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011B1 -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011B1
KR102623011B1 KR1020217004223A KR20217004223A KR102623011B1 KR 102623011 B1 KR102623011 B1 KR 102623011B1 KR 1020217004223 A KR1020217004223 A KR 1020217004223A KR 20217004223 A KR20217004223 A KR 20217004223A KR 102623011 B1 KR102623011 B1 KR 10262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ositioning
tooth surface
fitting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944A (ko
Inventor
정푸 장
Original Assignee
정푸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푸 장 filed Critical 정푸 장
Publication of KR2021003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접착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팔레트, 설치대 및 브라켓을 포함하고, 각각의 설치대는 하나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설치대는 지지대와 포지셔닝 클립을 포함하며, 팔레트는 지지 베이스로서 설치대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지지대는 고정 부재로서 끝단이 팔레트의 혀 측 또는 입술 측과 연결 고정되고, 포지셔닝 클립은 회전부로서, 브라켓과 연결되어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를 포함하고, 댐퍼 샤프트와 지지대는 맞물리며,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를 통과하여 지지대를 회전하며 지지대와 팔레트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분리가 가능한 구조다. 포지셔닝 클립은 호버링Hoering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는 장착이 간편하고 시간이 절약되며 접 착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본 발명은 브라켓 접착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구강 치아의 치아교정 치료 과정에서 치아 교정용 브라켓이 치아 표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아치형 와이어가 브라켓 위의 아치형 홈일명 사각 와이어 홈을 관통하고, 고무링을 결속하거나 와이어 스틸을 통하여 아치 와이어를 직접 브라켓 아치 홈의 내측과 결속하고, 아치 와이어 교정력이 브라켓을 통해 치아에 전달되어 치아를 예상대로 움직이게 하여 치아교정의 목적을 이룬다. 따라서 브라켓의 치아에 접착되는 위치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이 있는 이유는 교정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브라켓 접착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한 종류는 경험에 따라 치아에 마킹을 한 뒤 접착하는 방식으로 접착의 효과와 의사의 기술 수준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런 방식은 진료소 전문의만 치료가 가능하며 환자가 진료소에 여러번 왕복하면서 교정 수행 중에 환자와 의사에게 불편함을 줄 수밖에 없다. 또한 브라켓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브라켓 체적이 작고 구강 작업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치료 시간이 크게 길어져서 환자에게 열악한 치료 환경과 시간 낭비를 겪게 한다.
현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접착 기술이 있다:
1. 치아 교정 브라켓 간접 접착 기술 Indirect bonding:
현재 치아 교정 브라켓 포지셔닝 접착은 대부분 간접 접착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간접 접착기술은 진단 치료 설계 방안에서 결정된 위치에 따라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환자의 치아 모형에 먼저 접착하고, 가이드 플레이트와 브라켓 연결 지지대를 통해 환자의 구강으로 브라켓을 옮겨 치아 표면에 접착하는 것이다. 간접 접착은 2차 접착이 필요하며, 전문적인 구강 기술자의 협조 조작이 필요하며, 일정의 오차와 탈락이 존재한다.
간접접착은 크게 하드 연결 기술과 소프트 연결 기술 두 가지 기술로 나뉜다:
a. 하드 연결 기술:포지셔닝 가이드 플레이트와 브라켓 연결 지지대는 고정형이며, 위치 조정이 정확하고, 제작 요구 사항과 비용이 높고 조작이 어렵다.
b. 소프트 연결 기술:포지셔닝 가이드 플레이트 2층 구조이고, 내층은 부드러운 고무로 감싼 브라켓으로, 이는 브라켓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조절 기능을 제공하여 브라켓과 치아 표면이 상대적으로 밀착되어 접합된다. 소프트 연결 기술은 포지셔닝 정확도가 떨어지며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거할 때 브라켓 탈락률이 높은 부족한 단점이 있다.
2. 치아교정 브라켓의 직접 접착Direct bonding 기술:
치아 교정 브라켓이 접착 치형의 이동 방식을 통하지 않고, 브라켓을 환자의 치아 표면에 직접 붙이는 방식이다.
a. 치아 교정의의 경험과 목측으로 치아 표면에 브라켓 제품을 접착:시간이 많이 걸리고 오차가크며;
b.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지털 치열 모형에서 브라켓의 위치를 *-*결정, 위치 가이드 플레이트 디자인 및 위치 가이드 플레이트를 3D 인쇄하고, 전체 패키지 또는 하프 패키지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가이드 플레이트에 넣어 위치 지정 접착을 구현한다.
이런 기술 방안은 3D 인쇄의 정밀도의 영향과 사용하는 브라켓 가공 정밀도의 영향을 받아서, 포지셔닝이 부정확하고,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거할 때 브라켓의 탈락률이 높은 부족한 단점이 있다.
