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803B1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1803B1 KR101721803B1 KR1020160062054A KR20160062054A KR101721803B1 KR 101721803 B1 KR101721803 B1 KR 101721803B1 KR 1020160062054 A KR1020160062054 A KR 1020160062054A KR 20160062054 A KR20160062054 A KR 20160062054A KR 101721803 B1 KR101721803 B1 KR 1017218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bracket
- orthodontic
- slot
- to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25—Mouth tissue protecting means, e.g. bracket ca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돌출성형되며, 측면방향으로 결속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측면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계형성되면서 외측면에서 결속공으로는 연통되도록 슬롯이 절개형성되어 와이어가 슬롯을 통하여 결속공으로 횡방향 삽입되게 하는 결속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을 다양한 패턴 또는 형태로 성형하여 교정 과정에서 와이어의 임의적 위치변동이 방지되도록 긴밀한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치아의 내면에 부착된 브라켓의 결속공으로 교정용 와이어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여 와이어 결찰시간 또는 조정시간이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따라서,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을 다양한 패턴 또는 형태로 성형하여 교정 과정에서 와이어의 임의적 위치변동이 방지되도록 긴밀한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치아의 내면에 부착된 브라켓의 결속공으로 교정용 와이어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여 와이어 결찰시간 또는 조정시간이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을 다양한 패턴 또는 형태로 성형하여 교정 과정에서 와이어의 임의적 위치변동이 방지되도록 긴밀한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치아의 내면에 부착된 브라켓의 결속공으로 교정용 와이어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여 와이어 결찰시간 또는 조정시간이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치아 교정은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키고 교정용 와이어를 브라켓의 슬롯(slot)에 삽입하여 결찰 또는 결속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하면 교정용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하여 치아가 이동하면서 정위치로교정된다. 치아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서는 교정용 브라켓의 정위치 부착이 중요하지만 시술자의 숙련도 차이나 실수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브라켓을 분리하여 다시 부착하거나 와이어를 조작하여 힘의 방향을 수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므로 개선의 여지가 크다.
또한, 교정용 와이어는 단면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으므로 한정된 형태의 슬롯을 지닌 브라켓에 적용하는 경우 정확한 치아 이동을 기대하기 곤란한 측면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특허의 일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91835호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 상기 브라켓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홀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교정치료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고, 교정 와이어의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치아교정을 위한 장치 또는 방법에서는 치아의 외측에 브라켓을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치아를 교정하기 때문에 도 1의 사진에서와 같이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음식물 저작시 음식물이 브라켓에 끼거나 악취가 발생할 우려가 많아 성인 남성은 물론이거니와 여성들도 교정시술을 불편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치아의 내측에 브라켓을 접착고정시킨 후 교정용 와이어를 브라켓에 결찰시켜 외부에 교정장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시술이 시행되고는 있으나, 입속에서 와이어를 브라켓에 결속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곤란할 뿐만 아니라, 치아 교정작업 또는 조정작업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치아의 내측면에 브라켓을 접착고정시킨 후 와이어를 브라켓에 결속시키는 작업이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와이어 양단을 조여줌으로써 와이어가 브라켓을 구속시키려 하는 힘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와이어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와이어만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빠르고 신속하게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하여 교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치아 내측면에 브라켓을 접착시켜 치아를 교정하는 방법이 환자나 의사에게도 모두 고려될 수 있게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치아(102)에 부착되는 베이스(104)와; 상기 베이스(104)에 돌출성형되며, 측면방향으로 결속공(106)이 관통형성되고, 외측면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계형성되면서 외측면에서 결속공(106)으로는 연통되도록 슬롯(108)이 절개형성되어 와이어(110)가 슬롯(108)을 통하여 결속공(106)으로 횡방향 삽입되게 하는 결찰관(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4)에는 다수 개의 결찰관(112)이 수평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찰관(11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치아(102)를 교정하기 위한 부속장치(111)가 결속될 수 있게 하는 지지공(10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찰관(112)에 형성된 슬롯(108)은 일측단에서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상, 하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굴곡진 또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110)와의 결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결찰관(112)의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공(114)이 측면방향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4)측 방향은 개방되고 슬롯(108)측 방향은 폐쇄된 'C'형 구조의 삽입부(116)와, 이 삽입부(116)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보조 와이어(118)가 삽입되도록 결속홈(120)이 형성된 결속캡(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본 발명은 치아의 교정을 위하여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내면에 부착한 후 부정합 치아의 위치를 조정하는 교정용 와이어를 브라켓에 결찰시키는 과정에서 측면으로 관통형성된 결속공으로 와이어를 관통삽입시키지 않고, 결속관의 슬롯을 통하여 결속공을 향하여 곧바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의 결속 또는 결찰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와이어를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속공을 통하여 분리 제거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치아 내면에 교정장치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교정작업이 매우 수월해져 환자는 교정장치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청결하고도 심리적으로 안정된 치아교정을 오랜기간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의사는 환자의 심리적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간편하게 치아교정을 시술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치아 외면에 교정장치가 시술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장치가 치아 내면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슬롯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부속장치들 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와 부속장치가 결속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장치가 치아 내면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슬롯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부속장치들 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와이어와 부속장치가 결속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은 치아(102)의 내면에 부착되며, 이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110)가 결착되며, 이 와이어(110)를 양단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부정합된 치아(102)를 단계별로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2)의 내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04)가 마련되고, 이 베이스(104)에는 결찰관(112)이 돌출성형된다.
