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악 모형이 거치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상부구조체에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악 모형에 대한 상기 상악 모형의 높이를 한정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을 포함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가 상기 상부구조체의 선단부에 축 결합되어 있어,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상기 상부구조체의 전방 또는 상부로 회전하여 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구조체에는 마주보는 내측면에 장홀이 형성된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상단면에는 핀홀이 형성된 회동블록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장홀을 통과하는 핀, 상기 회동블록을 통과한 상기 핀에 걸리는 걸림브래킷 및 상기 걸림편을 상기 상부구조체의 안쪽으로 탄성있게 당기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블록은 상기 장착홈의 마주보는 두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브래킷은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핀과 걸리는 고리가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의 이격 간격은 상기 회동블록의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교합 수직 고경 핀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상기 상부구조체 선단부의 하면과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들린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상기 상부구조체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합 수직 고경 핀을 분리하지 않고 젖혀 둘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 교합 수직 고경 핀에 의해 가려진 모형을 살피거나 작업 도구로 작업하기가 편리해진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에 대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와 관련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200)는 하부구조체(201), 상부구조체(202) 및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포함한다.
하부구조체(201)와 상부구조체(202)는 모형(T)을 안치하기 위한 위치세팅유닛(100)을 포함한다. 위치세팅유닛(100)은 결합된 모형(T)을 3차원 공간 상에서 미세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세팅유닛(100)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 중 하나를 따를 수도 있다.
하부구조체(201)와 상부구조체(202)는 교합기(200) 뒤쪽에 구비된 힌지 결합에 의해, 상부구조체(202)가 회전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힌지 결합은 개개인의 턱 관절의 다양한 위치 차이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축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교합기의 축 구성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은 상부구조체(20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그 하단이 하부구조체(201)에 구비된 가이드 테이블(201a)에 접촉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테이블(201a)은 다소 오목지게 형성되거나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부구조체(202)와 하부구조체(201)의 힌지 축의 전후 이용에 대응하여 교합 수직 고경 핀(300) 하단과 수직으로 만나게 조절된다.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은 자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하부체(300a)는 상부체(300b)에 대하여 아래로 인출 가능하며, 인출된 길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이미 공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젖힘은, 상부구조체에 축 결합되어 있어 회전 방식으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상부구조체(202)의 전방 또는 상부로 들려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교합 수직 고경 핀(300)과 상부구조체(202)의 분리는 일어나지 않는데, 이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원래의 위치로 손쉽게 복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술자에 의해 손쉽게 젖혀져 교합 수직 고경 핀에 의해 가렸던 모형 부분을 드러내고, 젖혀졌던 교합 수직 고경 핀을 회전 방식으로 복원시켜 수직고경을 맞춘 상태에서 상, 하악 모형의 교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부구조체와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축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축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먼저 상부구조체(202)는 장착홈(203)이 전후 방향으로 파여 있다. 장착홈(203)의 마주보는 내측면(204a)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축이 놓이는 장홀(205)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또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상단면(30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상단면(301)의 중앙에는 회동블록(310)이 돌출되어 있다. 회동블록(310)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구조체(202)와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축 연결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로, 핀(330), 걸림브래킷(340) 및 탄성부(350)를 포함한다.
핀(330)은 회전 축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핀홀(320)을 통과하게 장착된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핀홀(320)과 핀(330) 사이에는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핀(330)은 회동블록(310)의 좌우 폭보다 긴 것으로, 핀홀(320)을 통과한 후 양쪽으로 길게 연장된다.
회동블록(310)을 통과하여 돌출된 핀에는 걸림브래킷(340)이 장착된다. 또 걸림브래킷(340)은 상부구조체(202)의 안쪽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탄성부(350)와 연결된다.
여기서 걸림브래킷(340)은 탄성부(350)에 연결되는 메인바디(304)와, 메인바디(304)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있으며 핀에 걸리는 고리(306)가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305)을 포함한다.
이때, 고리(306)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 탄성부(350)는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또한 탄성 있는 당김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공지된 탄성 제공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걸림브래킷(340)의 고리(306) 밖으로 연장된 핀(330)의 양단부는 상부구조체(202)의 장홀(205)에 수용된다.