중국 특허 CN201710993718.9는 브라켓 접착 포지셔닝 기와 그 제조 방법 및 브라켓 포지셔닝 방법을 공개하였다. 이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브라켓 접착 포지셔닝기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서 직접 조작하는 불편함이 개선되었고 환자의 치료 환경이 최적화되었으며 전체 치료 과정을 단순화시켰다. 시뮬레이션이 구강에 잘 맞도록 함으로써 브라켓의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치아 금형 마킹과 같은 작업이 필요가 없다. 브라켓 포지셔닝기를 만드는 전체 과정에서 환자는 구강 치아의 3 차원 스캔 프로토 타입을 의사에게 제공하기만 하면 사전 준비 작업은 끝난다. 상용화 및 일관작업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작업 과정에서 사람의 치아 모양과 위치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동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자유도가 있는 바닥 판과 브라켓 장착이 필요한데 이는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전체 설치 메커니즘은 장착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특성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중국 특허 201710108773.5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타깃 지향 포지셔닝을 위한 간접 접착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3D 인쇄 기술과 포지셔닝 시트를 사용하여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미리 설계한 다음 치아 표면에 브라켓을 설치한다. 이 방법은 3D 인쇄 및 브라켓의 정확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매우 높고 실제 운영 과정에서 원가가 비교적 높고 조작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 중 간접 접착의 번거로움, 직접 접착이 기술 요구가 높은 단점에 대하여, 치아 표면에 브라켓을 직접 접착하기위한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는 팔레트, 설치대 및 브라켓을 포함하고, 각각의 설치대는 하나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설치대는 지지대와 포지셔닝 클립을 포함하며;
팔레트는 지지 베이스로서 설치대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지지대는 고정 부재로서 끝단이 팔레트의 혀 측 또는 입술 측과 연결 고정되고, 포지셔닝 클립은 회전부로서, 브라켓과 연결되어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를 포함하고, 댐퍼 샤프트와 지지대는 맞물리며,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를 통과하여 지지대를 회전하며 댐퍼 샤프트의 직경 범위는 0.2mm - 5mm이며 지지대와 팔레트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분리가 가능한 구조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클립에는 댐퍼 샤프트를 조립하기 위한 장착 홈이 설치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는 장착 홈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댐퍼 샤프트 외벽과 장착 홈의 내벽 일부 또는 내벽 전부와 긴밀하게 맞물리며, 댐퍼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의 회전하는 모든 위치에서 호버링(hovering, 정지)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대에는 샤프트에 맞물린 장착 홈이 설치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는 장착 홈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지지대가 팔레트에 설치 시에 댐퍼 샤프트 외벽과 장착 홈의 일부 내벽 혹은 내벽 전부와 긴밀하게 맞물리며, 댐퍼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포지셔닝 클립은 댐퍼 샤프트의 회전하는 모든 위치에서 호버링(hovering, 정지)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대에는 변형 복원력을 가진 탄성재가 있으며 제1 끼움판과 제2 끼움판을 포함하고, 제1 끼움판과 제2 끼움판을 연결하는 끝단은 연결부로 연결되며, 제1 끼움판과 제2 끼움판은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 끼움판과 제2 끼움판 사이에 포지셔닝 클립 장착용의 조립 공간을 형성하고, 장착 홈은 조립 공간의 일부분이다.
바람직하게, 지지대와 팔레트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팔레트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에서 멀리 있는 제1 끼움판또는 제2 끼움판의 연결부의 끝단은 소켓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소켓에 삽입된 제1 끼움판또는 제2 끼움판은 회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제1 끼움판과 제2 끼움판은 조립 공간 방향으로 압출 변형을 통하여 소켓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장착 홈은 연결부에 가까운 끝단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 홈 부분을 연결하는 조립 공간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장착 홈의 내경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바람직하게, 댐퍼 샤프트의 직경은 장착 홈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다.
바람직하게, 장착 홈은 변형 홈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에서 멀리 있는 제1 끼움판 또는 제2 끼움판의 끝단 외벽에 미끄럼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미끄럼 방지부와 소켓의 측면은 붙어 있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클립은 변형 복원력을 가진 탄성재로, 포지셔닝 클립은 포지셔닝 샤프트을 더 포함하고, 포지셔닝 샤프트는 포지셔닝 브라켓의 아치 와이어 홈 내에 설치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브라켓은 포지셔닝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하고, 포지셔닝 샤프트와 댐퍼 샤프트 사이는 연결축을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샤프트의 개수는 두 개이며, 커넥팅 로드의 개수는 두 개이고, 커넥팅 로드는 댐퍼 샤프트의 양 끝에 연결되며, 각 커넥팅 로드와 포지셔닝 샤프트는 'L'형 지지구를 구성하고, 두 개의 포지셔닝 샤프트는 각각 아치 와이어 홈의 양 끝에 접착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커넥팅 로드 사이에 커넥팅 암이 연결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는 커넥팅 로드를 연결하는 전체 축이 되거나 두 개의 축단이 각각 커넥팅 로드의 내측에 대응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커넥팅 로드 사이의 거리는 아치 와이어 홈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클립은 일체형 구조이며, 지지대는 일체형 구조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샤프트에 제한 블록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한 블록은 아치 와이어 홈 양단에 접촉하고, 제한 블록은 아치 와이어 홈 양단 접속구 양측의 단면에 접촉하거나 제한 블록의 일부분이 아치 와이어 홈 양단의 접속구 내에 접촉한다.
