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03A -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03A
KR20060018203A KR1020040096772A KR20040096772A KR20060018203A KR 20060018203 A KR20060018203 A KR 20060018203A KR 1020040096772 A KR1020040096772 A KR 1020040096772A KR 20040096772 A KR20040096772 A KR 20040096772A KR 20060018203 A KR20060018203 A KR 20060018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esin pellets
resin
preheating
resin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세하쓰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스타아세이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스타아세이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스타아세이끼
Publication of KR2006001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7/20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with multiple chambers, e.g. troughs, in superimpose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2Dispensing from vessels, e.g. 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08Feeding measured d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1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for drying flowable materials, e.g. suspensions, bulk goods, in a continuous operation, e.g. with locks or other air tight arrangements for charging/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drying the moulding material before injection, e.g.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지펠릿을 감압건조할 때에 수지펠릿에 부착한 수분이나 함침된 결합수를 단시간에 증기화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시킴으로써 수지펠릿의 건조시간을 단축한다. 성형기에 의한 성형시간과 수지펠릿의 건조시간과의 정합성을 꾀하여, 효율적인 성형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감압건조수단에 의해 원하는 감압상태로 제습하는 수지펠릿 건조장치에 있어서, 감압건조수단에 공급하는 수지펠릿을 예열수단에 의해 비용융이고, 또한 감압화에서 수분이 증기화 가능한 온도로 가열한다.

Description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APPARATUS FOR DRYING RESIN PELLETS AND METHOD FOR DRYING RESIN PELLETS}
도 1은 수지펠릿 건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지펠릿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설명도이다.
도 3은 예열수단 개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이송스크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감압가열수단 개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감압가열건조된 수지펠릿(RP)을 성형기에 공급하는 개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예열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예열된 수지펠릿의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감압건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건조한 수지펠릿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변경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변경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펠릿 건조장치
3 : 예열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예열호퍼
7 : 예열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열공기 공급장치
11 : 예열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송튜브
13 : 전동모터
15 : 이송스크류
17 : 가열부재
19 : 버퍼호퍼
25 : 감압건조수단을 구성하는 감압건조튜브
27 : 전동모터
29 : 이송스크류
31 : 배기관
33 : 밸브
35 : 가열부재
RP : 수지펠릿
본 발명은,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미리 건조상태로 하는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품의 성형원료인 수지펠릿은, 수송 도중 등에 수분이 부착하거나, 물이 내부에 침투하여 결합수의 상태가 되고 있다. 수분이 부착하거나 결합수 상태의 수지펠릿을 그대로 성형기에 공급하여 성형한 경우, 금형내에서 용융한 합성수지내의 수분이 증기화되어 금형 밖으로 배출될 때에 성형품의 표면에 줄기 등을 형성하여 외관불량을 초래하거나, 잔류수분에 의해 수지조성이 변성하여 성형품의 수지특성을 원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없어, 성형품 불량의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형기에 수지펠릿을 공급할 때는, 미리 수지펠릿의 수분을 제습(除濕)하여 건조해야 한다.
수지펠릿을 건조처리하는 종래의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79840호에 나타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즉, 이 특허문헌 1에 각각 기재된 수지펠릿의 건조처리방법은,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미리 건조수단내에 투입하여 수지펠릿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제습·건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조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감압하에서는 수분의 비점(沸點)이 내려가 대기압하의 비점인 10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기화되지만, 감압하에서는 열전도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수지펠릿의 수분을 증기화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데 시간이 걸려, 건조효율이 좋지 않았다. 특히, 수지펠릿 자체, 단열성이 있고, 상기 감압조건하에서 결합수를 증기화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지극히 곤란하여, 수지펠릿을 단시간에 건조처리할 수 없었다.