탄성부(350)는 걸림브래킷(340)을 통해 핀(330)과 회동블록(310)을 상부구조체(202)의 안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장홀(205)의 내측에 당겨진 핀(330)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회동블록(310)의 좌우 폭은 장착홈(203)의 마주보는 두 내측면(204a)의 이격 간격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회동블록(310)의 양 측면은 장착홈(203)의 내측면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면 대 면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부구조체(202)의 아래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걸림편(305)의 이격 간격은 회동블록(310)의 폭에 대응하고, 걸림브래킷(340)의 좌우 전체 폭도 장착홈(203)의 마주보는 내측면(204b)에 대응하는 길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회동블록(310), 걸림편(305)은 장착홈(203)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로써 회동블록(310)은 장착홈(203)의 내측면(204a)에 면접촉하거나, 회동블록(310)에 결합된 걸림브래킷(340)이 장착홈(203)의 내측면(204b)에 면 접촉하므로, 축 결합된 회동블록(310) 이하의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회동블록(310)이 형성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상단면(30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홈(203)이 형성된 상부구조체(202) 선단부의 하면(202b)과 상면(202a)도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하부로 내려간 평상시에 회동블록(310)은 장착홈(203)에 수용된 상태에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상단면(301)과 상부구조체(202) 선단부의 하면(202b)이 면 접촉하여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안정되게 상부구조체(202)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부구조체(202)의 선단부 상면도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로 들린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평탄한 상부구조체(202)의 선단부 상면(202a)과 면 접촉하여, 상부구조체(202) 상부에 세워진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정상적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구조체(202)의 아래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수직되게 세워져 있다. 핀(330)은 걸림브래킷(340)과 탄성부(350)에 의해 상부구조체(202)의 안쪽(도 5의 (b)에서 오른쪽 방향)을 향하여 당겨진 상태이다. 도면에서 핀의 장홀(205)의 오른쪽에 접촉하고,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평탄한 상단면(301)은 상부구조체(202)의 하면(202b)에 면 접촉하여 세워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한다.
도 6은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젖히는 중간 단계를 나타내고, 도 7은 상부구조체(202) 위로 완전히 젖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상단면(301)이 상부구조체(202)의 평탄한 하면(202b)과 면접촉하고 있어,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인출을 위해서는 먼저 도면의 왼쪽으로 수평되게 인출하여야 한다. 이때 장홀(205)을 타고 핀(330)과 걸림브래킷(340)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탄성부(350)가 인장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체(202)의 선단부 곡면을 타고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상부로 회전시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이윽고 도 7과 같이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상부구조체(202)의 상면(202a)으로 젖혀 올릴 수 있다.
도 6의 위치에서 도 7의 위치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이동시킴에 따라 핀(330)과 걸림브래킷(340)이 장홀(205)을 타고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도 6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상부구조체(202)의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은 탄성부(350)의 복원력에 의해 큰 힘들이지 않고 일어나게 된다.
상부구조체(202) 위로 오른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은 장착홈(203) 위의 평면과 면 대 면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임의로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이 도 5의 위치로 복원하지 않게 된다.