본 발명은 와 같은 기술방안을 채택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창의적인 브라켓 6 개의 포지셔닝 자유도 중 브라켓을 접착하는 높이와 중심선 2 개의 자유도만 제어하고 나머지 4개 방향의 자유도는 플로팅 디자인을 채택하여, 브라켓의 바닥면과 치아면을 자유롭게 결합하여 브라켓 바닥면과 치아면의 밀착 접착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런 구조는 설치가 용이하여 3D 인쇄 정확도와 브라켓 크기의 일정한 오차가 허용되고 적용성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설치대의 사용 과정에서, 포지셔닝 클립과 브라켓은 모두 어느 위치에서든 호버링(hovering, 정지)될 수 있는데, 이는 의사에게 지극히 큰 조작의 자유도를 제공하였다. 브라켓 접합 과정에서는 구강 작업 공간이 제한되고 브라켓이 작아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접착제 코팅 과정과 브라켓 접착 과정에서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작업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으로 의사는 실제 상황에 따라 편리한 위치에 브라켓을 호버링(hovering, 정지)하여 접착제를 코팅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설치의 정확도도 더욱 높아졌다.
도 1은 실시예 1의 장착 장치와 치아의 조립 약도.
도 2는 팔레트 구조의 약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설치대와 브라켓의 장착 약도.
도 5는 지지대 구조의 약도.
도 6은 포지셔닝 클립의 구조도.
도 7은 변형 홈이 있는 지지대와 치아의 조립 약도.
도 8은 변형 홈이 있는 설치대와 브라켓의 조립 약도.
도 9는 변형 홈이 있는 지지대 구조의 약도.
도 10은 제한 블록이 있는 설치대와 브라켓의 조립 약도.
도 11은 제한 블록의 또 다른 형식이며, 커넥팅 로드 사이의 연결은 커넥팅 암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장이며 댐퍼 샤프트는 두 개의 샤프트 끝단으로 대체한다.
도 13은 혀측 장착 구조의 약도.
아래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를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점은 마찰력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클립(5)의 호버링(hovering, 정지)을 실현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는 팔레트(1)와 설치대(2)를 포함하고, 각 설치대는 한 개의 브라켓(3)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설치대(2)는 지지대(4) 및 포지셔닝 클립(5)을 포함한다.
팔레트(1)은 지지 베이스로서 설치대(2)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지지대(4)는 고정 지지 부재로서 한쪽 끝과 팔레트(1)의 혀 측 또는 입술 측과 연결 고정되며;
포지셔닝 클립(5)는 회전 부재로서 포지셔닝 브라켓(3)과 연결하고 브라켓(3)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클립(5)는 지지대(4)와 맞물리는 댐퍼 샤프트(6)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클립(5)는 댐퍼 샤프트(6)을 통해 지지대(4)를 회전하며, 댐퍼 샤프트(6)의 직경은 0.6mm이고 지지대(4)와 팔레트(1)은 일체형 구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댐퍼 샤프트(6)의 정의 의미는 브라켓(3)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댐퍼 샤프트(6)이 회전하고 위치 조정 시에 마찰 저항을 받아 지지대(4)에 호버링이 실현되게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실시예는 팔레트(1)의 형성 과정에 대한 관련 설명이다. RS-ORTH와 같은 전문 치아교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치열 모형 e-Mold를 자동으로 분류와 배치를 하고, 진단 설계 방안에 따라 브라켓(3)과 치아 표면의 위치를 결정하고, 브라켓(3)의 장착 위치 및 치아의 형태에 따라 팔레트(1)을 생성한 후, 설치대(2)의 크기와 치아 표면에 장착된 브라켓(3)의 위치를 기준으로 디지털 치열 모형 상의 소켓의 위치와 각도를 설계하고 마지막으로 3D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팔레트(1)를 인쇄한다. 설치대(2)를 소켓에 장착 시에 브라켓(3)을 치아 표면에 바르게 접착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의 소켓(12)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소켓(12)는 전체적으로 아치 와이어 홈(17)과 평행하며, 구체적으로 소켓(12)의 중심선은 브라켓(3)의 아치 와이어 홈(17)의 중심선과 평행하고, 소켓(12)의 다른 중심선은 아치 와이어 홈(17)의 다른 중심선과 일치하거나 직교 투영이 치아 표면에 일치하기 때문에, 첫째는 치아 표면에 설치할 때 브라켓(3)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두 번째는 설치대(2)와 브라켓(3)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하여 브라켓(3)이 좌우로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한다.