이 결점은, 수지펠릿의 감압가열 시간을 길게 함에 의해 해결할 수 있지만, 건조처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대량으로 필요로 하는 동시에 성형기에 의한 수지펠릿의 소비시간에 대하여 수지펠릿의 건조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극단적으로 길어져 서, 양자의 정합성이 나빠져서 효율적인 성형작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이 문제는, 성형기와는 별도의 장소에 대형의 감압건조장치를 설치하여 한번에 대량의 수지펠릿을 건조처리하여 각각의 성형기에 수지펠릿을 분배·공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지만, 장치 자체가 대형화하는 동시에 각각의 성형기로 분배·공급할 때에 공장 분위기내의 수분이 수지펠릿에 다시 부착할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 또한 분배공급에 의해 수지펠릿의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 등의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수지펠릿건조장치는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감압건조수단에 의해 원하는 감압상태에서 제습하는 수지펠릿건조장치에 있어서, 감압건조수단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비용융이고, 감압하에서 수분이 증기화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수지펠릿 건조장치(1)는 성형기(도시하지 않음)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예열수단과 감압건조수단으로 구성된다. 예열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예열 호퍼(3)의 상부에 설치된 투입개구부(3a)는 내부와 연이어 통하여, 수지펠릿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개폐부재(5)를 통해 접속된다. 개폐부재(5)는 전자 솔레노이드나 에어실린더 등의 작동부재(5a)에 의해 셔터(5b)를 개 폐하여 예열 호퍼(3)내에 소정량의 수지펠릿(RP)을 투입시킨다. 한편, 도면 중의 부호 2는 수지펠릿 건조장치(1)에 부착되는 캐스터이다.
예열호퍼(3)의 하부에는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열풍 공급개구부(3b)가 설치되고, 상기 열풍 공급개구부(3b)에는 가열부재(7a) 및 송풍기(7b)에 의해 구성되는 예열수단의 일부인 가열공기 공급장치(7)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7b)로부터의 송풍은 가열부재(7a)에 의해 가열되어 수지펠릿(RP)을, 비용융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지펠릿(RP)에 부착한 수분이나 내부의 결합한 물을 후술하는 감압조건하에서 대기압하의 비점인 10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비등 가능하게 가열함에 의해 수지펠릿(RP)을 예열시킨다. 한편, 도면중의 부호 7c는 망이고, 예열건조시에 예열호퍼(3)내의 수지펠릿(RP)이 열풍 공급개구부(3b)측에 유입하는 것을 규제한다.
예열호퍼(3)내에는 방해판(9)이 부착되고, 예열호퍼(3)내에 투입된 수지펠릿(RP)에 열풍이 내뿜어지면, 예열호퍼(3)에서 불규칙하게 비산하는 수지펠릿(RP)을 정류하여 균일한 상태로 교반시킨다. 이 방해판(9)으로서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날개(도시하지 않음)이더라도 좋다.
예열호퍼(3)의 하부에는 이송튜브(11)의 공급개구부(11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이송튜브(11)는 거의 수평상태, 바람직하게는 다른 쪽 끝단부(배출측)가 약간 하강한 경사상태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동모터(13)에 연결된 이송 스크류(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5)는 이송튜브(11)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다른 쪽 끝단에 걸친 축선길이로 이루어지고, 그 다른 쪽 끝단부가 이송 튜브(11)의 다른 쪽 끝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5)로서는 축부재(15a)의 바깥둘레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나선 형성되는 스크류날개(15b)를 설치한 축구조,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류날개(15b)의 중심부에 중공부(15c)를 설치하여, 이송에 따라 예열된 수지펠릿(RP)이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더라도 좋다.
이송튜브(11)에는, 예를 들면 면 형상 히터, 전열 히터 등의 가열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재(17)는 이송튜브(11)안으로 이송되는 수지펠릿(RP)을, 그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시킨다. 이송튜브(11)의 다른 쪽 끝단부에 설정된 배출개구부(11b)에는 버퍼호퍼(buffer hopper)(19)가 접속되고, 상기 버퍼호퍼(19)는 예열상태로 이송되어 투입된 소정량의 수지펠릿(RP)을 일시적으로 모으는 것에 의해 예열시간과 후술하는 감압건조에 요하는 시간을 정합시킨다. 한편, 버퍼호퍼(19)는 단열재에 의해 피복되어, 내부의 예열된 수지펠릿(RP)의 온도저하를 막고 있다.
