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809A - 투사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809A
KR20060018809A KR1020057002051A KR20057002051A KR20060018809A KR 20060018809 A KR20060018809 A KR 20060018809A KR 1020057002051 A KR1020057002051 A KR 1020057002051A KR 20057002051 A KR20057002051 A KR 20057002051A KR 20060018809 A KR20060018809 A KR 2006001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lens
correction
light
video signal
corr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318B1 (ko
Inventor
요시히사 사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Projector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at the edges of picture, e.g. blu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Abstract

투사형 표시장치에, 광원(21)과 인가된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빛을 변조해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25)와 광원(21)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해 공간 광변조소자 (25)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23)와 공간 광변조소자(25)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하는 투영렌즈(27)와 공간 광변조소자(25)에 대해, 조명 광학계(23) 또는 투영렌즈 (27)의 몇 개측에 빛의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며, 통과하는 빛의 차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광 수단(1)과 공간 광변조소자(25)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공간 광변조소자(25)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이 영역마다, 차광 수단(1)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3, 4, 5, 6)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한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장치{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투사형 표시장치(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트라스트의 개선을 위해서 조리개와 같은 차광 수단을 가지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공간 광변조소자로의 입사빛을 공간 변조해 출사하고, 출사광을 모아 투영하고, 영상 표시를 실시하는 투사형 표시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그러한 투사형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광원으로서 램프와 집광경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그것들로부터 발산되어지는 빛을 집광하여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시키는 조명 광학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빛을 투영렌즈에 의해서 스크린 등에 투영한다.
현재, 공간 광변조소자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내부에 액정 재료를 가지며, 액정으로의 인가 전계에 의해 입사 편광의 진동 방향을 회전시키는 타입(액정 타입이라고 부르기로 한다)과, 화소마다 미소 가동 미러(mirror)를 가지며, 입사빛을 미소 가동 미러로 반사시켜, 영상 신호에 의해서 미소 가동 미러의 보관 유지 각도를 바꾸어 공간 변조를 실시하는 타입(DMD(디지털·마이크로 미러·디바이스) 타입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이 있다(‘DMD'는 등록상표).
도 1은, 액정 타입의 투사형 표시장치(액정 프로젝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 낸다. 광원(21)으로부터 발산된 빛은, 반사경 (22)으로 향한다. 반사경(22)과 조명 광학계(23)에 의해, 많은 빛이, 공간 광변조소자인 액정소자(액정 패널)(25)에 모아진다. 모아진 빛은, 액정소자(25)에 입사하기 전에 편광자(24)에 입사하여, 한 방향의 편광이 추출된다. 그리고, 액정소자 (25)에 영상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며, 편광자(24)를 출사하여 액정소자(25)에 입사한 빛을 공간 변조하고, 영상 신호에 따라 편광방향을 회전시킨다. 액정소자(25)를 나온 빛은 검광자(26)에 입사하고, 투사되는 빛이 선택된다. 검광자(26)를 출사한 빛은 투영렌즈(27)에 입사하고, 스크린(도시 생략)등에 투영표시된다.
다음에, 도 2는, DMD 타입의 투사형 표시장치(DMD 프로젝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다. 광원(31)으로부터 발산된 빛은, 반사경(32)으로 향한다. 반사경(32)과 조명 광학계(33)에 의해, 많은 빛이, 공간 광변조소자인 DMD 소자(DMD 패널)(24)에 모아진다. DMD소자(34)에는, 영상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며, 입사광을 공간 변조하고, 영상 신호에 따라 미소 가동 미러의 기울기가 변화하고, 빛의 출사방향을 변화시킨다. DMD 소자(34)에 의해 선택된 빛은, 투영렌즈(35)에 입사하고, 스크린(도시 생략) 등에 투영표시된다.
그런데, 투사형 표시장치와 다른 화상 표시장치와 화상의 비교에 있어서, 투사형 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의 낮음이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콘트라스트란, 백색 화면을 냈을 때와 흑색 화면을 냈을 때의, 휘도의 비이다.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낸 것 같은 투사형 표시장치에서는, 흑색 화면을 표시하려고 해도, 소량이지만, 빛의 일부가, 투영렌즈에 입사해 버린다. 이것은, 광원을 상시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결점을 해결하는 방책으로서 근년,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조명 광학계 혹은 투영렌즈에 조라개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청에 의한 특개 2001-264728 공보(단락 번호 0049~0054, 도 1) 참조).
조리개를 설치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상승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액정 프로젝터의 경우, 액정소자의 특징으로서 액정 패널면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가 큰 만큼, 콘트라스트가 열화 다. 이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명 광학계(23)내 또는 조명 광학계(23) 근방에 조리개((41))를 설치하고, 액정소자(25)에 입사하는 광선의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상승한다.
혹은, 도 1에 나타낸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영렌즈(27)내에 조리개(41)를 설치하고, 액정소자(2 5)를 출사한 광선중 액정 패널로의 입사각도가 큰 것을 조리개 (41)에서 차광하는 것에 의해서도, 콘트라스트가 상승한다.
