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126A -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126A
KR20150017126A KR1020130093009A KR20130093009A KR20150017126A KR 20150017126 A KR20150017126 A KR 20150017126A KR 1020130093009 A KR1020130093009 A KR 1020130093009A KR 20130093009 A KR20130093009 A KR 20130093009A KR 20150017126 A KR20150017126 A KR 2015001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rizontal plate
wire
end cutting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희문
Original Assignee
(주)덴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토스 filed Critical (주)덴토스
Priority to KR102013009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126A/ko
Publication of KR2015001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할뿐 아니라 치열교정시 대구치에 접합고정시킨 다음 교정용 와이어의 단부를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는 본체 내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속공을 구성하여 수직판 측면에 상하부수평판이 구성되게 하되, 상하부수평판 양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상하단 절삭부 및 상하단 걸림턱을 구성하여 상단절삭부와 하단걸림턱 및 상단걸림턱과 하단절삭부 사이에 상하향 경사개방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수평개방부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와이어의 굴곡성을 이용, 상하향 경사개방부 및 수평개방부를 통하여 와이어가 결속공에 간단히 끼워질 수 있게 하고, 결속공에 끼워진 와이어는 상하수평판 단부에 구성된 상하단 걸림턱에 의해 결속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속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EASY CONNECTING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할뿐 아니라 치열교정시 대구치에 접합고정시킨 다음 교정용 와이어의 단부를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에는 목적과 위치에 따라 여러 형태의 브라켓이 사용되며 교정치료를 위하여서는 치아표면에 적합한 브라켓을 접합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에 원하는 형태로 절곡된 와이어를 결속하되, 와이어의 단부는 어금니, 즉 대구치에 접합고정된 브라켓에 결속고정시켜 치열이 원하는 형태로 교정되게 하는 것이다.
대구치에 접합고정되는 브라켓(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9에서와 같이 베이스(110) 상에 결속공(121)이 형성된 튜브(120)를 용접한 구조로서, 와이어의 단부를 브라켓(100)의 결속공(121)에 끼우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치열교정용 브라켓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공개특허 제10-2007-0085037호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결찰식 브라켓"(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0945592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특허문헌 2)과, 특허 제10-0367328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설측 결찰형 브라켓"(특허문헌 3)과, 공개특허 제10-2013-0070916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특허문헌 4) 등의 선행기술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들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대부분 브라켓의 슬롯에 와이어를 끼운 다음 별도의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가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대체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 아니라 소형화가 어려워 시술시 이물감을 유발케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제10-2007-0085037호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결찰식 브라켓" 특허 제10-0945592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특허 제10-0367328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설측 결찰형 브라켓" 공개특허 제10-2013-0070916호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되, 구성이 간단하고, 브라켓이 치아에 접합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는 본체 내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속공을 구성하여 수직판 측면에 상하부수평판이 구성되게 하되, 상하부수평판 양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상하단 절삭부 및 상하단 걸림턱을 구성하여 상단절삭부와 하단걸림턱 및 상단걸림턱과 하단절삭부 사이에 상하향 경사개방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수평개방부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와이어의 굴곡성을 이용, 상하향 경사개방부 및 수평개방부를 통하여 와이어가 결속공에 간단히 끼워질 수 있게 하고, 결속공에 끼워진 와이어는 상하수평판 단부에 구성된 상하단 걸림턱에 의해 결속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속고정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는 본체 내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속공을 구성하여 수직판 측면에 상하부수평판이 구성되게 하고, 상하부수평판 양측 단부에는 상하단 절삭부 및 상하단 걸림턱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상하향 경사개방부를 구성하고, 양측 상하향 경사개방부 사이에 수평개방부를 구성하여 교정용 와이어가 상기 각 개방부를 통하여 간단하게 결속공에 결속고정되게 한 다음 상하단 걸림턱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함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와이어의 결속 및 분리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6 : 도 4의 상태에서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도
도 7 : 도 5의 상태에서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 : 종래 브라켓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1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브라켓(1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브라켓(10)을 구성하는 본체(20) 내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속공(30)을 구성하여 일측에 수직판(40)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수직판(40) 상하에는 상부수평판(50)과 하부수평판(60)을 구성한다.
상부수평판(50) 양측 단부에는 경사면(51)이 형성된 상단절삭부(52)와, 경사면(53)이 형성된 상단걸림턱(54)을 구성하고, 하부수평판(60) 양측 단부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된 하단걸림턱(62)과 경사면(63)이 형성된 하단절삭부(64)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단절삭부(52)와 하단걸림턱(62) 사이에는 상향경사개방부(32)가 구성되고, 상단걸림턱(54)과 하단절삭부(64) 사이에는 하향경사개방부(33)가 구성되며, 상하향 경사개방부(32)(33) 사이에 수평개방부(31)가 구성된다.
이때 상하향경사개방부(32)(33)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하단절삭부(52)(64)와 상하단걸림턱(54)(62)에 의해 상하부수평판(50)(60) 내면에 구성된 상하내벽(55)(65) 외측 일부에만 구성되고, 내측에는 결속공(30)이 나란한 평면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상하단절삭부(52)(64)와 상하내벽(55)(65) 사이에는 상단만곡부(56)와 하단만곡부(66)를 구성하여, 와이어가 결속공(30)내로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하부수평판(50)(60) 사이에 구성된 수평개방부(31) 및 상하향경사개방부(32)(33) 사이의 간격(L)은 와이어의 직경(K)보다 넓게 구성하고, 하단걸림턱(62)과 상내벽(55) 사이 및 상단걸림턱(54)과 하내벽(65) 사이의 간격(L1)은 와이어의 직경(K)보다 좁게 구성하며 하단걸림턱(62)과 상단만곡부(56) 및 상단걸림턱(54)과 하단만곡부(66) 사이의 간격(L2)는 와이어의 직경(K)보다 조금 넓게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70)은 치아, (80)은 와이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하여 치아(80) 표면에 브라켓(10)을 접착고정한 다음 결속공(30)에 교정을 위한 와이어(80)를 끼워 치열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브라켓(10)은 치아(70) 표면에 브라켓(10)이 접착고정된 상태에서 결속공(30)에 와이어(80)를 결합하고자 할 때 신속용이한 결합이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와이어(80)를 결속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치아(70) 표면에 접착된 브라켓(10)의 결속공(30)에 와이어(80)를 끼우고자 할 때 와이어(80)의 직경(K)보다 넓은 간격(L)으로 구성된 하향경사개방부(33)와, 수평개방부(31) 및 상향경사개방부(32)에 차례로 끼운다.
상기한 상태에서 와이어(80)를 결속공(30)쪽으로 밀어넣으면 하단만곡부(66)와 상단걸림턱(54) 및 상단만곡부(56)와 하단걸림턱(62) 사이에 와이어(80)의 직경(K)보다 넓게 구성된 간격(L2)을 통하여 와이어(80)가 결속공(30)내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80)는 탄성있는 강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하향경사개방부(33)가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더라도 와이어(80)가 굴곡되면서 쉽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와이어(80)가 결속공(30) 내에 끼워지게 되면 와이어(80)의 직경(K)이 상단걸림턱(54)과 하내벽(65) 및 하단걸림턱(62)과 상내벽(55) 사이의 간격(L1)보다 크기때문에 와이어(80)는 상하단걸림턱(54)(62)에 의해 결속공(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고, 결속공(30) 내에서 전후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브라켓(10)에서 상하단절삭부(52)(64)와 상하내벽(55)(65) 사이에 구성된 상하단만곡부(56)(66)는 상하향경사개방부(32)(33)에 끼워진 와이어(80)가 결속공(30)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치열교정시 어금니, 즉 대구치의 내측 혹은 외측에 선택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10)을 치아에 부착시킨 다음 브라켓(10)의 결속공(30)에 와이어(80)를 신속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또한 시술시간단축과 교정환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게 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브라켓 (20)--본체
(30)--결속공 (31)--수평개방부
(32)--상향경사개방부 (33)--하향경사개방부
(40)--수직판 (50)--상부수평판
(51)--경사면 (52)--상단절삭부
(53)--경사면 (54)--상단걸림턱
(55)--상내벽 (56)--상단만곡부
(60)--하부수평판 (61)--경사면
(62)--하단걸림턱 (63)--경사면
(64)--하단절삭부 (65)--하내벽
(66)--하단만곡부