지지대(4)에는 회전축에 맞물리는 장착 홈(7)이 설치되어 있으며, 댐퍼 샤프트(6)은 장착 홈(7)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장착 시에, 댐퍼 샤프트(6) 외벽과 장착 홈(7) 내벽 일부 또는 내벽 전체가 긴밀하게 맞물려 댐퍼 샤프트(6)을 회전시킴으로써, 포지셔닝 클립(5)는 그것이 회전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호버링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장착 홈(7)은 통로 홈이고, 댐퍼 샤프트(6)은 장착 홈(7) 내를 관통한다. 작동 중에 장착 홈(7)의 내벽과 댐퍼 샤프트(6)의 외벽이 밀착 접촉되기 때문에 둘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이 존재하는 데, 이런 마찰 저항은 포지셔닝 클립(5)와 브라켓(3)이 호버링 시에 받는 중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포지셔닝 클립(5)와 브라켓(3)의 호버링이 실현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대(4)는 변형 회복 능력을 갖는 탄성 부재이다. 지지대(4)는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를 포함하고,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의 끝단은 연결부(11)로 연결되며,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은 연결부(11)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 사이에는 포지셔닝 클립(5)을 장착하기 위한 조립 공간(10)을 형성하고, 장착 홈(7)은 조립 공간(10)의 일부이며, 댐퍼 샤프트(6)은 연결부(11)로부터 멀리 있는 끝단에서 조립 공간(10)을 경유하여 장착 홈(7) 내에 도달한다; 연결부(11)에서 멀리 있는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의 끝단은 소켓(12) 내에 삽입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1 끼움판(8) 및 제2 끼움판(9)은 모두 소켓(12)에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는 조립 공간(10) 방향으로 압착 변형되어 소켓(12)에 삽입된다. 삽입 후 지지대(4)의 장착 공간 내벽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고, 장착 홈(7)의 내경도 함께 감소되기 때문에, 장착 홈(7)이 댐퍼 샤프트(6)에 충분한 마찰력을 가하여 호버링 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은 소켓(12) 내에 삽입되어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지지대(4)의 중심선이 브라켓(3)의 중심선과 일치하는지 판단이 쉬워져서, 장착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12)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포지셔닝 클립(5) 설치 시에, 포지셔닝 클립(5)의 댐퍼 샤프트(6)은 연결부(11)에서 멀리 있는 끝단에서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의 지지대(4)의 조립 공간(10)으로 들어간 후 연결부(11)의 끝단으로 미끄러져 마지막으로 장착 홈(7)안으로 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 홈(7)은 연결부(11)에 가까운 측의 끝단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홈(7)의 초기 상태에서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장착 홈(7)의 크기는 댐퍼 샤프트(6)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 이러한 구조는 포지셔닝 클립(5)가 장착 홈(7) 내에 설치가 용이하다. 왜냐하면 포지셔닝 클립(5)와 지지대(4)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저항이 너무 크면 지지대(4)와 포지셔닝 클립(5)의 조립이 불편하다. 제1 끼움판(8) 및 제2 끼움판(9)가 소켓에 삽입 된 후, 장착 홈(7)의 변형량이 장착 홈(7)이 댐퍼 샤프트(6)을 고정 시키는 것을 충분히 보장하므로 본 실시예의 구조는 저런 구조를 만족시킨다. 장착 홈(7)의 부분을 연결하는 조립 공간(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장착 홈(7)의 내경보다 작으며, 장착 홈(7) 부분을 연결하는 이 조립 공간(10)은 연결부(11)의 끝단에서 멀리 있는 장착 홈(7)의 일부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계는 댐퍼 샤프트(6)이 장착 홈(7)에 장착되는 동안 일정한 저항을 극복하고 장착 홈(7)에 들어가고, 댐퍼 샤프트(6)이 장착 홈(7)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초기 상태에서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삽입되지 않았고, 연결부(11)의 측면에서 멀리 있는 장착 홈(7)의 장착 공간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댐퍼 샤프트(6)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므로, 댐퍼 샤프트(6)이 장착 홈(7)에 조립되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클립(5)는 탄성 부재이고, 포지셔닝 클립(5)는 포지셔닝 브라켓(3)의 아치 와이어 홈(17)에 장착되는 데 사용되는 포지셔닝 샤프트(14)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브라켓(3)은 포지셔닝 샤프트(14)가 회전가능하게 하며, 포지셔닝 샤프트(14)와 댐퍼 샤프트(6)의 사이는 연결축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포지셔닝 브라켓(3)이 포지셔닝 샤프트(14)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포지셔닝 브라켓(3)의 자유도를 크게 증가시켜 포지셔닝 브라켓(3)이 상이한 조건의 치아 표면과 더 잘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샤프트(14)의 수는 2 개, 커넥팅 로드(15)의 수는 2 개, 포지셔닝 샤프트(14), 댐퍼 샤프트(6) 및 커넥팅 로드(15)는 일체형 구조이다:커넥팅 로드(15)는 댐퍼 샤프트(6)의 양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커넥팅 로드(15)와 포지셔닝 샤프트(14)는 'L'자형 샤프트 블록를 형성하며, 두 개의 포지셔닝 샤프트(14)는 각각 아치 와이어 홈(17)의 양단에 삽입되는 데 사용되며 브라켓(3)은 2 개의 커넥팅 로드(15) 사이에서 조이게 되고, 2 개의 커넥팅 로드(15) 사이의 거리는 외력의 작용으로 확대 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의 브라켓(3)에 적응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서로 다른 치아 표면의 브라켓(3) 크기에는 일반적으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구조의 커넥팅 로드(15)의 변형 과정 동안, 중간 선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브라켓(3)의 중심도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팅 로드(15)의 길이와 소켓(12)의 위치는 브라켓(3)의 장착 높이를 결정하고, 포지셔닝 클립(5)의 중심선 위치는 브라켓(3)의 중심도를 결정한다.
