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602A -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결정법 - Google Patents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결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602A
KR20060019602A KR1020057024202A KR20057024202A KR20060019602A KR 20060019602 A KR20060019602 A KR 20060019602A KR 1020057024202 A KR1020057024202 A KR 1020057024202A KR 20057024202 A KR20057024202 A KR 20057024202A KR 20060019602 A KR20060019602 A KR 2006001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concrete
shaft
anchor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쓰모토겐치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쓰모토겐치쿠디자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쓰모토겐치쿠디자인
Publication of KR2006001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임시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지극히 간단한 구성의 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한 순서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버림 콘크리트(2)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에 대응시켜 착설구(1)의 대좌(1a)를 고정설치하고, 그 중공볼트(1b)에 힌지부(4)및 턴버클부(5)를 통하여 앵커볼트(6)을 세우고,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계속하여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그 타설압력으로 힌지부(4)가 절곡하여 구부러진 앵커볼트(6)을 연직기로 측정하면서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연직 유지기로 유지하도록 하여, 앵커볼트(6)을 정밀하게 위치결정 설치한다.

Description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METHOD OF PRECISELY POSITIONING ANCHOR BOLT IN FOUNDATION BY SWING-TYPE ANCHOR BOLT}
본 발명은, 각종 건조물의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앵커볼트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정밀위치 결정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일본식 건조물의 기초에는, 그의 구축시에, 그 기초와 그 위에 착설되는 상부 구조의 몸체를 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앵커볼트를 착설해 둘 필요가 있다. 앵커볼트는, 말할 필요도 없이, 그 하부를 기초중에 매설하고, 상부는 그 기초의 윗면으로부터 돌출시켜 놓는 것이다.
종래의 목조축조공법의 주택건축에서는, 토대에 개구하는 앵커볼트용의 관통공이, 모두 건축 현장에서 기초 천단(天端)에 세워설치하고 있는 앵커볼트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치수를 재고, 그 위치를 착설하기 전의 토대에 표시한 다음, 그 부위에 구멍을 뚫어 개구한 것이다. 그 때문에 토대의 기초 천단으로의 착설은, 이러한 귀찮은 작업을 거친 후에야 겨우 실시할 수 있게 된 것이어서, 매우 효율이 나쁜 작업이었다.
목조축조공법이라도, 상기와는 달리, 토대의 프리컷트시에 앵커볼트용의 관통공을 미리 뚫어놓는 것으로 하고, 건축 현장에서는, 옮겨들인 토대를 즉시 기초 천단에 착설하는 것으로 하면, 그 능률은 지극히 좋은 것이 된다. 무엇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초천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앵커볼트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고 , 또한 그 높이도 정확하게 조절되고 있을 것이 전제가 된다.
조립식 건축이나 철골 건축에 있어서는, 그들의 상부구조가 공장 생산이며, 건축현장에서의 자유도가 극단적으로 적은 것이기 때문에, 이들과 결합하게 될 앵커볼트도 기초에 정확하게 장착되고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의 기초로의 착설에는, 타설한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기초의 세움부의 천단상에, 임시거푸집으로부터 그 기준심 라인에 따라서 수평으로 먹줄을 치고, 이 먹줄을 따라서, 도면에 의해, 치수를 측정하면서 차례로 앵커볼트를 때려넣고, 또한 이러한 앵커볼트를 그 때려넣은 상태로 지지수단에 의해 거푸집에 고정한다고 하는 기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콘크리트의 경화까지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완료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바쁘게 행해지고, 계측도 부정확하게 되기 쉬운 것이며, 앵커볼트를 심어 놓은 것의 탈락도 자주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이 기법에는 계측의 기준으로 하는 임시거푸집이 얼마 안되는 외력에 의해도 변위를 일으키기 쉬워서, 기준인 임시거푸집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 방식이 여러 가지의 작업상의 장해가 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기법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 문헌 1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이것은, 임시거푸집 대신에, 기초 거푸집의 코너부 바깥측에 입설되는 것으로서,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다리와, 그 상단의 L자형측판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배치된 먹줄용의 걸어두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먹줄의 교체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 기법과 다른 것이 없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은 전혀 해결되어 있지 않다.
앵커볼트를 특히 기초에 정확하게 착설한다는 취지로부터 제안된 기술에는 또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하나는, 앵커볼트를 지지수단을 개입시켜 거푸집에 고정하는 것으로써, 그 정확한 위치결정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으로,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의 제안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및 3의 제안 내용은, 모두 기초 구축용의 거푸집의 정확성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착설한 앵커볼트 지지도구 또는 앵커볼트 유지도구로의 앵커볼트의 착설 정밀도를 높이려고 하는 것이어서, 실제로는, 필요하게 되는 충분한 앵커볼트의 위치결정 정도를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기초 구축용의 거푸집은, 현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인 한은,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걸리는 강한 압력에 의해, 이것에 약간의 변위가 생기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앵커볼트 지지도구등 그 자체의 지지에 있어서 위치결정 정도를 아무리 높여도 거푸집측에서 변위를 일으키고, 이것에 따라 그 앵커볼트 지지도구 자체에도 같은 변위를 일으켜 버리는 결과가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걸리는 강한 압력은, 당연히 그 지지도구등으로 지지되고 있는 앵커볼트에도 걸리고, 이러한 지지도구등도 상당히 강고한 것이 아니면, 이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약간의 변위를 일으키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 문헌 2 및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앵커볼트를 지지수단을 개입시켜 거푸집에 고정하는 기술에서는, 그 위치결정 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다.
다른 것으로는, 하부를 앵커볼트 유지구 또는 고정다리등을 갖춘 앵커플레이트등의 하부 구조에 고정하고, 상부를 위치결정 플레이트 또는 위치결정 치구등의 상부구조에 고정하여 강고한 앵커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구조를 버림 콘크리트등에 고정하고, 앵커볼트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 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4나 특허문헌 5의 제안이다.
특허 문헌 4 및 5는, 예를 들면, 전자는 앵커볼트의 상단 나사부의 빼고꽂기가 쉬운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고, 후자는, 상부 구조의 치구 본체의 사방에서 추를 아래로 늘어뜨릴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좋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지만, 먼저 말한 것처럼, 어느 것도 상기와 같은 강고한 앵커프레임을 구성해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하려고 하는 기술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4 및 5에 나타내는 앵커 프레임은, 이상과 같이, 지극히 강고하게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착설되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도 견뎌 비교적 용이하게 그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인정된다. 그러나, 말할 것도 없이, 이러한 구성에서는, 앵커볼트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프레임의 단면이 더욱 증대해서, 중량도 증가하게 되며, 이것에 따른 작업성이 악화되는 한편 고비용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 밖에, 기초 보강용의 철근에 앵커볼트를 지지시키는 기법도 있지만, 이러 한 철근은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간단히 또한 큰 폭으로 변위해 버려,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대부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 5-3803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2-242201호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54397호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0-352120호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평 5-14109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임시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지극히 간단한 구성의 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한 순서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는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의 과제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1은,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芯墨)에 대응시켜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이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연직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통하여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울어진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이다.
본 발명의 2는,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
용의, 베타기초 바깥둘레부의 심묵에 대응시켜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연직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개입시켜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그 후,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때에 기울어질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 상태를 유지수단으로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하고,
그 후, 유지수단을 빼낸 다음,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이다.
본 발명의 3은,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에 대응시켜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후,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부터 일어서는 연장축으로서, 상기 심묵의 바로 윗쪽으로부터 연직으로 일어서는 연장축의 도중까지의 높이에 기초의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의 연장축의 상단에, 연직 상태로 세워진 상태로 그 축심과 축심을 일치시키고, 한편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개입시켜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또한 그 후에, 기초의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울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 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이다.
본 발명의 4는,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에, 복수의 앵커볼트를 기초에 착설할 때의 상호의 위치관계에서 결합한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의 축심이, 이것을 연직상태로 세웠을 때에, 상하 일치하게 되도록, 그 앵커볼트 유닛용의 유닛 착설수단을 착설하고,
그 유닛 착설수단에,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상태로 세운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개입시켜 상기 앵커볼트 유닛을 착설하고,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울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 유닛을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이다.
본 발명의 5는, 본 발명의 1, 2, 3 또는 4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심묵을, 직접 건물기준심을 기준으로 하여 버림 콘크리트상에 위치결정 표시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6은, 본 발명의 1, 2, 3 또는 4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바로 윗쪽 또는 아랫쪽에 높이조정부를 개재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7은, 본 발명의 4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외층을 구성하는 샤프트 본체와 ,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길이방향의 어느 부위에서도 절단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8은, 본 발명의 1, 2, 3, 4, 5, 6 또는 7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건물 기준심을 기준으로 하여 버림 콘크리트상에 기초의 기준심라인을 표시하고, 또한, 별도로, 그 기준심라인에 일치시켜야할 기준심라인 및 이것과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는 앵커볼트용의 심묵 또는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표시한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구성해 놓고, 그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기준심라인 상호간을 일치시켜 붙임으로써, 상기 각 심묵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9는, 본 발명의 1, 2 또는 3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양끝단이 삽입결합단인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10은, 본 발명의 4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양단이 결합단인 탄성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11은, 본 발명의 6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부를, 이것을 회동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정부 본체와, 양끝단으로부터 그조정부 본체에 나사결합한 상호 역방향인 나선을 가진 스크류부재로 이루어지는 턴버클타이프형 높이 조정부, 또는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와, 그 양끝단으로부터 진퇴가 자유롭게 삽입한 두 개의 피스톤 부재와, 그 두 개의 피스톤부재에 연결하여, 그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로드부재와, 그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둘측에 나사결합한 2이상의 고정나사로서, 상기 피스톤 부재의 둘레측까지 나사를 넣어서 그 위치를 고정하는 2이상의 고정 나사로 이루어지는 피스톤형 높이 조정부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12는, 본 발명의 1, 2, 3 또는 4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 또는 상기 앵커볼트 유닛을 연직으로 조정할 때에, 그 앵커볼트 또는 그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의 연직성을 측정하는 연직기(鉛直器)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연직기로서, 그 앵커볼트 또는 그 기준심 샤프트에 외장 하는 파이프체와 그 상단에 구성한 연직측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13은, 본 발명의 12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 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의 상부의 적어도 연직기의 파이프체에 외장되는 부위를, 그 파이프체에, 편심하지 않고, 느슨하지 않고, 또한 부드럽게 외장 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볼 때,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 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14는, 본 발명의 2의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으로서, 도중에 절곡가능하게 접속한 두 개의 띠형상 유지편과, 그 절곡중심부에 개구한 앵커 유지구멍과, 그 각 띠형상 유지편의 양단 부근에 배치한 착자부(着磁部)로 구성한 것을 채용하고, 연직으로 수정한 앵커볼트를 그 앵커 유지구멍에서 외장함과 동시에, 그 두 개의 띠형상 유지편을 V자 모양으로 열고, 또한 그 양단의 착자부에서 자성 금속제의 거푸집에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1, 2, 3 및 4에 의하면, 임시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지극히 간단한 구성의 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한 순서로, 빠르게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부동의 버림 콘크리트상의 심묵을, 앵커볼트 또는 기준심 샤프트를 개입시켜서, 그 연직성을 연직기를 이용해 확보하는 것으로써, 극히 정밀도가 높고 기초천단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임시거푸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기초공사중에 그 주위에 차단하는 것이 없고, 차량의 출입이나 건설기계의 이동 또는 여러 가지의 작업이 지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5에 의하면, 임시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정확하게 버림 콘크리트에 심묵을 위치결정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6에 의하면, 위치결정 설치하는 앵커볼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7에 의하면, 앵커볼트 유닛에 의한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의 다음에, 기초의 세움부의 천단에 나타나는 기준심 샤프트의 절단면에,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지름의 심부재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을 이 후, 기초 세움부의 천단에 표시해야 할 기준심라인의 원점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8에 의하면, 일부의 중요한 기준심라인에 대해서만, 레벨이나 트란시트에 의해 위치결정을 끝마치면, 그 외의 심묵에 대해서는,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이용해 지극히 용이하고 빠르게 버림 콘크리트상에 위치결정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9, 10에 의하면, 앵커볼트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울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세움부의 구성을 간단하고 확실히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1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서 앵커볼트의 높이의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구성도 간단하다.
