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93B1 -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 Google Patents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93B1
KR102340293B1 KR1020200067191A KR20200067191A KR102340293B1 KR 102340293 B1 KR102340293 B1 KR 102340293B1 KR 1020200067191 A KR1020200067191 A KR 1020200067191A KR 20200067191 A KR20200067191 A KR 20200067191A KR 102340293 B1 KR102340293 B1 KR 10234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racket guide
resin
guide ji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165A (ko
Inventor
허수복
이주한
조성주
문준모
Original Assignee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모형 치아를 포함하는 실물 치아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레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형 치아에 대응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브라켓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모형 치아의 일면에 대응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MANUFACTURING METHOD FOR BRACKET MODULE FOR ORTHODONTIC AND BRACKET MODULE FOR ORTHODONTIC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교정용 브라켓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malocclusion)이라 하는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치열의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치열 교정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치열 교정 기술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일반적인 치열 교정기는, 환자의 각 치아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용 브라켓에 형성된 슬롯에 결착되어 치아들을 교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며, 교정용 브라켓에는 치면에 부착되기 위한 베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치열 교정기를 이용한 치열 교정은 일정한 형태로 대량 생산된 브라켓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시킨 후, 와이어를 이상적인 치열궁(치아들의 곡률)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부려 브라켓의 슬롯에 결착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브라켓은 환자의 치아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로 대량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브라켓의 베이스는 치아에 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베이스의 형상 자체가 정형화 또는 표준화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베이스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면, 치아 곡면에 의해 접착제가 퍼지면서, 접착제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가 상이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브라켓은 치아에 접착 시, 치아의 곡면에 대응하여 브라켓이 충분히 밀착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이 치아의 부착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교정용 브라켓의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8279호(2001.05.15.) “치과 교정 브라켓용 음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트랜스퍼 트레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순한 공정을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브라켓을 제조할 수 있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에 안정적으로 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의 편이성이 향상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모형 치아를 포함하는 실물 치아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레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형 치아에 대응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브라켓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모형 치아의 일면에 대응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모형 치아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모형 치아에 기반하여 3D 프린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걸림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회전 시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와이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모형 치아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레진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모형 치아와 상기 레진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용 브라켓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교정용 브라켓 모듈은, 일면이 환자의 실제 치아의 일면에 합형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가이드; 상기 브라켓 가이드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가 합형되지 않는 환자의 실제 치아의 다른 일면에 합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걸림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와이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레진 경화물 또는 수지재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형 치아에 레진을 배치하고, 브라켓으로 레진을 가압 변형하여 베이스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공정을 통해 간편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브라켓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진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가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가 치아의 부착면에 밀착하여 부착됨으로써, 브라켓이 환자의 치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레진의 중합 여부에 따라 브라켓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방법이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 치아 모델에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베이스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에서 제공되는 실물 치아 모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도 1의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 방법에서 제공되는 실물 치아 모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실물 치아 모델의 제공 단계 및 분리제 도포 단계를 도시하고, 도 4는 레진의 배치 단계 및 베이스부의 형상 단계를 도시하며, 도 5는 브라켓에 브라켓 가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하며, 도 6은 브라켓 가이드에 브라켓 가이드 지그를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모듈을 모형 치아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100)은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모형 치아를 포함하는 실물 치아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S110); 결합부의 내측에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배치하는 단계(S120); 결합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결합부의 내측으로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레진을 가압함으로써, 모형 치아에 대응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S130); 브라켓에 브라켓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S140); 및 브라켓 가이드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이 모형 치아의 일면에 대응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를 형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환자의 치아에 대한 실물 치아 모델(200)을 제공할 수 있다(도 2 및 도 3의 (a) 참조). 실물 치아 모델(200)은 환자의 교정 치료 전 또는 교정 치료 중의 실제 치열 구조(치관의 형상 및 치아 배치 구조)를 동일하게 재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물 치아 모델(200)은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형 치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치아 모델(200)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물 치아 모델(200)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열 구조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치열 구조의 3D 형상 데이터를 3D 프린터에 제공하여, 3D 프린터를 통해 실물 치아 모델(200)을 프린트할 수 있다.