상기 버퍼호퍼(19)의 배출개구부(19a)에는 감압건조용 호퍼(21)가 개폐부재(23)를 통해 접속된다. 개폐부재(23)는 전자 솔레노이드나 에어실린더 등의 작동부재(23a)에 셔터(23b)를 연결하여, 작동부재(23a)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23b)에 의해 버퍼호퍼(19)로부터 감압건조용 호퍼(21)에 이르는 통로를 개폐시킨다.
감압건조용 호퍼(21)의 배출개구부(21a)에는 감압건조수단을 구성하는 감압건조튜브(25)의 공급개구부(25a)가 접속되어 있다. 감압건조튜브(25)는 상기 이송 튜브(11)와 같이 거의 수평상태, 또는 다른 쪽 끝단부(배출측)가 약간 하강한 경사상태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동모터(27)에 연결된 이송 스크류(29)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9)는 감압건조튜브(25)와 거의 일치하는 축선길이로, 전동모터(27)와 반대측의 축끝단부가 감압건조튜브(25)의 다른 쪽 끝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9)는 상기한 이송스크류(15)와 마찬가지로, 축부재(29a)의 바깥둘레에 축선방향으로 나선(螺旋)하면서 늘어나는 스크류날개(29b)를 설치한 축구조, 또는 스크류날개(29b)의 중심부에 중공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중공구조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 이송스크류(29)는 감압건조튜브(25)의 한쪽 끝단부측에 투입된 예열상태의 수지펠릿(RP)을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이송하면서, 후술하는 가열부재(35)에 의해 예열상태가 유지된 수지펠릿(RP)으로부터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배기할 수 있게 한다.
감압건조튜브(25)의 다른 쪽 끝단부에는 배기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배기관(31)이 밸브(33)를 통해 접속되어, 감압건조튜브(25)안을 원하는 진공도(50∼200hpa)로 감압시킨다. 또한, 감압건조튜브(25)에는 면형상 히터나 전열히터 등의 가열부재(35)가 부착되고, 감압건조튜브(25)내에 투입된 예열상태의 수지펠릿(RP)을 가열하여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시킨다.
감압건조튜브(25)의 다른 쪽 끝단부에 설정된 배출개구부(25b)에는 스톡호퍼(37)가 접속되고, 상기 스톡호퍼(37)의 배출개구부(37a)에는 성형기 공급호퍼(39)가 개폐부재(41)를 통해 접속된다. 개폐부재(41)는, 상기 개폐부재(23)와 같이 작 동부재(41a)에 셔터(41b)를 연결하여, 작동부재(41a)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41b)에 의해 스톡호퍼(37)로부터 성형기 공급호퍼(39)에 이르는 통로를 개폐시킨다.
성형기 공급호퍼(39)의 배출개구부(39a)에는 성형기에 있어서의 사출장치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공급호스(40)가 접속되고, 성형기측에 설치된 송풍기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하는 압송공기에 의해 성형기 공급호퍼(39)내의 감압건조된 소정량의 수지펠릿(RP)을 성형기의 사출장치내에 공급한다. 한편, 도면 중의 부호 39b는 성형기 공급호퍼(39)내의 수지펠릿(RP)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창이다.
다음에, 수지펠릿 건조장치(1)에 의한 수지펠릿(RP)의 감압건조작용 및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개폐부재(5)를 열림 작동하여 예열호퍼(3)내에 소정량의 수지펠릿(RP)을 투입한 후에 개폐부재(5)를 닫힘 작동한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공기 공급장치(7)를 작동하여 가열공기를 예열호퍼(3)내에 불어넣고, 수지펠릿(RP)을, 상기 수지펠릿(RP)이 용융하지 않고, 수지펠릿(RP)의 표면에 부착한 수분이나 수지펠릿(RP)내에 함유된 결합수가 수증기화할 수 있는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여 예열시킨다.
