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164A -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164A
KR20060019164A KR1020040067677A KR20040067677A KR20060019164A KR 20060019164 A KR20060019164 A KR 20060019164A KR 1020040067677 A KR1020040067677 A KR 1020040067677A KR 20040067677 A KR20040067677 A KR 20040067677A KR 20060019164 A KR20060019164 A KR 2006001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drain
power supply
transisto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112B1 (ko
Inventor
손일영
금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112B1/ko
Priority to US11/207,698 priority patent/US7362080B2/en
Publication of KR2006001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제한전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가 개시된다. 전원 레귤레이터는 패스 트랜지스터, 피드백 회로, 에러앰프, 및 보호회로를 구비한다. 패스 트랜지스터는 안정화되지 않은 제 1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출력전압을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에서 발생시킨다. 피드백 회로는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에러앰프는 기준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보호회로는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고 이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제어신호의 전압을 변화시킨다. 전원 레귤레이터는 제한전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레귤레이터는 과전류 보호용 센싱 저항을 너무 작지 않게 설계할 수 있고,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현시 칩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POWER REGULATOR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OVER-CURRENT PROTECTION THEREOF}
도 1은 종래의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종래의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들에 사용되는 에러앰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러앰프
200 : 기준전압 발생회로
300, 500, 600 : 보호회로
400 : 피드백 회로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전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레귤레이터(Regulator)는 불안정한 전원전압을 안정된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여러 기능 블록들에 안정적으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Low Dropout Regulator; 이하 LDO 레귤레이터라 함)는 불안정한 전원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안정화된 전원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이 적은 레귤레이터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LDO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DO 레귤레이터는 기준전압 발생기(200), 에러앰프(100), 패스 트랜지스터(Pass Transistor)(MP1), 저항(R1), 및 저항(R2)을 구비한다.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은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소스 단자에 인가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R1)과 저항(R2)을 통해 접지(GND)로 흐른다.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출력단자로 안정화된 출력전압(VOUT)이 출력된다. 기준전압 발생기(200)의 출력인 기준전압(Vref)은 에러앰프(100)의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저항(R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에러앰프(100)의 비반전 입력단자 에 입력된다. 에러앰프(100)의 출력신호(VEO)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저항(R2)에 의해 센싱되어 전압신호(Vf)로 변환된다. 이 전압신호(Vf)는 에러앰프(100)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출력전압(VOUT)은 VOUT = Vref×(1+Rf1/Rf2)로 나타낼 수 있고, 기준전압(Vref)이 안정화된 전압이므로, 출력전압(VOUT)은 안정화된 전압이다.
일반적으로, LDO 레귤레이터는 비정상 동작상태에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전류 보호회로 등의 보호회로를 구비한다. 도 2는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종래의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LDO 레귤레이터는 도 1의 레귤레이터에 저항(RS1)과 PMOS 트랜지스터(MP2)로 구성된 보호회로가 추가된 구성을 갖는다. 비정상 동작상태에서,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인 입력전압(VIN)이 증가하면,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저항(RS1)에 양단에 걸리는 전압(VRS1)이 증가한다. 저항(RS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MP2)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커지면, PMOS 트랜지스터(MP2)가 턴온된다. 따라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단자의 전위가 높아지고,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줄어든다. 결국,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인 입력전압(VIN)이 과도하게 증가하더라도, 저항(RS1)과 PMOS 트랜지스터(MP2)로 구성된 보호회로에 의해 패스 트랜지스터(MP1)가 보호될 수 있다.
그런데, LDO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의 전압강하(VDO)는 부 하전류가 100 mA일 때, 100 ~ 200 mV 정도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저항(RS1)의 크기는 1옴 이하의 값을 가져야 한다. 1옴 이하의 저항을 반도체 칩 내에 설계하려면, 칩 사이즈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전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전류 보호용 센싱 저항을 너무 작지 않게 설계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구현시 칩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전원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전류 보호용 센싱 저항을 너무 작지 않게 설계할 수 있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레귤레이터는 패스 트랜지스터, 피드백 회로, 에러앰프, 및 보호회로를 구비한다. 패스 트랜지스터는 안정화되지 않은 제 1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피드백 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에러앰프는 기준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변화시킨다.