본 발명의 12에 의하면, 간단한 기구로, 간단하고 빠르게 앵커볼트 또는
기준심 샤프트의 연직성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3에 의하면, 앵커볼트의 연직성을 보다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그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의 정확성이 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4에 의하면, 베타기초 바깥둘레부의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 한 후 등, 한쪽으로만 근접하는 거푸집이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경우에도, 기울기를 수정하여 연직성을 확보한 앵커볼트를, 그 상태로, 용이하고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l(a)는 앵커볼트를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구에 착설하도록 하고 있는 실시예 1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b)는 앵커볼트를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구에 착설한 상태의 실시예 1의 일부 절결 정면설명도.
도 2는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구에 착설한 앵커볼트의 설
치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실시예 1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도 3은, 콘크리트의 경화까지 연직유지기로 앵커볼트의 연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시예 1의 기초세움부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4는, 콘크리트의 경화 후의 실시예 1의 기초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5는, 앵커볼트를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구의 연장축에 착설한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도 6(a)는, 버림 콘크리트상의 착설구의 중공볼트로 연장축을 입설한 캡너트를 나사결합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b)는 버림 콘크리트상의 착설구의 중공볼트로 연장축을 입설한 캡너트를 나사결합한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7은, 착설구로부터 세워진 연장축이 배치해 있는 영역에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8은, 착설구로부터 세운 연장축의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로부터 돌출한 죽순형상 연결부에, 앵커볼트를,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9는, 연장축으로부터 힌지부 및 턴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한 앵커볼트의 설치영역에 기초의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실시예 2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lO(a)는, 버림 콘크리트에 드릴로 착설구멍을 뚫어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 3의 단면설명도, (b)는 버림 콘크리트에 뚫어설치한 착설구멍에 플러그를 충전한 상태의 실시예 3의 단면설명도, (c)는 버림 콘크리트에 뚫어설치하고, 플러그를 충전한 착설구멍에 하단에 스크류부재를 구비한 연장축을 나사가 들어간 상태의 실시예 3의 단면설명도, (d)는, 실시예 3의 연장축의 평면도.
도 11은, 버림 콘크리트의 착설구멍으로부터 세워진 연장축에 보강파이프를 외장하고 있는 상태의 실시예 3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12는, 버림 콘크리트의 착설구멍으로부터 세워진 연장축으로 보강파이프를 외장하고, 또한 그 위로부터 연직기를 씌운 상태의 실시예 3의 일부절결 단면설명도.
도 13(a)는, 앵커볼트 유닛을 착설구에 착설한 상태의 실시예 4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b)는 앵커볼트 유닛을 착설구에 착설한 상태의 실시예 7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c)는 앵커볼트 유닛을 착설구에 착설한 상태의 실시예 8의 일부절결 정면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1, 2의 착설구의 확대평면 설명도.
도 15(a)는, 실시예 5의 착설구의 단면설명도, (b)는 실시예 6의 착설구의 단면 설명도.
도 16(a) 내지 (f)는, 각각, 각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심묵표시용 테이프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설명도.
도 17(a)는, 인접하여 연직기를 그린 실시예 10의 연직기의 점검구의 개략 사시도, (b)는 실시예 11의 연직기의 점검구의 개략 사시도.
도 18(a)는, 각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연직유지기의 개략정면도, (b)는 각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연직유지기의 개략측면도, (c)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연직유지기로 앵커볼트를 지지해 양측의 거푸집에 흡착 고정하고 있는 상태의 평면설명도, (d)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연직 유지기로 앵커볼트를 지지해 한쪽편의 거푸집에 흡착 고정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 19(a)는 실시예 9의 연직기의 개략사시도, (b)는 실시예 9의 어댑터의 개략 사시도, (c)는 실시예 9의 어댑터를 착설한 연직기의 개략 사시도, (d)는(a)의 d-d선확대 단면도, (e)는(b)의 e-e선확대 단면도.
도 20(a)은 실시예 9에 있어서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에 연직기를 세트한 상태의 개략 정면단면도, (b)는 실시예 9에 있어서 착설구에 힌지부 및 턴 버클부를 개입시켜 착설한 앵커볼트에 어댑터를 착설한 연직기를 세트한 상태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착설구(앵커볼트 착설수단) 1a 대좌
1b 중공볼트 1c 들여다보기구멍
1d 섹터형상 돌편 1e 스크류부재
1f 멈춤체 2 버림 콘크리트
3 콘크리트비스 4 힌지부
5 턴버클부(높이 조정부) 5a 스크류부재
5b 턴버클부 본체 5c 스크류 부재
5d 죽순형상 연결부 6 앵커볼트
6a 멈춤체 6b 수나사
6c 너트 7 캡너트
7a 죽순형상 연결부 7b 연장축
7c 십자홈 8 콘크리트
9 연직기 9a 연직측정부
9b 파이프체 10 연직유지기(유지수단)
lOa 띠형상 유지편 l0b 앵커 유지구멍
l0c 자석 11 보강 파이프
11a 보강멈춤체 12 템플릿
13 기준심 샤프트 13a 샤프트 본체
13b 심부재 14 힌지부
15 보조 스프링 16 앵커볼트 유닛
18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 19 어댑터
19a 멈춤체 19b 조정파이프체
21 착설구 21a 테이퍼 부재
21b 통형상 본체 21c 죽순형상 연결부
21d 볼트부재 25 지지 지주
28 기초의 세움부용의 콘크리트 29 점검구
29a 플로트 29b 세트축
29c 중추축 31 착설구
31a 대좌 31b 착설너트
31c 들여다보기구멍 31d 죽순형상 연결부
31e 볼트 부재 35 지지 지주
35a 댐퍼 39 점검구
39a 기판 39b 유니버설조인트 기구
39c 세트축 39d 중추축
ca 앵커볼트용의 심묵
cs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샤프트용의 심묵
d 드릴 h 비스구멍
hm 착설구멍 k 거푸집
Ll,L2 기준심라인 m 잘라넣기 돌조홈
n 너트 p 플러그재
tl-t6 심묵표시용 테이프 v V자형상의 절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부동의 버림 콘크리트상에 앵커볼트용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표시해 두고, 그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심묵에 앵커볼트 자체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를 상하 대응시킨 상태에서, 그 앵커볼트 또는 앵커볼트 유닛을 기울여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그 경화전에 그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서 경사할 가능성이 있는 앵커볼트 또는 앵커볼트유닛트를 연직상태로 조정하고, 그 앵커볼트 자체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가 연직 상태로 되어 상기심묵과 상하일치하는 위치에 일어서도록 움직임과 동시에, 이들을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수단으로 연직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스윙식 앵커볼트에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마찬가지의 원리에 의해서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이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앵커볼트의 위치결정과, 복수의 앵커볼트를 소정의 위치관계로 결합한 앵커볼트 유닛의 위치결정으로로 나눌 수 있고, 전자의 단일의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은,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을 베이스부와 세움부와로 나누고 2단계에서 행하는가, 나누지 않고 일단계로 실 시하는가로 2개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단일의 앵커볼트의 위치결정과 복수의 앵커볼트를 결합한 앵커볼트 유닛의 위치결정과의 차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후의 연직 조정을, 전자는 앵커볼트 그 자체에 대해 실시하는데 대하여, 후자는, 그 유닛중에 구성한 기준심 샤프트에 대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 점이다. 무엇보다 후자는 복수개의 앵커볼트를 모아서 능률 좋게 위치결정하도록 한 것이며, 상호의 실질적인 위치결정의 원리는 다르지 않다.
또 상기 단일의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으로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2단계로 실시하는 경우는, 베타기초의 바깥둘레 에 있어서인 경우와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 이외의 부분 및 그 밖의 기초(포기초, 독립기초·복합기초·연속 기초)에 있어서 경우로 다르다.
2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 이외의 부분 및 그 밖의 기초에 있어서인 경우에서는, 버림 콘크리트의 심묵에 대응해 설치하는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타설되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제일 단계의 타설의 콘크리트)의 천단을 넘는 연장축을 구성해 둘 필요가 있고, 또한 그것이 그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변위하지 않는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하여,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의 경우는, 같은 2단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라도 그럴 필요가 없다.
2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로서,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 이외의 부분 및 그 밖의 기초에 있어서의 경우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로부터 돌출한 상기 연 장 축으로 기울어움직임이 자유롭게 앵커볼트를 착설하여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이것이 경화하지 않을 때 그 앵커볼트를 연직상태로 조절하고,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수단으로 연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베타기초를 제외한 모든 기초에 있어서의 경우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단계로 행하는 경우는, 버림 콘크리트의 심묵에 대응시켜 앵커볼트를 기울어움직임이 자유롭게 착설하고, 베이스부 및 세움부의 양자에 대해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이것이 경화하기 전에 그 앵커볼트를 연직상태에 조절하고, 또한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간이 유지수단으로 연직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베타기초에 있어서의 경우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와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2단계로 타설하게 되지만, 그 바깥둘레부에 있어서의 경우는, 베타기초 이외의 기초 에 있어서의 경우에서 일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 연장축은 구성하지 않고, 이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부터 기울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앵커볼트를 세우고, 계속하여, 베이스부용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서는 이 콘크리트가 앵커볼트의 도중까지 메워질 만큼 깊기 때문에, 이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연직기를 이용해 그 기울기를 수정해, 연직성을 확보한 다음, 유지수단으로 이 앵커볼트의 연직성을 유지한다.
