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92Y1 -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292Y1 KR200275292Y1 KR2020020004011U KR20020004011U KR200275292Y1 KR 200275292 Y1 KR200275292 Y1 KR 200275292Y1 KR 2020020004011 U KR2020020004011 U KR 2020020004011U KR 20020004011 U KR20020004011 U KR 20020004011U KR 200275292 Y1 KR200275292 Y1 KR 2002752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xillary
- hole
- fixing
- fixed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부정교합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로서, 그 일단에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에 하악석고모형(200)을 설치하기 위한 하악받침대(10)와; 그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11')의 상단 양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25)(25')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악받침대(30)와;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및 전ㆍ후 수평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과; 상기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의 하부측에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상ㆍ하 수직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수직이동측정부재(400)와;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상악석고모형(200)의 좌ㆍ우 및 전ㆍ후 회전이동에 따른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500)과; 상기 상악받침대(30)의 타단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봉(600)과;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악석고모형(150)(200)의 교합을 위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기준점표시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부정교합에 따른 교정치료를 위해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여러 가지 측정을 객관적이고 정확한 계측에 의해 교정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교정 수술시 상악골의 삼차원적 위치설정을 객관적이고 정확한 계측에 의해 부여함으로써 구체적인 교정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한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은 턱관절운동에 따라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치열(齒列)이 바르지 않아 상하의 치아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 부정교합은 치아의 위치가 이상한 전이치(轉移齒), 치열이 고르지 못한 난항치(亂杭齒), 어금니는 맞물리나 앞니가 맞물리지 않는 개교(開咬), 위 치열 특히 앞니가 아래 치열을 덮는 정도가 현저한 과개(過蓋), 옆니와의 사이가 벌어진 치간이개(齒間離開), 특정의 이가 옆니에 끼어서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저위교합(低位咬合) 등의 치열상의 부정에 의한 부정교합과 상 하악골의 성장이상에 따른 골격성 부정교합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정교합은 어느 경우이든 심미적 문제점을 야기할 뿐 만 아니라 발음상의 문제와 저작기능의 저하 이외에 충치와 잇몸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으로 만들기 위해 적절한 치료를 해주어야 하는데 보통의 치료방법으로는 환자의 나이나 악골 및 구강내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가철식 교정장치와 고정식교정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치료순서는 우선 문진 및 시진과 치과용 엑스레이를 찍어서 치아의 뿌리상태와 잇몸의 건강도를 관찰하고, 개개인의 두개 악안면 방사선 사진과 석고 모형을 계측, 분석하여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 후 적절한 교정장치를 선택하여 일정기간 적용한 후 교정장치를 제거하며, 다시 유지장치를 일정기간 동안 장착함으로서 치료가 완료된다.
그러나, 골격성 부조화가 심한 경우에는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악골을 포함하는 수술을 시행할 때 상악골의 절제 범위와 절제 부위 및 절제 량 등을 결정할 때 종래에는 적절한 계측장치가 없어 석고모형을 일반적인 교합기에 교합상태로 맞춰놓고 의사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해 수 작업을 통해 치료계획을 세움으로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측정에 의한 악교정 시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정한 교합기가 아닌 일반적인 교합기에도 손쉽게 본 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교합기의 상부구조와 상악석고모형사이의 좁은 공간에 상악석고모형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여 설치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어 왔으나, 본 고안은 전후방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방의 좁은 공간에는 하나의 기능(전후방 회전)만을 담당하는 부분이 배치됨과 아울러 전방 부분에서 나머지 기능을 수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인 어려움이 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2의 D-D'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 및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측정부재(400) 및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5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600) 및 기준점표시수단(7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A 내지 10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악받침대 11,11' : 지지프레임
15 : 하악고정판 20 : 보조받침부재
25,25' : 힌지축 30 : 상악받침대
40 : 고정부재 50 : 좌ㆍ우 수평이동부재
60 : 전ㆍ후 수평이동부재 70 : 상ㆍ하 수직이동부재
80 : 좌ㆍ우 회전이동부재 90 : 전ㆍ후 회전이동부재
100 : 상악고정판 150 : 상악석고모형
200 : 하악석고모형 300 :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
400 : 수직이동측정부재 500 :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
600 : 지지봉 700 : 기준점표시수단
710 : 이동부재 720 : 표시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아의 부정교합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에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측에 하악석고모형을 설치하기 위한 하악받침대; 그 일단이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 양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악받침대; 상기 상악받침대의 저면에 설치고정되고, 전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가 형성되며, 그 저면 일측에 제 1가이드홈을 갖는 고정부재; 그 상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좌ㆍ우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 제 2가이드홈을 갖는 좌ㆍ우 수평이동부재; 그 상면에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의 제 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전ㆍ후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저면에 삽입홈을 갖는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전ㆍ후 수평이동부재; 그 일측이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로 수직이동가능하고,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자를 갖는 수직이동측정부재;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구멍을 갖는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상ㆍ하 수직이동부재; 그 일측 상면에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의 돌출부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공간부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관통홀 및 나사홀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구멍 및 나사홀에 좌ㆍ우 회전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좌ㆍ우 