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09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09A
KR20060018209A KR1020057010581A KR20057010581A KR20060018209A KR 20060018209 A KR20060018209 A KR 20060018209A KR 1020057010581 A KR1020057010581 A KR 1020057010581A KR 20057010581 A KR20057010581 A KR 20057010581A KR 20060018209 A KR20060018209 A KR 2006001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ed
uni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035B1 (ko
Inventor
무네노리 사와다
가즈노리 히라마츠
마사토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09G2300/0478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related to liquid crystal pixels
    • G09G2300/0482Use of memory effects in nematic liquid crystals
    • G09G2300/0486Cholesteric liquid crystals, including chiral-nematic liquid crystals, with transitions between focal conic, planar, and homeotropic st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Abstract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전기 영동 표시체(2)와, 그 전기 영동 표시체(2)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화상을 전기 영동 표시체(2)보다도 고속으로 표시 가능한 액정 표시체(3)와, 그들의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그 제어 장치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액정 표시체(3)를 투명 상태로 하도록 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59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흑색의 대전 입자와 백색의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을 내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과, 그들의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이 배치된 층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예를 들면, 투명 전극 및 비투명 전극)을 가지는 전기 영동(泳動) 표시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투명 전극의 전위를 하이 레벨로 하고 비투명 전극의 전위를 로우 레벨로 하며, 그들의 양 전극 간에 끼워진 마이크로 캡슐의 대전 입자를 투명 전극에 흡착시키고, 그 대전 입자를 전기 영동 표시체의 투명 전극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전기 영동 표시체의 투명 전극측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투명 전극에 대전 입자를 흡착시킴으로써 화상 표시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전 입자의 흡착에 시간이 걸림으로써 표시 속도가 비교적 느려지고, 그 결과, 화상 표시를 위한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실제로 화상 전체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리게 한다는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의 미해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표시 속도가 비교적 느린 표시체에 화상을 표시시킬 때, 그 화상 전체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리게 한다는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제1 표시부보다도 고속으로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상기 소정의 화상을 각각 표시시키는 표시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상기 제2 표시부를 투명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진이나 문자의 화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를 투명 상태로 하는 타이밍은, 제1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라면 좋고, 예를 들면, 제1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라도 좋으며,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되기 직전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제1 표시부보다도 고속으로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상기 소정의 화상을 각각 표시시키는 표시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의 표시를 전면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상기 제2 표시부를 비표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화면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적어도 한 쪽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이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혹은 정보 입력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의 단위 면적 당 화소수는, 상기 제1 표시부의 단위 면적 당 화소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표시 속도가 비교적 느린 제1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킬 때에는, 그 제1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되기 전에, 제2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된다. 그 때문에, 그 표시된 소정의 화상 전체를 전면측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부만으로 상기 소정의 화상의 표시를 실시하는 방법에 비해,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시인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리게 한다는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화상 표시가 필요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상세 표시 불요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상세 표시 불요 상태 검출 수단으로 상세한 화상 표시가 필요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만 상기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세한 정보 표시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제1 표시부에 의한 소정의 화상의 표시가 제한되고, 제2 표시부에만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그 때문에, 표시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화상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표시부를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표시 내용을 유지 가능한 기억성 표시체로 하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표시 내용이 소거되는 비기억성 표시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표시부에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에,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2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소거되고, 상기 제1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유지되며, 그 유지된 표시 내용을 전면측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소정의 화상을 장시간 표시시켜 두어도, 그들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표시부의 전면측에 제2 표시부와 터치 패널이 배치되고, 그 제2 표시부와 터치 패널 너머에 상기 제1 표시부를 투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 내용을 유지시킨 후에 상기 제1 표시부를 분리함으로써 그 분리된 제1 표시부를 이용자에게 직접 시인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용자에게 상기 제2 표시부와 터치 패널 너머로 투시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표시부의 시인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화상의 고속 전환 표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고속 전환 표시 요구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고속 전환 표시 요구 검출 수단으로 복수 화상의 고속 전환 표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만 상기 복수 화상을 순차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용자가 고속 전환 표시를 요구하고 있을 때에는, 제1 표시부에 의한 화상의 표시가 제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표시부에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에 다음의 화상의 표시를 개시하는 방법에 비해, 복수의 화상을 순차로 고속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표시 화면을 파단하여 도시하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표시 화면 등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컨텐츠 표시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컨텐츠 고속 전환 표시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로서 전자 북의 컨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전자 북 리더를 구성한 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전자 북 리더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전자 북 리더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전자 북 리더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페이지로 단락지어진 전자 북의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1)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에 전기 영동 표시체(2)를 구비하고, 전면측에 액정 표시체(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는, 흑색의 대전 입자(4a)와 백색의 분산매(4b)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4)을 내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5)과, 그들의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5)이 배치된 층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투명 전극, 비투명 전극 : 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투명 전극(6)은 전면 측에 배치되어 표시체 전면의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또한, 비투명 전극(7)은 배면측에 배치되어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기 영동 표시체(2)는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후술)에 의해서, 임의의 마이크로 캡슐(5)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흑색의 대전 입자(4a)가 전면측(전극(6)측)에 흡착되면,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의 대전 입자(4a)가 전면측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상태로 되어 표시 컨텐츠에 포함되는 사진이나 문자 등의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는, 화상 표시 중에 오프 상태로 되면(구동 회로가 개방 상태로 되면), 투명 전극(6)에 전하가 유지되고, 그 전하의 클론력으로 대전 입자(4a)는 전극(6)측에 흡착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전기 영동 표시체(2)는, 전혀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전 입자(4a)가 계속 흡착되어 표시되고 있던 화상이 유지된다.