본 장치의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클리닉은 3 차원 치형 모형을 도입한 후에, 치형 교정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팔레트(1)의 3 차원 모델을 설계하고 팔레트(1)의 3D 파일을 클리닉으로 전송한다. 클리닉은 3D 인쇄 파일에 따라 팔레트(1)을 인쇄한 다음, 포지셔닝 클립(5)의 포지셔닝 샤프트(14)를 아치 와이어 홈(17)에 삽입하고, 커넥팅 로드(15) 사이의 조임력은 브라켓(3)을 커넥팅 로드(15) 사이에서 긴밀하게 조임으로써, 브라켓(3)이 어느 위치에서든 회전하고 호버링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브라켓(3)과 함께 잘 조립된 장착 장치를 브라켓(3)에 대응하는 치아 위치에 따라 팔레트(1)의 소켓(12)에 대응 설치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팔레트(1)을 물고, 작업자가 포지셔닝 클립(5)와 브라켓(3)을 회전하여 브라켓(3)이 적절한 위치에서 호버링이 되고 브라켓(3)에 접착제 코팅이 되게 한 후, 브라켓(3)을 밀어서 브라켓(3)이 치아면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댐퍼 샤프트(6)과 장착 홈(7) 사이에 생성된 마찰력이 브라켓(3)의 접착면과 치아면 사이에 압력을 발생하게 하여 두 개가 밀착 결합되어 접착 정확도를 높인다. 그런 다음 브라켓(3)을 광중합 접합한 다음, 포지셔닝 클립(5)를 회전시켜, 포지셔닝 샤프트(14)를 아치 와이어 홈(17)의 맞닿은 부분을 분리한 다음, 팔레트를 제거하고 접합을 완료한다. 이 장치는 입술 측이 브라켓(3)에 접착함과 동시에 혀 측이 브라켓(3) 접합에도 적용되며, 입술 측 접합 시에, 소켓(12)는 팔레트(1)의 외측에서 열려야 하고, 혀 측 접합 시에, 소켓(12)는 팔레트(1) 내측에서 열려야 한다. 본 실시예의 브라켓(3)은 자동 잠금 브라켓(3)이고 다른 구조의 브라켓(3)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표는 비용과 작업 시간을 비교 한 표:
본 기술 방안은 높은 접합 정확도, 짧은 접합 시간 및 작 업자의 기술에 대한 요구가 낮은 등의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 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장착 홈(7) 일부를 연결하는 조립 공간(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장착 홈(7)의 내경보다 작으며, 장착 홈(7) 일부를 연결하는 이 조립 공간(10)은 연결부(11) 끝단에서 멀리 있는 장착 홈(7)의 일부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 계는 댐퍼 샤프트(6)이 장착 홈(7)에 설치되는 과정 중에 일정한 저항력을 극복하고 장착 홈(7)로 들어가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댐퍼 샤프트(6)이 장착 홈(7)에서 미끄 럼 발생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조의 특정 구현 방법은,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가 서로 인접한 측면에 아치 홈을 열어둠으로써, 두 개의 아치 홈 사이의 거리가 서로 인접한 조립 공간(10)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된다.
실시예 3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 한 장착 장치로, 이 실시예는 실시예 2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 연결부(11)에 가까운 장착 홈(7)의 끝단은 변형 홈(18)에 연결되어 있다. 변형 홈(18)의 기능은 장착 홈(7)이 힘에 의해 변형될 때 변형력을 변형 홈(18)에 전달하여 장착 홈(7)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장착 홈(7)과 댐퍼 샤프트(6) 사이의 마찰력이 과도하여 장착 홈(7)과 댐퍼 샤프트(6) 사이에 고착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 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 지지대(4)는 일체형 구조이며, 제1 끼움판(8), 제2 끼움판(9) 및 연결부(11)은 판을 통과하여 굴곡이 형성되고,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사이의 거리는 연결부(11)에서 다른 끝단으로 점차 증가하여, 굴곡부에 장착 홈(7)을 형성하며, 장착 홈(7)의 내경은 댐퍼 샤프트(6)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다.
