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579A -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579A
KR20170081579A KR1020170059186A KR20170059186A KR20170081579A KR 20170081579 A KR20170081579 A KR 20170081579A KR 1020170059186 A KR1020170059186 A KR 1020170059186A KR 20170059186 A KR20170059186 A KR 20170059186A KR 20170081579 A KR20170081579 A KR 2017008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bracket
line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용
Original Assignee
권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용 filed Critical 권순용
Priority to KR102017005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579A/ko
Publication of KR2017008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치들을 후방 이동시키기 위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는: 전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곡률진 형상의 호선 와이어(Arch Wire); 상기 전치들의 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며 양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들의 후방이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치아의 이동과 동시에 수반되는 교정시술용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구강내 연조직이 손상되는 현상과 염증이 유발되는 현상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으므로, 시술진행 중에 환자의 부담감이 크게 경감될 수 있고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치들을 연결해서 상기 전치들에 후방 견인력을 전달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열 구조는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 교정시술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예를 들면 삐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협의의 치열교정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변화시켜서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교정시술과, 성장기에 안면 골격의 상장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성장기 교정과, 안면 골격 특히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 특히 악골 구조의 이상이 너무나 심해서 단순한 치아 이동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청소년기의 심하지 않은 악골 구조에서 성장기 교정(Growth Modification)으로, 성인에서도 중등도 이상의 골격이상은 악골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인 얼굴을 만드는 악교정 수술이 상술한 치료술과 함께 병행하여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 교정이란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입술 측의 표면(치아의 바깥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 교정이란 상기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혀측(Lingual)의 표면(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
상기 치과 교정시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장기간이 소요되며, 전치부의 치열밀집 현상이나 전치들 사이가 벌이진 현상을 개선하거나, 돌출입 개선이나 발치 공간 또는 치아 소실 공간 폐쇄시술 등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치과 교정시술 중 상기 전치부의 치아(전치들)를 설측, 예를 들면 구개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칭하며, 환자의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형태인 치아돌출의 경우에는 돌출입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입 교정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술한 설측 견인이 제시된다. 또한, 전치부 밀집의 교정치료 시에도 전치가 퍼지면서 설측으로 견인된다. 상술한 설측 견인 즉 전치부의 후방 이동을 위해,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태의 호선 와이어가 전치부의 설측 또는 순측에 와이어 서포터(브라켓)을 매개로 구강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치과 교정시술를 기존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전치부 즉 전치들(Anterior Teeth)이 후방으로 견인되면서 치열의 기울어짐(쓰러짐)이나 수직위치의 불균형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를 구치부의 브라켓에 연결해서 전치부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나, 전치부의 이동 과정에 상기 호선 와이어의 양단이 구강 연조직을 손상시켜서 통증과 염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교정시술용 와이어 즉 호선 와이어의 양단을 컷팅(Cutting)하기 위해 치과용 공구, 예를 들면 와이어 커터(Distal End Cutter)를 사용코자 할 때, 구강내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치과용 공구의 접근성이 저하되어 시술의 어려움이 야기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843호, 돌출입 교정장치 및 그 방법, 2010년 2월 23일 공개
본 발명은, 전치 견인 즉 전치들의 후방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Guide)할 수 있는 구조의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전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곡률진 형상의 호선 와이어(Arch Wire); 상기 전치들의 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를 제공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며 양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홀을 갖는다.