한편, DMD 프로젝터의 경우는, 전술한 것처럼, 흑색 화면을 표시했을 때, DMD 소자로의 입사빛이 투영렌즈에 입사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러나, DMD 소자는 미소한 미러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미러의 사이등에서 산란빛을 일으켜 버린다. 이 때문에, 본래 투영렌즈로 향하지 않는 빛이, 발생해 버린다. 이것을 가능한 한 실제로 투영하지 않도록, 투영렌즈내에 조리개를 마련하여,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투사형 표시장치에는, 조리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콘트라스트를 올리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 조리개로서 차광량이 일정한 것(예를 들면 통로 형상이 고정된 통로 조리개)을 이용하는 것에는, 백색 화면을 표시했을 때의 휘도가 저하하는 폐해도 있다.
이 폐해를 방지하는 방책은, 가변 조리개(차광량을 가변하는 조리개)를 이용하고, 조리개 개방시와 차폐시의 복수의 상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투영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문제가 되는 것은, 투영하는 환경의 밝기에 의한다. 밝은 방에서는, 방의 밝기(조명이나 태양등)에 의해서, 투사형 표시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스크린에, 빛이 도달하게 된다. 이 때문에, 흑색 화면을 표시해도, 외광 때문에, 장치에 의한 흑색 부분의 돌출문제는 되지 않는다. 외광을 지울 만한, 백색 화면의 휘도가 필요하다.
반대로, 외광이 없는 경우는, 흑색 화면의 돌출문제가 눈에 뜨인다. 반대로, 어두운 장소이기 때문에, 백색 화면의 휘도는 그만큼 필요하지 않다. 인간의 눈이 익숙해져 버리기 때문에 있다.
이것으로부터, 외광이 있는 환경에서는, 조리개를 열어 백색을 밝게하고 고휘도인 영상 표현을 실시한다. 한편 외광이 없는 환경에서는, 조리개를 닫고 백색을 억제하고 콘트라스트를 올린다.이와 같이, 가변 조리개에 의해서, 휘도와 콘트라스트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변 조리개를 개폐하면, 조라개를 열고 있을 때에는,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다르게 된 다. 그것은, 위에 말한 것처럼,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나, 공간 광변조기로부터 출사한 빛의 일부를 차단해 스크린에 도달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콘트라스트를 올리는 수단이지만, 그 때문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액정소자에서는, 액정이 봉입되는 부위(액정층)의 두께가, 면에 의해서 한결같지 않은 경우가 있다. 만일, 액정 패널의 전 화소에, 같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했다고 해도, 액정층의 두께가, 부위에 의해서 다르기 때문에, 입사빛이, 동일한 광변조를 받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바꾸어 말하면, 액정 패널은, 유효 화면 영역에 의해서, 인가 전압(Ⅴ)과 투과율(T)의 관계 그래프(V T곡선)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그 때까지에는, 화면의 부위에 의해서, 적절한 광변조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인가 영상 신호와 투영 화상에서 차이가 생긴다. 예를 들면, 투과율 50%에 대응하는 레벨의 영상 신호가 입력했을 경우에도, 화면의 모든 부위의 투과율이 50%에는 안되므로, 투영 화상에 휘도 얼룩짐이 생긴다.
이 휘도 얼룩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액정 패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액정 패널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영역의 VT곡선 특성등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도록 하는 기술(이하 「유니포미티 보정 기술」이라고 부른다)을, 본 출원인은 특개평 11-113019호 공보에서 이미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VT곡선은,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도, 액정 패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가변 조리개의 개폐에 의해, 액 정 패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 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면(조명 광학계측의 가변 조리개의 개폐에 의해, 액정 패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거나 투영렌즈측의 가변 조리개의 개폐에 의해, 투영렌즈로부터 투영되는 빛의 액정 패널 입사시의 각도 분포가 변화한다), 이 유니포미티 보정 기술에 의해서도, 적절한 보정을 실시할 수 없게 되어, 투영 화상에 휘도 얼룩짐이 생겨 버리는 일이 있다.
이상에서는, 가변 조리개의 개폐에 의해,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는 케이스를 설명했지만,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는 원인으로서는, 이외에도, 촛점거리가 가변인 줌 렌즈로 구성되는 투영렌즈의 줌 위치를 변화시켰을 경우나, 투영렌즈를 교환가능한 액정 프로젝터를 가지고, F번호가 다른 투영렌즈와의 교환을 실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와,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대해, 상기 조명 광학계 또는 상기 투영렌즈의 몇 개 측에 빛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통과하는 빛의 차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광수단과,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차광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이 투사형 표시장치(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의 투사형 표시장치)에서는, 외광이 있는 환경에서는, 차광 수단의 차광량을 감소시켜, 백색을 밝게하고 고휘도인 영상 표현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한편 외광이 없는 환경에서는, 차광 수단의 차광량을 증가시켜, 백색을 억제하고 콘트라스트를 올릴 수 있으므로, 휘도와 콘트라스트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는,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 이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차광 수단의 차광량의 변화에 따라서 다른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차광 수단의 차광량의 변화에 따라서 다른 보정을 실시하므로, 차광 수단의 차광량의 변화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각각 의 영역마다,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그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공간 광변조소자의 이 특성이,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차광 수단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차광 수단의 차광량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출원인은,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이 투사형 표시장치(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2의 투사형 표시장치)에는,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 줌 렌즈로 구성되는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투영렌즈의 줌 위치에 의해서 다른 보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투영렌즈의 줌 위치에 의해서 다른 보정을 실시하므로,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되어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상기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공간 광변조소자의 이 특성이,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이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출원인은,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가, F번호가 다른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의 사이에서 교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이 투사형 표시장치(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3의 투사형 표시장치)에는,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있어서 ,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 F번호가 다른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중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따라서 다른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따라서 다른 보정을 실시하므로, F번호가 다른 투영렌즈와의 교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영상신호 보정 수단은, 각각의 영역마다,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그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공간 광변조소자의 이 특성이,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례로서,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이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그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혹은 또한, 기준이 되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영상신호 보정 수단은, 이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이 기준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이 기준 보정 데이터에 대한 차분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그 차분 데이터를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도 매우 적합하다.