상기 보호회로는 스케일 다운 회로, 미러회로, 및 전류검출회로를 구비한다. 스케일 다운 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한다. 미러회로는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발생시킨다. 전류검출회로는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은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이 전류에 비례하는 출력전압을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에서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기준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LDO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DO 레귤레이터는 패스 트랜지스터 (MP1), 피드백 회로(400), 기준전압 발생회로(200), 에러앰프(100), 및 보호회로(300)를 구비한다. 피드백 회로(400)는 저항들(R1, R2)을 구비한다. 전원라인에는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이 인가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을 수신하고 제어신호(VEO)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출력전압(VOUT)을 발생시킨다. 피드백 회로(400)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Vf)를 발생시킨다. 피드백 신호(Vf)는 출력전압(VOUT)이 저항들(R1, R2)에 의해 분할된 전압신호이다. 에러앰프(Error Amplifier)(100)는 기준신호(Vref)와 피드백 신호(Vf)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제어신호(VEO)를 발생시킨다. 기준전압 발생회로(200)는 공정변화 온도변화 등에 대해 안정화된 기준전압(Vref)을 발생시킨다. 보호회로(300)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고 이 스케일 다운된 전류를 검출한다. 보호회로(300)는 또한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제어신호(VEO)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보호회로(300)는 PMOS 트랜지스터들(MP3, MP4), NMOS 트랜지스터들(MN1, MN2), 및 저항(RS2)을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MP3)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을 지니는 전원라인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1)는 PMOS 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2)는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저항(RS2)은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과 NMOS 트랜지스 터(MN2)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MP4)는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LDO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라인에 인가되는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은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일 수 있다. 에러앰프(100)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VEO)의 제어하에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스위칭 동작을 하고 제어신호(VEO)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전압(VOUT)을 발생시킨다. 피드백 신호(Vf)는 출력전압(VOUT)이 피드백 회로(400)를 구성하는 저항들(R1, R2)에 의해 분할된 신호이다. 에러앰프(100)는 기준전압 발생회로(200)의 출력전압인 기준신호(Vref)와 피드백 신호(Vf)를 비교하여 제어신호(VEO)를 출력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출력전압(VOUT)이 증가하고 저항(R2) 양단의 전압도 증가한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Vf)가 증가한다. 피드백 신호(Vf)가 증가하면, 에러앰프(100)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VEO)는 증가하고,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감소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면, 출력전압(VOUT)이 감소하고 저항(R2) 양단의 전압도 감소한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Vf)가 감소한다. 피드백 신호(Vf)가 감소하면, 에러앰프(100)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VEO)는 감소하고,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증가한다. 이런식으로 하여 출력전압(VOUT)은 안정화된다.