상기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는; 상기 전치들에 고정되어서 상기 호선 와이어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상기 전치들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서포터(Wire Supporters)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의 결착을 위한 와이어 결착홈을 가지며; 상기 호선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결착홈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을 일렬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지지하는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브라켓은, 상기 호선 와이어를 견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견치용 와이어 서포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호선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호선 와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는; 상기 호선 와이어에 후방 견인력이 가하는 탄성 부재의 연결을 위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되는 견인 걸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위치나 방향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전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곡률진 형상의 호선 와이어(Arch Wire); 상기 전치들의 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우측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 중 좌측 가이드 와이어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의 후단을 좌구치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좌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좌구치 브라켓;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 중 우측 가이드 와이어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의 후단을 우구치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우구치부에 고정 가능한 우구치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치아 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관통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며 양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홀을 가지며; 상기 좌구치 브라켓과 우구치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선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차단된 와이어 지지홀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 지지홀의 후단부에는 상기 와이어 지지홀의 후단을 개폐하는 홀 차단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치아의 이동과 동시에 수반되는 교정시술용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구강내 연조직이 손상되고 염증이 유발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술진행 중에 환자의 부담감을 경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의 전방 말단(선단)이 전치부 근방의 가이드 브라켓을 통해 전방으로 진출하게 되므로, 치과용 공구(Wire End Cutter)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치부의 이동량에 맞추어 와이어의 컷팅(Cutting)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치부의 후방 이동과 동시에 구치의 함입 또는 정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교정시술 진행 중에 치아들이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교정시술용 와이어와 브라켓간의 마찰 저항이 작은 치아교정시스템(치아교정장치)을 구현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치 견인을 위한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시스템이 구강 내에 용이하게 구축(설치)될 수 있으므로, 시술이 용이하고 전치부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급속 교정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가이드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치아교정시스템)의 일 실시 예가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아교정장치에 적용되는 구치 브라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에 적용 가능한 구치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일 실시 예와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치아교정시스템)의 일 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일 실시 예와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치아교정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가이드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치아교정시스템)의 일 실시 예가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아교정장치에 적용되는 구치 브라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제1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100)는, 전치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곡률진 형상의 호선 와이어(Arch Wire; 110)와, 상기 호선 와이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Guide Bracket; 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치부 즉 전치들은 호선(Arch) 형태로 배치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전치부에 고정되는 교정시술용 와이어를 호선 와이어라 칭하며, 정상인에 있어서 전치부는 좌우 각 2개의 절치(중절치, 측절치)와 좌우 각 하나의 견치(송곳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선 와이어(110)는 전치부의 치열 즉 전치들(R1, R2, R3, L1, L2, L3)의 치열을 따라 설치되도록 곡률진 형상으로서, 교정시술을 위해 상기 전치부의 순측 또는 설치에 고정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전치부의 설측에 설치된 구조가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상기 전치들(R1, R2, R3, L1, L2, L3)의 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양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홀(121)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홀(121)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210, 도 3 참조, 이하 '가이드 와이어'라 칭함)의 일측부(전방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의 좌반부(좌전치에 연결되는 부분)와 우반부(우전치에 연결되는 부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분리된 와이어로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와이어 홀(121)이 양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와이어 홀(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전치들이 설측으로 견인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를 따라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과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형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는, 전치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실질적인 위치 변동없이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전치부의 후방이동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일측(선단)에서 타측(후단)으로 상기 와이어 홀(121)이 관통 형성된 튜브타입의 가이드 브라켓(120)이 개시되나, 와이어 홀의 둘레벽이 완전히 막힌 구조뿐만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둘레벽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 예를 들면 와이어 홀의 둘레벽에 와이어 홀의 축방향과 나란한 슬롯(Slot)이 형성된 구조도 가능하므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형상이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100)는, 상기 전치들에 고정되어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상기 전치들(R1, R2, R3, L1, L2, L3)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서포터(130; Wire Supporter)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따라 이격되게, 즉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브라켓의 일종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일체로 고정된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호선 와이어(110)와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예를 들면 와이어 결찰식 브라켓)으로 상기 호선 와이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일체로 거동하는 구조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접합 예를 들면 솔더링(Soldering)되어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상의 일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상기 전치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들 즉 전치 브라켓들로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이라 '마운트 브라켓'이라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치부의 소실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좌우 중절치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중절치 브라켓(131)과,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좌우 측절치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측절치 브라켓(132)과,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좌우 견치(송곳니)에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견치 브라켓(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100)가 전치부 중 일부 치아가 소실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소실된 치아에 대응되는 브라켓이 생략됨은 당연하다.