그것에 의해, 교환 가능한 투영렌즈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도, 투사형 표시장치 본체에 다수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일없이,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액정 프로젝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DMD 프로젝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조리개를 설치한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조리개를 설치한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5의 3차원 보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액정 프로젝터의 줌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광원(2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반사경(22)으로 향한다. 반사경 (22)과 조명 광학계(23)에 의해, 많은 빛이, 공간 광변조소자인 액정소자(액정 패널)(25)에 모아진다.
조명 광학계(23)의 근방에는, 가변 조리개(1)가 설치되어 있다. 가변 조리개(1)는, 개구부의 면적을 가변으로 하는 메카니컬 셔터이며, 가변 조리개 제어회로(2)(가변 조리개(1)의 동작부를 변위시키는 모터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등)에 의해서 이 개구부의 면적이 증감되게 되어 있다.
반사경(22)과 조명 광학계(23)에 의해서 모아진 빛은, 액정소자(25)에 입사하기 전에, 이 가변 조리개(1)를 거쳐 편광자(24)에 입사하며, 한 방향의 편광이 추출된다. 그리고, 액정소자 (25)에 영상 신호가 인가되며, 편광자(24)를 출사하여 액정소자 (25)에 입사한 빛을 공간 변조하고, 영상 신호에 따라 편광 방향을 회전시킨다. 액정소자(25)를 나온 빛은 검광자(26)에 입사 하고, 투사되는 빛이 선택된다. 검광자(26)를 출사한 빛은 투영렌즈(27)에 입사하며, 스크린(도시 생략)등에 투영표시된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본체의 조작패널이나 리모트 콘트롤러에는, 도시는 생략 하지만, 가변 조리개(1)를 개폐하는(개구부의 면적을 대·소의 2 단계로 조정한다)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리개 조정 버튼이 설치되고 있다. CPU(6)는, 액정 프로젝터내의 각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이 조리개 조정 버튼로 가변 조리개(1)를 여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가변 조리개 제어회로(2)를 제어해 가변 조리개(1)를 개방시켜(개구부의 면적을 최대로 해), 한편, 이 조리개 조정 버튼에 의해 가변 조리개(1)를 닫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가변 조리개 제어회로(2)를 제어하여 가변 조리개(1)를 좁힌다(개구부의 면적을, 최대 면적보다 좁게 한다).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는, 백색 균형 조정부(3) 및 감마 보정부 (4)에 의해서 보정된다. 백색 균형 조정부(3)는, 영상 신호의 색온도를 조정하는 것이며, 도시는 생략 하지만, 영상 신호의 백색측의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이득 회로와 영상 신호의 흑색측의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감마 보정부(4)는, 백색 균형 조정부(3)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감마 보정을 실시하여 화질의 조정을 실시하는 것이며,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일반적인 액정소자의 VT곡선 특성과는 반대의 특성 곡선의 데이터를 격납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이 설치되고 있다.
3차원 보정부(5)는, 액정소자(25)의 임의의 화소 G(Ⅹ, Y)에 있어서의 레벨 Z의 영상 신호에 대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를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하는 것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수직 카운터(11), 위치 블록 특정 처리부(12), 좌표 데이터 격납부(13), 위치 연산 처리부(14), 3차원 보간 처리부(15) 및 보정 데이터 격납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수직 동기 카운터(11)는, 보정 처리를 행하는 화소(신호)의 표시 화면내에서의 위치, 즉 표시 화면을 평면으로서 보았을 경우에, 화소의 면좌표(Ⅹ, Y)를 특정하기 위한 카운터이며, 이 수평/수직 동기 카운터(1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위치 좌표 Ⅹ는, 수평 동기 신호 Hsync에 동기하여 제로 리셋트 됨과 동시에, 클락 CLK마다 카운트업되어 수평 방향의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로 여겨진다. 또한, 수평/수직 동기 카운터(11)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위치 좌표 Y는, 수직 동기 신호 Vsync에 동기하여 제로 리셋트되며, 수평 동기 신호 Hsync마다 카운트업되는 수직 방향의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로 여겨진다. 클 락 CLK는 화소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에 동기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dot clock으로 불리는 것이다.