상기 결찰관(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도 있으며,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결찰관(112)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결찰관(112)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결속공(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속공(106)에는 교정용 와이어(110)가 관통삽입됨으로써,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브라켓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결찰관(112)의 결속공(106)을 통과한 와이어(110)는 치아(102)의 어금니에서 양단을 체결 또는 결속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찰관(112)에는 결속공(106)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110)를 결속공(106)으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결찰관(112)의 외측면에서는 일측단에서부터 타측단까지 슬롯(108)이 연계형성되는 바, 이 슬롯(108)은 결찰관(112)의 외측면에서 결속공(106)까지 직접 연통되도록 절개형성된다.
상기 슬롯(108)은, 'ㅡ'자형으로 절개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절개형성하거나 도 5와 같이 '/' 또는 '\'자형으로 절개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결찰관(112)에 형성된 슬롯(108)은 일측단에서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상,하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굴곡진 또는 굴절된 형태로 성형되게 함으로써, 와이어(110)와의 결찰력이 증대되게 한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0)를 결찰관(112)의 결속공(106)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결속공(106)의 일측으로 삽입시킬수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치아(102)의 내면에 다수 개의 브라켓이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110)를 어느 하나의 브라켓 결속공(106)에 삽입한 후 인접한 다른 하나의 브라켓 결속공(106)에 연속적으로 삽입시켜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그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우며 정교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결찰관(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슬롯(108)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0)에 힘을가하여 굴곡지게 한다거나 굴절되게 한 후 슬롯(108)에 와이어(110)를 끼워넣음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110)를 결찰관(112)의 결속공(106)에 삽입시켜 결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된 와이어(11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0)의 양단을 잡아당겨 그 끝단을 체결 또는 결속고정시키면, 'ㅡ'자형으로 펴지기 때문에 슬롯(108)의 굴곡진 부분 또는 굴절된 부분에 간섭됨으로써, 교정작업 후에는 와이어(110)가 결찰관(112)으로부터 탈리 또는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교정작업을 끝낸 후 와이어(11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110)의 어느 한쪽 끝단을 잡아당기면 결속공(106)의 측면을 통하여 간단하게 분리됨으로써, 교정작업과 교정장치의 해체작업이 매우 순조롭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찰관(112)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지지공(107)이 관통형성되어 와이어(110)가 결속되는 결속공(106)과 함께 부가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속장치(111)가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자의 구강구조와 치열구조에 따라 와이어(110)에 의한 조절력이 서로 다르며, 이에 의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조절력이 감소되거나, 필요한 만큼의 조절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이러한 조절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힘의 역학 및 발생 또는 새로운 힘의 분포가 요구된다.