상기 중절치 브라켓(131)과 측절치용 브라켓(132)과 견치 브라켓(133)은, 각각 중절치용 와이어 서포터와 측절치용 와이어 서포터와 견치용 와이어 서포터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Mount Bracket), 즉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과 연결되는 와이어 서포터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를 견치(R3, L3)에 결합시키기 위한 견치용 와이어 서포터 즉 견치 브라켓(133)이나,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이 연결되는 부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들 중에 견치 브라켓이 아닌 다른 브라켓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131, 132, 133)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후방 견인력이 가하는 탄성 부재(250)의 연결을 위해 견인 걸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견인 걸이(140)가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나, 상기 견인 걸이(14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나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견인 걸이(140)에서 상기 탄성 부재(250)가 걸리는 부분(고리 부분)의 위치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견인 걸이(140)는 벤딩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위치나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자의 치열이나 상악궁의 폭이나 구개의 높이 등과 같은 환자별 구강 구조와 환자별 시술 계획에 맞춰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위치나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시술자와 환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환자의 상태에 맞게 교정시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일측에는 브라켓 암(122)이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 암(122)은 상기 견치 브라켓(133)에서 연장되는 구조이나, 상기 브라켓 암(12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연결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위치나 방향 조절을 위해, 상기 브라켓 암(122)은 벤딩 가능한 부재,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선 와이어(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견치 브라켓(133)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위치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설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견인 걸이(140)가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위치나 방향 변경을 통해 견인력의 작용점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와 와이어 홀(121)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 와이어(210)와 와이어 홀(121)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100)와, 가이드 와이어(210)와, 한 쌍의 구치 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 예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120)과,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210)와, 한 쌍의 구치 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가이드 브라켓(120) 등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되었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는, 상기 전치들(R1, R2, R3, L1, L2, L3)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좌전치들(L1, L2, L3)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120)을 제1가이드 브라켓이라 칭하고, 우전치들(R1, R2, R3)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120)을 제2가이드 브라켓이라 칭할 때, 제1가이드 브라켓에는 좌측 구치부(LM)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와이어(좌측 가이드 와이어; 211)가 삽입되고, 제2가이드 브라켓에는 우측 구치부(RM)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와이어(우측 가이드 와이어; 212)가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는 구개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210)와 우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전방부에 각각 하나씩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210)와 우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전방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와의 상호작용(작용-반작용)에 의해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구치 브라켓은 좌구치 브라켓(220a)과 우구치 브라켓(220b)으로 구분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부가 구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좌구치 브라켓(220a)은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을 좌측 구치부(LM)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좌측 구치부(LM)에 고정 가능한 와이어 서포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좌구치 브라켓(220a)이 좌측 제1대구치(L6; 좌측 6번 치아)에 부착/고정된 예가 개시되나 상기 좌구치 브라켓(220a)의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우구치 브라켓(220b)은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우측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을 우측 구치부(RM)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우측 구치부(RM)에 고정 가능한 와이어 서포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와이어(210), 즉 상기 좌측 가이드 와이어(211)와 우측 가이드 와이어(212)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좌구치 브라켓과 우구치 브라켓 즉 각 구치 브라켓(220)에는 선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차단된 와이어 지지홀(221a)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구치 브라켓(220)은, 상기 구치 브라켓의 전면에 후방으로 일정 깊이의 와이어 지지홀(221a)이 형성되고, 상기 구치 브라켓의 배면은 완전히 막힌 일체형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치 브라켓(220)은, 상기 와이어 지지홀(221a)이 형성된 지지 몸체(221)와, 상기 지지 몸체를 좌측 구치부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베이스(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치 브라켓의 구조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홀의 후단부가 개폐 가능한 구조의 구치 브라켓도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는 전치부를 후방 견인해서 발치 공간(치아가 소실된 부분)을 폐쇄하는 교정시술, 예를 들면 돌출입 교정시술에 적용된 예이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시술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좌측 구치부(LM)의 치아들(L5~L7)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좌측 구치부(LM)의 치열을 따라 구치 연결와이어(240)가 설치된다. 상기 구치 연결와이어(240)는 고정부재(230)를 매개로 상기 좌측 구치부(LM)의 치아들(L5~L7)에 고정되며, 상기 구치 연결와이어(240)에 의해 좌측 구치부(LM)의 치아들(L5~L7)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대구치 즉 6번 치아(L6)의 표면에도 상기 구치 연결와이어(240)의 장착을 위한 구성, 예를 들면 상기 좌구치 브라켓과 별도의 고정부재가 적용되어, 좌측 구치부(LM)의 치아들(L5~L7)의 일체적 거동을 통해 앵커로서의 버팀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치 브라켓(220) 자체에 상기 구치 연결와이어(2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구치부(RM)의 치아들(L5~L6)의 일체적 거동을 위해, 상기 우측 구치부(RM)에도, 상술한 좌측 구치부(LM)와 동일한 구조물들(구치 연결와이어, 고정부재, 구치 브라켓)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견인 걸이(140)에는 탄성 부재(250) 예를 들면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구성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 걸이(140)에는 상기 탄성 부재(250)의 선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250)의 후단부는 구치부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 구치부(LM)와 우측 구치부(RM)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260), 예를 들면 TPA(Trans Palatal Arch)라 불리는 와이어(260)가 구개를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상기 TPA 와이어 자체는 치과 교정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탄성 부재(250)의 후단부는 상기 지지 와이어(260)를 매개로 구치부,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구치부(LM)와 우측 구치부(RM)에 의해 지지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250)는 좌우 한 쌍이 적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 즉 치아교정시스템에 의하면, 전치들(R1, R2, R3, L1, L2, L3)의 후방 이동(견인)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과 가이드 와이어(210)의 연결구조에 의해 전치들의 이동중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좌측 치열과 우측 치열의 밸런스(Balance)가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 브라켓(120)에 가이드 와이어(210)가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선단을 전치들의 이동거리에 맞추어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리고 상술한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치부가 점진적으로 후방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도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를 따라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함께 일체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점점 더 길게 돌출된다.