또한, 액정 표시체(3)는 소정의 전압이 가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차단 상태가 되어 흑색을 표시하고, 소정의 전압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투과 상태가 되어 투명이 되는 액정층(8)과, 그 액정층(8)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한 쌍의 투명 전극(6, 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투명 전극(6)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전면측의 전극을 겸하고 있고, 배면측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체(3) 전면의 공통 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투명 전극(9)은 전면측에 배치되어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투명 전극(화소 전극 : 9)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화소 전극보다도 1화소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전기 영동 표시체(2)보다도 화소 밀도가 작게(단위 면적 당 화소수가 적게)되어 있으며, 전기 영동 표시체(2)보다도 표시 속도가 고속이다.
그리고, 전기 영동 표시체(2)는,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후술)에 의해서, 액정층(8)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액정층(8)에 흑색이 표시되면, 그 흑색이 전면측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상태로 되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액정 표시체(3)는 화상 표시 중에 오프 상태로 되면(구동 회로가 개방 상태로 되면), 액정 표시체(3)에 가해지고 있는 전압이 「0」이 되고 표시되고 있던 화상이 소거된다.
그리고,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의해서 도 3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면(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이 표시되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의해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차단되고,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만이 표시 화면(1)에 표시된다. 또한, 액정 표시체(3)에 의해서, 그 화상의 표시 중에 표시 화상이 소거되면,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표시 화면(1)에 표시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의 아래쪽의 중앙에는 다음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 화면(1)에 표시시키기 위한 페이지 이송 버튼(10), 전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 화면(1)에 표시시키기 위한 페이지 복귀 버튼(11) 및 소정의 메뉴 화면의 화상을 표시 화면(1)에 표시시키기 위한 메뉴 호출 버튼(1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페이지 이송 버튼(10), 페이지 복귀 버튼(11) 및 메뉴 호출 버 튼(12)은 후술하는 제어 장치(100)의 입력 I/F(Inter Face: 106)(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1)의 아래쪽의 우측에는,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 화면(1)에 차례차례 고속 전환 표시시키기 위한 연속 이송 버튼(1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 이송 버튼(13)은, 후술하는 제어 장치(100)의 입력 I/F(106)(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1)의 전면에는 표시 화면(1)에 소정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 경우에, 그 표시된 메뉴 항목으로부터 임의의 항목을 선택시키기 위한 터치 패널(1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4)은 후술하는 제어 장치(100)의 터치 패널 I/F(107)(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
다음에, 제어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도 4의 블록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제어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제어부(101), 입력 I/F(Inter Face : 106), 터치 패널 I/F(107) 및 출력 포트(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주 제어부(101)는 CPU(102)를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ROM(103), 전자 북의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104) 및 각종 워크 에리어를 형성하는 워크 RAM(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주 제어부(101)는, 페이지 이송 버튼(10)이나 페이지 복귀 버튼(11)이 누룸 조작되면, 다음 페이지 또는 전 페이지의 컨텐츠를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컨텐츠 표시 처리(후술)를 실행한다. 또한, 주 제어부(101)는 연속 이송 버튼(13)이 조작되면, 다음 페이지의 컨텐츠를 액정 표시체(3)에만 차례차례 표시시키는 컨텐츠 고속 전환 표시 처리(후술)를 실행한다.