실물 치아 모델(200)을 프린트하기 전에, 3D 형상 데이터에 의해 구현되는 3D 치열 이미지 상에서, 환자의 치아에 설정된 브라켓 고정위치에 대응하여 결합부(220)가 형성된 상태의 실물 치아 모델(200)에 대한 형상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결합부(220)가 형성된 실물 치아 모델(200)의 설계가 완료되면, 설계된 실물 치아 모델(200)의 3D 형상 데이터는 3D 프린터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부(220)가 일체로 형성된 실물 치아 모델(200)을 프린팅할 수 있다. 다만 실물 치아 모델(200)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 가능하다.
실물 치아 모델(200)의 모형 치아(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브라켓(310)에 대응하는 결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20)는 이하에서 상술되는 베이스부(32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브라켓(310)과 결합하여 브라켓(310)의 2 이상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부(220)는 사각형 틀 형태로 형성되어, 브라켓(310)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 모두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220)는 환자의 치열 교정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100)은, S110 단계 이전에 환자의 치열 교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브라켓 고정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로부터 환자의 현재 치아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된 치열 교정 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치열 교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치아에 대하여 브라켓(310)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결합부(220)는 이러한 브라켓 고정위치에 대응하여 모형 치아(2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모형 치아(210)의 표면에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브라켓(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0)는 모형 치아(210)의 일 영역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모형 치아(210)는 이러한 일 영역이 대향하는 결합부(22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22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22)이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브라켓(310)이 결합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걸림턱(222)에 의해 브라켓(310)이 모형 치아(21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모형 치아(210)의 표면에 분리제(S)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도 3의 (a) 참조). 구체적으로, 결합부(2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형 치아(210)의 표면에 분리제(S)를 도포할 수 있다. 분리제(S)는 베이스부(320)를 형성하는 레진(R)이 모형 치아(210)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제(S)의 종류 또는 성분은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레진 분리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모형 치아(210)에 분리제(S)가 도포된 상태로 도시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분리제(S)를 도포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R)의 종류 또는 상태 등에 따라 분리제(S)를 도포하지 않더라도, 레진(R)이 모형 치아(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경우에는 모형 치아(210)에 분리제(S)를 도포하지 않을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결합부(220)의 내측에 레진(R)을 배치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구체적으로 결합부(2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형 치아(210)의 표면에 연성 재질의 레진(R)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모형 치아(210)의 표면에는 분리제(S)가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레진(R)은 중합을 통해 소정의 경도로 경화되는 합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광중합형 레진(Light cured resin), 자가중합형 레진(Self cured resi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레진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결합부(220)에 배치되는 레진(R)은 중합되기 전으로서, 소정의 유동성 및/또는 접착성을 갖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310), 결합부(220)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베이스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결합부(22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결합부(220)의 내측으로 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레진(R)을 가압함으로써, 모형 치아(210)에 대응하는 베이스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베이스부(320)는 브라켓(310)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310)과 결합하여 환자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부(220)에 삽입되어 결합부(220)의 내측으로 결합되면, 레진(R)은 브라켓(310)에 의해 가압되면서 모형 치아(2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결합부(220)에 배치된 레진(R)은 미중합된 상태로서, 접착성을 갖고 있으므로, 브라켓(310)에 의해 가압 변형되는 과정에서 미중합된 상태의 레진(R)과 브라켓(310)이 소정의 접착력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중합된 상태의 레진(R)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는 맞춤형 베이스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310) 결합 시, 브라켓(310)이 걸림턱(222)에 의해 지지되어 모형 치아(21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되며, 이를 통해, 베이스부(320)가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30 단계는 레진(R)을 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 결합부(220)에 브라켓(310)을 결합하여 미중합된 상태의 레진(R)이 소정의 형상으로 가압 변형된 후, 레진(R)을 소정의 강도 이상으로 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R)이 광중합형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광조사기를 통해 빛을 조사하여 레진(R)을 광중합시킬 수 있다. 레진(R)이 중합되면 소정의 강도 이상으로 굳으면서 브라켓(310)과 모형 치아(210)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합된 상태의 레진(R)을 이용하여 베이스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레진(R)을 중합시키는 단계는 실시예에 따라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20)를 미중합된 상태의 레진(R)으로 구성할지, 또는 중합된 상태의 레진(R)으로 구성할지 여부에 따라 레진(R)을 중합시키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부(320)를 형성하는 레진(R)의 상태에 따라서 브라켓(310)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는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브라켓(310)은 베이스부(320)와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310)에는 교정용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수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10)의 형상, 크기 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310)이 부착되는 위치, 환자의 상태 또는 와이어의 단면 형상 등을 고려하여 환경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310)은 와이어 수용부(312)에 부가적/대안적으로 와이어를 커버하는 덮개부와 같은 다른 기능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310)은 튜브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와이어 