Claims (3)

  1.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브라켓(10)의 본체(20) 내면에 개방부(31)가 형성된 결속공(30)을 구성하여, 일측에 수직판(40)이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40) 상하에 상내벽(55)이 형성된 상부수평판(500과 하내벽(65)이 형성된 하부수평판(60)이 구성되게 하되, 상부수평판(50) 양측 단부에 경사면(51)이 형성된 상단절삭부(52)와 경사면(53)이 형성된 상단걸림턱(54)을 구성하고, 하부수평판(60) 양측 단부에 경사면(61)이 형성된 하단걸림턱(62)과 경사면(63)이 형성된 하단절삭부(64)를 구성함으로서 개방부(31) 양측에 상향경사개방부(32)와 하향경사개방부(33)가 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단절삭부(52)와 상내벽(55) 사이에 상단만곡부(56)를 구성하고, 하단절삭부(64)와 하내벽(65) 사이에 하단만곡부(66)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방부(31)와 상하향경사개방부(32)(33)의 간격(L) 및 상하단걸림턱(54)(62)과 상하단만곡부(56)(66)의 간격(L2)는 와이어(80)의 직경(K)보다 넓게 구성하고, 상하단걸림턱(54)(62)과 상하내벽(55)(65) 사이의 간격(L1)은 와이어(80)의 직경보다 좁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20130093009A 2013-08-06 2013-08-06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KR20150017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009A KR20150017126A (ko) 2013-08-06 2013-08-06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009A KR20150017126A (ko) 2013-08-06 2013-08-06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26A true KR20150017126A (ko) 2015-02-16

Family

ID=5304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009A KR20150017126A (ko) 2013-08-06 2013-08-06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3B1 (ko) * 2016-05-20 2017-03-30 주보훈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3B1 (ko) * 2016-05-20 2017-03-30 주보훈 무결찰 마이크로 치아교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52414A3 (en) Upper and lower single preformed and/or customized appliance
JP5943917B2 (ja) リンガルブラケット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5452818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0991835B1 (ko) 치아교정장치
MX2012003915A (es) Arco de alambre de ortodoncia con elementos integrales que ejercen fuerza en los dientes.
KR101385527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CN209074952U (zh) 一种舌侧牙齿矫正器
KR20150017126A (ko)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KR101374836B1 (ko) 이중걸림수단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249175B1 (ko) 치아 교정장치
US20170333162A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381322B1 (ko) 복합기능을 갖는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KR101356942B1 (ko) 치과교정용 브라켓
EP2514388A1 (en) Universal lingual bracket system
WO2015025181A1 (en) Anchorage system for the treatment of orthodontic malocclusions through ortho microscrews
CN103385762A (zh) 一种新型的口腔正畸高位牵引钩
KR20130104895A (ko) 치아 교정장치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US20100143856A1 (en) Placement jig for an orthodontic device
KR20110009777U (ko)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KR101374835B1 (ko) 결속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KR20150019074A (ko) 치아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