또한, 입력 I/F(106)에는, 페이지 이송 버튼(10), 페이지 복귀 버튼(11), 메뉴 호출 버튼(12) 및 연속 이송 버튼(1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I/F(106)는 페이지 이송 버튼(10), 페이지 복귀 버튼(11), 메뉴 호출 버튼(12) 및 연속 이송 버튼(13) 중 어느 하나가 누룸 조작되면, 각각 페이지 이송 버튼 누룸 신호, 페이지 복귀 버튼 누룸 신호, 메뉴 호출 버튼 누룸 신호 및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를 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또한, 터치 패널 I/F(107)에는 터치 패널(14)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4)은, 표시 화면(1)에 메뉴 항목이 표시되고, 그 표시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선택된 항목에 대응한 메뉴 항목 선택 신호를 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 포트(108)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시키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비디오 RAM(109), 전기 영동 표시체(2)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저장하는 제2 비디오 RAM(111) 및 액정 표시체(3)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가 접속되어 있다.
<전자 북 리더의 동작>
다음에, 페이지 이송 버튼(10)이나 페이지 복귀 버튼(11) 등으로부터 취득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액정 표시체(3)나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전자 북의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컨텐츠 표시 처리를,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이 컨텐츠 표시 처리는, 입력 I/F(106)로부터 페이지 이송 버튼 누룸 신호 또는 페이지 복귀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되면 실행되는 처리로서, 우선, 그 단계 S101에서는, 다음의 페이지 또는 전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의 표시를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지 이송 버튼 압하 누룸 및 페이지 복귀 버튼 누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페이지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우선, 그때까지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플래시 ROM(104)으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다. 다음에, 그들의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해당 화상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표시 개시 지령을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동시에 출력한다.
또한, 페이지 복귀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우선, 그때까지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의 전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플래시 ROM(104)으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다. 다음에, 그들의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 정 표시체(3)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해당 화상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동시에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02로 이행하여, 상기 단계 S101에서 지령된 화상 전체가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화상 전체가 표시된 경우에는(Yes) 단계 S104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No) 단계 S103으로 이행한다.
상기 단계 S103에서는,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지령을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출력한다.
상기 단계 S104에서는, 전자 북 리더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하고(액정 표시체(3)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액정 표시체(3)의 구동 회로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구동 회로를 개방 상태로 한 후에 이 연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터치 패널(14)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도, 상기 처리와 동일한 순서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터치 패널(14)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우선, 그 입력된 정보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그들의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해당 화상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동시에 출력한다. 그렇게 하면, 터치 패널(14)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표시 화면(1)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연속 이송 버튼(13) 등으로부터 취득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액정 표시체(3)에만 전자 북의 컨텐츠를 차례차례 표시시키는 컨텐츠 고속 전환 표시 처리를, 도 6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컨텐츠 고속 전환 표시 처리는,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입력 I/F(106)로부터 출력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처리로서, 우선, 그 단계 S201에서는, 그때까지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의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플래시 ROM(104)으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다. 그 다음에, 그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지령을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02로 이행하여,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Yes) 단계 S203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No) 상기 단계 S201로 이행한다.
상기 단계 S203에서는, 우선,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중단되었을 때에 표시되어 있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플래시 ROM(104)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 다. 다음에, 그들의 제1 비디오 RAM(109) 및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시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해당 화상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동시에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04로 이행하여, 상기 단계 S203에서 지령된 화상 전체가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화상 전체가 표시된 경우에는(Yes) 단계 S206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No) 단계 S205로 이행한다.
상기 단계 S205에서는,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지령을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112)에 출력한다.
상기 단계 S206에서는, 전자 북 리더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하고(액정 표시체(3)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액정 표시체(3)의 구동 회로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구동 회로를 개방 상태로 한 후에 이 연산 처리를 종료한다.
<전자 북 리더의 구체적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자 북 리더의 동작을 구체적 상황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 화면(1)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이용자가 페이지 이송 버튼(10)을 누룸 조작하고, 입력 I/F(106)로부터 페이지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CPU(102)에 출력되었다고 한다. 그러면, CPU(102)에서, 컨텐츠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그 단계 S101에서,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제1 및 제2 비디오 RAM(109, 111)에 저장되며, 그들의 제1 및 제2 비디오 RAM(109, 1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개시시키는 표시 개시 지령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112)에 출력된다.