실시예 5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고 또한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을 포함한다: 장착 홈(7)의 내부 표면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댐퍼 샤프트(6)과의 마찰력을 증가할 수 있다. 이 보완 기술 방안은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도 적용된다.
실시예 6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이 실시예 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 홈(7)이 초기 상태이고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장착 홈(7)의 크기는 댐퍼 샤프트(6)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러한 구조는 포지셔닝 클립(5)가 지지대(4)가 소켓(12)에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두 호 버링 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고, 지지대(4)가 장착된 후의 장착 홈(7)은 댐퍼 샤프트(6)에 대한 유지력은 아주 크다. 이런 보완 기술 방안은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도 적용된다.
실시예7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 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본 실시예에서는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만이 소켓(12)에 삽입되 며, 다른 끼움판은 장착 홈(7)을 둘러싸는 역할 만 수행한다. 이런 구 조에서 장착 홈(7)이 초기 상태이고,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착 홈(7)의 크기는 댐퍼 샤프트(6)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고,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이 소켓(12)에 삽입된 후에도 장착 홈(7)의 크기에 영 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런 구조도 포지셔닝 클립(5)과 브라켓(3)에 대한 호버링을 실 현할 수 있다. 이 보완 기술 방안은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도 적용된다.
실시예 8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 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지지대(4)와 팔레트(1)은 일체형 구조이며,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는 팔레트(1)에 서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만이 팔레트(1)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끼움판은 장착 홈(7)을 둘러싸는 역할 만 수행한다. 이런 구조에서 장착 홈(7)이 초기 상태 고 지지대(4)가 팔레트(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장착 홈(7)의 크기는 댐퍼 샤프트(6) 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은 소켓(12)에 삽입된 후 장착 홈(7)의 크기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런 구조 역시 포지셔닝 클립(5) 와 브라켓(3)의 호버링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이 실시 예는 실시예 1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포지셔닝 샤프트(14)에 브라켓(3)의 아치 와이어 홈(17)의 양 끝단을 접촉하는 데 사용되는 제한 블록(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한 블록(16)은 아치 와이어 홈(17)에 걸쳐 있기 때문에 포지셔닝 클립(5)와 아치 와이어 홈(17) 가 표면 접촉되게 되어, 포지셔닝이 더욱 확실하며. 브라켓(3)의 중심도를 보장하고 좌우 슬라이딩이 생성하지 않으며 포지셔닝 샤프트(14)를 회전이 더욱 원활하다. 본 실시예에 보완된 기술 방안은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실시예 10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이 실시예는 실시예 9의 기술 방안을 포함 하고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 제한 블록(16)의 형상은 원기둥 혹은 직육면체이다.
실시예 11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는 실시예 9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고 다음과 같 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 제한 블록(16)의 일부가 아치 와이어 홈(17)의 양 끝단의 접속구 내를 접촉하며, 아치 와이어 홈(17)의 좌우 슬라이딩의 한계 수위를 실현하고, 브라켓(3)이 아치 와이어 홈(17)을 회전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예12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커넥팅 로드(15) 사이의 거리는 아치 와이어 홈(17)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런 상황에서 포지셔닝 샤프트(14)의 크기에 대한 설계를 하여, 포 지셔닝 샤프트 14가 아치 와이어 홈(17) 내에 긴밀히 조이도록 하고, 포지셔닝 샤프트(14)와 아치 와이어 홈(17)의 내벽 사이에 큰 마찰력을 가지게 하여, 브라켓(3)이 호버링을 실현하고 접착제 코팅이 편리할 수 있게 보장한다. 물론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브라켓(3)의 호버링을 보장할 수도 있으며,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호버링 수단 모두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기술 방안을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보완 기술 방안도 포함한다: 연결부(11)로부터 멀리 있는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 끝단의 외벽에는 미끄럼 방지부(13)이 설치되어 있으며, 미끄럼 방지부(13)의 목적은 제1 끼움판(8), 제2 끼움판(9)와 소켓(12)의 마찰력을 증가하여, 제1 끼움판(8) 및 제2 끼움판(9)가 소켓(12)와의 삽입이 더욱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14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 와 실시 예 1의 차이점은 소켓(12)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이라는 점이다.
실시예 15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 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커넥팅 로드(15) 사이에도 커넥팅 암(151)이 연결 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6)은 2개의 샤프트 끝단을 채택하여 설계하며, 두 개의 샤프트 끝단은 각각 장착 홈(7)의 양 끝에 대응 삽입되는데. 이 구조는 위의 모든 실 시예에 적용된다.
실시예 16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댐퍼 샤프트(6)의 직경이 1mm이다.
실시예 17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댐퍼 샤프트(6)의 직경이 0.2mm이다.
실시예 18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직접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장착 장치로,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댐퍼 샤프트(6)의 직경이 5mm이다.