베타기초 바깥둘레부에서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의 타설시에는, 거푸집이 바깥틀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때, 상기 유지수단으로서, 도중에 절곡가능하게 접속한 두 개의 띠모양 유지편과, 그 절곡중심부에 개구한 앵커 유지구멍과, 그 각 띠모양 유지편의 양단 부근에 배치한 착자부로 구성한 것을 채용하고, 연직 성을 확보한 앵커볼트를 이 앵커 유지구멍에서 외장함과 동시에, 그 두 개의 띠모양 유지편을 V자형상으로 열고, 또한 그 양단의 착자부에서, 상기 바깥쪽의 거푸집에 흡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거푸집으로서 통상 자성 금속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 착자부에 의한 흡착결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세움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앵커볼트는 베이스부의 콘크리트에 의해서 확실히 고정되고 있으므로, 유지수단에 의해서 고정할 필요는 없어진다.
이상의 어느 경우도 위치결정의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다. 2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로서,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 이외의 부분 및 그 외의 기초에 있어서인 경우에, 세움부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연장축으로 앵커볼트를 기울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착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연장축이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버림 콘크리트에 표시된 심묵과 확실히 상하일치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그 위에 장착되는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의 정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버림 콘크리트상에 착설하는 앵커볼트 착설수단 및 그 연장축은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변위가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강도가 높은 것으로 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 경우의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의 두께는 세움부의 그것과 비교해서 약간 얇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생기는 압력은 그다지 크지는 않은 것과, 또한, 상기 연장축은, 버림콘크리트상의 심묵을 베이스콘크리트상까지 연장하는 역할을 완수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기 때문에, 별로 굵지 않은 원주형상등으 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콘크리트에 의해서 받는 압력을 감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문에,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 및 이 연장축에 필요하게 되는 강도는, 비용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처음에 버림콘크리트상에 앵커볼트용의 심묵 또는 앵커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위치결정하고, 또한 이것을 표시해 둘 필요가 있다.
상기 버림 콘크리트는, 미리 기초의 구축영역내의 전체 또는 세움부의 설치라인에 따라서 충분한 폭으로 배치해 두는 것으로 한다.
또한 그 버림 콘크리트 위에, 건물 기준심으로부터 직접 앵커볼트용의 심묵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위치결정하고, 이것을 문자 그대로 먹 또는 다른 마킹 수단으로 표시해 두는 것으로 한다. 건물 기준심으로부터 기초의 세움부의 기준심라인을 위치결정하고, 또한 이것을 버림 콘크리트상에 표시해 두고, 이 기준심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앵커볼트용의 심묵등을 위치결정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기초의 세움부의 기준심라인에 일치시켜야 할 기준심라인과 그 기준심라인과 소정의 위치관계로 되는 앵커볼트용의 심묵 또는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표시한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작성해 놓고, 그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그 버림 콘크리트상에, 상호의 기준심라인을 일치시키면서 붙이는 것으로, 상기 각 심묵을 표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그 버림 콘크리트상에, 단일의 앵커볼트를 세워설치하 는 경우는, 그 심묵에 대응시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을, 상기와 같이, 베타기초 이외의 기초에 있어서의 경우로서, 베이스부용과 세움부용의 그것을 차례로 2단계로 실시하는 경우는,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베이스부의 두께를 넘는 길이의 직립한 연장축을 구성한 것을 채용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을 베이스부용의 그것과 세움부용의 그것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는, 이러한 연장축은 불필요하다.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인 경우도 콘크리트를 2단계로 타설하는 것으로, 베타기초 이외의 기초에 있어서의 경우에, 베이스부용과 세움부용의 그것을 차례로 2단계로 실시하는 경우와 완전히 같다.
상기 앵커볼트 착설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을 2단계로 실시하는 경우의 그것이 일단계로 실시하는 경우의 그것보다 고강도의 것일 필요가 있지만, 그 점을 제외하면 그 구성 자체에 차이를 갖게 할 이유는 없다. 어느 경우도 각각 필요한 착설강도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림콘크리트에 장치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여기에 주입해 고정하는 올앵커와 이것에 결합한 축부재로서, 후술하는 힌지부 또는 높이 조정부와의 결합수단을 갖춘 축부재와로 이루어지는 구성, 버림 콘크리트상에 접착제나 콘크리트못 또는 콘크리트비스등에 의해서 고정하는 대좌와, 그 위에 고정설치한 너트부재와, 이 너트부재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부재로서, 후술하는 힌지부 또는 높이조정부와의 결합수단을 갖춘 볼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버림콘크리트상에 접착 제나 콘크리트못 또는 콘크리트비스등에 의해서 고정하는 대좌와, 그 위에 고정설치한 중공볼트부재와 이 중공볼트부재에 접합하는 캡너트부재로서, 후술하는 힌지부 또는 높이조정부와의 결합 수단을 갖춘 캡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는, 버림 콘크리트상에 접착제나 콘크리트못 또는 콘크리트비스등에 의해서 고정하는 대좌와, 그 위에 고정설치한 커플러조인트의 한편과, 그 커플러 조인트의 한편과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커플러조인트의 다른 편으로서, 후술하는 힌지부 또는 높이 조정부와의 결합 수단을 갖춘 커플러조인트의 다른 편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혹은, 버림 콘크리트에 착설구멍을 뚫어설치하고, 이것에 플러그재를 눌러넣은 다음, 돌려넣는 스크류부재와, 그 상단에 일체로 구성한 후술하는 힌지부 또는 높이조정부와의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각 대좌는, 그 중앙부에 들여다보는 구멍을 개구해 두고, 이것을 버림 콘크리트상에 설치할 때에, 심묵을 확인하면서 착설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 이 들여다보기 구멍에 2매의 섹터형상 돌편을 상호의 정점이 대향하는 상태로 돌출 형성해 두면, 이 대좌를 버림 콘크리트상에 설치할 때에, 그 위에 표시된 교차하는 기준심라인에, 그 대좌의 들여다보기구멍중의 2매의 섹터형상 돌편의 변을 그 교차하는 기준심라인을 따르게 할 수 있게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심을 일치시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2단계 타설인 경우에, 상기 착설수단에 세우는 연장축은, 앞서 말한 것처럼, 그 연직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안되며, 이것은 설치시에 측정하 고, 그것을 유지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의 연직기를 이용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그것에 따르지 않으면 안될 이유는 없지만, 보다 능률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그 연장축에 부드럽게 또한 거의 느슨함이 없게 외장할 수 있는 파이프체와, 그 상단에 구성한 연직측정부로 이루어지는 연직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직측정부로서는 적절한 정밀도를 가진 것을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지만, 가능한 한 간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액체중의 공기구슬이 윗면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직성을 측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체는, 상기와 같이,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등에 부드럽게, 또한 거의 느슨함이 없게 외장 할 수 있는 정도의 지름, 즉,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등의 지름을 조금 넘는 안지름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보다 부드러운 빼고꽂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 파이프체의 안지름은,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등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또한 그 내면으로부터 일정각도 간격으로 전체 안둘레에 걸쳐 축방향에 따른 복수의 돌조를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경우는, 이들 복수의 돌조의 꼭대기부를 결합하는 원호의 지름이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등의 바깥지름을 조금 넘는 정도로 한다. 외장시에 앵커볼트등의 바깥둘레와 접촉하는 부위의 면적이 적게 되므로, 보다 부드러운 빼고꽂기를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파이프체의 하단은 매끄럽게 아래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해 두는 것이, 앵커볼트등으로의 외장시에, 그 앵커볼트등의 상단을, 중앙측에 안내하는 작용이 생기므로 형편상 좋다.
또한 이 연직기의 파이프체는, 그 안지름을, 최대 바깥지름의 측정 대상물의 지름에 맞추어 작성해 두고, 이것보다 지름이 작은 측정 대상에 대해서는, 어댑터를 그 파이프체에 장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어댑터는, 그 바깥지름을 상기 파이프체의 안지름에 대응시키고, 안지름을 측정대상의 바깥지름에 대응시킨 것으로 한다. 이 안둘레에도, 파이프체의 안둘레와 마찬가지로, 복수조의 돌조를 구성하는 것이 부드러운 측정대상의 빼고 꽂기에 형편상 좋다. 또한 하단의 바깥둘레에는 링모양의 멈춤체를 배치하고, 또한 하단의 입구는 매끄러운 아래쪽으로의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상의 연직기는,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축의 연직성의 측정의 외에, 그 연장축 또는 버림 콘크리트상의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부터 세워진 앵커볼트의 연직성의 측정이나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의 연직성을 측정등에도 이용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물론, 그 외의 여러가지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 후, 콘크리트를 2단계로 타설하는 경우는,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물론, 베이스부용의 거푸집이 따로 설치해 있을 것이 전제이다. 이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는,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부터 세워진 연장축의 상단 바로 아래 부근까지 타설된다. 그처럼 연장축의 길이를 설정한 것에 의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 다음에,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경화하면, 그 연장축의 상단에 힌지부를 개입시켜 앵커볼트를 세운다. 필요에 따라서 그 힌지부에 더하여 그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높이 조정부를 개재시킨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앵커볼트는 그 연장축과 상호의 축심이 일치하도록 착설한다.
상기 힌지부는, 이 부위에서 360도의 어느 방향에라도 절곡가능한 수단이지만, 이러한 작용을 갖춘 것이면, 특정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힌지부를, 양단이 삽입 결합단인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장축의 상단 및 앵커볼트의 하단에 각각 죽순형상 또는 나선형상등의 결합부를 형성해 놓고, 각각을 그 튜브재의 해당하는 끝단부로부터 삽입해 결합할 수 있다. 그 결합은, 필요에 따라서 밴드등에 의해 보강할 수 있다. 앵커볼트 착설수단과 앵커볼트와의 사이에 힌지부를 개재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이 경우는 , 이 경우는, 전자의 상부에 연결봉과 같은 수단을 세우고, 그 상단 및 후자의 하단에, 똑같이 죽순형상 또는 나선형상등의 결합부를 형성해 놓고, 마찬가지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양단이 결합단인 가요성의 복수층 고무기둥 그 밖의 탄성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탄성재로서는 단층의 고무기둥등으로도 구성가능하다. 이 구성의 힌지부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모아서 세트하는 앵커볼트 유닛과 그 착설수단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경우에 적당하다. 물론, 그 사이즈에 따라서는 , 한 개의 앵커볼트와 상기 연장축 또는은 착설수단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는데도 적당한 것이 된다.