좌표 데이터 격납부(13)에는, 보정 중심 좌표 데이터(액정소자(25)의 화면중 보정을 거치는 중심점의 좌표 데이터)(Ⅹc, Yc)와 보정 범위 좌표 데이터(액정소자(25)의 화면중 보정이 필요하게 되는 범위의 정점의 좌표 데이터)(Ⅹ1,Ⅹ2, Yl, Y2)와 보정이 미치는 영상 신호 레벨의 범위의 데이터(Zl, Z2)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지스터에는 공장에서 조정시에 있어서 미리 외부에서 보정 중심 좌표 데이터 및 보정 범위 좌표 데이터가 입력되어 격납되어 있다.
위치 블록 특정 처리부(12)는, 수평/수직 카운터(11)로부터 화소 G(Ⅹ, Y)의 좌표(X, Y)가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좌표 데이터 격납부(13)에 격납되고 있는 데이터가 공급되고, 보정이 필요하게 되는 범위를 복수의 위치 블록으로 분할한다.
위치 연산 처리부(14)는, 수평/수직 카운터(11)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G(Ⅹ, Y)의 좌표 Ⅹ, Y와 좌표 데이터 격납부(13)에 격납되고 있는 데이터와 위치 블록 특정 처리부(12)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블록을 특정하는 서픽스(suffix) n으로부터, 화소 G(Ⅹ, Y)가 어느 위치 블록의 어디의 번지에 위치하는지 판별하여, 그 판별결과를 번지 데이터(Ⅹb, Yb)로서 출력한다.
보정 데이터 격납부(16)는, 보정 중심 좌표(Gc)에 있어서의 보정 데이터 Cc(Ⅹc, Yc, Zc)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등이 설치되어 있다.
3 차원 보간 처리부(15)는, 위치 연산 처리부(14)로부터의 번지 데이터(Ⅹb, Yb)와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 격납되고 있는 보정 데이터(Cc)에 근거하여, 임의 의 화소 G(Ⅹ, Y)에 있어서의 레벨Z의 인가된 영상 신호에 대해 그 출력 레벨을 보간하는 3 차원 보간 데이터 C(X, Y, Z)를 작성한다.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는, 이 3차원 보간 데이터 C(X, Y, Z)가 공급된다.
백색 균형 조정부(3), 감마 보정부(4) 및 3차원 보정부(5)의 상세한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출원과 관련되는 특개평 11-1130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부에 의해, 액정소자(25)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액정소자 (25)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 각각의 영역의 VT 곡선 특성에 대응하며, 게다가 영상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유니포미티 보정(백색 균형 조정이나 감마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보정 데이터 Cc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로서, 가변 조리개(1)를 열었을 때에 사용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17)와, 가변 조리개(1)를 닫았을 때에 사용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18)의 2개의 레지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공장에서의 이 액정 프로젝터의 조정시에는, 가변 조리개(1)를 연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과, 가변 조리개(1)를 닫은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각각 측정하고, 가변 조리개(1)를 연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가변 조리개(1)를 연 상태에서의 액정소자(25)로의 입사빛의 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곡선 특성에 대응하는)보정 데이터 Cc가 레지스터(17)에 격납되는 것과 동시에, 가변 조리개(1)를 닫은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가변 조리개(1)를 닫은 상태에서의 액정소자(25)로의 입사빛의 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 곡선 특성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가 레지스터(18)에 격납되어 있다.
CPU(6)는, 전술의 조리개 조정 버튼으로 가변 조리개(1)를 여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 18)중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15)에 참조시키고, 한편, 조리개 조정 버튼으로 가변 조리개(1)를 닫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 18)중 레지스터(18)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 (15)에 참조시킨다.
다음에, 이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외광이 있는 환경에서 이 액정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의 조리개 조정 버튼으로, 가변 조리개(1)를 여는 조작을 실시한다. 그러면, CPU(6)의 제어에 근거하여 가변 조리개(1)의 개구부의 면적이 최대가 됨으로써, 가변 조리개(1)에서의 차광량이 감소하므로, 백색이 밝아져, 고휘도인 영상 표현을 한다.
한편, 사용자는, 외광이 없는 환경에서 이 액정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의 조리개 조정 버튼으로, 가변 조리개(1)를 닫는 조작을 실시한다. 그러면, CPU(6)의 제어에 근거하여 가변 조리개(1)의 개구부의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가변 조리개(1)의 차광량이 증가하므로, 백색이 억제되고 콘트라스트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휘도와 콘트라스트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조리개(1)을 열었을 때에는, CPU(6)의 제어에 근거하여,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가변 조리개(1)를 연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가변 조리개(1)를 연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백색 균형 조정이나 감마 보정)을 한다.
한편, 가변 조리개(1)를 닫았을 때에는, CPU(6)의 제어에 근거하고,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8)내의 보정 데이터 Cc(가변 조리개(1)를 닫은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가변 조리개(1)를 닫은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이 액정 프로젝터에서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동일 레벨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가변 조리개(1)의 개폐 상태에 따라 다른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가변 조리개(1)의 개폐 상태에 의해서 액정소자(25)로 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특성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가변 조리개(1)의 개폐 상태에 따라 2가지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17, 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변 조리개(1)의 현재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가변 조리개(1)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 도 5 및 도 6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이 액정 프로젝터는, 가변 조리개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F번호 1.85~2.2의 줌 렌즈로 구성되는 투영렌즈(28)를 가지고 있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본체의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콘트롤러에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조절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줌 조정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CPU(6)는, 이 줌 조정 버튼의 조작에 근거하여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제어한다.