총괄적으 로 말하면,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특허 출원 범위에 따라 이루어진 균등한 변화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 팔레트
2: 설치대
3: 브라켓
4: 지지대
5: 포지셔닝 클립
6: 댐퍼 샤프트
7: 장착 홈
8: 제1 끼움판
9: 제2 끼움판
10: 조립 공간
11: 연결부
12: 소켓
13: 미끄럼 방지부
14: 포지셔닝 샤프트
15: 커넥팅 로드
16: 제한 블록
17: 아치 와이어 홈
18: 변형 홈

Claims (18)

  1. 팔레트(1), 설치대(2) 및 브라켓(3)을 포함하고,
    각각의 설치대(2)는 하나의 브라켓(3)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설치대(2)는 지지대(4)와 포지셔닝 클립(5)을 포함하며,
    팔레트(1)는 지지 베이스로서 설치대(2)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며,
    지지대(4)는 고정 부재로서 끝단이 팔레트(1)의 혀 측 또는 입술 측과 연결 고정되고,
    포지셔닝 클립(5)은 회전부로서, 브라켓(3)과 연결되어 브라켓(3)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클립(5)은 댐퍼 샤프트(6)를 포함하고, 댐퍼 샤프트(6)와 지지대(4)는 맞물리며, 포지셔닝 클립(5)은 댐퍼 샤프트(6)를 통과하여 댐퍼 샤프트(6)를 기준으로 지지대(4)를 회전하며, 댐퍼 샤프트(6)의 직경 범위는 0.2mm~5mm이며 지지대(4)와 팔레트(1)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포지셔닝 클립(5)은 댐퍼 샤프트(6)가 장착 홈(7)에 조립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6)는 장착 홈(7)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댐퍼 샤프트(6) 외벽과 장착 홈(7)의 내벽 일부 또는 내벽 전부와 긴밀하게 맞물림으로, 댐퍼 샤프트(6)를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포지셔닝 클립(5)은 댐퍼 샤프트(6)의 회전하는 모든 위치에서 호버링(hovering, 정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4)에는 변형 복원력을 가진 탄성재가 있으며 제1 끼움판(8)과 제2 끼 움판(9)을 포함하고,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을 연결하는 끝단은 연결부(11)로 연결되며,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은 연결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 사이에 포지셔닝 클립(5) 장착을 위한 조립 공간(10)을 형성하고, 장착 홈(7)은 조립 공간(10)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4)와 팔레트(1)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며, 팔레트(1)에는 소켓(12)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11)에서 멀리있는 제1 끼움판(8)또는 제2 끼움판(9)의 연결부(11)의 끝단은 소켓(12)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소켓(12)에 삽입된 제1 끼움판(8)또는 제2 끼움판(9)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 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끼움판(8)과 제2 끼움판(9)은 조립 공간(10) 방향으로 압출 변형을 통하여 소켓(1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장착 홈(7)은 연결부(11)에 가까운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장착 홈(7) 부분을 연결하는 조립 공간(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장착 홈(7)의 내경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댐퍼 샤프트(6)의 직경은 장착 홈(7)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11)에 가까운 장착 홈(7)의 끝단에는 변형 홈(18)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11)에서 멀리 있는 제1 끼움판(8) 또는 제2 끼움판(9)의 끝단 외벽에 미끄럼 방지부(13)가 설치되어 있고, 미끄럼 방지부(13)와 소켓(12)의 측면은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클립(5)은 변형 복원력을 가진 탄성재로, 포지셔닝 클립(5)은 포지셔닝 샤프트(14)를 더 포함하고, 포지셔닝 샤프트(14)는 포지셔닝 브라켓(3)의 아치 와이어 홈(17) 내에 설치되는 데 사용되며, 포지셔닝 브라켓(3)은 포지셔닝 샤프트(14)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포지셔닝 샤프트(14)와 댐퍼 샤프트(6) 사이는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샤프트(14)의 개 수는 두 개이며, 커넥팅 로드(15)의 개수는 두 개이고, 커넥팅 로드(15)는 댐퍼 샤프트(6)의 양 끝에 연결되며, 각 커넥팅 로드(15)와 포 지셔닝 샤프트 14는 'L'형 지지구를 구성하고, 두 개의 포지셔닝 샤프트(14)는 각각 아치 와이어 홈(17)의 양 끝에 접착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 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커넥팅 로드(15) 사이에 커넥팅 암(151)이 연결되어 있고, 댐퍼 샤프트(6)는 커넥팅 로드(15)를 연결하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댐퍼 샤프트(6)의 두개의 축의 단부(축단)가 커넥팅 로드(15)의 내측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커넥팅 로드(15) 사이의 거리는 아치 와이어 홈(17)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클립(5)은 일체형 구조이며, 지지대(4)도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 하기 위한 장착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샤프트(14)에 제한 블록(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한 블록(16)은 아치 와이어 홈(17) 양단에 접촉하고, 제한 블록(16)은 아치 와이어 홈(17) 양단 접속구 양측의 단면에 접촉하거나 제한 블록(16)의 일부분이 아치 와이어 홈(17) 양단의 접속구 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소켓(12)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이며, 소켓(12)은 전체적으로 아치 와이어 홈(17)과 평행하고, 소켓(12)의 중심선은 아치 와이어 홈(17)의 중심선과 일치하거나 치아 표면의 직교 투영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KR1020217004223A 2019-07-30 2019-08-16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KR102623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94280.3 2019-07-30
CN201910694280.3A CN110507434B (zh) 2019-07-30 2019-07-30 用于将托槽直接粘接到牙面上的安装装置
PCT/CN2019/100936 WO2021017040A1 (zh) 2019-07-30 2019-08-16 用于将托槽直接粘接到牙面上的安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944A KR20210031944A (ko) 2021-03-23
KR102623011B1 true KR102623011B1 (ko) 2024-01-08

Family

ID=6862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223A KR102623011B1 (ko) 2019-07-30 2019-08-16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23011B1 (ko)