또 상기 높이조정부는, 앵커볼트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것이 가능하면, 특정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 높이조정부는, 회 동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정부 본체와, 양단으로부터 그 조정부 본체에 나사결합한 서로 역방향의 나선을 가진 스크류부재로 이루어지는 턴버클타입형의 그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와, 그 양단으로부터 진퇴가 자유롭게 삽입한 두 개의 피스톤 부재와 이 두 개의 피스톤 부재에 연결하고, 그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로드 부재와, 이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둘레측에 나사결합한 2이상의 고정 나사로서, 상기 피스톤 부재의 둘레측까지 나사를 넣어서 그 위치를 고정하는 2이상의 고정나사로 이루어지는 피스톤형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축으로, 힌지부를 개재하여, 또한 필요에 따라서 높이 조정부도 개재하여, 앵커볼트를 세우고, 필요에 따라서, 그 높이를 조절한 다음, 기초의 세움부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때, 당연히 별도로 세움부용의 거푸집을 설치해야만 한다. 또한 이 거푸집은, 복수 개소의 상기 연장축을 기준으로 하여 기초폭 규정에 의해 기초폭의 라인을 얻고, 이것에 따라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능률적으로 측정하여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응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앵커볼트는, 상기와 같이, 연장축으로 적어도 힌지부를 통하여 결합하고 있고, 여기에서 360도의 어느 방향으로도 절곡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압력에
따라서 대응하는 측으로 그 부위에서 경사하여, 그 압력의 대부분을 완충하므로, 그 연장축으로는 큰 외력이 더해질 것은 없다. 그러므로, 그 연장축 및 그 하단의 앵커볼트 착설부는, 버림 콘크리트에 설치한 시점의 상태를 유지하고, 그 연장축은 그 연직 하부의 심묵을 정확하게 그의 상단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즉시,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그 앵커볼트의 상단에 연직기를 세트하고, 그 연직기의 연직 측정부에서 확인하면서 그 앵커볼트를 연직상태로 복귀시키고, 그 상태를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수단으로 유지한다. 또한 그 연직기는, 이것을 그 앵커볼트에 세트한 채인 상태로 해 두면, 점검시에 그 연직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형편상 좋다.
상기 유지수단은,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이 다음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큰 외력이 걸릴 일은 없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유지수단으로 유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앙에서 절곡할 수 있는 띠모양의 두 개의 유지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곡중심부에 앵커유지구멍을 개구한 유지기구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단부근에는 자석을 배치하고, 이것으로 철계통의 자성 금속제인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적당하다.
이 유지수단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부근에 앵커 유지구멍을 외장하고, 세 개의 유지편의 양단을 이것에 배치한 자석에 의해, 거푸집의 상단에 흡착고정하고, 이 앵커볼트의 연직상태를 유지한다. 이 유지수단은, 이것을 거의 직선형상으로 넓힌 상태로, 그 양단을 양측의 거푸집 상단에 흡착고정하고, 또는 V자형상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그 양단을 한쪽의 거푸집의 상단에 흡착 고정한다.
한편, 포기초와 그 외의 기초(베타기초를 제외한다)에 있어서의 경우에, 콘크리트를, 베이스부 및 세움부의 쌍방에 한번에 타설하는 일단계의 타설공정으로 행하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버림콘크리트상의 심묵에 대응시켜 착설한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 연장축을 구성하지 않고, 힌지부 및 필요에 따라서 높이 조정부를 개입시켜 앵커볼트를 결합한다. 그 앵커볼트는, 그의 연직상태에서, 그의 축심이, 상기심묵과 상하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 힌지부 및 높이 조정부는, 먼저 설명한 대로의 것이며, 상호의 결합의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이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한번에 타설하고, 이것에 의해서 경사한 앵커볼트를 그 경화전에 상기 연직기등을 이용해 연직으로 복귀시키고, 또한 그 연직상태의 앵커볼트를, 상기와 같이 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유지수단으로 유지한다. 유지수단도, 그 유지의 방법도 먼저 말한 것과 같다.
콘크리트를 2단계로 타설한 경우나, 일단계로 타설한 경우에도, 앞에서와 같이, 유지수단으로 그 연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그 유지수단은, 그 콘크리트의 경화까지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간이한 것이며, 기초 세움부의 천단 레벨의 조정등에 있어서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는, 앵커볼트로부터 상기 유지수단을 벗겨내고, 연직기를 세트한 채로 하여 있는 경우는, 이것도 떼어낸다. 앵커볼트는, 이 시점에서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그 축심과 버림 콘크리트상의 심묵과는 상하로 일치하는 관계가 되어 있을 것이므로, 기초에, 지극히 간단한 착설작업에 의해서, 정확하 게 위치결정 되어서 장착되고 있게 된다.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의 경우는, 먼저 말한 것처럼, 콘크리트의 타설이, 베이스부용과 세움부용과의 2단계로 되지만,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의 앵커볼트를 착설하는 방법은, 포(布)기초 그 외의 기초(베타기초를 제외한다)에 있어서의 경우에서 일단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와 같다. 앵커볼트를 힌지부등을 개입시켜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기울어움직임이 자유롭게 세운 다음,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콘크리트는,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서는, 앵커볼트의 도중까지 달하므로, 이것이 경화하기 전에 이 앵커볼트의 상단에 연직기를 세트하고, 또한 그 콘크리트의 타설로 기울어진 앵커볼트를 연직으로 수정한다. 연직이 되었는지 아닌지는 연직기로 확인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직성을 확보한 앵커볼트는, 상기한 것과 같은 유지수단으로 그 연직 상태를 유지한다.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상기 유지수단을 벗겨내고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시점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는 베이스부용의 콘크ndf리트로 단단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세움부용의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서 기울어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베타기초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도, 지극히 간단한 작업으로 , 정확하게 앵커볼트를 위치결정하여 세워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버림 콘크리트상에, 복수의 앵커볼트를 모은 앵커볼트 유닛을 세워설치하는 경우는, 우선 그 앵커볼트 유닛의 착설용의 유닛 착설수단을 그 기준심 샤프 트용의 심묵에 대응시켜 고정설치한다.
그 앵커볼트 유닛은, 복수의 앵커볼트를 기초에 착설할 때의 상호의 위치관계에서 템플릿등의 지지판재를 이용해 결합한 것이며, 기준심 샤프트는, 상기의 앵커볼트의 위치 관계를, 그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상태에서 버림 콘크리트의 심묵상에 배치했을 경우에, 기초중에 실현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그 앵커볼트 유닛중에 배치한 것이다.
유닛 착설수단은, 이것에 앵커볼트유닛을 단 경우에, 그 앵커볼트 및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 상태로 하면, 그 기준심 샤프트의 축심이 버림콘크리트상의 해당하는 심묵과 상하 일치하도록 위치결정 하고, 그 위치에 고정설치한다.
다음에, 그 유닛 착설수단에, 앵커볼트 유닛을,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앵커볼트등을 연직상태로 세운 상태에서, 그 기준심 샤프트의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힌지부 및 필요에 따라서 높이 조정부를 개입시켜 착설한다.
또한 앵커볼트유닛에는, 이상의 상태에서 필요이상으로 기울어짐이 생기지 않도록, 앵커볼트를 위치결정하면서 지지하는 템플릿등의 지지 판재로부터 보조다리를 아래로 늘어뜨리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와 같은 필요 이상의 기울기를 방지하는 기울기 방지 작용을 담당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그 때에 기운 그 앵커볼트유닛을 연직상태로 조정한다. 이것은, 상기 기준심 샤프트에 상기 연직기를 세트하고 이것을 움직여서, 그 연직성을 확보하면 좋다. 이 기준심 샤프트는, 유닛중의 다른 모든 앵커볼트와 평행하게 배 치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연직으로 수정하면, 다른 모든 앵커볼트의 연직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연직으로 조정한 기준심 샤프트는,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그 연직상태를 유지한다. 유지수단은, 상기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법도 당연히 같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간이한 유지수단이기 때문에, 기초천단의 레벨 조정등의 방해가 되는 일도 거의 없다. 연직기를 기준심 샤프트에 세트한 채로 해 두면, 점검시에, 그 연직성을 확인할 수 있어 형편상 좋다.
콘크리트의 경화 후는, 유지수단을 취해 벗겨내고, 윗쪽의 템플릿도 떼어낸다. 기준심 샤프트는 빼내든가, 기초 세움부의 천단 레벨로 절단한다. 연직기를 세트하고 있는 경우는 이것도 떼어낸다. 이 기준심 샤프트는, 이것을, 외층을 구성하는 샤프트 본체와,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길이 방향의 어느 부위에서도 절단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했을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초의 세움부의 천단 레벨로 절단 해야 한다. 이 때, 기준심 샤프트는 그 높이 방향의 어느 부위에서 절단 하기라도, 그 단면에는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가 나타나고, 이것을 이 후에 기초 세움부의 천단에 표시해야할 기준심라인의 원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심부재는 외층과는 색을 다르게 해 두는 것이 시인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앵커볼트 유닛을 이용하여 위치결정을 실시한 경우는, 한 번에 복수의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을 실시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각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은, 기준심 샤프트가 연직성을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정확하게 되는 것으로 된다.