도 7과 같이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을 세운 상태에서, 상부구조체(202)를 열어 젖히는 경우, 교합 수직 고경 핀(300)의 끝단이 지면에 닿으면서 상부구조체(202)를 지지하는 지지대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의 분리 없이, 젖힘 방식으로 비켜낼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 교합 수직 고경 핀에 가려진 부위를 불편 없이 관찰하거나 작업 도구를 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교합 수직 고경 핀을 분리하거나 재결합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술자는 원하는 만큼 교합 수직 고경 핀을 젖힐 수 있다. 따라서 치과 보철물의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해당 보철물을 시술받는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00 : 교합기
201 : 하부구조체 201a : 가이드 테이블 202 : 상부구조체
202a : 상면 202b : 하면 203 : 장착홈 204a, 204b : 내측면
205 : 장홀
100 : 위치세팅유닛
300 : 핀 300a : 하부체 300b : 상부체 301 : 상단면
310 : 회동블록 320 : 핀홀
330 : 핀
340 : 걸림브래킷 304 : 메인바디 305 : 걸림편 306 : 고리
350 : 탄성부

Claims (4)

  1. 하악 모형이 거치되는 하부구조체와, 상기 하부구조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악 모형이 거치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상부구조체에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악 모형에 대한 상기 상악 모형의 높이를 한정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을 포함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을 상기 상부구조체의 선단부에 축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부구조체에는 마주보는 내측면에 장홀이 형성된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상단면에는 핀홀이 형성된 회동블록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에 장착되며 단부가 상기 장홀을 통과하는 핀,
    상기 회동블록을 통과한 상기 핀에 걸리는 걸림브래킷 및
    상기 걸림브래킷을 상기 상부구조체의 안쪽으로 탄성있게 당기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상기 상부구조체의 전방 또는 상부로 회전하여 들림에 따라, 거치된 상기 상악 모형 또는 상기 하악 모형이 온전히 드러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회동블록은 상기 장착홈의 마주보는 두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4. 제1항에서,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상기 상부구조체 선단부의 하면과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들린 상기 교합 수직 고경 핀이 상기 상부구조체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들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KR2020170002606U 2017-05-29 2017-05-29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KR200486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06U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7-05-29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06U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7-05-29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0Y1 true KR200486370Y1 (ko) 2018-05-08

Family

ID=6216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06U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7-05-29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302A (en) * 1976-01-14 1977-09-13 Cheythey Arthur W Dental articulator
WO2002074182A1 (de) * 2001-03-21 2002-09-26 Buechel Nikolaus Sockel für ein gebissmodell und artikulator für das arbeiten mit dem sockel
KR200313638Y1 (ko)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90085180A (ko) 2008-02-04 2009-08-07 이무형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KR100976043B1 (ko) *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JP2013132356A (ja) * 2011-12-26 2013-07-08 Kalos Inc 咬合器
KR20160010227A (ko) 2014-07-18 2016-01-27 이채붕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302A (en) * 1976-01-14 1977-09-13 Cheythey Arthur W Dental articulator
WO2002074182A1 (de) * 2001-03-21 2002-09-26 Buechel Nikolaus Sockel für ein gebissmodell und artikulator für das arbeiten mit dem sockel
KR200313638Y1 (ko)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90085180A (ko) 2008-02-04 2009-08-07 이무형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KR100976043B1 (ko) * 2010-03-05 2010-08-17 이채붕 교합기
JP2013132356A (ja) * 2011-12-26 2013-07-08 Kalos Inc 咬合器
KR20160010227A (ko) 2014-07-18 2016-01-27 이채붕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6141B2 (ja) 咬合器
KR101926041B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20120329004A1 (en) Articulator
KR101754861B1 (ko) 치아시술용 로봇시스템
KR200486370Y1 (ko)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JP2763718B2 (ja) 自由運動に切替可能な平均値咬合器
US20180153641A1 (en) Adjustable Dental Mirror
US7112061B2 (en) Dental articulator
CN211796971U (zh) 能够提供固定水平髁和可调水平髁的牙齿咬合架
EP1079759B1 (fr) Articulateur permettant l'elaboration de protheses dentaires
CN114948278B (zh) 一种微种植体植入辅助装置
US3387369A (en) Dental articulator
KR101397438B1 (ko)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된 교합기
CN209437392U (zh) 一种牙科咬合器
CA2306163A1 (en) Dental prosthesis stabilizer
JP6494394B2 (ja) 咬合器
US3421225A (en) Articulator guide
JP2003235873A (ja) 咬合器
CN218106104U (zh) 一种便于调整位置的咬合架
JP3954568B2 (ja) 咬合器
KR20160088063A (ko) 치아모형 교합기
JP2558423B2 (ja) 歯咬合器
JPH0212968Y2 (ko)
JP2688737B2 (ja) 咬合器
EP0594481A2 (en) Average movement articulator capable of being set for free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