그리고, 그 표시 개시 지령이 취득되면,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에 의해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비디오 RAM(109)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예를 들면, 카타가나의 「ノ」자의 화상)의 표시가 전기 영동 표시체(2)에서 개시된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의해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가 액정 표시체(3)에서 개시되고,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되기 전에 액정 표시체(3)에 화상 전체가 표시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체(3)에 화상 전체가 표시되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의해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차단되고, 표시 화면(1)에는,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만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 북 리더에 있어서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되기 전에, 액정 표시체(3)에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 시된다. 그 때문에, 그 표시된 소정의 화상 전체를 전면측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고, 전기 영동 표시체(2)만으로 상기 소정의 화상의 표시를 실시하는 방법에 비해,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시인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리게 한다는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직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그러면, 단계 S102의 판정이「No」가 되고, 단계 S103에서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지령이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출력된다. 그리고, 그 표시 개시 지령이 취득되면,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의해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고, 상기 단계 S102의 판정으로부터 상기 플로우가 반복된다.
상기 플로우가 반복되는 중에,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되었다고 한다. 그러면, 상기 단계 S102의 판정이 「Yes」가 되고, 단계 S104에서 전자 북 리더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어 이 연산 처리가 종료한다. 그리고, 액정 표시체(3)의 구동 회로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구동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되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이 유지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체(3)의 화상이 소거되며, 표시 화면(1)에는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 북 리더에 의하면, 액정 표시체(3)에서 소정의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에, 전기 영동 표시체(2)의 표시 내용이 유지되도록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액정 표시체(3)의 표시 내용이 소거되고, 그 유지된 표시 내용을 전면측으로부터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소정의 화상을 장시간 표시시켜 두는 용도에 있어서, 그들의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 화면(1)에 차례차례 표시시키기 위해서, 이용자가 연속 이송 버튼(13)을 누룸 조작하고, 입력 I/F(106)로부터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CPU(102)에 출력되었다고 한다. 그러면, CPU(102)에서 컨텐츠 고속 전환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그 단계 S201에서, 다음의 페이지의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가 플래시 ROM(104)으로부터 판독되고,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며, 그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체(3)에 표시시키는 지령이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출력되고, 단계 S202의 판정이 「Yes」가 되며, 상기 플로우가 반복된다.
그리고, 그러한 표시 개시 지령이 취득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의한 화상의 표시가 제한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2)에 의해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비디오 RAM(11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액정 표시체(3)에서 차례차례 표시되고, 표시 화면(1)에는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체(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차례차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 북 리더에 의하면, 이용자가 연속 이송 버튼(13)을 누룸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의한 화상의 표시가 제한된다. 그 때문에,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에 다음의 화상의 표시를 개시하는 방법에 비해, 복수의 화상을 순차로 고속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연속 이송 버튼(13)을 떼었다고 한다. 그러면, 상기 단계 S201의 판정이 「No」가 되고, 단계 S203에서 연속 이송 버튼 누룸 신호가 중단되었을 때에 표시되고 있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며,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제1 및 제2 비디오 RAM(109, 111)에 저장된다. 또한, 그들의 제1 및 제2 비디오 RAM(109, 1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개시시키는 표시 개시 지령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10, 112)에 출력된다. 그리고, 그 출력된 표시 개시 지령에 의해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단계 S204의 판정이 「Yes」가 되고, 단계 S206에서 액정 표시체(3)의 구동 회로와 전기 영동 표시체(2)의 구동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되며, 그 개방 상태에 의해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표시 화면(1)에 표시되고, 이 연산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의 전기 영동 표시체(2)가 제1 표시부 및 기억성 표시체를 구성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도 2의 액정 표시체(3)가 제2 표시 부 및 비기억성 표시체를 구성하며, 도 4의 제어 장치(100) 및 도 5의 단계 S101∼단계 S104가 표시 지령부를 구성하고, 연속 이송 버튼(13)이 고속 전환 표시 요구 검출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에 표시 개시 지령을 동시에 출력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체(3)에 표시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약간 늦추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된 후에, 액정 표시체(3)를 투명 상태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전체가 표시되기 직전에 액정 표시체(3)를 투명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를 배면측에 배치하고, 액정 표시체(3)를 전면측에 배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해도 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기억성 표시체(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 등)를 