덧붙여 이상의 어느 경우에서도, 콘크리트를 타설 한 후, 그 경화전에, 그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으로 기운 앵커볼트를 연직으로 복귀시키는 작업 공정이 있고, 이것이 가장 중요한 공정이지만, 이 작업공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앵커볼트나 기준심 샤프트에 외장할 수 있는 파이프체와, 그 상단에 구성한 연직측정부로 이루어지는 연직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나 기준심 샤프트가 상단에서 보고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확한 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편심하고 있는 것이라면, 그 연직기의 파이프체를, 그 앵커볼트등에 외장 했을 경우, 편심방향으로 기울어버려, 그 앵커볼트등의 정확한 연직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상기 기준심 샤프트는, 그 목적을 위해서 제작되는 것이며, 당연히, 상단으로부터 본 경우에,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확한 원형을 이루도록 이것을 구성하는 것이지만, 앵커볼트는 시판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많은 경우, 그 상단의 나사부가 정확하게 제조되어 있지 않다. 상부의 나사부를 구성하는 나선의 바깥둘레가 부분적으로 돌출하거나 하고 있는 것이 많아, 상단측에서 보고,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도록은 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대로는, 상기 연직기에서 이것이 연직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앵커볼트에 대해서는, 미리, 공장등에서, 그 상부의 나사부를 포함해, 적어도 상기 연직기의 파이프체가 외장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그 파이 프체에, 편심하지 않고, 느슨함이 없이, 또한 부드럽게 외장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아,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 되도록 수정하는 가공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야만 한다. 이 가공은, 필요이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선삭가공등에 의해서 삭제하는 것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형의 앵커볼트에 대해서도 이러한 가공을 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상기 힌지부를, 양단이 삽입결합단인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하고, 상하단에 죽순형상의 연결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도록 구성했을 경우는, 그 죽순형상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그 바깥둘레가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확한 원형을 그리는 것일 필요가 있고, 편심하고 있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높 조정부를 채용하여, 이것을 턴버클과 같은 기구로 구성했을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상하의 볼트부재가 편심없이 구성되고, 또한 상호의 볼트부재가 동일 축심상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1은, 목조 건축물의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하는 앵커볼트의 위치결정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홀다운 앵커볼트, 근소하게 근접하는 부위에 설치하는 앵커볼트 또는 토대 이음새부에 설치하는 앵커볼트등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적절하다. 물론, 이것들뿐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앵커볼트의 위치결정에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적절한 것이다.
처음에 버림 콘크리트상에 이 방법을 사용해 설치하는 앵커볼트용의 심묵을 위치결정하고, 이것을 표시해 둔다. 이 버림 콘크리트는, 미리 기초의 구축영역내 의 필요한 범위에 배치해 두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앵커볼트용의 심묵은, 버림 콘크리트상에, 별도로 설정하고 또한 표시되어 있는 건물 기준심으로부터 직접 위치결정하고, 이것을 문자 그대로 먹 또는 다른 마킹 수단으로 표시해 두는 것으로 한다. 이 위치결정은, 트랜시트와 같은 계측기기를 이용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시트등을 이용한 위치결정은, 기초의 세움부의 기준심라인등의 주요부에 대해서만 행하고, 앵커볼트의 심묵등에 이러한 기준심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계측하는 것에 의해서 위치결정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도 16(a)∼(f)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심묵표시용 테이프(t1)~(t6)를 사용해 앵커볼트용 및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위치결정하고 , 또한 표시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작업이 빠르고, 한편 정확한 것을 얻을 수 있다 . 이러한 심묵표시용 테이프(tl)~(t6)는, 트랜시트등에 의해서 위치결정한 상기 기준심라인에 일치시켜야 할 기준심라인 Ll, L2와 이들과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는 앵커볼트용의 심묵(ca) 및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cs)를 표시한 것이다. 이 심묵표시용 테이프(tl)~(t6)는, 상기한 바로 부터 이해되듯이, 이것을, 그 기준심라인 Ll, L2를 버림 콘크리트상에 위치결정 표시되고 있는 기준심라인에 일치시킨 상태로 붙이는 것으로, 상기 각 심묵(ca),(ca)… 및 (cs), (cs)…를 위치결정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 실시예 1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버림 콘크리트상에 위치결정하고 또한 표시한 앵커볼트용의 심묵(ca),(ca)… 을 이용하여 앵커볼트를 설치한 다. 우선 해당하는 심묵(ca)에 대응시켜 대좌(la)부착된 중공볼트(1b)로 이루어지는 착설구[앵커볼트 착설수단 (1)]을 고정설치한다. 상기 대좌(la)는, 도 l(a)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들여다보기구멍(1c)을 개구하고, 또한 이 들여다보기구멍(1c)내에 2매의 섹터형상 돌편(1d),(1d)을 상호의 정점이 대향하는 상태로 돌출형성하고, 중공볼트(1b)의 외측에 있어서는, 접착제용의 결합구멍을 겸한 다수의 비스구멍(h),(h)…을 연이어 형성 개구하고, 또한 각 변에는 상기 기준심라인 Ll, L2에 일치시켜야 할 중앙에 V자형상의 절결(v)을 형성하고, 다시 각 모서리부 부근에는 이것을 삼각형으로 잘라내기 위한 잘라내기 홈(m)를 넣은 것이다.
이 착설구(1)은, 도 l(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림 콘크리트(2)상에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상기 들여다보기구멍(1c)중을 들여다 보고, 그 위에 표시된 교차하는 기준심라인 Ll, L2의 쌍방 또는 일방에, 혹은 해당 심묵(ca)만의 심라인에, 그 들여다보기구멍(1c)중의 2매의 섹터형상 돌편(1d), (1d)의 변의 한편 또는 쌍방을 따르게 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착설구(1)의 중공볼트(1b)는, 심묵 (ca)에 극히 정확하게 일치시키고 이것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착설구(1)의 대좌(la)의 버림 콘크리트(2)로의 고정은, 접착제 및 콘크리트비스(3),(3)… 를 이용해 실시한다.
다음에, 도 l(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착설구(1)의 중공볼트(1b)에 힌지부(4)및 턴번클부(높이 조정부)(5)를 개입시켜 앵커볼트(6)를 세운다.
상기 힌지부(4)는, 도 l(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한 것이며, 하단의 삽입 결합단에는, 상기 중공볼트(1b)에 나사결합하는 캡너트 (7)의 상단 중앙에 세운 축의 죽순형상 연결부(7a)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단의 삽입 결합단에는, 상기 턴버클부(5)의 아래쪽의 스크류부재(5a)의 하부의 죽순형상 연결부(5d)를 삽입해 결합한 것이다.
상기 턴버클부(5)는, 도 l(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안둘레의 상부와 하부에서 역방향의 암나사를 형성한 턴버클부 본체(5b)와, 하단으로부터 이 턴버클부 본체(5b)에 나사결합한 상기 스크류부재(5a)와, 상단으로부터 이 턴버클부 본체 (5b)에 나사결합한 스크류부재(5c)로 구성한 것이다. 2개의 스크류부재(5a),(5c)는, 역방향의 나선을 갖춘 수나사부재이며, 각각, 당연히 상기 턴버클부 본체(5b)의 안둘레 상하부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선을 가진 수나사부재이다. 윗쪽의 스크류부재(5c)는 그 상단이 상기 앵커볼트(6)의 하단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6)은, 도 l(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하부 바로 윗쪽에 빠짐방지용의 멈춤체(6a)를, 최상부에는 수나사(6b)를, 각각 구비하고, 또한 이 수나사(6b)에는 너트(6e)가 미리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앵커볼트(6)는, 이상과 같이, 그 하단에 턴버클부(5)및 힌지부(4)를 윗쪽으로부터 그 순서로 결합하고 있고, 또한 그 아래쪽으로 결합되어 있는 캡너트(7)을 상기 착설구(1)의 중공볼트(1b)에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그 위에 세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앵커볼트(6)은, 도 l(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하는 심묵(ca)에 그 축심을 상하 일치시켜 세워진 것이 된다.
이 후, 필요에 따라서, 상기 턴버클부(5)의 턴버클부 본체(5b)를 회전조작하여 앵커볼트(6)의 높이를 조절하고, 계속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실시예 1 은,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쌍방의 콘크리트를 일단계로 타설하는 일체타설에 관한 예이며, 그처럼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서 상기 앵커볼트(6)은 상응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앵커볼트(6)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상기 착설구(1)의 중공볼트(1b)에 힌지부(4)를 개입시켜 결합하고 있고, 이 힌지부(4)는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이 부위에서 360도의 어느 방향에라도 절곡가능하고, 그러므로,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8)의 타설압력에 의해서 대응하는 쪽으로 그 부위에서 경사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타설의 압력에 따라 경사하기 때문에, 이 부위에서 그 압력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중공볼트(1b) 및 이것을 통해서 결합하는 대좌(1a)에는 필요이상으로 큰 외력이 더해질 것은 없다. 그러므로, 착설구(1)은 버림 콘크리트(2)에 설치한 시작점의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그 콘크리트(8)이 경화하기 전에, 즉시, 그 앵커볼트(6)의 상단에 연직기(9)를 세트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연직기(9)의 연직측정부(9a)에서 확인하면서 그 앵커볼트(6)을 연직상태로 복귀시키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태를 그 콘크리트(8)이 경화할 때까지 연직유지기(유지수단:10)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직기(9)는, 이것을 그 앵커볼트(6)에 세트한 채로 인 상태로 해 둔다. 그 후의 점검시에 그 연직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이다.
상기 연직기(9)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연직측정부(9a)와 앵커볼트(6)등으로의 외장 착설용의 파이프체(9b)로 구성한 것이다. 그 연직측정부 (9a)로서는, 액체중의 공기구슬이 표면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직성을 측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이 파이프체(9b)는, 그 안지름을,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6)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또한 도 1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안둘레로부터 일정각도 간격으로 전체 안둘레에 걸쳐서 축방향에 따른 복수의 돌조를 형성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복수의 돌조의 꼭대기부를 결합하는 원호의 지름이 측정 대상의 앵커볼트(6)의 바깥지름을 조금 넘는 정도의 치수로 한다. 또한 이 파이프체(9b)의 하단은,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로 향해 매끄럽게 확대하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직기(9)는, 상기 파이프체(9b)를 상기 앵커볼트(6)의 상단에 외장하는 것으로서 용이하며 또한 확실히 그 앵커볼트 (6)에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직기(9)를 세트한 다음, 앵커볼트(6)을 기울어짐 방향과 역방향으로, 즉, 직립 상태가 되도록 움직여서, 그 연직성을 상기 연직기(9)로 확인하고, 아직 연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그 연직기(9)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기울기 방향과 역방향으로 미조정하여 다시 확인한다고 하는 작업을 약간 반복하는 것으로, 앵커볼트(6)의 정확한 연직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연직유지기(10)는, 도 18(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서 절곡 할 수 있는 2개의 띠형상 유지편(lOa),(lOa)과, 그 절곡중심부에 개구한 앵커유지구멍(lOb)과, 그 띠모양 유지편(lOa),(lOa)의 양단 부근에 배치한 자석(10c)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연직유지기(10)는, 앵커볼트(6)을 연직상태로 일으킨 후, 그 앵커 유지구멍(lOb)에서 그 앵커볼트(6)을 외장하고, 또한, 도 3 및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띠형상 유지편(lOa),(lOa)를 거의 직선형상으로 넓히고, 그 양단부의 자석(10c)을 양측의 거푸집(k),(k)의 상단에 흡착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앵커볼트 (6)의 연직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연직유지기(10)은, 그 앵커 유지구멍(lOb)에서 이 앵커볼트(6)을 외장하고, 또한, 도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띠모양 유지편(lOa),(lOa)을 거의 V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그 양단부의 자석 (10c),(10c)를 한편의 거푸집(k)의 상단에 흡착고정함으로써, 그 앵커볼트(6)의 연직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연직유지기(10)은, 앵커볼트(6)를 콘크리트(8)이 경화할 때까지 유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지극히 간이한 것이지만, 그 사이에 큰 외력이 걸리는 것은 예상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그 연직유지기(10)이 이와 같이 간이한 구성의 것이기 때문에, 기초 세움부의 천단 레벨의 조정등에 즈음하여 방해가 될 것도 없다.