이하, 도 3의 LDO 레귤레이터 내에 있는 보호회로(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NMOS 트랜지스터(MN1)와 NMOS 트랜지스터(MN2)는 전류미러를 구성한다. PMOS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MP3)에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실제로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노말 PMOS 트랜지스터 사이즈(폭/길이)의 수만 배의 크기를 가지고,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수백 mA의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PMOS 트랜지스터(MP3)는 노말 트랜지스터와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설계해도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MP3)에는 수 uA ~ 수십 uA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NMOS 트랜지스터(MN1)와 NMOS 트랜지스터(MN2)는 전류미러의 구성을 가지므로,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는 PMOS 트랜지스터(MP3)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가 흐른다.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RS2)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다. 저항(RS2) 양단의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과전류 조건이 되면,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매우 큰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PMOS 트랜지스터(MP3)와 저항(RS2)에 의해 센싱된다. 패스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저항(RS2) 양단 전압도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 - 소스 간 전압이 증가하고, PMOS 트랜지스터(MP4)는 턴온된다. PMOS 트랜지스터(MP4)의 드레인은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PMOS 트랜지스터(MP4)가 턴온되면,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의 전압이 높아진다. 결국, 패스 트랜지스터(MP1)는 턴오프되거나 문턱전압 이하에서 동작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LDO 레귤레이터에서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검출하지 않고,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를 스케일 다운 하고, 이 스케일 다운된 전류를 저항(RS2)에 의해 검출하기 때문에, 전류 센싱을 위해 사용되는 저항(RS2)을 종래에 비해 크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회로에서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큰 값의 전류를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LDO 레귤레이터가 저 전압강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센싱을 위해 사용되는 저항(도 2의 RS1)의 값을 1 옴 이하를 갖도록 설계해야 했다. 그런데, 1 옴 이하의 낮은 값의 저항을 설계하려면, 반도체 칩 상의 면적을 대단히 많이 차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LDO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의 LDO 레귤레이터는 보호회로(300)의 구성이 도 3의 회로와 다르다. 도 4를 참조하면, LDO 레귤레이터는 패스 트랜지스터(MP1), 피드백 회로(400), 기준전압 발생회로(200), 에러앰프(100), 및 보호회로(500)를 구비한다. 피드백 회로(400)는 저항들(R1, R2)을 구비한다.
보호회로(500)는 PMOS 트랜지스터들(MP3, MP4, MP5, MP6, MP7), NMOS 트랜지스터들(MN1, MN2, MN3), 및 저항(RS2)을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MP3)는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MP6)는 PMOS 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노드(N1)에 연 결된 게이트와 노드(N2)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MP7)는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에 연결된 소스와 노드(N1)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1)는 노드(N2)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2)는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3)는 NMOS 트랜지스터(MN2)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노드(N1)에 연결된 드레인과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저항(RS2)은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을 지니는 라인과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MP4)는 전원라인에 연결된 소스와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패스 트랜지스터(MP4)의 제어단자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이하, 도 4의 LDO 레귤레이터 내에 있는 보호회로(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의 LDO 레귤레이터 내에 있는 보호회로(500)는 도 3의 LDO 레귤레이터 내에 있는 보호회로(300)에 NMOS 트랜지스터(MN3), PMOS 트랜지스터(MP6), 및 PMOS 트랜지스터(MP7)로 구성된 피드백 루프가 추가된 회로이다. 도 3의 회로에서와 마찬가지로, PMOS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MP3)에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실제로 PMOS 트랜지스터(MP3)의 사이즈(폭/길이)는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사이즈의 수천분의 1 또는 수만분의 1이 되도록 설계하고, PMOS 트랜지스터(MP3)에는 수 uA ~ 수십 uA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흐른다. NMOS 트랜지스터(MN1)와 NMOS 트랜지스터(MN2)는 전류미러의 구성을 가지므로, NMOS 트랜 지스터(MN2)의 드레인에는 PMOS 트랜지스터(MP3)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가 흐른다. NMOS 트랜지스터(MN2)의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RS2)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다. 저항(RS2) 양단의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MP4)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도 4의 회로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MN3), PMOS 트랜지스터(MP6), 및 PMOS 트랜지스터(MP7)로 구성된 피드백 경로 때문에,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단자의 전위와 패스 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 단자의 전위가 같아진다. 따라서, 패스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소스 간 전압과 PMOS 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소스 간 전압 차이에 기인하여 전류의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의 회로에서 PMOS 트랜지스터(MP5)는 노드(N2)에 전압을 공급하여 회로를 초기화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기능을 갖는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의 회로는 회로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PMOS 트랜지스터(MP5) 대신에 저항(RT)을 사용했다는 점이 도 4의 회로와 다르다. 