배면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전면측에 배치하고, 액정 표시체(3)를 배면측에 배치하며,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의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함으로써 액정 표시체(3)의 표시를 전면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에 의해서, 콜레스테릭 액 정에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액정 표시체(3)를 비표시 상태로 하고, 콜레스테릭 액정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만이 전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용자가 연속 이송 버튼(13)을 분리한 직후에 전기 영동 표시체(2)에 화상 표시를 개시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속 이송 버튼(13)을 분리한 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화상 표시를 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 액정 표시체(3) 및 터치 패널(14)을 일체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 표시체(2)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14) 및 액정 표시체(3)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15)의 하면의 4구석에 볼록한 형상의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또한, 전기 영동 표시체(2)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16)의 상면의 4구석에 오목한 형상의 접속 단자를 설치하며, 그들의 접속 단자 중 서로 대응하는 것을 데이터 수수 가능하게 감합시킴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체(2)와 액정 표시체(3)를 위치 맞춤하고, 전자 북 리더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렇게 하여 접속 단자에서 감합시킴에 의해 터치 패널(14) 및 페이지 이송 버튼(10)으로부터의 정보를 주 제어부(101)에 보내는 것이나, 드라이버로부터의 정보를 액정 표시체(3)에 보내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복수의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찾아낼 때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와 액정 표시체(3)를 접속함으로써 그러한 표시체(2, 3)에 복수의 화상을 차례차례 표시시켜 화상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그 검색된 화상을 볼 때에는, 그 화상이 유지된 전기 영동 표시체(2)를 분리함으로써, 그 분리된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유지되고 있는 화상을 직접 시인할 수 있고, 그 결과, 액정 표시체(3) 너머로 투시하는 것에 의한 전기 영동 표시체(2)의 시인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항상, 전기 영동 표시체(2) 및 액정 표시체(3)의 양쪽 모두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컨텐츠에 포함되는 문자의 크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문자의 크기가 충분히 크고, 화소 밀도가 작은 액정 표시체(3)에서 적절히 표시할 수 있을 때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제한하고, 액정 표시체(3)에만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액정 표시체(3)에 의한 표시만으로는 문자가 찌그러져 버릴 때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도 화상이 표시되고, 또한, 액정 표시체(3)에 의한 표시만으로도 문자를 읽을 수 있을 때에는,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의한 화상의 표시가 제한되어 전기 영동 표시체(2)에 의한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자 북 리더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제1 표시부보다도 고속으로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상기 소정의 화상을 각각 표시시키는 표시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상기 제2 표시부를 투명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소정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제1 표시부보다도 고속으로 표시 가능한 제2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대해서 전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상기 소정의 화상을 각각 표시시키는 표시 지령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부의 표시를 전면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 후에는 상기 제2 표시부를 비표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화면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적어도 한 쪽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이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혹은 정 보 입력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의 단위 면적 당 화소수는 상기 제1 표시부의 단위 면적 당 화소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세한 화상 표시가 필요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상세 표시 불요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상세 표시 불요 상태 검출 수단에서 상세한 화상 표시가 필요하지 않은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만 상기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표시 내용을 유지 가능한 기억성 표시체로 하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표시 내용이 소거되는 비기억성 표시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복수 화상의 고속 전환 표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고속 전환 표시 요구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지령부는 상기 고속 전환 표시 요구 검출 수단에서 복수 화상의 고속 전환 표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만 상기 복수 화상을 순차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57010581A 2003-09-30 2004-09-27 화상 표시 장치 KR100623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1077 2003-09-30
JP2003341077 200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09A true KR20060018209A (ko) 2006-02-28
KR100623035B1 KR100623035B1 (ko) 2006-09-12

Family

ID=3441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581A KR100623035B1 (ko) 2003-09-30 2004-09-27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40576A1 (ko)
EP (1) EP1669965A4 (ko)
JP (1) JP4386037B2 (ko)
KR (1) KR100623035B1 (ko)
CN (1) CN100345054C (ko)
WO (1) WO20050340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683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94902B2 (en) 2008-07-02 2015-03-31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865A2 (en) * 2005-03-15 2006-09-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KR101365491B1 (ko) * 2006-11-17 2014-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2009128814A (ja) * 2007-11-27 2009-06-11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81469A1 (ja) * 2007-12-21 2009-07-02 Fujitsu Limited 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159623B1 (ko) * 2008-03-11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으로 정지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이용한 정지화상 표시 방법