회전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의 전면 상단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가 형성되고, 그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향 절곡된 제 1절곡편과 상기 제 1절곡편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향 절곡된 제 2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절곡편의 저면에 구멍을갖는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좌ㆍ우 회전이동부재; 그 일측 상면에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의 돌출부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공간부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관통홀 및 나사홀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구멍 및 나사홀에 전ㆍ후 회전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전ㆍ후 회전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의 전면 상단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악석고모형을 설치하기 위한 전ㆍ후 회전이동부재; 상기 상악받침대의 타단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기준점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악받침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 하악석고모형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가 형성된 하악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악받침대의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제 1가이드홈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 및 나사홀에 좌ㆍ우 수평이동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홈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홈은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눈금자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의 제 2가이드홈은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의 일측에 나사홀이 형성되고, 이 나사홀에 전ㆍ후 수평이동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를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의 눈금자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의 돌출부 외주면에 삽입홈을 관통하도록 나사홀이 형성되고, 이 나사홀에 상ㆍ하 수직이동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를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의 삽입홈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의 눈금자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의 제 2절곡편 일측면에는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의 눈금자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악받침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악석고모형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가 형성된 상악고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표시수단은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되, 그 중심이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에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이동부재의 관통홀에 밀착 고정하게 되며, 그 타측면에 나사홈을 갖는 이동부재; 및 그 일단에 끝이 뽀족한 표시부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타측 일면에 소정길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나사홈에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하게 된 표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 단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D-D' 단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 및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측정부재(400) 및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5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600) 및 기준점표시수단(7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아의 부정교합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로서 크게, 그 일단에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에 하악석고모형(200)을 설치하기 위한 하악받침대(10)와; 그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11')의 상단 양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25)(25')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악받침대(30)와;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및 전ㆍ후 수평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과; 상기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의 하부측에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상ㆍ하 수직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수직이동측정부재(400)와;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및 전ㆍ후 회전이동에 따른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500)과; 상기 상악받침대(30)의 타단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봉(600)과;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하악석고모형(150)(200)의 교합을 위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기준점표시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악받침대(10)의 일단 양측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1)(1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악받침대(10)의 중앙부 일측에는 관통홀(1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12)의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돌기부(13)(1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하악받침대(10)의타단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요홀(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악받침대(10)의 상면에는 하악석고모형(200)을 직접 장착하기 위한 하악고정판(15)이 설치 고정되는 바, 상기 하악고정판(15)의 일측에는 상기 하악받침대(10)의 관통홀(12)에 대응되도록 나사홀(16)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2) 및 나사홀(16)에 고정볼트(17)를 삽입하여 상기 하악고정판(15)을 하악판침대(10)의 상면에 밀착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악고정판(15)의 저면에는 상기 하악받침대(10)의 돌기부(13)(13')가 삽입 안착되도록 이에 대응되게 요홈(18)(18')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고정판(15)의 상면에는 상기 하악석고모형(200)을 결합함에 있어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악받침대(10)의 타단 상면에는 보조받침부재(20)가 설치 고정되는 바, 상기 보조받침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하악받침대(10)의 요홀(14)에 삽입 안착되도록 일측에 나사홀(21)을 갖는 돌출부(2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홀(14) 및 나사홀(21)에 고정볼트(23)를 삽입하여 상기 보조받침부재(20)를 하악판침대(10)의 상면에 밀착고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11')의 상단 양측으로 형성된 관통홀(24)(24')에 삽입되어 한 쌍의 힌지축(25)(25')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상악받침대(3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일단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25)(25')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31)(31')이 형성되고,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중앙부 