저항(RT)는 전원라인과 노드(N2) 사이에 연결되어 보호회로(600)를 초기화한다. 도 5의 LDO 레귤레이터의 동작은 도 4의 회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들에 사용되는 에러앰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러앰프(100)는 PMOS 트랜지스터들(MP8, MP9)과 NMOS 트랜지스터들(MN5, MN6, MN7)을 구비한다. PMOS 트랜지스터(MP8)는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이 인가되는 전원라인에 연 결된 소스와 서로 공통 연결된 드레인과 게이트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MP8)는 전원라인에 연결된 소스와 PMOS 트랜지스터(MP8)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에러앰프 출력신호(VEO)가 출력되는 드레인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5)는 PMOS 트랜지스터(MP8)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과 피드백 신호(Vf)가 인가되는 게이트와 노드(N3)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6)는 PMOS 트랜지스터(MP9)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과 기준신호(Vref)가 인가되는 게이트와 노드(N3)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MN7)는 노드(N3)에 연결된 드레인과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접지(GND)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에러앰프(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압(VIN)은 안정화되지 않은 전원전압(VIN)으로서, 휴대폰 등에 사용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일 수 있다. 피드백 신호(Vf)가 기준신호(Vref)보다 클 때는 에러앰프 출력신호(VEO)는 정(+)의 값을 가지고, 피드백 신호(Vf)가 기준신호(Vref)보다 작을 때는 에러앰프 출력신호(VEO)는 부(-)의 값을 가진다. 도 3의 LDO 레귤레이터에서,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저항(R2) 양단 전압이 증가하고, 피드백 신호(Vf)가 증가한다. 따라서, 에러앰프 출력신호(VEO)은 증가한다. 반대로, 패스 트랜지스터(MP1)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면 저항(R2) 양단 전압이 감소하고, 피드백 신호(Vf)가 감소한다. 따라서, 에러앰프 출력신호(VEO)은 감소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레귤레이터는 제한전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레귤레이터는 과전류 보호용 센싱 저항을 너무 작지 않게 설계할 수 있고,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현시 칩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Claims (18)

  1. 안정화되지 않은 제 1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패스 트랜지스터;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드백 회로;
    기준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에러앰프; 및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변화시키는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에러앰프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는 스케일 다운 회로;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발생시키는 미러회로; 및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변화시키는 전류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센싱저항; 및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 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제 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제 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1 노드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라인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센싱저항; 및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6 PMOS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트리거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저항의 연결점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되지 않은 제 1 전원전압은 배터리의 출력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
  11.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는 스케일 다 운 회로;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발생시키는 미러회로; 및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의 미러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제어신호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전류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센싱저항; 및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제 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제 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1 노드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에 공통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갖고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제 2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를 갖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라인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센싱저항; 및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제 1 전원전압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제 6 PMOS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트리거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17. 전원전압을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이 전류에 비례하는 출력전압을 레귤레이터 출력단자에서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기준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이 두 신호의 차이에 응답하여 변 화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비율로 스케일 다운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상기 스케일 다운된 전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KR1020040067677A 2004-08-27 2004-08-27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KR10060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77A KR100608112B1 (ko) 2004-08-27 2004-08-27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US11/207,698 US7362080B2 (en) 2004-08-27 2005-08-20 Power regulator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roviding over-current prote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77A KR100608112B1 (ko) 2004-08-27 2004-08-27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64A true KR20060019164A (ko) 2006-03-03