CN (1) CN110507434B (ko)
WO (1) WO2021017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5526B2 (en) * 2019-12-23 2024-03-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tom tool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methods of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70B1 (ko) 2010-01-14 2011-12-15 이주용 치열 교정 장치
KR101100540B1 (ko) 2010-04-14 2011-12-29 김재훈 고정성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
US20160074139A1 (en) * 2014-03-06 2016-03-17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Indirect Bonding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CN106880414A (zh) 2017-02-27 2017-06-23 深圳华锐医疗科技有限公司 目标导向定位正畸托槽的间接粘接方法
US20170325911A1 (en) 2016-05-12 2017-11-16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Bonding Guide with Living Hinge Pins
CN107874849A (zh) 2017-10-23 2018-04-06 浙江日盛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托槽粘结定位器及其制造方法及托槽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1614B (de) * 1988-05-31 1990-11-12 Ronay Franz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orthodontischen apparatur
KR100594356B1 (ko) * 2004-08-31 2006-06-30 김중한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100899535B1 (ko) * 2007-08-09 2009-05-26 이준호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CN201642385U (zh) * 2010-03-11 2010-11-24 杭州奥杰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正畸自锁托槽
CN201642382U (zh) * 2010-03-25 2010-11-24 杭州奥杰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用于个性化牙齿矫治的定位支架
CN102319124B (zh) * 2011-09-26 2013-09-25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用于正畸托槽间接粘接的数字化导向模板
US20160095669A1 (en) * 2014-10-03 2016-04-07 Mohammad Izadi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CN207136923U (zh) * 2017-02-27 2018-03-27 深圳华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转移托盘
CN107822723B (zh) * 2017-12-13 2022-05-13 福建省齿峰口腔颌面矫治研究所 一种口腔矫治器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70B1 (ko) 2010-01-14 2011-12-15 이주용 치열 교정 장치
KR101100540B1 (ko) 2010-04-14 2011-12-29 김재훈 고정성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
US20160074139A1 (en) * 2014-03-06 2016-03-17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Indirect Bonding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70325911A1 (en) 2016-05-12 2017-11-16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Bonding Guide with Living Hinge Pins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CN106880414A (zh) 2017-02-27 2017-06-23 深圳华锐医疗科技有限公司 目标导向定位正畸托槽的间接粘接方法
CN107874849A (zh) 2017-10-23 2018-04-06 浙江日盛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托槽粘结定位器及其制造方法及托槽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07434B (zh) 2020-08-14
CN110507434A (zh) 2019-11-29
WO2021017040A1 (zh) 2021-02-04
KR20210031944A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4269B2 (en) Mounting device for directly bonding brackets to the tooth surface
CN105496575B (zh) 托槽定位架和托槽定位架的制造方法
US20170325911A1 (en) Bonding Guide with Living Hinge Pins
JP4230667B2 (ja) 歯列矯正器具を正確に結合配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677216B1 (en)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KR100899535B1 (ko)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US9439737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JP5128182B2 (ja) 特注矯正ブラケット配置ジグ並びにジグ作製方法および装置
US20110250556A1 (en) Mounting Arrangement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CN105662615B (zh) 一种正畸托槽间接粘接精确定位系统及应用方法
US49831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orthodontic appliance
CN107874849B (zh) 托槽粘结定位器及其制造方法及托槽定位方法
TW201345494A (zh) 齒列矯正裝置設置具
KR101691219B1 (ko)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KR102623011B1 (ko)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US20010018175A1 (en) Orthodontic jig for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WO2006025661A1 (en)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CA2832140A1 (en) Method for producing trays for brackets
CN110478063B (zh) 一种托槽直接粘接的方法
CN106821520B (zh) 一种唇侧托槽定位器及其制造方法
CN111991108A (zh) 间接粘贴的托槽转移导板及其安装分离方法
US6290495B1 (en) Dental tool for installing brackets for orthodontic braces
CN211094861U (zh) 用于将托槽直接粘接到牙面上的安装架
JP2021526937A (ja) 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用の組立体およびそのような治療用の歯科矯正システム、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用の組立体の設置の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組立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そのような歯科矯正システムの使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