한편, 수지펠릿(RP)의 예열시에 있어서는, 수지펠릿(RP)의 일부가 이송튜브(11)의 한쪽 끝단부내에 들어가지만, 불어넣어지는 가열공기의 압력에 의해 예열호퍼(3)내로 되돌아가 전체가 거의 균일하게 예열된다.
다음에, 예열호퍼(3)내에서의 수지펠릿(RP)의 가열이 종료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튜브(11)내의 이송스크류(15)를 회전구동하여 예열호퍼(3)내의 예열된 수지펠릿(RP)을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향하여 이송시킨다. 이 이송시에, 이송튜브(11)에 설치된 가열부재(17)에 의해 예열된 수지펠릿(RP)을, 그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시킨다. 그리고 이송스크류(15)의 회전에 따라 이송튜브(11)의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이송된 수지펠릿(RP)은 버퍼호퍼(19)내에 도입되어 모아진다.
그리고 스톡호퍼(37)안이 빈 상태가 되면, 개폐부재(23)를 열림 작동하여 버퍼호퍼(19)내에 모아진 예열상태의 수지펠릿(RP)을 감압건조용 호퍼(21)내에 투입한 후에 개폐부재(23)를 닫힘 작동하여 버퍼호퍼(19)로부터 감압건조용 호퍼(21)에 이르는 통로를 폐쇄시킨다.
감압건조용 호퍼(21)내에 투입된 예열상태의 수지펠릿(RP)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29)의 회전에 따라 감압건조튜브(25)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향해서 이송된다. 이 이송시에, 감압건조튜브(25)는 가열부재(35)에 의해 수지펠릿(RP)의 예열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또는 이것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가열되어 예열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이송시에 밸브(33)를 개방하여 감압건조튜브(25)안을 배기하여 소정의 압력이 되도록 감압되어 있기 때문에, 예열된 수지펠릿(RP)의 물이 상기 감압하에서 비등하여 수증기화하는 동시에 압력차에 의해 내부로부터 튀어나와 공기와 함께 배기되는 것에 의해 수지펠릿(RP)을 제습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작용에 의해 건조된 수지펠릿(RP)이 감압건조튜브(25)의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이송되어 스톡호퍼(37)내에 모아진다. 상기 스톡호퍼(37)에 소정량의 수지펠릿(RP)이 모여져 성형기로부터 수지펠릿 공급지시신호가 출력되면, 개폐부재(41)를 열림 작동하여 스톡호퍼(37)내의 건조된 수지펠릿(RP)이 성형기 공급호퍼(39)내에 투입된다. 성형기 공급호퍼(39)내에 투입된 건조한 수지펠릿(RP)은 송풍기장치의 구동에 의해 성형기의 사출장치에 압송·공급된다.
본 실시예는, 성형기의 사출장치에 공급되는 수지펠릿(RP)을 감압가열 건조할 때에, 종래는 감압상태가 되는 것에 따라 수지펠릿(RP)에 대한 가열이 단열되어 단시간에 비등가능한 온도로 하는 것이 곤란하였지만, 감압건조에 있어서 수지펠릿(RP)을 미리 원하는 온도로 예열함으로써 감압시에 수지펠릿(RP)에 부착한 수분이나 함침한 결합수를 효율적으로 증기화하여 제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펠릿(RP)의 건조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성형기의 성형시간, 따라서 수지펠릿(RP)의 소비시간과 수지펠릿(RP)의 건조시간과의 정합성(整合性)을 꾀하여, 성형작업을 효율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변경 실시할 수가 있다.
1. 이송스크류(15)를 정역회전 제어하여 이송튜브(11)내의 수지펠릿(RP)을 적극적으로 교반시키는 동시에 가열부재(17)의 열에 의해 가열하여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이송스크류(15)를 한쪽 방향으로만 이송회전시키면, 이송튜브(11)의 다른 쪽 끝단부측으로 이송된 수지펠릿(RP)이 이송스크류(15)의 회전에 따라 연화(軟化)된 수지펠릿(RP)이 압축되어 서로 부착하여 블록화할 우려가 있지만,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송스크류(15)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 제어하여 연화된 수지펠릿(RP)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블록화하는 것을 회피하면 좋다.