일측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32)의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돌기부(33)(33')가 형성되며, 상기 상악받침대(30)의 타단부에는 관통홀(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34)을 관통하도록 나사홀(35)이 형성되며, 상기 상악받침대(30)의 돌기부(33')와 관통홀(34)사이에는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방수평이동측정수단(300)은,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 일측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좌ㆍ우측으로 수평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와; 상기 좌ㆍ우측 수평이동부재(50)의 저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전ㆍ후측으로 수평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수평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면에는 상기 상악받침대(30)의 관통홀(32)에 대응되도록 나사홀(4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32) 및 나사홀(41)에 고정볼트(42)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40)를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밀착고정하게 되고, 상기 상악받침대(30)의 돌기부(33)(33')가 삽입 안착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43)(4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저면 일측에는 제 1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악받침대(30)의 구멍(36)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가이드홈(44)을 관통하는 나사홀(45)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6) 및 나사홀(45)에 좌ㆍ우 수평이동고정볼트(46)를 삽입하여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를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에 밀착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의 전면에는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수평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중앙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4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은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국한하지 않고, "" 또는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좌ㆍ우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좌ㆍ우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제 1가이드홈(4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5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저면에는 제 2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일측면에는 상악석고모형(150)의 전ㆍ후 수평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중앙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눈금자(47)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이를 기준으로 좌ㆍ우측으로 얼마만큼 이동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도록 기준선(5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제 2가이드홈(52)은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국한하지 않고, "" 또는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제 2가이드홈(5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전ㆍ후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상면에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제 2가이드홈(5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전ㆍ후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제 2가이드홈(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6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일측에 나사홀(62)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62)에 전ㆍ후 수평이동고정볼트(63)를 삽입하여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를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저면에 밀착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일측면에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눈금자(53)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이를 기준으로 전ㆍ후측으로 얼마만큼 이동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도록 기준선(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저면에는 중심에 원형의 삽입홈(65)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66)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6)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65)을 관통하도록 나사홀(67)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삽입홈(65)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각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65)의 형상도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는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삽입홈(65)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로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일측이 상기 삽입홈(65)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 수직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66)의 나사홀(67)에 상ㆍ하 수직이동고정볼트(68)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삽입홈(65)에 밀착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외주면에는 상ㆍ하 수직이동에 따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자(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단면형상은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삽입홈(6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방회전이동측정수단(500)은,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어 이의 상ㆍ하 수직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구비된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와;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하부측에 삽입 안착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좌ㆍ우 회전에 따른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와;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타측 저면에 삽입 안착되어 상악석고모형(150)의 전ㆍ후 회전에 따른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와;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저면에 설치 고정되고, 그 저면에 상악석고모형(150)을 장착하도록 구비된 상악고정판(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안착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71)을 관통하도록 나사홀(72)이 형성되며, 이나사홀(72)에 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안착홈(71)에 밀착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저면에는 돌출부(7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이 돌출부(74)의 하단 중앙부에는 구멍(75)이 형성되며,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전면 중앙에는 기준선(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돌출부(74)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소정의 공간부(81)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한 