KR100608112B1 KR100608112B1 (ko) 2006-08-02

Family

ID=3594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677A KR100608112B1 (ko) 2004-08-27 2004-08-27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62080B2 (ko)
KR (1) KR1006081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00B1 (ko) * 2009-09-29 2015-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전류 감지 회로
KR20150107572A (ko) * 2014-03-14 2015-09-23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전압 공급 유닛 및 그 동작 방법
US9377799B2 (en) 2013-09-13 2016-06-28 SK Hynix Inc.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output voltage
CN106062653A (zh) * 2014-02-28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电流的方法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36037A (en) * 2006-12-08 2008-09-01 Seiko Instr Inc Voltage regulator
TWI323073B (en) * 2006-12-14 2010-04-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Power circuit and charge pumping circuit
US7629711B2 (en) * 2007-03-23 2009-12-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oad independent voltage regulator
JP4953246B2 (ja) 2007-04-27 2012-06-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0589058C (zh) * 2007-12-27 2010-02-10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电流限制电路及包括其的电压调节器和dc-dc转换器
US7821755B2 (en) * 2008-03-11 2010-10-26 Universal Scientific Industrial (Shanghai) Co., Ltd. Resettable short-circuit protection configuration
KR100967028B1 (ko) 2008-06-03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원을 이용한 소프트 스타트를 갖는 레귤레이터
TWI373700B (en) * 2008-10-13 2012-10-01 Holtek Semiconductor Inc Active current limiting circuit and power regulator using the same
TW201017359A (en) * 2008-10-20 2010-05-01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Low dropout regulator having a current-limiting mechanism
US7710090B1 (en) * 2009-02-17 2010-05-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ries regulator with fold-back over current protection circuit
US8319560B2 (en) * 2009-10-05 2012-11-27 Hittite Microwave Corporation Switched active bias control and power-on sequencing circuit for an amplifier
WO2013046485A1 (ja) * 2011-09-27 2013-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定電圧回路
KR20130036554A (ko) * 2011-10-04 2013-04-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레귤레이터 및 고전압 발생기
CN103988408A (zh) * 2011-10-14 2014-08-13 英迪斯私人有限公司 电源控制
JP2013092958A (ja) * 2011-10-27 2013-05-1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電流検出回路及び電源回路
CN103163925B (zh) * 2011-12-15 2014-11-05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高效率低压差电压调节器
CN102710109B (zh) * 2012-05-24 2014-07-02 浙江大学 一种dc/dc转换器的电流限制电路
US20140117950A1 (en) * 2012-10-29 2014-05-01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Voltage regulator circuit
US9793707B2 (en) * 2013-05-28 2017-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ast transient precision power regulation apparatus
EP2816438B1 (en) * 2013-06-20 2017-11-15 Dialog Semiconductor GmbH Active clamps for multi-stage amplifiers in over/under-voltage condition
EP2846213B1 (en) * 2013-09-05 2023-05-03 Renesas Design Germany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startup inrush current for low dropout regulator
KR20150050880A (ko) 2013-11-01 2015-05-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레귤레이터 및 바이어스 전류 조절 장치
TWI503645B (zh) 2014-05-07 2015-10-11 Nuvoton Technology Corp 電壓調節器、方法與晶片
TWI587116B (zh) * 2014-05-07 2017-06-1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電壓調節晶片
KR20150136950A (ko) 2014-05-28 2015-1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액티브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05988495B (zh) * 2015-02-09 2018-02-02 钜泉光电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ldo过冲保护电路
US9817415B2 (en) * 2015-07-15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Wide voltage range low drop-out regulators
CN105373180B (zh) * 2015-09-16 2017-01-25 西安拓尔微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低功耗的低压差线性稳压器
CN105388954B (zh) * 2015-12-16 2017-04-19 无锡中微爱芯电子有限公司 一种线性电压调整器电路
US10175706B2 (en) * 2016-06-17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Compensated low dropout with high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and short circuit protection
CN106227282A (zh) * 2016-07-27 2016-12-14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九研究院第七七研究所 具有多模式控制功能的高可靠性低压差线性稳压器电路
US9746864B1 (en) * 2016-08-11 2017-08-29 Xilinx, Inc. Fast transient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for a voltage-mode driver
CN108604105A (zh) * 2016-11-16 2018-09-2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功率输出模块、输出电路及低压差稳压装置
CN106774595A (zh) * 2017-01-09 2017-05-31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低压差线性稳压器的过流保护电路