콘크리트(8)의 경화 후에는, 앵커볼트(6)으로부터 상기 연직유지기(10)및 연직기(9)를 떼어낸다. 앵커볼트(6)은, 이 시점에서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그렇다면, 그 축심과 상기 버리기 콘크리트(2)상의 심묵(ca)와는 상하로 일치하는 관계가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간단한 착설 작업에 의해서, 정밀 도 높고 위치결정되어 착설되고 있게 된다. 도 4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 2는, 기초를 베이스부용과 세움부용의 콘크리트의 2단계 타설로 구축하는 경우의 앵커볼트(6)의 위치결정법에 관한 것이다.
버림 콘크리트(2)상에 심묵(ca),(ca)…,(cs),(cs)…를 위치결정하고 또한 표시할 때까지는 실시예 1과 완전히 같다.
이 실시예 2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대좌(la)가 붙은 중공볼트(1b)로 이루어지는 착설구(1)을 해당하는 심묵(ca)에 대응시켜 설치한다. 이 경우의 착설구(1)의 위치결정의 방법은 실시예 1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만, 이 실시예 2에서는, 이 착설구(1)으로부터 일어서는 중공볼트(1b)의 연직성이 보다 정확할 것이 요구된다.이 경우는 대좌(1a)를 위치결정하고,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것을 가고정한 다음, 그 위의 중공볼트(1b)에, 표면에 연장축(7b)를 직립시킨 캡너트(7)을 나사결합하고, 또한 이 연장축(7b)에,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기(9)를 세트하고, 이 연장축(7b)의 연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좌(1a)의 착설상태의 조정을 실시한다.
이 대좌(1a)가, 연직기(9)에 의한 측정에 의해서 기울고 있는 것을 알았을 경우는, 이 대좌(1a)의 아래쪽면과 버림콘크리트(2)의 표면과의 사이의 필요한 부위에 적당한 판형상부재를 삽입하는 등에 의해서, 이것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대좌(1a)의 모서리부의 잘라넣음 돌조(m)를 이용하여, 모서리의 삼각형의 부분을 떼어내고, 이것을 이 대좌(1a)의 아래쪽 면과 버림 콘크 리트(2)의 표면과의 사이의 필요한 부위에 삽입하는 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연장축(7b)의 연직성을 확보한 후, 콘크리트비스 및 접착제등에 의해, 이 대좌(1a)를 확실히 버림 콘크리트상에 고정한다.
이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18)을 타설한다. 이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1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공볼트(1b)에 나사결합한 캡너트(7)로부터 세워진 연장축(7b)의 상단 바로 아래 부근까지 타설 된다. 이 연장축(7b)의 길이는 그와 같이 설정해 두어야만 한다.
도 7중에서, 연장축(7b)의 상단에 연직기(9)가 세트되어 있지만, 이것은 연장축(7b)의 연직성의 확인을 위해서이다. 이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18)은 두께도 얇기 때문에, 어느 정도 견실한 고정을 해 두면, 연장축(7b)가 이 단계에서 기울어지지는 않는다.
다음에,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18)이 어느 정도 경화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장축(7b)의 상단에 힌지부(4)및 턴버클부(5)를 개입시켜 앵커볼트(6)를 세운다. 도 5는 이 때의 결합 상태의 전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힌지부(4)및 턴버클부(5)는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연장축(7b)의 상단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죽순형상 연결부(7a)가 구성되어 있고, 이것을 그 힌지부(4)의 하단의 삽입결합단에 삽입해 결합함으로써, 그 앵커볼트(6)를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이 후, 필요에 따라서, 상기 턴버클부(5)의 턴버클부 본체(5b)를 회전조작하여 그 길이(높이)를 조절한 다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의 세움부용의 콘 크리트(28)을 타설한다.
이러한 콘크리트(28)의 타설에 의해서 상기 앵커볼트(6)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타설압력을 받아서, 상기 힌지부(4)의 부위에서 그 압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응하는 만큼 경사지고, 그 타설압력을 놓아주며, 그 결과, 상기 연장축(7b)에는 필요 이상의 외력이 더해지지 않게 되며, 그 연장축(7b)는 그 연직 하부의 심묵(ca)를 정확하게 그 상단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이것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28)이 경화하기 전에, 즉시 그 앵커볼트(6)의 상단에 실시예 1의 그것과 같은 연직기(9)를 세트하고, 그 연직기(9)로 확인하면서 그 앵커볼트(6)을 연직상태로 복귀시키고, 그 상태를 그 콘크리트(28)이 경화할 때까지 상기 연직유지기(10)으로 유지한다. 이 연직 유지기(10) 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이며, 같은 용법으로 앵커볼트(6)의 연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직기(9)는, 이 경우도 이것을 그 앵커볼트(6)에 세트한 채로인 상태로 해 둔다.
이 후의 작업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완전히 같고, 그 앵커볼트(6)는, 이 시점에서 연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며, 그렇다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축심과 버림 콘크리트(2)상의 심묵(ca)와는 상하로 일치하는 관계가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앵커볼트(6)은, 지극히 간단한 착설작업에 의해서, 기초에 정확하게 위치결정 되어서 장착되고 있게 된다.
실시예 3
이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기초를 베이스부용과 세움부용의 콘 크리트의 2단계타설로 구축하는 경우의 앵커볼트(6)의 위치결정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는, 버림 콘크리트(2)로의 심묵(ca),(ca)… 및(cs),(cs)…의 위치결정 표시의 뒤로부터 연장축(7b)의 세움고정까지의 과정이 다른 것이다. 다른 것은, 상기의 과정뿐이기 때문에 그것만을 설명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림 콘크리트(2)의 해당하는 심묵(ca)에 일치시켜 드릴(d)로 착설구멍(hm)를 뚫어형성하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착설구멍(hm)에 플러그재(p)를 밀어넣어 고정한다. 다음에, 도(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앵커볼트 착설수단인 스크류부재(1e)를 구비하고, 이 스크류부재(1e)와의 경계에 멈춤체(1f)를 배치한 연장축(7b)를 이 착설구멍(hm)에 설치한다. 이것은, 도(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연장축(7b)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십자홈 (7e)를 이용하여 이 스크류부재(1e)를 이 착설구멍(hm)에 나사넣음함으로서 행한다 . 이 때, 스크류부재(1e)는,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재(p)에 나사넣음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축(7b)는, 버림 콘크리트(2)상의 해당하는 심묵(ca)상에 일어서게 된다. 그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 둘레방향으로 보강멈춤(lla)를 늘여빼낸 보강파이프(11)을 외장하고 ,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그 위에 연직기(9)를 세트하고, 이 보강파이프 (11)로 외장보강한 연장축(7b)의 연직성을 확인하면서 이 보강멈춤(lla)을 버림 콘크리트(2)상에 고정한다. 이 연직성의 확보는, 필요에 따라서, 보강멈춤 (lla)의 아래쪽 면의 해당하는 부위와 버림 콘크리트(2)의 표면의 대응하는 부위와의 사이 에 판재등을 삽입하면서 조정해 실시한다. 또 이 보강멈춤(lla)의 고정은, 접착제 및 콘크리트못 또는 콘크리트비스(3),(3)…을 이용해 실시한다.
이 연장축(7b)를 이와 같이 하여 연직상태를 확보하고, 또한 보강파이프(11)로 보강한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순서로 후속 공정을 진행시킨다. 즉,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가 대체로 경화한 후에는, 그 연장축(7b)를, 앵커볼트(6)의 하단에, 상기 턴버클부(5)및 상기 힌지부 (4)를 개입시켜 결합하기[이 연장축(7b)는, 직접적으로는, 그 죽순형상 연결부(7a)를 힌지부(4)의 하단의 삽입결합단에 삽입해 결합한다)와 같다.
실시예 4
이 실시예 4는, 복수의 앵커볼트(6),(6)…을 모은 앵커볼트 유닛(16)을 심묵(ca),(ca)…에 위치결정하여 설치하는 방법의 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앵커볼트 유닛(16)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앵커볼트 (6),(6)…을 기초에 착설할 때의 상호의 위치 관계로 상하의 템플릿(12),(12)를 이용해 결합한 것이다. 상하의 템플릿(12)에는, 서로 상하 대응하는 위치관계로 결합구멍이 개구하고 있고, 이것들에는 각각 앵커볼트(6),(6)…의 상하단 부근을 삽입하고, 또한 각각의 끝단부는 이 템플릿(12),(12)의 상하의 위치에 나사결합시킨 너트(n),(n)에 의하여 위치에 체결 고정한 것이다.
그 앵커볼트 유닛(16)의 윗쪽의 템플릿(12)의 중앙에는, 결합구멍이 개구하고 있고, 이것에 기준심 샤프트(13)을 관통시키고, 이 템플릿(12)의 상하의 위치에서 그 부위에 나사결합한 너트(n),(n)를 단단히 조여 고정되어 있다. 이 기준심 샤 프트(13)은, 연직상태로 그 축심이 심묵(cs)와 상하일치하는 위치 관계에 있을 때, 그 유닛중의 앵커볼트(6),(6)…의 축심이, 각각 버림 콘크리트(2)상의 대응하는 심묵(ca),(ca)…에 상하대응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위치결정 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기준심 샤프트(13)은, 이것을,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을 구성하는 샤프트 본체(13a)와,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13b)로 구성한 것이다. 이 샤프트 본체(13a)나 심부재(13b)도 모두 절단가능한 경질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호간을 별도의 색으로 착색한 것이다.