쌍의 돌출부(82)(8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82)의 일측에는 관통홀(8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82)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기준선(76)에 대응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8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82')의 일측에는 중심이 상기 구멍(82)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구멍(83)의 직경보다 작은 나사홀(8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81)에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돌출부(74)가 삽입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83), 구멍(75) 및 나사홀(85)에 좌ㆍ우 회전고정볼트(86)를 삽입하여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돌출부(74)를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돌출부(82')에 밀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타측 끝단에는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방향 절곡된 제 1절곡편(87)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절곡편(87)의 끝단에는 직각으로 연장되어 후방향 절곡된 제 2절곡편(88)이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2절곡편(88)의 일측 저면에는 하단 중앙부에 구멍(89)을 갖는 돌출부(91)가 일체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2절곡편(88)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멍(89)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기준선(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는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돌출부(91)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소정의 공간부(93)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한 쌍의 돌출부(94)(9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94)의 일측에는 관통홀(95)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94)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기준선(92)에 대응되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96)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94')의 일측에는 중심이 상기 구멍(95)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구멍(95)의 직경보다 작은 나사홀(9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일측에는 판상을 관통하는 구멍(9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93)에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돌출부(91)가 삽입 안착되고, 상기 관통홀(95), 구멍(89) 및 나사홀(97)에 전ㆍ후 회전고정볼트(99)를 삽입하여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돌출부(91)를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돌출부(94')에 밀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악고정판(100)은 일측에는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구멍(98)에 대응되도록 나사홀(101)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98) 및 나사홀(101)에고정볼트(110)를 삽입하여 상기 상악고정판(100)을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저면에 밀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악고정판(100)의 저면에는 상악석고모형(150)을 결합함에 있어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600)은 상악받침대(30)의 관통홀(34)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로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지지봉(600)의 일단은 상기 보조받침부재(20)의 상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상악받침대(30)가 수평위치에 놓여있을 때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악받침대(30)의 관통홀(34)에 고정볼트(610)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봉(600)을 관통홀(34)에 밀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기준점표시수단(700)은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 상기 기준점표시수단(700)은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그 중심이 관통된 관통홀(711)을 갖는 이동부재(710)와; 상기 이동부재(7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ㆍ후 이동 및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표시부재(7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7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711)을 관통하는 나사홀(712)이 형성되고, 이 나사홀(712)에 고정볼트(713)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봉(600)을 상기 이동부재(710)의 관통홀(711)에 밀착 고정하게 되며, 상기 이동부재(710)의 타측면에는 나사홈(7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재(720)의 일측 끝단에는 그 끝이 뽀족한 표시부(721)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재(720)의 타측 일면에는 소정길이의가이드홈(722)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722) 및 상기 이동부재(710)의 나사홈(714)에 고정볼트(723)를 삽입하여 상기 표시부재(720)를 이동부재(7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부정교합 환자의 상ㆍ하악석고모형(150)(200)을 본뜬 후, 상기 상ㆍ하악석고모형(150)(200)을 각각 상ㆍ하악고정판(100)(15)에 부착한 다음, 상기 하악석고모형(200)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점표시수단(700)의 이동부재(710)에 결합된 고정볼트(713) 및 표시부재(720)에 결합된 고정볼트(723)를 풀고 조여서 하악석고모형(200)에 따른 교합 기준점을 맞춘 후, 상기 기준점표시수단(700)을 이동하여 상악석고모형(150)의 교합 기준점에 위치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하악석고모형(200)을 기준으로 상악석고모형(150)이 좌ㆍ우 수평으로 얼마만큼 이격되었는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고정볼트(46)를 풀고 조여서,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를 교합 기준점에 맞춰 좌ㆍ우측으로 이동 및 고정시킨 후,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기준선(54)이 고정부재(40)의 눈금자(47)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보고 체크한다.
또한, 상기 상악석고모형(150)이 전ㆍ후 수평으로 얼마만큼 이격되었는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고정볼트(63)를 풀고 조여서,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를 교합 기준점에 맞춰 전ㆍ후측으로 이동 및 고정시킨 후,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기준선(64)이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눈금자(53)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보고 체크한다.
또한, 상기 상악석고모형(150)이 상ㆍ하로 얼마만큼 이격되었는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고정볼트(68)를 풀고 조여서,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교합 기준점에 맞춰 상ㆍ하측으로 이동 및 고정시킨 후,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눈금자(69)를 보고 체크한다.
또한, 상기 상악석고모형(150)이 좌ㆍ우측으로 얼마만큼 기울어졌는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고정볼트(86)를 풀고 조여서,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를 교합 기준점에 맞춰 좌ㆍ우측으로 회전 및 고정시킨 후,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기준선(76)이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눈금자(84)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보고 체크한다.