도 7에서는,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광각측에 있는 상태(F번호가 1.85가 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텔레측에 있는 상태(F번호가 2.2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도 8에서는 백색 균형 조정부(3), 감마 보정부(4), 3차원 보정부(5), CPU(6)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도 도시 되어 있는 바와같이, 액정소자(25)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는, 투영렌즈(28)의 줌 위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공장에서의 이 액정 프로젝터의 조정시에는,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광각 측에 있는 상태(도 7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과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텔레측에 있는 상태(도 8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각각 측정하고,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광각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광각측에 있는 상태에서 투영렌즈(28)로부터 투영되는 빛이 액정소자(25)에 입사했을 때의 입사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 (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곡선 특성에 대응하는)보정 데이터 Cc가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도 6)에 격납되는 것과 동시에,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텔레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투영렌즈 (28)의 줌 위치가 텔레측에 있는 상태에서 투영렌즈(28)로부터 투영되는 빛이 액정소자(25)에 입사했을 때의 입사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곡선 특성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가 레지스터(18)에 격납되어 있다.
CPU(6)는, 전술의 줌 조정 버튼으로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광각측에 하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 18)중 레지스터 (17)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15)에 참조시키며, 한편, 줌 조정 버튼으로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텔레측에 하는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 지스터(17, 18)중 레지스터(18)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15)에 참조시킨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이외의 구성은, 도 5의 액정 프로젝터와 동일하다.
다음에, 이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술의 줌 조정 버튼을 조작하면, CPU(6)의 제어 하에서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광각측에 조정했을 경우에는, CPU(6)의 제어에 근거하며,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투영렌즈 (28)의 줌 위치가 광각 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투영렌즈 (28)의 줌 위치가 광각 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백색 균형 조정이나 감마 보정)을 한다.
한편, 투영렌즈(28)의 줌 위치를 텔레 측에 조정했을 경우에는, CPU(6)의 제어에 근거하며,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타 격납부(16)의 레지스터(18)내의 보정 데이터 Cc(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텔레 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이것에 의해, 백 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투영렌즈(28)의 줌 위치가 텔레 측에 있는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이 액정 프로젝터에서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동일 레벨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투영렌즈(28)의 줌 위치에 따라 다른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투영렌즈 (28)의 줌 위치에 의해서 액정소자(25)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3 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특성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투영렌즈(28)의 줌 위치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17, 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투영렌즈(28)의 현재의 줌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투영렌즈(28)의 줌 위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CPU(6)가 투영렌즈(28)의 현재의 줌 위치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투영렌즈(28)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행하므로, 투영렌즈(28)의 줌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 도 5 및 도 6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이 액정 프로젝터는, 가변 조리개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투사 렌즈를, F번호 1.85의 투영렌즈, F번호 2.2의 투영렌즈라고 하는 2종류의 투영렌즈의 사이에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정소자(25)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는, 장착되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따라 변화한다.
이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하는 투영렌즈로서는, 도면에 투영렌즈(29)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F번호 전달부(29a)를 설치한 것이 이용된다. F번호 전달부(29a)는, 액정 프로젝터의 CPU(6)에 대해서 자신의 F번호(1.85아니면 2.2)를 알리기 위한 것이며, 투영렌즈(29)를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함으로써 CPU(6)에 접속되는 메모리(예를 들면 ROM)에, F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CPU(6)는, 이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장착된 투영렌즈(29)의 F번호를 판별한다(다른 예로서 F번호 전달부(29a)를, F번호가 1.85나 2.2가 되도록 하여 투영렌즈(29)가 다른 위치에 부착된 돌기물로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액정 프로젝터에, 투영렌즈(29)가 장착되었을 때의 이 돌기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그 검출 결과에 의해서 CPU(6)가 투영렌즈(29)의 F번호를 판별하도록 해도 괜찮다.).
공장에서의 이 액정 프로젝터의 조정시에는, 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과 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투영 화상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각각 측정하고, 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그 투영렌즈로부터 투영되는 빛이 액정소자(25) 에 입사했을 때의 입사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 곡선 특성에 대응하는)보정 데이터 Cc가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 (17)(도 6)에 격납되는 것과 동시에, 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그 투영렌즈로부터 투영되는 빛이 액정소자(25)에 입사했을 때의 입사각도 분포에 대응하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VT곡선특성에 대응하는)보정 데이터 Cc가 레지스터(18)에 격납되어 있다.
CPU(6)는, 장착된 투영렌즈(29)의 F번호 전달부(29a)를 이용하여 판별한 투영렌즈(29)의 F번호가 1.85였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 18) 중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15)에 참조시키고, 한편, 장착된 투영렌즈(29)의 F번호 전달부(29a)를 이용하여 판별한 투영렌즈(29)의 F번호가 2.2였을 경우에는, 3차원 보정부(5)를 제어하고,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 18)중 레지스터(18)내의 보정 데이터 Cc쪽을 3차원 보간 처리부 (15)에 참조시킨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그 이외의 구성은, 도 5의 액정 프로젝터와 동일하다.