그리고, 시술자는 전치부의 이동거리에 맞춰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선단을 절단해 줌으로써 와이어에 의한 연조직 손상과 염증 발생을 방지하며,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브라켓(120)이 전치부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치과용 커터의 접근이 용이한 부분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선단이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시술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환자의 부담이 격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치들이 상기 탄성 부재(250)와 호선 와이어(11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치부의 후방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전치들(R1, R2, R3, L1, L2, L3)이 이동중에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로부터의 반력을 전치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다른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다른 실시 예(100A;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 예'라 칭함)는 상호 이웃하는 와이어 서포터들의 사이 구간, 예를 들면 측절치 브라켓(132)과 견치 브라켓(133)의 사이 구간에 연결되는 가이드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이,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연결되어 상기 호선 와이어(11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연결 위치가 측절치 브라켓(132)과 견치 브라켓(133)의 사이 구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중절치 브라켓(131)과 측절치 브라켓(132)의 사이 구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20)의 연결 위치 이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100B;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실시 예'라 칭함)는, 가이드 브라켓이 아닌 와이어 서포터, 예를 들면 측절치 브라켓(132)에 연결되는 견인 걸이(140a)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견인 걸이(140a)의 연결 위치가 상기 측절치 브라켓(13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측절치 브라켓(132)이 아닌 다른 와이어 서포터가 될 수도 있고, 이웃하는 와이어 서포터들 사이 구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견인 걸이(140a)의 연결 위치 이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제3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100C;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4실시 예'라 칭함)는, 상기 호선 와이어(110)와 조립되는 와이어 서포터(130A)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서의 와이어 서포터들(131a, 132a, 133a)은, 상기 호선 와이어(110)의 결착을 위한 와이어 결착홈을 가지며, 상기 호선 와이어(110)는 상기 와이어 결착홈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131a, 132a, 133a)을 일렬로 연결한다. 결착홈 구조의 와이어 서포터 즉 결착홈이 형성된 브라켓 구조 그 자체는 치과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와이어 서포터(130)의 구조 이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 예 내지 제3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제4실시 예에 따른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적용 가능한 구치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에에서는,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 즉 후단부에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후단을 개폐하는 홀 차단기(32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치 브라켓(300)은, 와이어 지지홀이 형성된 브라켓 몸체(310)와, 상기 브라켓 몸체에 구비되는 홀 차단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는 상술한 와이어 즉 가이드 와이어(310)가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 차단기(320)는,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후단 개구부)를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홀 차단기(320)는,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홀 차단기(320)는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를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홀 차단기(32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브라켓 몸체(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홀 차단기(320)의 단면 형상은 채널 형상('ㄷ'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 몸체(310)는, 상기 홀 차단기(320)의 움직임을 방지해서 상기 홀 차단기(320)의 위치를 유지하는 로커(Locker)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커는, 상기 홀 차단기(320)의 이동 제한을 위해 상기 브라켓 몸체(310)의 표면에서 솟아 오른 돌출 턱(311a)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 턱(311a)은, 상기 홀 차단기(320)의 이동 경로 즉 상기 홀 차단기(320)가 지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 턱(311a)은 상기 홀 차단기(320)에 간섭되는 높이 즉 상기 홀 차단기(320)를 밀어서 가압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 턱(311a)상에 위치되는 홀 차단기(320)에 압박력(수직항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 턱(311a)과 상기 홀 차단기(320) 상호간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홀 차단기(320)의 위치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로커 즉 돌출 턱(311a)은,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 즉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후단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 차단기(320)가 상기 돌출 턱(311a)에 걸치면 상기 홀 차단기(320)를 가압해서 와이어 지지홀(310a)의 차단위치에 유지하는 구조이나, 반대로 상기 홀 차단기(320)를 와이어 지지홀(310a)의 개방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 차단기(320)는, 상기 돌출 턱(311a)에 걸쳐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플레이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홀 차단기(320)를 가압해서 홀 차단기(320)의 위치를 유지하는 돌출 턱 대신, 상기 홀 차단기(320)의 개방위치와 차단위치의 경계에 형성되는 돌출 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돌출 턱은 상기 홀 차단기(320)의 걸림턱이 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 상기 홀 차단기(320)의 이동 한계를 이루는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후방 개구부)의 일측 언저리에 형성되어, 상기 홀 차단기(320)이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차단 위치를 넘어가지 않도록, 상기 홀 차단기(320)의 일측 이동 한계 즉 걸림턱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브라켓 몸체(310)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와 결합되는 와이어 커넥터(311)와, 상기 브라켓 