또한, 상기 상악석고모형(150)이 전ㆍ후측으로 얼마만큼 기울어졌는지 측정할 때에는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고정볼트(98)를 풀고 조여서,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를 교합 기준점에 맞춰 전ㆍ후측으로 회전 및 고정시킨 후,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기준선(92)이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눈금자(96)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보고 체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는 하악석고모형을 기준으로 하여 상악석고모형을 사방수평이동, 상ㆍ하 수직이동 및 사방회전이동에 따른 측정을 자유로이 함으로써, 부정교합의 수술 교정에 있어 객관적이고 정확한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악골 수술시 수술용 레진 교합상(SURGICAL SPLINT)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악석고모형을 기준으로 하여 상악석고모형을 사방수평이동, 상ㆍ하 수직이동 및 사방회전이동에 따른 측정을 자유로이 함으로써, 부정교합의 교정치료에 있어 수술교정시 상악골의 위치를 객관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설정케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수술시 이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교합상 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Claims (13)
- 치아의 부정교합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에 있어서,그 일단에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1')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측에 하악석고모형(200)을 설치하기 위한 하악받침대(10);그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11')의 상단 양측으로 한 쌍의 힌지축(25)(25')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상악받침대(30);상기 상악받침대(40)의 저면에 설치고정되고, 전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47)가 형성되며, 그 저면 일측에 제 1가이드홈(44)을 갖는 고정부재(40);그 상면에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좌ㆍ우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돌출부(5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53)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 제 2가이드홈(52)을 갖는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그 상면에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제 2가이드홈(5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전ㆍ후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돌출부(6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저면에 삽입홈(65)을 갖는 돌출부(66)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그 일측이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삽입홈(65)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로 수직이동가능하고,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눈금자(69)를 갖는수직이동측정부재(400);그 상면 중앙에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안착홈(71)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구멍(75)을 갖는 돌출부(74)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그 일측 상면에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돌출부(74)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공간부(81)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관통홀(83) 및 나사홀(85)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82)(8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홀(83), 구멍(75) 및 나사홀(85)에 좌ㆍ우 회전고정볼트(86)를 결합하여 좌ㆍ우 회전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82)의 전면 상단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84)가 형성되고, 그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방향 절곡된 제 1절곡편(87)과 상기 제 1절곡편(87)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향 절곡된 제 2절곡편(88)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절곡편(88)의 저면에 구멍(89)을 갖는 돌출부(91)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그 일측 상면에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돌출부(91)를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공간부(93)를 갖도록 서로 대향된 관통홀(95) 및 나사홀(97)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94)(9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홀(95), 구멍(89) 및 나사홀(97)에 전ㆍ후 회전고정볼트(99)를 결합하여 전ㆍ후 회전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94)의 전면 상단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눈금자(96)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악석고모형(150)을 설치하기 위한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상기 상악받침대(30)의 타단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봉(600); 및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기준점표시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받침대(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 하악석고모형(200)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19)가 형성된 하악고정판(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일측에 구멍(36)이 형성되고, 이 구멍(36)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을 나사홀(45)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6) 및 나사홀(45)에 좌ㆍ우 수평이동고정볼트(46)를 결합하여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를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제 1가이드홈(44)은 ""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눈금자(47)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5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제 2가이드홈(52)은 ""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일측에 나사홀(62)이 형성되고, 이 나사홀(62)에 전ㆍ후 수평이동고정볼트(63)를 삽입하여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를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일측면에는 상기 좌ㆍ우 수평이동부재(50)의 눈금자(53)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 수평이동부재(60)의 돌출부(66) 외주면에 삽입홈(65)을 관통하도록 나사홀(67)이 형성되고, 이 나사홀(67)에 상ㆍ하 수직이동고정볼트(68)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를 상기 수직이동측정부재(400)의 삽입홈(65)에 밀착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 수직이동부재(70)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눈금자(84)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7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 회전이동부재(80)의 제 2절곡편(88) 일측면에는 상기 전ㆍ후 회전이동부재(90)의 눈금자(96)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기준선(92)이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받침대(3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 