다음에, 이 액정 프로젝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F번호가 1.85의 투영렌즈(29)를 이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했을 경우에는, F번호 전달부(29a)를 이용하고, 장착된 투영렌즈(29)의 F번호가 1.85라는 것이 CPU(6)에 의해서 판별된다. 그리고, CPU(6)의 제어에 근거하여,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F번호 1.8 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백색 균형 조정이나 감마 보정)을 한다.
한편, 사용자가, F번호가 2.2의 투영렌즈(29)를 이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했을 경우에는, F번호 전달부(29a)를 이용하고, 장착된 투영렌즈(29)의 F번호가 2.2라는 것이 CPU(6)에 의해 판별된다. 그리고, CPU(6)의 제어에 근거하여, 3차원 보정부(5)에서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7)내의 보정 데이터 Cc(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가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백색 균형 조정부(3)나 감마 보정부(4)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는 유니포미티 보정(백색 균형 조정이나 감마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이 액정 프로젝터에서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의 동일 레벨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도, 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따라 다른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에 의해서 액정소자(25)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3 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액정소자(25)의 화면의 각 영역의 특성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교환 가능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17, 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줌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CPU(6)가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근거하여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하므로, 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은, 도 9의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 도 5, 도 6 및 도 9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이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하는 투영렌즈로서는, F번호 2.2의 투사 렌즈에 대해서는, 도에 투영렌즈(30)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를 설치한 것이 이용된다(F번호 1.85의 투사 렌즈에 대해서는, 이러한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를 가지지 않는 통상의 투사 렌즈가 이용된다).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는, 투영렌즈(30)를 액정 프로젝터에 장착함으로써 CPU(6)에 접속되는 메모리(예를 들면 ROM)에, 도 9의 예에 대해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 (17)(도 6)에 격납한 보정 데이터 Cc(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에 대한 3 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18)(도 6)에 격납한 보정 데이터 Cc(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의 차분의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 하지만, 이 예에서는,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F번호 1.85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 Cc를 격납한 레지스터(도 6의 레지스터 (17)에 상당하는 레지스터)만이 설치되고 있어 F번호 2.2의 투영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색얼룩이나 휘도 얼룩을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 Cc를 격납한 레지스터(도 6의 레지스터(18)에 상당하는 레지스터)는 설치되지 않았다.
CPU(6)는, 장착된 투영렌즈에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가 1.85인 경우)에는,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내의 보정 데이터 Cc를 3차원 보간 처리부 (15)에 참조시키고, 이 보정 데이터 Cc에 근거해 3차원 보정부(5)에 3차원 보간 데이터 C(Ⅹ, Y, Z)를 작성시킨다.
한편, CPU(6)는, 장착된 투영렌즈에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가 존재하는 경우(장착된 투영렌즈의 F번호가 2.2인 경우)에는,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로부터 차분 데이터를 읽어내, 이 차분 데이터와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의 레지스터내의 보정 데이터 Cc를 3 차원 보간 처리부(15)에 참조시키고, 보정 데이터 Cc로부터 이 차분 데이터를 공제한 데이터에 근거해 3차원 보정부(5)에 3 차원 보간 데이터 C( Ⅹ, Y, Z)를 작성시킨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그 이외의 구성은, 도 9의 예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3 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16)에는, 기준이 되는 투영렌즈의 F번호(F번호 1.85)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 Cc만을 기억하면 충분하다. 이것에 의해, 도 9의 예와 완전히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교환 가능한 투영렌즈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도(여기에서는 F번호 1.85의 투영렌즈와 F번호 2.2의 투영렌즈와의 2종류이지만, 3종류 이상의 경우에도), 액정 프로젝터 본체의 3차원 보정부(5)의 보정 데이터 격납부 (16)에 다수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일없이, 투영렌즈의 교환에 응한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투사 렌즈의 차분 데이터 격납부(30a)에, F번호 뿐만이 아니라, 그 투사 렌즈 고유의 광학 특성, 예를 들면 투사 렌즈의 화각에 의한 광량 분포의 보정등을 포함한 차분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교환되는 개개의 투사 렌즈의 광학 특성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액정 프로젝터 본체가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차분 데이터가 교환되는 투사 렌즈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투사 렌즈가 가지는 기억 수단에 의해, 개별의 투사 렌즈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그 보정 데이터에 근거해 액정 프로젝터 본체가 투사 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하는 다양한 구성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이상의 각 예에서는, 가변 조리개를 설치한 액정 프로젝터와 줌 렌즈 로 구성되는 투영렌즈를 가지는 액정 프로젝터와 투영렌즈를 교환 가능한 액정 프로젝터를 따로 따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가변 조리개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줌 렌즈로 구성되는 투영렌즈를 가지는 액정 프로젝터나, 가변 조리개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투영렌즈를 교환 가능한 액정 프로젝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가변 조리개의 현재의 개폐 상태와 현재의 줌 위치와의 편성에 따라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하거나 가변 조리개의 현재의 개폐 상태와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와의 편성에 따라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하는 것)하여도 괜찮다.