2.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29)의 회전방향을 정역제어하여 감압건조튜브(25)내의 수지펠릿(RP)을 적극적으로 교반시킴으로써 감압건조작용을 확실히 실행하게 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3. 상기 설명의 가열부재(17, 35)로서는, 각각의 이송스크류(15, 29)의 축부재내에 장착가능한 막대형상 히터로 하더라도 좋다.
4.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열호퍼(3)내에서 예열된 수지펠릿(RP)을 이송튜브(11)내의 이송스크류(15)에 의해 이송하여 예열처리와 감압가열처리와의 시간적 정합성을 꾀하도록 하였지만, 이송튜브(11) 및 이것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5)에 의한 예열된 수지펠릿(RP)의 이송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예열호퍼(3)내에서 예열된 수지펠릿(RP)을, 직접, 감압가열호퍼내에 투입하여 감압가열처리하더라도 좋다.
5. 본 발명은, 수지펠릿(RP)을 감압가열건조하는 것에 앞서 수지펠릿(RP)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여, 감압건조시에 부착한 수분이나 함침한 결합수를 단시간에 증기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있어서 예열된 수지펠릿(R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튜브(11) 및 이송스크류(15)와 감압건조튜브(25) 및 이송스크류(29)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열호퍼(121)내에 투입된 수지펠릿(RP)을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나 바(bar)부재 등의 교반부재(122)에 의해 교반하면 서 가열부재(124)에 의해, 감압조건하에서 부착한 물이나 결합수가 증기화할 수 있고, 수지펠릿(RP)이 비용융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로 예열한 후에, 예열된 수지펠릿(RP)을, 스크류나 바 부재 등의 교반부재(1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압가열호퍼(125)내에 직접 투입하여, 상기 감압가열호퍼(125)내에서 수지펠릿(RP)을 교반하면서 감압·가열하여 수분을 제습하여 건조하는 구성 및 방법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감압가열호퍼(125)에는 적어도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열부재를 설치하여 투입된 수지펠릿(RP)을 가열하더라도 좋다. 한편, 도 11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6. 상기 설명은, 수지펠릿 건조장치(1)를 성형기와 별도로 설치하여, 건조된 수지펠릿(RP)을 성형기의 사출장치에 압송하여 공급하는 형태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공급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펠릿 건조장치(1)의 성형기 공급호퍼(39)를 사출장치(131)의 수지공급부에 부착하여, 사출장치(131)에 대하여 건조된 수지펠릿(RP)을 직접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공급형태이더라도 좋다.
7. 이송튜브(11)의 바깥면 및 감압건조튜브(25)의 바깥면에 가열부재 (17, 35)를 각각 설치하여 예열된 수지펠릿(RP)의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송튜브(11) 및 감압건조튜브(25)를, 예를 들면 이것들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수지펠릿(RP)의 예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가열부재(17, 35)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수지펠릿을 감압가열건조시킬 때에 수지펠릿에 부착한 수분이나 함침된 결합수를 단시간에 증기화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시킴으로써 수지펠릿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성형기에 의한 성형시간과 수지펠릿의 건조시간과의 정합성을 꾀하고, 효율적인 성형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감압건조수단에 의해 원하는 감압상태로 제습하는 수지펠릿 건조장치에 있어서, 감압건조수단에 공급하는 수지펠릿을 비용융이고, 감압하에서 수분이 증기화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는 예열수단을 구비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 감압건조수단을 연속상태로 설치하는 동시에 적어도 감압건조수단의 공급측 및 배출측에 개폐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감압건조수단내를 감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튜브내에 회전제어되는 스크류부재를 설치하여, 투입된 수지펠릿을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송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은 가열수단이 설치되어 내부에 수지펠릿이 투입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감압건조수단은 배기수단이 접속되어 예열된 수지펠릿이 투입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는 수지펠릿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은, 투입된 수지펠릿에 가열공기를 내뿜어 비용융 온도로 가열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튜브에 설치된 면형상 히터 및 스크류부재의 축부재내에 장착되는 막대형상 히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튜브내의 수지펠릿을 가열하여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스크류부재의 회전방향을 정역제어하여 각각의 튜브내에서의 수지펠릿의 체류시간을 조정가능하게 한 수지펠릿 건조장치.