상악석고모형(150)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요홈부(130)가 형성된 상악고정판(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표시수단(700)은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ㆍ하 수직이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되,그 중심이 상기 지지봉(6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관통된 관통홀(711)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관통홀(711)을 관통하는 나사홀(712)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712)에 고정볼트(713)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봉(600)을 상기 이동부재(710)의 관통홀(711)에 밀착 고정하게 되며, 그 타측면에 나사홈(714)을 갖는 이동부재(710); 및그 일단에 끝이 뽀족한 표시부(721)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타측 일면에 소정길이의 가이드홈(722)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722) 및 상기 이동부재(710)의 나사홈(714)에 고정볼트(723)를 삽입하여 상기 이동부재(7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하게 된 표시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011U KR200275292Y1 (ko) | 2002-02-07 | 2002-02-07 |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011U KR200275292Y1 (ko) | 2002-02-07 | 2002-02-07 |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292Y1 true KR200275292Y1 (ko) | 2002-05-11 |
Family
ID=7307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4011U KR200275292Y1 (ko) | 2002-02-07 | 2002-02-07 |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292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0732B1 (ko) | 2009-04-24 | 2011-10-07 | 오창옥 |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
KR101074023B1 (ko) | 2009-11-05 | 2011-10-1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크로미터 다이얼로 조절되는 6축 매뉴얼 스테이지를 이용한 모의 악교정수술장치 |
WO2012053677A1 (ko) * | 2010-10-20 | 2012-04-26 | Oh Chang Ok |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
KR20190060092A (ko) * | 2017-11-24 | 2019-06-03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악교정 수술용 악골 측정기 |
KR102275783B1 (ko) * | 2021-01-25 | 2021-07-08 | 장일환 | 교합기용 인공치아 배열장치 |
KR20220165907A (ko) * | 2021-06-09 | 2022-12-16 | 김현수 |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
-
2002
- 2002-02-07 KR KR2020020004011U patent/KR2002752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0732B1 (ko) | 2009-04-24 | 2011-10-07 | 오창옥 |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
KR101074023B1 (ko) | 2009-11-05 | 2011-10-1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크로미터 다이얼로 조절되는 6축 매뉴얼 스테이지를 이용한 모의 악교정수술장치 |
WO2012053677A1 (ko) * | 2010-10-20 | 2012-04-26 | Oh Chang Ok |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
KR20190060092A (ko) * | 2017-11-24 | 2019-06-03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악교정 수술용 악골 측정기 |
KR102030251B1 (ko) | 2017-11-24 | 2019-10-08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악교정 수술용 악골 측정기 |
KR102275783B1 (ko) * | 2021-01-25 | 2021-07-08 | 장일환 | 교합기용 인공치아 배열장치 |
KR20220165907A (ko) * | 2021-06-09 | 2022-12-16 | 김현수 |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
KR102519986B1 (ko) | 2021-06-09 | 2023-04-10 | 김현수 | 이종의 치과용 교합기 간에 호환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Lissa et al. | Efficacy of intraarch mechanics using differential moments for achieving anchorage control in extraction cases | |
Myser et al. | Long-term stability: postretention changes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 |
US8801431B2 (en) | Combination tool for anatomical measurement for denture manufacture | |
US8690569B2 (en) | Guide tube positioning method in polymeric material plate, tomographic reference support and guide tube positioning device | |
Ahuja et al. | Defining available restorative space for implant overdentures | |
EP3145664B1 (en) | A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 |
Elnagar et al. | Dentoalveolar and arch dimension changes in patients treated with miniplat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 |
Ferro et al. | Sagittal and vertical changes after treatment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ccording to the Cetlin method | |
KR200275292Y1 (ko) |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 |
JP4876276B2 (ja) | 歯科用フェイスボウ | |
McKinney et al. | Influence of patient age and sex on orthodontic treatment: evaluations of Begg lightwire, standard edgewise, and straightwire techniques | |
AU2013247408B2 (en) | Guide tube positioning method in polymeric material plate, tomographic reference support and guide tube positioning device | |
KR101074023B1 (ko) | 마이크로미터 다이얼로 조절되는 6축 매뉴얼 스테이지를 이용한 모의 악교정수술장치 | |
KR101042380B1 (ko) |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 |
US20130309631A1 (en) | Jig for bite alignment in dentistry and bite regis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RU2731648C1 (ru) |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увеличения ширины прикрепленной десны после проведения вестибулопластики | |
KR20040034561A (ko) | 의치상과 그 제작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기구 | |
Balaji et al. | A review on transverse discrepancies | |
KR101365907B1 (ko) | 상하악 악간관계 조정장치 | |
JP2003220079A (ja) | 咬合分析装置とその分析方法及びリファレンスマーカー | |
RU114844U1 (ru) | Постановочный столик для артикулятора | |
KR101099794B1 (ko) | 악 교정 수술 용 바이트 포크 | |
JP3889150B2 (ja) | 咬合診断器 | |
Nazir et al. |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FMA) and lower incisor to A-Pog distance, and their relation in different skeletal classes | |
Gasgoos et al. | Evaluation of interradicular distance in class II malocclusion for mini-implant insertion: A CBCT stu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