따라서,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지지공(107)을 형성하고, 이 지지공(107)에 도 7과 같이 부속장치(111)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를 결속시켜 치아 이동 및 교정력이 보상되게 함으로써, 여러 부작용을 억제하고 와이어(110)의 교정력을 더 상승시켜주어 치아 이동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교정치료 중 여러 가지 형태의 교정력의 적용과 치아 이동 조절의 향상 또는 보상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공(107)과 부속장치(111)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 결속공(106)이 형성된 결찰관(112)이 베이스(104)에 복열구조(즉,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2 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환자의 치열구조 및 교정단계에서 교체하거나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100)에 부가적으로 결합되도록 별개체로 결속캡(122)를 제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캡(122)는 베이스(104)측 방향은 개방되고 슬롯(108)측 방향은 폐쇄된 'C'형 구조로 삽입부(116)를 형성하고, 이 삽입부(116)의 삽입공(114)이 상기 결찰관(112)의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외측으로 삽입되면서 기 설치된 브라켓(100)에 결합되게 하되, 이 삽입부(116)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보조 와이어(118)가 삽입되는 결속홈(120)이 형성되게 하여 와이어(110)와 보조 와이어(111)이 브라켓(100)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교정력을 보강하고 치아 이동 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정교하고 빠른 교정이 이루어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102 : 치아 104 : 베이스
106 : 결속공 107 : 지지공
108 : 슬롯 110 : 와이어
112 : 결찰관 114 : 삽입공
116 : 삽입부 118 : 보조 와이어
120 : 결속홈 122 : 결속캡
102 : 치아 104 : 베이스
106 : 결속공 107 : 지지공
108 : 슬롯 110 : 와이어
112 : 결찰관 114 : 삽입공
116 : 삽입부 118 : 보조 와이어
120 : 결속홈 122 : 결속캡
Claims (5)
- 치아(102)에 부착되는 베이스(104)를 포함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4)에 돌출성형되며, 측면방향으로 결속공(106)이 관통형성되고, 외측면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계형성되면서 외측면에서 결속공(106)으로는 연통되도록 절개형성되며, 일측단에서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상, 하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굴곡진 또는 굴절된 형태로 슬롯(108)이 절개형성되어 와이어(110)가 슬롯(108)을 통하여 결속공(106)으로 횡방향 삽입되게 하는 결찰관(112)과;
상기 결찰관(11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치아(102)를 교정하기 위한 부속장치(111)가 결속될 수 있게 하는 지지공(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054A KR101721803B1 (ko) | 2016-05-20 | 2016-05-20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054A KR101721803B1 (ko) | 2016-05-20 | 2016-05-20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1803B1 true KR101721803B1 (ko) | 2017-03-30 |
Family
ID=5850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2054A KR101721803B1 (ko) | 2016-05-20 | 2016-05-20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180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33586B2 (en) * | 2009-03-10 | 2012-12-18 | Tuomo Kantomaa | Orthodontic bracket and arrangement for correcting irregularities of the teeth |
KR20130070916A (ko) * | 2011-12-20 | 2013-06-28 | 박숙규 |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
JP5362383B2 (ja) * | 2009-02-18 | 2013-12-11 | 有限会社オーソスターシオン | 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 |
KR20150017126A (ko) * | 2013-08-06 | 2015-02-16 | (주)덴토스 |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
-
2016
- 2016-05-20 KR KR1020160062054A patent/KR1017218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62383B2 (ja) * | 2009-02-18 | 2013-12-11 | 有限会社オーソスターシオン | 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 |
US8333586B2 (en) * | 2009-03-10 | 2012-12-18 | Tuomo Kantomaa | Orthodontic bracket and arrangement for correcting irregularities of the teeth |
KR20130070916A (ko) * | 2011-12-20 | 2013-06-28 | 박숙규 |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
KR20150017126A (ko) * | 2013-08-06 | 2015-02-16 | (주)덴토스 |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93317B2 (en) | Class II malocclusion correction appliance for removable aligners | |
KR101539755B1 (ko) |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 |
CN205964198U (zh) |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 |
KR101643504B1 (ko) | 맞춤형 치아교정 호선 제작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 호선 제작방법 | |
KR101641350B1 (ko) | 치열 교정장치 | |
KR20150123277A (ko) | 클래스 ii 및 클래스 iii 교정을 위한 치과 교정술 힘 모듈 | |
KR101691219B1 (ko) |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 |
KR20190008708A (ko) |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 |
KR101158725B1 (ko) |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 |
US20130052605A1 (en) | Buccal fixture for orthodontic use | |
KR102002148B1 (ko) |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 |
KR100763315B1 (ko) | 치아 교정용 브라켓 | |
KR101721803B1 (ko) |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 |
KR20190057639A (ko) | 치아교정용 악궁 확장장치 및 교정방법 | |
KR20190088245A (ko) |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 |
US20100151401A1 (en) |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 |
KR100676130B1 (ko) |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 |
KR100908552B1 (ko) | 치아교정 시술용 연결구 | |
US6890174B2 (en) | Anchor implanting device for orthodontics | |
KR101251946B1 (ko) | 치열교정 키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치열교정 키트 | |
KR101810851B1 (ko) | 교정시술용 서지컬 앵커 가이드 및 이를 갖는 앵커 시술 키트 | |
KR101158726B1 (ko) |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 |
KR101655307B1 (ko) | 하악 돌출형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상악 교합 장치 | |
KR20170081579A (ko) |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 |
KR101082688B1 (ko) | 대구치 치열교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