수용부(312)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브라켓(310)의 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레진(R)과 브라켓 몸체부(310) 또는 모형 치아(210) 사이의 접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R)과 접촉하는 브라켓 몸체부(310)의 일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어, 레진(R)과 브라켓(310) 또는 모형 치아(210) 사이의 접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R)과 접촉하는 브라켓 몸체부(310)의 일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어, 브라켓(310)과 레진(R)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브라켓(310)과 레진(R) 사이의 접착 강도가 레진(R)과 모형 치아(210)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에 의해 레진(R)의 중합 여부와 무관하게 레진(R)이 모형 치아(210)보다 브라켓(310)에 보다 강하게 접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진(R)으로 형성된 베이스부(320)는 브라켓(310)과 함께 모형 치아(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브라켓(310)에 브라켓 가이드(400)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00)는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0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410),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브라켓(31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420),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후술할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샤프트(430) 및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걸림되어 플레이트(410)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바(420)는 플레이트(410)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31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바(420)는 브라켓(310)의 와이어 수용부(3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바(420)의 외면은 와이어 수용부(3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바(420)는 와이어 수용부(312)에 압입될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삽입바(420)와 브라켓(310)의 결합력은 베이스부(320)와 모형 치아(210)의 접착력보다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가이드(400)를 파지하여 외력을 가하면 브라켓(310) 및 브라켓(310)의 일면에 형성된 베이스부(320)는 모형 치아(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삽입바(420)와 브라켓(310)의 결합력은 베이스부(320)가 환자의 실제 치아에 접착된 경우, 베이스부(320)와 환자의 실제 치아의 접착력보다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20)를 통해 브라켓(310)을 환자의 실제 치아에 접착한 후 외력을 가함으로써 삽입바(420)를 브라켓(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30)는 삽입바(420)와 이격되도록 플레이트(410)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20)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는 회전 샤프트 삽입홀(51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30)는 브라켓(310)이 환자의 실제 치아에 고정되면 회전 샤프트 삽입홀(5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토퍼(440)는 플레이트(410)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440)는 삽입바(420)와 회전 샤프트(420)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440)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형성된 걸림홈(520)에 걸림되어 플레이트(410)의 회전 반경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410)는 회전 샤프트(430)가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지만,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스토퍼(4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40)가 제한하는 플레이트(410)의 회전 반경은 베이스부(320)를 형성하는 두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스토퍼(440)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는 스토퍼(440)가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의 걸림홈(520)에 간섭되어 플레이트(4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는 레진 경화물 또는 수지재 경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는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경화 시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는 레진(Resin)을 브라켓 가이드(400)의 적어도 일부 및 모형 치아(2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를 형성하는 레진으로서 광중합형 레진(Light cured resin), 자가 중합형 레진(Self cured resin), 패턴 레진(Pattern resin) 등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 형성 시, 레진이 모형 치아(2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도포된 후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의 모형 치아(210)를 덮는 부분은 모형 치아(21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형 치아(210)는 환자의 실물 치아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의 모형 치아(210)의 외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환자의 실물 치아의 외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의 모형 치아(210)의 외면에 대응하는 부분을 환자의 실물 치아와 합형되게 배치시킨 후에 브라켓(310)을 환자의 실물 치아의 외면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를 모형 치아(210) 또는 환자의 실물 치아 모델에 기반하여 3D 프린팅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는 회전 샤프트 삽입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삽입홀(510)은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 형성 시, 브라켓 가이드(400)의 회전 샤프트(430)를 둘러싼 레진이 경화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를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회전 샤프트(430)의 외면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삽입홀(510)에는 브라켓 가이드(400)의 회전 샤프트(43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는 걸림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20)은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와 브라켓 가이드(400)의 상대 회전시 브라켓 가이드(400)의 스토퍼(440)와 간섭되어 브라켓 가이드(4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모듈(1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정용 브라켓 모듈(10)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일면이 환자의 실제 치아의 일면에 합형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가이드(400), 브라켓 가이드(4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가 합형되지 않는 환자의 실제 치아의 다른 일면에 합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브라켓(3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00)는 플레이트(410),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브라켓(31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420),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샤프트(430) 및 플레이트(41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 걸림되어 플레이트(410)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 지그(500)에는 스토퍼(440)가 걸림되는 걸림홈(5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홈(520)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플레이트(410) 회전 시 스토퍼(440)와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브라켓(310)의 일면에는 와이어 수용부(3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브라켓 가이드(400)의 삽입바(420)는 와이어 수용부(31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실물 치아 모델 210: 모형 치아