  8. 성형기에 공급되는 수지펠릿을 감압건조수단에 의해 감압가열하여 제습하는 수지펠릿 건조방법에 있어서, 감압가열되는 수지펠릿을 예열수단에 의해 미리 비용융 온도로 가열하는 수지펠릿 건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을 연속형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적어도 감압건조수단의 공급측 및 배출측을 개폐가능하게 하여 감압건조수단내를 원하는 감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튜브내에 스크류부재를 회 전제어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투입된 수지펠릿을 이송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은 가열수단이 설치되어 내부에 수지펠릿이 투입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감압건조수단은 배기수단이 접속되어 예열된 수지펠릿이 투입되는 호퍼로 이루어지는 수지펠릿 건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은, 투입된 수지펠릿에 가열공기를 내뿜어 비용융 온도로 가열할 수 있게 한 수지펠릿 건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튜브에 설치된 면형상 히터 및 스크류부재의 축부재내에 장착되는 막대형상 히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튜브내의 수지펠릿을 가열하여 예열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수지펠릿 건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예열수단 및 감압건조수단은, 스크류부재의 회전방향을 정역제어하여 각각의 튜브내에서의 수지펠릿의 체류시간을 조정가능하게 한 수지펠릿 건조방법.
KR1020040096772A 2004-08-23 2004-11-24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60018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2186A JP2006056188A (ja) 2004-08-23 2004-08-23 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JP-P-2004-00242186 2004-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03A true KR20060018203A (ko) 2006-02-28

Family

ID=3492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772A KR20060018203A (ko) 2004-08-23 2004-11-24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6079B2 (ko)
EP (1) EP1630507B1 (ko)
JP (1) JP2006056188A (ko)
KR (1) KR20060018203A (ko)
CN (1) CN1739933B (ko)
DE (1) DE602004015974D1 (ko)
TW (1) TW200607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82B1 (ko) * 2007-10-05 2009-04-15 장석민 폐비닐의 재생용융장치
KR101026202B1 (ko) * 2010-10-01 2011-03-31 윤석영 폐플라스틱용 열분해 유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04230B (pt) * 2008-10-23 2012-01-23 Amorim Isolamentos S A Processo e dispositivo para expansão de material de cortiça por acção de vapor de água saturado e/ou sobreaquecido
JP4289510B1 (ja) 2008-12-22 2009-07-01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合成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及び合成樹脂ペレット乾燥方法
TW201627124A (zh) * 2014-09-16 2016-08-01 葛拉工業公司 用來乾化顆粒及其他材料之系統及方法
US10525615B2 (en) * 2017-10-11 2020-01-07 Novatec, Inc. Water regulated temperature controlled resin drying
EP3774251B1 (en) * 2018-03-30 2023-09-06 Toyota Motor Europe Conveying system and compoun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1065498B2 (en) * 2019-05-01 2021-07-20 ViPR PRO, LLC Tubular exerci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41163A1 (de) * 1969-08-13 1971-02-25 Albert Ag Chem Werk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Trocknen bzw. Vorwaermen und Vorplastifizieren von Formmassen mit Hochfrequenz
DE2334189C2 (de) * 1973-07-05 1984-12-06 Sapco Systemanalyse und Projektcontrol GmbH, 4000 Düsseldor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üllstoff-Gemisches
JPS56104013A (en) * 1980-01-22 1981-08-19 Teijin Ltd Supplying device for proportioned quantity of synthetic resin chip
GB2110803B (en) * 1981-10-23 1985-05-01 Balfour And Co Limited Henry Microwave drying of granular materials