또한 그 앵커볼트 유닛(16)은, 턴버클부(5)및 힌지부(14)를 개재하여 착설구 (1)의 중공볼트(1b)에 나사결합하는 캡너트(7)에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턴버클부(5)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이다.그 턴버클부 본체(5b)의 상부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부재(5c)의 상단은, 그 앵커볼트 유닛(16)의 하부의 템플릿(12)의 중앙에 수직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즉, 이 스크류부재(5c)의 수직하부 위치는, 상기 기준심 샤프트(13)으로 상하에서 완전하게 일치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4)는, 양단이 결합단인 가요성의 단층 고무기둥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부의 결합단에는 그 중앙에 상기 턴버클부(5)의 하부의 스크류부재(5a)의 하단을 고정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힌지부(14)의 하부의 결합단에는 상기 캡너트 (7)의 표면이 고정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설구(1)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의 것이다. 상기 캡너트(7)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 실시예 4의 경우도 버림 콘크리트(2)의 설치, 그 위로의 심묵(ca),(ca)…,(cs),(cs)…의 위치결정 및 표시까지는, 말할 것도 없이, 실시예 1에서 3까지와 완전히 동일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대좌(1a)의 버림 콘크리트(2)상으로의 착설방법도 완전히 같다. 다만, 이 경우는, 이것을 해당하는 상기 기준심 샤프트(13)용의 심묵(cs)에 대응시켜 착설하는 것이며, 그 점만이 다르다. 대응시키는 방법도 말할 것 없이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버림 콘크리트(2)상의 해당하는 심묵(cs)에 대응시켜 고정 설치한 착설구(1)의 중공볼트(1b)에, 상기 앵커볼트 유닛(16)을, 상기 힌지부(14) 및 턴버클부(5)를 개입시켜 연결한다. 이 연결은 이미 상술한 바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힌지부(14)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캡너트(7)를 그 중공볼트 (1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이러한 중공볼트(1b)로부터 세워진 앵커볼트 유닛(16)은, 안정한 자세를 유지해두기 위해서, 하부의 템플릿(12)의 양끝단과 상기 대좌(1a)의 바깥둘레와의 사이를 보조스프링(15)으로 결합한다. 이것은, 미리 템플릿(12)의 양단과 상기 대좌(1a)의 바깥둘레에 도시하지 않는 훅을 착설하여 두고, 이것에 걸어멈춤하는 것으로 결합한다.
이 후, 필요에 따라서, 상기 턴버클부(5)의 턴버클부 본체(5b)를 회전 조작해 그 앵커볼트 유닛(16)의 앵커볼트(6),(6)…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그 콘크리트타설압력에 의해서 기운 그 앵커볼트 유닛(16)을 연직상태로 복귀시킨다.
이것은, 상기 기준심 샤프트에 상기 연직기(9)를 세트하고 이것을 움직여, 그 연직성을 확보하면 좋다. 이 기준심 샤프트(13)은, 유닛중의 다른 모든 앵커볼트(6),(6)…과 평행하게 배치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연직으로 수정하면, 다른 모든 앵커볼트(6),(6)…의 연직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직기(9)는, 상기 실시예 1등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이며, 당연히 똑같이 이용한다.
연직으로 조정한 기준심 샤프트(13)은,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까지, 연직 유지기(10)에 의해 그 연직상태를 유지한다. 이 연직유지기(1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이며, 당연히 똑같이 이용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연직 유지기 (10) 간이한 유지수단이기 때문에, 기초천단의 레벨 조정등의 방해가 되는 일도 대부분 없다.
콘크리트의 경화 후는, 연직유지기(10)을 떼어낸다. 연직기(9)를 세트한 채로 있는 경우는 이것도 떼어낸다. 또한 윗쪽의 템플릿(12)도 너트(n),(n)…를 떼어내고, 앵커볼트(6),(6)…및 기준심 샤프트(13)으로부터 떼어낸다. 또 이 기준심 샤프트(13)은, 이것을 기초 세움부의 천단레벨로 컷한다.
이러한 앵커볼트 유닛(16)을 이용하여 위치결정을 실시했을 경우는, 한 번에 복수의 앵커볼트(6),(6)…의 위치결정을 실시할 수 있어 능률적이다. 각 앵커볼트 (6),(6)…의 위치결정은, 이와 같이 기준심 샤프트(13)의 연직성이 유지되고 있으면, 상기한 바로 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모두 정확하게 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의 세움부의 천단에 나타나는 기준심 샤프트(13)의 절단면에는,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13b)가 나타나고, 이것은, 버림 콘크리트(2)의 표면에 위치결정된 심묵(cs)를 정밀하게 윗쪽으로 이동한 것이기 때문에 , 이것을 이 후, 기초 세움부의 천단에 표시해야 할 기준심라인의 원점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것은, 상기 버림 콘크리트(2) 위에 위치결정 표시한 심묵(ca),(cs)에 대응해 착설되는 앵커볼트 착설수단의 예로서,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올 앵커 타입의 착설구(21)에로, 버림 콘크리트(2)의 소정의 부위에 착설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이 착설구멍에 이 착설구(21)을 삽입함과 동시에, 윗쪽으로부터 주입하고, 하단의 테이퍼부재(21a)를 통형상본체(21b)내에 진입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이 통형상본체(21b)의 하부를 확대시켜 이 착설구멍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 통형상본체(21b)의 상부에는 상부에 죽순형상 연결부(21c)를 구비한 볼트부재(21d)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죽순형상 연결부(21c)가 실시예 1등에서 설명한 힌지부(4)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대좌(1a)가 붙은 중공볼트(1b)로 이루어지는 착설구(1)에 대신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6
이것도 상기 버림 콘크리트(2) 위에 위치결정 표시한 심묵(ca),(cs)에 대응해 착설하는 앵커볼트 착설수단의 예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좌(31a)부착의 착설너트(31b)로 구성한 착설구로서, 그 중심에는 들여다보기구멍(31c)이 개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 들여다보기구멍(31c)에는, 2매의 섹터형상 돌기를 상호의 정점이 대향하는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좌(31a)에는, 실시예 1의 대좌(1a)와 같은 비스구멍, 절결 및 잘라넣음 돌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착설너트(31b)에는, 상단에 죽순형상 연결부(31d)를 갖춘 볼트부재(31e)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죽순형상 연결부(31d)가 실시예 1등에서 설명한 힌지부 (4)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대좌(1a)가 부착된 중공볼트(1b)로 이루어지는 착설구(1)에 대신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7
이것은, 앵커볼트 유닛(16)을 콘크리트의 타설전에 그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에 관한 예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볼트(6), (6)…을 상호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템플릿(12)중, 하부의 그것으로부터 수직아래에 고정설치한 지지 지주(25),(25)이다. 이러한 지지 지주(25),(25)는, 그 하단을 착설구(1)의 대좌(1a)로부터 약간 간극을 연 위치까지 밖에 닿지 않게 길이를 설정하고, 앵커볼트 유닛(16)의 일정범위에서의 경사를 허용하면서 그 이상으로는 경사하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이 예의 앵커볼트(16)은,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실시예 4의 그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실시예 8
이것도, 앵커볼트 유닛(16)을 콘크리트의 타설전에 그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에 관한 예로,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템플릿 (12)의 전례와 동일한 위치로부터 도중에 댐퍼(35a)를 개재시킨 지지지주(35),(35)를 수직아래에 고정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지주(35),(35)는, 그 하단을 착설구 (1)의 대좌(1a)까지 닿을 만큼의 길이로 하고, 댐퍼(35a)의 탄력 작용으로, 이 앵 커볼트 유닛(16)의 일정 범위로의 경사를 허용 하지만, 그 이상의 경사는 허용하지 않고 지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이 예의 앵커볼트 유닛(16)도,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실시예 4의 그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실시예 9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을 실시하기에 즈음해 사용하는 연직기(9)의 어댑터(19)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늘어져나온 멈춤체(19a)와, 이것을 하단 바깥둘레에 구비한 조정파이프체(19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조정파이프체(19b)는, 그 바깥 지름을 상기 연직기(9)에 부드럽고 느슨해짐이 없이 삽입가능한 사이즈로 하고, 또한 안지름은, 상기 연직기(9)로 측정불능으로, 측정의 필요가 있는 작은 지름의 앵커볼트 그 밖의 바깥지름에 대응시킨다. 상세하게는 , 그 작은 지름의 측정 대상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또한 도 1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안둘레로부터 일정각도 간격으로 전체 안둘레에 걸쳐 축방향에 따른 복수의 돌조를 형성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복수의 돌조의 꼭대기부를 결합하는 원호의 지름이 작은 지름의 측정 대상의 바깥지름을 조금 넘는 정도의 치수로 한다.
또한 이 조정파이프체(19b)의 하단은,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매끄럽게 확대하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어댑터(19)는, 따라서,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조정 파이프체 (19b)를 연직기(9)의 파이프체(9b)중에 삽입해 사용한다. 도 20(a)은, 어댑터(19)를 사용하지 않고, 연직기(9)의 파이프체(9b)에 직접적으로 큰 지름의 기준심 샤프트(13)에 외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0(b)은 어댑터(19)를 세트한 연직기 (9)를 작은 지름의 앵커볼트(6)의 상단에 외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작은 지름경의 앵커볼트(6)등에는, 이와 같이 어댑터(19)를 세트한 다음, 후자의 조정 파이프체(19b)에 외장하는 것으로써, 느슨함이 없게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연직성의 측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실시예 10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을 실시하기에 즈음해 사용하는 연직기(9)의 점검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점검도구(29)는,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형의 플로트(29a)와, 그의 상부중심으로부터 직립시킨 세트축(29b)과, 이 플로트(29a)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늘어뜨린 중추축(29c)로 구성한 것이다.
플로트(29a)로 적당한 수조의 물에 띄운 다음, 점검 대상의 연직기(9)를 상부세트축(29b)에 세트하고, 이 점검도구(29)가 안정된 상태에서, 그 연직측정부 (9a)가 연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연직기(9)를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전에 다수의 연직기(9)의 점검을 하는데 적당하다.
실시예 11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을 실시하기에 즈음해 사용하는 연직기(9)의 다른 점검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점검도구(39)는,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판형상의 기판(39a)로와, 그 한끝단 근방에 배치한 유니버설 조인트기구(39b)와, 이것을 통하여 세워진 세트축(39c)과, 이 유니버설 조인트기구(39b)를 통하여 세운 중추축(39d)로 구성한 것이다.
기판(39a)의 한 끝단을 적당한 부위에 착설하고, 유니버설 조인트기구(39b)측을 공중에 뜨게 한 다음, 점검 대상의 연직기(9)를 상부세트축(39b)에 세트하고, 이 유니버설 조인트기구(39b)가 안정된 상태에서, 그 연직측정부(9a)가 연직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연직기(9)를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전에 다수의 연직기(9)의 점검을 하는데 형편상 좋다.