220: 결합부 222: 걸림턱
310: 브라켓 312: 와이어 수용부
320: 베이스부 400: 브라켓 가이드
410: 플레이트 420: 삽입바
430: 회전 샤프트 440: 스토퍼
500: 브라켓 가이드 지그

Claims (13)

  1.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모형 치아를 포함하는 실물 치아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레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형 치아에 대응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브라켓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모형 치아의 일면에 대응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및 상기 모형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모형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성 재질의 레진(Resin)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모형 치아에 기반하여 3D 프린팅으로 형성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걸림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회전 시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와이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모형 치아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레진 사이의 접착 강도는 상기 모형 치아와 상기 레진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9. 일면이 환자의 실제 치아의 일면에 합형되는 브라켓 가이드 지그;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가이드;
    상기 브라켓 가이드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가 합형되지 않는 환자의 실제 치아의 다른 일면에 합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상기 브라켓 가이드 및 상기 실제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 걸림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와이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바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가이드 지그는 레진 경화물 또는 수지재 경화물을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모듈.
KR1020200067191A 2020-06-03 2020-06-03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KR10234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91A KR102340293B1 (ko) 2020-06-03 2020-06-03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91A KR102340293B1 (ko) 2020-06-03 2020-06-03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65A KR20210150165A (ko) 2021-12-10
KR102340293B1 true KR102340293B1 (ko) 2021-12-16

Family

ID=7886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191A KR102340293B1 (ko) 2020-06-03 2020-06-03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2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035A (ja) 2004-03-04 2005-09-15 Align Technology Inc 歯科用テンプレ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539950A (ja) * 2005-05-13 2008-11-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科矯正治療用の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トレイの作成方法
JP2010522027A (ja) 2007-03-22 2010-07-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硬化性接着材料を使用して歯列矯正装具を接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JP2017012782A (ja) 2008-06-26 2017-01-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列矯正装具用のラピッドプロトタイプ移動トレ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42B1 (ko) 1999-10-23 2002-10-09 박제영 치과 교정 브라켓용 음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트랜스퍼 트레이
JP5362383B2 (ja) * 2009-02-18 2013-12-11 有限会社オーソスターシオン 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035A (ja) 2004-03-04 2005-09-15 Align Technology Inc 歯科用テンプレ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539950A (ja) * 2005-05-13 2008-11-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科矯正治療用の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トレイの作成方法
JP2010522027A (ja) 2007-03-22 2010-07-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硬化性接着材料を使用して歯列矯正装具を接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7012782A (ja) 2008-06-26 2017-01-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列矯正装具用のラピッドプロトタイプ移動トレー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65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793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EP3868328B1 (en) Flexible 3d printed orthodontic device
JP5284319B2 (ja) 歯列矯正器具用ポジショニング装置
JP4834082B2 (ja) 歯科矯正治療用の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トレイの作成方法
US894481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orthodontic device
KR102094835B1 (ko) 원심 이동 장치의 조립 방법
US20140080082A1 (en) Light cure bite plate for orthodontic remodeling devices
JP6684363B2 (ja) 歯列矯正具
KR101804991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KR102340293B1 (ko) 교정용 브라켓 모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정용 브라켓 모듈
KR100763315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641497B1 (ko) 치열 교정용 튜브의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KR102332647B1 (ko) 맞춤형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교정용 브라켓의 제조 방법
JP2022551352A (ja) 歯科矯正装具を接着するためのカスタム器具及び歯科矯正装具の接着方法
JP2015047428A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KR101518711B1 (ko)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210706B1 (ko) 지그/교정기구 복합체
JP2019506975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101940741B1 (ko)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1506786B1 (ko) 치열교정 장치
KR10251042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163625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포지셔닝을 위한 브라켓 지그
KR102619130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1785021B1 (ko) 호선 위치 안내용 지그 모형 제작 방법 및 그 지그 모형을 통해 트랜스퍼 지그를 제작하는 트랜스퍼 지그 제작 방법
JP2022060705A (ja) 歯列矯正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歯列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