또한, 이상의 각 예에서는, 액정소자(25)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 가변 조리개(1)의 2단계의 개폐 상태(개구부의 면적의 대·소의 2 단계의 조정)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액정소자(25)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 가변 조리개(1)의 3단계 이상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이상의 각 예에서는, 액정 프로젝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투사형 표시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DMD 프로젝터에 가변 조리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투영렌즈내에 설치하면 좋다.
또, 이상의 도 5의 예에서는, 차광 수단으로서 가변 조리개 (1)(메카니컬 셔터)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투과형 액정소자로 구성되는 액정 셔터를 차광 수단으로서 이용해도 괜찮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그 외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의 투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외광이 있는 환경에서는, 차광 수단의 차광량을 감소시켜, 백색을 밝게하고 고휘도인 영상 표현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한편 외광이 없는 환경에서는, 차광 수단의 차광량을 증가시켜, 백색을 억제하고 콘트라스트를 올릴 수 있으므로, 휘도와 콘트라스트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휘도와 콘트라스트의 양립을 도모하면서, 차광 수단의 차광량의 변화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공간 광변조소자의 빛의 출력레벨의 특성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2의 투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공간 광변조소자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투영렌즈의 줌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3의 투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F번호가 다른 투영렌즈와의 교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스크린에까지 도달하는 빛의 각도 분포가 변화해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공간 광변조소자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이, 공간 광변조소자의 영역에 의해서 일치하지 않음과 동시에 공간 광변조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 분포에 의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 경우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교환 가능한 투영렌즈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도, 투사형 표시장치 본체에 다수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일없이, 투영렌즈의 교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유니포미티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대해, 상기 조명 광학계 또는 상기 투영렌즈의 몇 개 측에 빛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통과하는 빛의 차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광수단과,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차광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상기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상기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수단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수단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차광 수단의 현재의 차광량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5.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와,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상기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상기 투영렌즈의 현재의 줌 위치에 있어서의 F번호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2. 광원과,
    인가되어진 영상 신호에 따라 입사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공간 광변조소자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렌즈가, F번호가 다른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의 사이에서 교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공간 광변조소자에 인가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영상신호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각각의 상기 영역마다, 상기 영상 신호의 인가 레벨에 대한 상기 영역의 빛의 출력 레벨의 특성과, 상기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투사형 표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형 표시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근거해, 현재 장착되고 있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21. 제 12항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에 대한 차분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분 데이터를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투영렌즈의 F번호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영상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현재 장착된 투영렌즈가 가지고 있는, 해당 투영렌즈에 대응하는 개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상기 기준 보정 데이터에 대한 차분 데이터를 기억하는 개별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차분 데이터를 참조하고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KR1020057002051A 2003-06-13 2004-06-09 투사형 표시장치 KR101039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9788 2003-06-13
JP2003169788 200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809A true KR20060018809A (ko) 2006-03-02
KR101039318B1 KR101039318B1 (ko) 2011-06-08

Family

ID=3354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051A KR101039318B1 (ko) 2003-06-13 2004-06-09 투사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374290B2 (ko)
EP (1) EP1531357B1 (ko)
JP (1) JP4059271B2 (ko)
KR (1) KR101039318B1 (ko)
CN (2) CN101383977B (ko)
DE (1) DE602004025437D1 (ko)
TW (1) TW200502896A (ko)
WO (1) WO2004111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5894A2 (en) 2003-08-08 2005-02-17 Eclipse Video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effective contrast ratio and brightness yields for digital light valve image projectors
US7787172B2 (en) * 2003-11-01 2010-08-31 Silicon Quest Kabushiki-Kaisha Gamma correction for adjustable light source
KR100670008B1 (ko) * 2004-11-2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과 이를 가지는 프로젝션장치 및 프로젝션장치의광학엔진 제어방법
JP2007249063A (ja) * 2006-03-17 2007-09-27 Sony Corp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5125215B2 (ja) * 2006-06-15 2013-01-2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4207064B2 (ja) * 2006-07-25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画像処理回路、画像処理方法、及び電子機器
JP4266232B2 (ja) 2006-11-17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伝導磁石装置およ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8242126A (ja) * 2007-03-28 2008-10-0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画像補正方法、および画像補正プログラム
CN100592138C (zh) * 2007-07-13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投影仪的光学系统
JP4582349B2 (ja) * 2007-07-24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10175934A1 (en) * 2007-08-28 2011-07-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ont projector
US20100253769A1 (en) * 2008-09-04 2010-10-07 Laser Light Engines Optical System and Assembly Method