JP4613982B2 (ja) * 2008-06-20 2011-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TWI380254B (en) * 2008-08-08 2012-12-21 Prime View Int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EP2226787B1 (en) * 2009-03-03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CN101739911B (zh) * 2009-12-25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JP5454238B2 (ja) * 2010-03-08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CN102214442B (zh) * 2010-04-02 2013-06-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屏幕切换方法及应用该方法的电子装置
KR20120057682A (ko) * 2010-08-06 2012-06-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419678B (zh) * 2010-09-28 2014-10-1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复合显示装置与其显示控制方法
CN103247273B (zh) 2012-02-08 2018-03-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20230379569A1 (en) * 2022-05-19 2023-11-23 Dell Products L.P. Advanced indicator system with colorful e-ink layer for embedded camer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3781A (en) * 1976-05-01 1977-11-0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lor display device
JPS54155797A (en) * 1978-05-30 1979-12-0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Electro-optical display unit
JPS556316A (en) * 1978-06-27 1980-01-17 Seiko Instr & Electronics Liquid crystal dispiay
US5179642A (en) * 1987-12-14 1993-01-12 Hitachi, Ltd.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for superposing a second image on a first image
JPH01232327A (ja) * 1988-03-11 1989-09-18 Fujitsu Ten Ltd 液晶表示装置
JP2582644B2 (ja) * 1989-08-10 1997-02-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平面型画像表示装置
JPH0258292U (ko) * 1989-10-03 1990-04-26
JPH03245128A (ja) * 1990-02-23 1991-10-31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H04160427A (ja) * 1990-10-23 1992-06-03 Canon Inc タッチパネル
JP3286529B2 (ja) * 1996-06-26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1201764A (ja) * 1997-07-18 2001-07-27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334843B1 (ko) * 1997-07-18 2002-05-04 하루타 히로시 시계
JP2000347184A (ja) * 1999-06-09 2000-12-15 Minolta Co Ltd 情報表示装置
US6531997B1 (en) * 1999-04-30 2003-03-11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addressing electrophoretic displays
KR100575452B1 (ko) * 1999-09-28 2006-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JP3986225B2 (ja) * 1999-11-26 2007-10-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積層型表示装置
JP3750565B2 (ja) * 2000-06-22 2006-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2002236471A (ja) * 2001-02-07 2002-08-23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2229059A (ja) * 2001-02-07 2002-08-14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747791B2 (ja) * 2001-03-05 2006-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駆動制御装置、腕時計型情報機器、携帯機器及びパネル駆動制御方法
JP2003005912A (ja) * 2001-06-20 2003-01-10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3098984A (ja) * 2001-09-25 2003-04-04 Rohm Co Ltd 画像表示装置
CN1144084C (zh) * 2001-09-29 2004-03-31 赵静安 胆甾相液晶反射式立体显示设备
JP2003279928A (ja) * 2002-03-26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デバイスと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63561A (ja) * 2002-11-12 2004-06-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表示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4902B2 (en) 2008-07-02 2015-03-31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10683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4068A1 (ja) 2005-04-14
US20050140576A1 (en) 2005-06-30
CN1717711A (zh) 2006-01-04
JP4386037B2 (ja) 2009-12-16
CN100345054C (zh) 2007-10-24
JPWO2005034068A1 (ja) 2006-12-14
EP1669965A4 (en) 2008-02-27
EP1669965A1 (en) 2006-06-14
KR100623035B1 (ko) 200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035B1 (ko) 화상 표시 장치
US200902071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2116733A5 (ko)
WO2005055187A1 (en) Display apparatus with input pen for wearable pc
WO2004086348A1 (en) Driv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handwriting can be overweitten on the displayed image
CN101783122B (zh) 控制器驱动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503616A (ja) 双安定型電子読書装置においてサブピクチャを更新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189851A (ja) 表示装置及びペン入力装置
JP2009282433A (ja) 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8223139B2 (en) Writing apparatus, electronic paper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WI584035B (zh)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2006064910A (ja) 表示装置
JP2008209711A (ja) 電子ペーパー
CN212484334U (zh) 可变换显示模式的阅读设备
JP2008015401A5 (ko)
JP2002287729A (ja) 画像表示装置
JP4608866B2 (ja) 表示制御装置
JP2005107246A (ja) 反射型表示装置
JP5262079B2 (ja) 表示装置
US20100309215A1 (en) Display apparatus
JP5752382B2 (ja) 表示装置及び画像データの転送方法
JP2005122025A5 (ko)
CN100456349C (zh) 用于显示装置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03174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0865430A (ja) 電子黒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