JP2019060961A (ja) * 2017-09-25 2019-04-18 ローム株式会社 電圧レギュレータ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031983B2 (ja) * 2018-03-27 2022-03-0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8471230A (zh) * 2018-06-02 2018-08-31 丹阳恒芯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过流保护电路
US20220043472A1 (en) * 2018-10-10 2022-02-10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Power supply circuit and transmitting device
CN109765957A (zh) * 2019-01-07 2019-05-17 上海奥令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
US10942536B1 (en) * 2019-09-20 2021-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regulator for an LDO
CN113495592A (zh) * 2020-04-07 2021-10-12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ldo的短路电流保护装置和方法、ldo
CN115963882B (zh) * 2022-12-30 2024-01-26 南京微盟电子有限公司 一种线性稳压器限流控制电路
CN115800189B (zh) * 2023-01-09 2023-05-02 上海海栎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片上过流保护电路及保护方法
CN115963311B (zh) * 2023-03-15 2023-05-12 北京炎黄国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ldo限流的电流检测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015A (en) 1981-12-22 1984-01-24 Hughes Aircraft Company Overcurrent limiter circuit for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ies
JP2691988B2 (ja) * 1988-01-18 1997-12-1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直流安定化電源の不起動対策回路
JPH03136112A (ja) * 1989-10-23 1991-06-10 Sharp Corp 安定化電源回路
JP3611100B2 (ja) 2000-02-2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安定化電源回路および安定化電源用デバイス
US6246221B1 (en) 2000-09-20 2001-06-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MOS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using non-inverting variable gain stage
US6452766B1 (en) * 2000-10-30 2002-09-1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KR100351387B1 (ko) 2000-12-04 2002-09-05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온/오프 시간제어가 가능한 히컵 모드 과전류 보호회로
US6522111B2 (en) * 2001-01-26 2003-02-18 Linfinity Microelectronics Linear voltage regulator using adaptive biasing
JP3693625B2 (ja) * 2002-04-15 2005-09-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その集積回路
US6664773B1 (en) * 2002-05-23 2003-12-1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Voltage mode voltage regulator with current mode start-up
JP4616067B2 (ja) * 2005-04-28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回路
US7173401B1 (en) * 2005-08-01 2007-02-06 Integrated System Solution Corp. Differential amplifier and low drop-out regulator with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00B1 (ko) * 2009-09-29 2015-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전류 감지 회로
US9377799B2 (en) 2013-09-13 2016-06-28 SK Hynix Inc.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output voltage
CN106062653A (zh) * 2014-02-28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电流的方法和电子设备
WO2015130068A3 (en) * 2014-02-28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urrent
US9823676B2 (en) 2014-02-28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urrent
KR20150107572A (ko) * 2014-03-14 2015-09-23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전압 공급 유닛 및 그 동작 방법
US9360876B2 (en) 2014-03-14 2016-06-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oltage supply circuit having an absorption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800154B2 (en) 2014-03-14 2017-10-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oltage supply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62080B2 (en) 2008-04-22
KR100608112B1 (ko) 2006-08-02
US20060043945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112B1 (ko)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및 전원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방법
KR101002119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7573689B2 (en) Overcurrent detecting circuit and regulator having the same
KR100866967B1 (ko) 밴드갭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이용한 이상 전압 검출 및차단 회로
US7602162B2 (en) Voltage regulato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KR100888483B1 (ko) 공정 변동을 보상하는 기준 바이어스 회로
US8446215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US7923978B2 (en) Regulator circuit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US9618951B2 (en) Voltage regulator
US6917187B2 (en) Stabilized DC power supply device
JP5047815B2 (ja) 過電流保護回路及びその過電流保護回路を備えた定電圧回路
KR20070051319A (ko) 회로의 보호 방법, 보호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원 장치
JP2008015925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5266084B2 (ja) 過電流保護回路
JP2008052516A (ja) 定電圧回路
US7414384B2 (en) Series regulator circuit
CN101178606B (zh) 电压供应电路
US20080157860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stable internal voltages withstanding varying external conditions
TWI672572B (zh) 電壓調節器
CN108693916B (zh) 过电流保护电路以及电压调节器
JP2016139247A (ja) 定電流駆動回路
KR101659901B1 (ko)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CN115903992A (zh) 电压生成电路及半导体装置
KR100834592B1 (ko) 과전압 및 역전압 보호 기능을 갖춘 저감압 레귤레이터회로 및 그 방법
JP2018073251A (ja) レギュレータ回路、バイア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