JPH03256705A (ja) * 1990-03-07 1991-11-15 Hokkai Can Co Ltd 合成樹脂成形機における合成樹脂原料の着色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4795Y2 (ja) * 1991-10-04 1995-04-10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の乾燥装置
DE4408147C1 (de) * 1994-03-11 1995-08-24 Heinz Eichholz Vakuumtrockn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ührung
US5570516A (en) * 1995-07-10 1996-11-05 Huang; Ching-Yuan Drying system having continuously connected close spiral conveyers
JPH10272387A (ja) * 1997-03-31 1998-10-13 Sony Corp 射出成形装置
JP2000238078A (ja) * 1999-02-18 2000-09-05 Canon Inc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及び成形品
JP4132462B2 (ja) * 1999-08-27 2008-08-13 株式会社カワタ 粉粒体の乾燥装置
JP4249858B2 (ja) 1999-09-16 2009-04-08 高木産業株式会社 樹脂乾燥装置
DE10012532A1 (de) * 2000-03-15 2001-09-27 Remaplan Anlagenbau Gmbh Verfahren zum Spritzpressen von Kunststoffmischungen, insbesondere Kunststoffmischungen aufweisend mindestens eine thermoplastische Plyesterkomponente und mindestens eine Modifierkomponente, insbesondere deren Recyclate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JP2002144386A (ja) * 2000-11-15 2002-05-21 Haruna:Kk 射出成形方法
JP2003285330A (ja) * 2002-03-29 2003-10-07 Mitsuboshi Belting Ltd 樹脂材料の計量供給方法及びその計量供給装置
TW200523087A (en) * 2004-01-07 2005-07-16 Star Seiki Kk Resin pellet dr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82B1 (ko) * 2007-10-05 2009-04-15 장석민 폐비닐의 재생용융장치
KR101026202B1 (ko) * 2010-10-01 2011-03-31 윤석영 폐플라스틱용 열분해 유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5974D1 (de) 2008-10-02
CN1739933B (zh) 2010-06-09
JP2006056188A (ja) 2006-03-02
CN1739933A (zh) 2006-03-01
EP1630507A1 (en) 2006-03-01
EP1630507B1 (en) 2008-08-20
US20060037210A1 (en) 2006-02-23
TW200607629A (en) 2006-03-01
US7316079B2 (en) 200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401A (ko) 수지펠릿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097133B1 (ko) 분립체 재료의 공급 시스템
CN101597850B (zh) 缝制布料的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20060018203A (ko) 수지펠릿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JP5114552B2 (ja) 凍結乾燥方法および凍結乾燥装置
CN101214086B (zh) 一种烟梗预处理的方法及设备
JP2012153133A (ja) オートクレーブ成形方法及びオートクレーブ成形装置
KR101658217B1 (ko) 열풍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배열회수형 복합 건조 시스템
CN201005012Y (zh) 一种叶丝微波干燥设备
EP1922195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plastic material for a machine used to produce plastic containers
CN102877245A (zh) 用于处理纺织品的方法和装置
ITPD20090024A1 (it) Deumidificatore per materie plastiche
JP4756691B2 (ja) 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
CN104555436B (zh) 远距离输送和除湿生活垃圾的方法及装置
CN112888541B (zh) 分离多层塑料层的方法
KR20110102640A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KR101128532B1 (ko) 열전소자와 폐열을 이용한 응축 건조장치
JP4054228B2 (ja) 輸送乾燥装置
CA2555611A1 (en) Process and plant for dehumidification, heating and injection moulding of granulated plastics materials
CN106403569A (zh) 适用于建筑物料的提升干燥装置及其操作方法
JP2001062830A (ja) 粉粒体の乾燥装置
US84265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pet containers
KR102108631B1 (ko) 진공을 이용한 건식 원료공급장치
JP2007152620A (ja) 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の残留樹脂ペレット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