EP2343596B1 (en) * 2008-10-31 2013-12-18 NEC Display Solutions, Ltd. Projector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8608320B2 (en) * 2009-03-26 2013-12-17 Nec Display Solutions, Ltd.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78061B2 (en) 2009-09-03 2020-06-09 Laser Light Engines, Inc. Low etendue illumination
JP5440230B2 (ja) * 2010-02-10 201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6019859B2 (ja) 2012-07-17 2016-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6047968B2 (ja) * 2012-07-17 2016-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CN103106884B (zh) * 2013-02-05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液晶屏的视角肤色色偏的方法及系统
JP6237020B2 (ja) * 2013-09-13 2017-1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827191B1 (ko) 2013-11-04 2018-02-07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글로벌 조광을 갖는 싱글 및 멀티-모듈레이터 프로젝터 시스템들
JP6331382B2 (ja) * 2013-12-26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331383B2 (ja) * 2013-12-26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17033566A1 (ja) * 2015-08-26 2017-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投写表示方法、及び投写表示プログラム
WO2017068676A1 (ja) * 2015-10-22 2017-04-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
CN109476218B (zh) * 2016-07-15 2023-01-31 金泰克斯公司 电光总成
CN110268321B (zh) * 2017-02-23 2021-06-15 富士胶片株式会社 投影型显示装置、控制方法、存储控制程序的存储介质
CN107121830A (zh) * 2017-06-21 2017-09-01 山西大学 一种使用白光实现彩色显示的装置及方法
JP2022502920A (ja) 2018-09-26 2022-01-11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未来のフレームのメタデータ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光源ディミング
CN112287418B (zh) * 2020-08-28 2023-12-15 东莞市爱加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tir透镜优化设计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384764B (zh) * 2020-10-20 2023-11-03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曝光系统、光刻机及曝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13Y2 (ja) 1988-12-13 1995-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H0575960A (ja) 1991-09-13 1993-03-26 Sony Corp 液晶プロジエクタ用の液晶パネル
JP3019574B2 (ja) * 1992-01-17 2000-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US5519518A (en) * 1993-12-27 1996-05-2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apparatus with a variable aperture stop means on each side of the modulator
JP3550202B2 (ja) * 1993-12-27 2004-08-04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H07199183A (ja) * 1993-12-28 1995-08-04 Toshiba Corp 表示装置
JP3719317B2 (ja) 1997-09-30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補間方法、補間回路、画像表示装置
US6483643B1 (en) * 1999-04-08 2002-11-19 Larry Zuchowski Controlled gain projection screen
GB9917973D0 (en) * 1999-07-31 1999-09-29 Thomson Training & Simul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2090880A (ja) * 2000-09-20 2002-03-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4082027B2 (ja) * 2000-12-20 2008-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JP2002229215A (ja) * 2001-01-30 2002-08-14 Nikon Corp 露光方法及び露光装置
JP2003107422A (ja) 2001-07-26 2003-04-09 Sony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3046906A (ja) * 2001-07-30 2003-02-14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MXPA04006578A (es) * 2002-01-07 2004-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afragmas de abertura para componente de color en sistema de pantalla de proyeccion.
JP4158611B2 (ja) * 2002-09-06 2008-10-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3963869B2 (ja) * 2003-06-30 2007-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WO2005015894A2 (en) * 2003-08-08 2005-02-17 Eclipse Video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effective contrast ratio and brightness yields for digital light valve image projectors
US7194169B2 (en) * 2003-12-30 2007-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otched adjustable aperture
JP2006308830A (ja) * 2005-04-28 2006-11-09 Konica Minolta Opto Inc 投影光学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7409A1 (en) 2006-01-12
CN1701269A (zh) 2005-11-23
KR101039318B1 (ko) 2011-06-08
CN101383977B (zh) 2010-12-08
EP1531357A1 (en) 2005-05-18
US7374290B2 (en) 2008-05-20
EP1531357A4 (en) 2008-06-18
JP4059271B2 (ja) 2008-03-12
US20080225242A1 (en) 2008-09-18
US7455411B2 (en) 2008-11-25
CN101383977A (zh) 2009-03-11
US20070247596A1 (en) 2007-10-25
CN100507704C (zh) 2009-07-01
US7566134B2 (en) 2009-07-28
TWI305337B (ko) 2009-01-11
JPWO2004111724A1 (ja) 2006-07-20
DE602004025437D1 (de) 2010-03-25
WO2004111724A1 (ja) 2004-12-23
EP1531357B1 (en) 2010-02-10
TW200502896A (en) 200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318B1 (ko) 투사형 표시장치
US20050231820A1 (en) Projector and pattern image display method
US7530695B2 (en) Projector
JP2006319950A (ja) 映像表示装置
US7748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5069038B2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WO2014171134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7070286B2 (en) Projector with projection lens having a zoom function
KR100593112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및 화상 처리 방법
JP4736436B2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3324670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WO2006054664A1 (ja) センサー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047334A (ja)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ズーム制御方法
JP201404122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制御方法
JP2010039047A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595961B2 (ja) 投射型表示装置
EP1491040B1 (en) Projection device having a mode selection unit
JP4683022B2 (ja) 投射型表示装置
KR20010011567A (ko) Lcd프로젝션시스템의 명암대비개선장치
JP200628499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20040078280A (ko) 프로젝터의 화면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2137673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投射光学装置
KR20050002198A (ko)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램프 색온도 보상 장치
JP2005277743A (ja) プロジェクタ
KR20100121124A (ko) 투사형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밝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