본 발명은, 건조물의 기초를 구축할 때에, 임시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지극히 간단한 구성의 부재를 이용하고, 간단한 순서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서, 각종의 건조물을 구축하는 산업분야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芯墨)에 대응시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연직상태로 세운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통하여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울어진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도록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2.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으로서, 베타기초 바깥둘레부의 심묵에 대응시켜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에, 연직상태로 세운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통하여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그 후,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울어진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그 콘크리트가 경화할 때 까지 유지하고,
    그 후, 유지수단을 빼낸 다음,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3.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용의 심묵에 대응시켜서, 앵커볼트 착설수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후,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으로부터 세운 연장축으로서, 상기 심묵의 바로 윗쪽으로부터 연직으로 세운 연장축의 도중까지의 높이로 기초의 베이스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 앵커볼트 착설수단의 연장축의 상단에, 연직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 축심과 축심을 일치시켜서,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통하여 앵커볼트를 착설하고,
    또한 그 후, 기초의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음에 그 때에 기운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를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4.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위에 위치결정 표시된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에, 복수의 앵커볼트를 기초에 착설할 때의 상호의 위치관계로 결합한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의 축심이, 이것을 연직상태로 세웠을 때에, 상하 일치하는 것으로 되도록, 그 앵커볼트 유닛용의 유닛 착설수단을 착설하고,
    그 유닛 착설수단에,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상태로 세운 상태에서 그 축심이 상기 심묵에 일치하도록, 또한 360도의 방향으로 절곡가능한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앵커볼트 유닛을 착설하고,
    그 후, 기초의 베이스부용 및 세움부용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고,
    계속하여 그 때에 기울 우려가 있는 그 앵커볼트 유닛을,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연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그 콘크리트의 경화전에 연직으로 조정하고, 또한 그 연직상태를 유지수단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5.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심묵을, 직접 건물기준심을 기준으로 하여 버림 콘크리트상에 위치결정 표시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6.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높이조정부를 개재시킨,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준심 샤프트를, 외층을 구성하는 샤프트 본체와, 그 축심을 구성하는 작은 지름의 심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길이방향의 어느 부위에 서도 절단가능하게 구성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8.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에 있어서, 건물 기준심을 기준으로 하여 버림 콘크리트상에 기초의 기준심라인을 표시하고, 또한, 별도로, 그 기준심라인에 일치시켜야할 기준심라인 및 이것과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는 앵커볼트용의 심묵 또는 기준심 샤프트용의 심묵을 표시한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구성해 놓고, 그 버림 콘크리트상에 그 심묵표시용 테이프를 기준심라인 상호간을 일치시켜 붙임으로써, 상기 각 심묵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9.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양끝단이 삽입결합단인 가요성의 튜브재로 구성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양단이 결합단인 탄성재로 구성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부를, 이것을 회동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정부 본체와, 양끝단으로부터 그 조정부 본체에 나사결합한 상호 역방향인 나선 을 가진 스크류부재로 이루어지는 턴버클타이프형 높이 조정부, 또는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와, 그 양끝단으로부터 진퇴가 자유롭게 삽입한 2개의 피스톤 부재와, 그 두 개의 피스톤부재에 연결하여, 그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로드부재와, 그 실린더형상의 조정부 본체의 둘레측에 나사결합한 2이상의 고정나사로서, 상기 피스톤 부재의 둘레측까지 나사를 넣어서 그 위치를 고정하는 2이상의 고정 나사로 이루어지는 피스톤형 높이 조정부로 구성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12.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 또는 상기 앵커볼트 유닛을 연직으로 조정할 때에, 그 앵커볼트 또는 그 앵커볼트 유닛의 기준심 샤프트의 연직성을 측정하는 연직기(鉛直器)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연직기로서, 그 앵커볼트 또는 그 기준심 샤프트에 외장 하는 파이프체와 그 상단에 구성한 연직측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의 상부의 적어도 연직기의 파이프체에 외장되는 부위를, 그 파이프체에, 편심하지 않고, 느슨하지 않고, 또한 부드럽게 외장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볼 때,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 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으로서, 도중에 절곡가능하게 접속한 2개의 띠형상 유지편과, 그 절곡중심부에 개구한 앵커 유지구멍과, 그 각 띠형상 유지편의 양단부근에 배치한 착자부(着磁部)로 구성한 것을 채용하고, 연직으로 수정한 앵커볼트를 그 앵커 유지구멍에 외장함과 동시에, 그 2개의 띠형상 유지편을 V자 형상으로 열고, 또한 그 양단의 착자부에서 자성 금속제의 거푸집에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 결정법.
KR1020057024202A 2003-06-16 2004-06-14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결정법 KR20060019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0129 2003-06-16
JP2003170129A JP3875216B2 (ja) 2003-06-16 2003-06-16 スイング式アンカーボルトによる基礎へのアンカーボルトの精密位置決め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602A true KR20060019602A (ko) 2006-03-03

Family

ID=3354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202A KR20060019602A (ko) 2003-06-16 2004-06-14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결정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07339A1 (ko)
EP (1) EP1643038A1 (ko)
JP (1) JP3875216B2 (ko)
KR (1) KR20060019602A (ko)
CN (1) CN100485136C (ko)
WO (1) WO2004111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7B1 (ko) *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905A (ja) * 2006-12-06 2008-06-26 Shinohara Machinery Co Ltd 枚葉印刷機の爪座機構
CA2566986C (en) * 2006-11-02 2015-01-06 Jonathan Jonny Melic Grip anchor for concrete
US7941975B2 (en) * 2007-04-11 2011-05-17 Erla Dogg Ingjaldsdottir Affordable, sustainable buildings comprised of recyclable materials and methods thereof
US8910439B2 (en) 2007-04-11 2014-12-16 M3house, LLC Wall panels for affordable, sustainable buildings
US8429871B2 (en) * 2007-04-11 2013-04-30 Erla Dögg Ingjaldsdottir Affordable, sustainable buildings comprised of recyclable materials and methods thereof
US7677522B2 (en) * 2008-05-07 2010-03-16 Bakos Stephen M Support bracket for a column
US8151528B2 (en) * 2008-05-28 2012-04-10 Building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nchoring a modular building
US9187904B2 (en) * 2011-08-22 2015-11-17 Robert J. Stanton Protective enclosure for a wellhead
DE102013105512A1 (de) * 2013-05-29 2014-12-04 Max Bögl Wind AG Betonfunda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tonfundaments für einen Windkraftturm sowie Positionier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von Hüllrohren in einem Betonfundament
US10357678B2 (en) * 2015-02-05 2019-07-23 Bryant Brown Magnetic exercise anchor
US9909329B2 (en) 2015-09-10 2018-03-06 Gerald A. LaLiberte, JR. Anchor device positioning and plumbing tool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10337185B2 (en) * 2015-09-15 2019-07-02 Cetres Holdings, Llc Hold down system with distributed loading for building walls
CN107366295B (zh) * 2016-05-12 2019-10-25 承锜钢铁股份有限公司 定位调整器的结构总成
JP6709461B2 (ja) * 2016-05-20 2020-06-17 株式会社東海建商 高さ調整補助具
US10098248B1 (en) * 2016-12-16 2018-10-09 Amazon Technologies, Inc. Server rack anchoring system for datacenter
CA3059930A1 (en) * 2017-04-13 2018-10-18 Truetech Bridge, Llc Adjustable forms for poured concrete struct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104152B (zh) * 2017-10-23 2024-03-29 湖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光伏基础定位辅助装置及其定位方法
JP2020117904A (ja) * 2019-01-22 2020-08-06 良隆 田中 アンカーボルト姿勢矯正具
USD869936S1 (en) 2019-07-03 2019-12-17 Edd Smith Post mounting bracket
JP2021128109A (ja) * 2020-02-17 2021-09-02 株式会社トプコン 測量機設置装置
CN113497433A (zh) * 2020-03-19 2021-10-12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轨道交通隧道顶部过轨阻尼桥架装置
JP6761555B1 (ja) * 2020-04-13 2020-09-23 中日本ハイウェイ・エンジニアリング東京株式会社 ベースプレートを固定するアンカーボルトの点検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ナット
CN113202151B (zh) * 2021-05-07 2024-02-27 湖南六建久华建设有限公司 一种超深空桩钻孔灌注桩桩顶标高精准测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9387A1 (de) * 1991-11-29 1993-06-03 Asea Brown Boveri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maschinenteils auf einem fundament
JPH06316939A (ja) * 1992-10-02 1994-11-15 Sakai Soken Kk 建築工事用位置決め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工法
JP4222580B2 (ja) * 1998-10-22 2009-02-12 見敏 石井 建築物の基礎工事方法
JP4112121B2 (ja) * 1999-06-10 2008-07-02 岡部株式会社 露出柱脚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決めプレート
US6263621B1 (en) * 1999-09-08 2001-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Leveling and secur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7B1 (ko) *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5136C (zh) 2009-05-06
CN1806081A (zh) 2006-07-19
EP1643038A1 (en) 2006-04-05
US20070107339A1 (en) 2007-05-17
WO2004111350A1 (ja) 2004-12-23
JP2005002740A (ja) 2005-01-06
JP3875216B2 (ja)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9602A (ko) 스윙식 앵커볼트에 의한 기초로의 앵커볼트의 정밀위치결정법
US7735273B2 (en) Poured concrete column hole
CN103590510B (zh) 装配式结构与现浇结构中预埋钢筋的固定连接方法
JP2013100673A (ja) 鋼管杭と建造物の支柱と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CN109296138B (zh) 一种构造柱后植钢筋的定位装置及施工方法
WO2007108670A1 (es) Dispositivo para la alineación de cimbras modulares en muros de concreto y procedimiento de alineación
JP4722201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
JP2008081980A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出し治具
US20190010715A1 (en) Formwork apparatus for forming a building support
JP4844926B2 (ja) 柱脚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4942338U (zh) 一种用于现浇混凝土结构钢筋连接的预埋结构
CN212866363U (zh) 装配式结构预制构件便捷式斜撑预埋件
CN220928432U (zh) 一种适用于预制空腔柱钢筋的固位装置
US11891790B2 (en) Bolted slant anchor device and method
JPH01203523A (ja) 柱脚固定方法
CN220117780U (zh) 预制柱定位装置
CN217923573U (zh) 一种灌桩用的桩心对中装置
CN212077956U (zh) 一种基坑支护系统的支撑结构
CN110528780B (zh) 一种房屋建筑用钢筋支架结构
KR20010067634A (ko) 가이드레일 설치를 위한 지주 셋팅장치
CN208473118U (zh) 一种预制柱钢筋定位装置
JP4567856B2 (ja) シース管保持治具、シース管保持治具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シース管保持治具の位置決め方法
JPH01154952A (ja) 手摺支柱の支持装置
JP5563409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据付治具および該据付治具を用いた杭基礎の施工方法
JPH0288818A (ja) 基礎用建柱面のレベル出し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