몸체(310)를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베이스(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커넥터(311)에는 상술한 와이어 지지홀(310a)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312)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311)의 일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312)는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목표 치아(Target Tooth), 예를 들면 대구치의 표면(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 몸체(310)가 목표 치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의 일측 개구부 즉 후방 개구부가 상기 홀 차단기(320)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덴탈 브라켓(100)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후단부를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21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브라켓 몸체(310)는, 교정력을 생성하는 교정용 탄성부재 예를 들면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연결을 위한 걸이 즉 연결 고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고리(313)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3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상기 홀 차단기(320)가 상기 브라켓 몸체(310)에 이동 가능하게,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지지홀(310a)을 개폐하는 구조이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홀 차단기(320)의 예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형 이동에 의해 와이어 홀을 개폐하는 홀 차단기가 브라켓 몸체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착탈형 홀 차단기가 브라켓 몸체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110: 호선 와이어
120: 가이드 브라켓 121: 와이어 홀
122: 브라켓 암 130: 와이어 서포터
140: 견인 걸이 210: 가이드 와이어
220: 구치 브라켓 230: 고정부재
240: 구치 연결와이어 250: 탄성 부재
260: 지지 와이어

Claims (9)

  1. 전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곡률진 형상의 호선 와이어(Arch Wire);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로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전치들의 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전방으로 진출 가능하도록, 상기 호선 와이어에서 이격되며 양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 홀을 갖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들에 고정되어서 상기 호선 와이어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상기 전치들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호선 와이어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서포터(Wire Supporters)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호선 와이어의 결착을 위한 와이어 결착홈을 가지며; 상기 호선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결착홈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을 일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서포터들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은, 상기 호선 와이어를 견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견치용 와이어 서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호선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호선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선 와이어에 후방 견인력이 가하는 탄성 부재의 연결을 위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되는 견인 걸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위치나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KR1020170059186A 2017-05-12 2017-05-12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17008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86A KR20170081579A (ko) 2017-05-12 2017-05-12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86A KR20170081579A (ko) 2017-05-12 2017-05-12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05A Division KR101737947B1 (ko) 2016-01-04 2016-01-04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79A true KR20170081579A (ko) 2017-07-12

Family

ID=5935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186A KR20170081579A (ko) 2017-05-12 2017-05-12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5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047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047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N114081646B (zh) * 2021-11-24 2023-11-28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947B1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695355B1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US10004574B2 (en) Dental arch and airway expander device and method
KR101804990B1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
KR101641350B1 (ko) 치열 교정장치
US6558160B2 (en) Attachment device for intra-oral orthodontic appliance
EP2185094B1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JP4405917B2 (ja) 歯科矯正アセンブリ用連結器
US11596500B2 (en) Tooth moving device
BRPI0813295B1 (pt) Bráquete Ortodôntico
EP2814417A1 (en) Shell aligners that accommodate incremental and continuous tooth movement with brackets, systems and methods
MXPA06000397A (es) Bracket para ortodoncia de auto-ligado.
JPH0371896B2 (ko)
KR101999378B1 (ko) 치열 교정장치
US20170252127A1 (en) Dental arch and airway expander device and method
KR20170081579A (ko)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760251B1 (ko) 치열 교정장치
CA2477352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EP2884939A1 (en) Orthodontic bracket with locking shutter extension
KR20160141693A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102092592B1 (ko)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US4854864A (en) Orthodontic bracket and palatal bar system
KR101249175B1 (ko) 치아 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20210033960A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