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728A -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728A
KR20060010728A KR1020057017374A KR20057017374A KR20060010728A KR 20060010728 A KR20060010728 A KR 20060010728A KR 1020057017374 A KR1020057017374 A KR 1020057017374A KR 20057017374 A KR20057017374 A KR 20057017374A KR 20060010728 A KR20060010728 A KR 20060010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date
image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540B1 (ko
Inventor
카츠미 마츠노
오사무 다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time or d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자체기기에서 작성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보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정보와의 양쪽을, 작성 일시 정보에 의거한 분류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에, 자체기기에서 촬영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와, 자체기기에서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 파일에는 촬영 일시 정보를, 또한,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 파일에는 취득 일시 정보를 부가한다. 분류 처리시에 있어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를 확인하고(스텝 S1), 외부로부터 취득한 것은 취득 일시를 이용하고(스텝 S2), 촬영하여 얻은 것인 경우에는 촬영 일시를 이용하여(스텝 S3), 분류 처리를 행하고(스텝 S4), 그 결과를 표시한다(스텝 S5).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정보 분류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PICKUP DEVICE, AND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통신 단말 등, 카메라 기능이나 키 조작부 등의 정보 입력 기능을 구비함과 함께, 유선이나 무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정보도 접수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받아들인 정보의 분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로 촬영된 화상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은, 해당 촬상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하여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섬네일 등의 대표 화상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한번에 확인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록 매체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로 촬영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이전과는 현격하게 많은 화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 촬영한 화상중에서 소망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자 할 때, 기록 매체에 기록된 대량의 화상중에서 소망하는 화상을 추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특개평11-215457호 공보)에는, 촬영된 화상을 촬영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관리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의 경우, 촬영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화상이, 대강 언제쯤 촬영한 것인지의 짐작이 되어 있으면, 신속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에 관해, 그 화상의 촬영 일시를 후일 알고 싶은 경우 등에도 유익하다.
그런데, 네트워크의 발달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가, 다른 촬상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약칭한다)나 여러가지의 서버와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친구가 촬영한 화상을 자신의 촬상 장치에 받아들여서 이용하는 등의 것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서버를 통하여 공개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을 다운로드하고, 마찬가지로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장치의 기록 매체에는, 독자로 촬영한 화상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을 받은 화상 등이 혼재하여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체기기(自機)에서 촬영한 화상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화상이 기록 매체에 혼재하는 경우에, 이들의 화상을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식에 의해 관리하면, 당연한 일이지만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화상에 대해서도 촬영 일시에 의해 분류되게 된다.
그러나, 촬상 장치의 유저는,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화상의 촬영 일시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는 적고, 또한, 그 필요성도 없기 때문에,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한 화상에 관해서는, 예기치 못한 일시로 화상이 분류되게 되어, 소망하는 화상의 추출은 곤란해진다.
또한, 분류 결과가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 예를 들면, 촬영 일시에 의거하여 화상의 분류를 행하는 경우로서, 촬영된 화상의 촬영 일시가, 수개월간 또는 수년간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에는, 분류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만이 아니라, 자체기기에서 생성한 정보와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입수한 정보 등, 입수 경로가 다른 정보를 관리하여야 하는 경우에, 반드시 생기는 문제이다.
예를 들면, PDA에서, 자체기기의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텍스트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나, 휴대 전화 단말에서, 자체기기의 키 조작부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함에 의해 작성하도록 한 착신 멜로디(이른바 착(着)멜로)의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착멜로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수한 데이터에 대해서도 그 작성일로 관리하려고 한 경우에는, 검색을 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상의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소망하는 정보를 추출할 때, 정보의 작성 일시에 의거한 정보의 분류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또한,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입수한 정보의 분류도 적확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또한, 그 분류 결과가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신속하게 분 류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을 해당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중,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한 분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에 관해,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하는 경우에,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공되었다고 검출된 파일에 관해서는,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것이 아닌 파일에 관해서는,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된다. 분류 수단에 의한 분류 처리의 결과는, 표시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고, 유저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제공된 파일과, 외부로부터의 것은 아닌(자체기기에서 작성(생성)하도록 한) 파일과의 어느 것에 관해서도, 해당 장치에서의 그 파일에 관한 처리일(취득일 또는 작성일)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도록 된다.
이로써, 기록 매체의 각 파일에 관해, 유저가 관여하지 않은 일시에 관한 정보가 이용되어 분류되는 것은 없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파일 정보의 검색을 하기 쉽고 하기 위한 분류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통지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가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화상 데이터와 그 관리 정보를 일체로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분리하여 일괄 관리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V 관리 정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기록 매체에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촬영 일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할 때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일자 화상 정보(캘린더 정보)상에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한 분류 결과 제공 화상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자란에 분류되어 있는 화상을 확인하는 경우의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화상 데이터의 분류 결과와 표시의 스킵 처리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화상의 일반적인 스크롤 처리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화상 데이터의 분류 결과와 스크롤 속도의 제어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스크롤 속도의 제어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화상 데이터의 분류 결과와 스크롤 속도의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스크롤 속도의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스크롤 속도의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5A 및 도 15B는 무게 부여를 고려한 스크롤 속도의 제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무게 부여를 고려한 스크롤 속도의 제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무게 부여를 고려한 스크롤 속도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계산식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표시 소자의 표시 화면(G)에 표시되는 분류 결과의 표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 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을 정지 화상과 동화의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인 촬상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의 구성과 기본 동작에 관해]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카메라부(1)와, 카메라 DSP(Digital Signal Processor)(2)와,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3)과, 매체 인터페이스(이하, 매체 I/F라고 한다)(4)와, 제어부(5)와, 조작부(6)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컨트롤러(7)와, LCD(8)와, 외부 인터페이스(이하, 외부 I/F라고 한다)(9)를 구비함과 함께, 기록 매체(10)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록 매체(10)는,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이른바 메모리 카드, 기록 가능한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기록 가능한 CD(Compact Disc) 등의 광기록 매체, 자기 디스크 등의 여러가지의 것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10)로서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카메라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블록(11), CCD(Charge Coupled Device)(12), 전처리 회로(13), 광학 블록용 드라이버(14), CCD용 드라이버(15), 타이밍 생성 회로(16)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광학 블록(11)은, 렌즈,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아이리스) 기구 등을 구비한 것이 다.
또한, 제어부(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51), RAM(Random Access Memory)(52),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53), 시계 회로(54)가, 시스템 버스(55)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RAM(52)은, 처리의 도중 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등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플래시 ROM(53)은, CPU(51)에서 실행하는 여러가지의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해지는 데이터 등이 기억된 것이다. 또한, 시계 회로(54)는, 현재 연월일, 현재 요일, 현재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캘린더 기능도 구비한 것으로서, 촬영 일시 등을 제공하는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화상의 촬영시에는, 광학 블록용 드라이버(14)는, 제어부(5)로부터의 제어에 응하여, 광학 블록(11)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광학 블록(11)에 공급하여, 광학 블록(11)을 동작시키도록 한다. 광학 블록(11)은, 드라이버(14)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응하여,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 기구가 제어되고, 피사체의 화상을 받아들이고, 이것을 CCD(12)에 대해 제공한다.
CCD(12)는, 광학 블록(11)으로부터의 화상을 광전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CCD용 드라이버(15)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응하여 동작하고, 광학 블록(11)으로부터의 피사체가 화상을 받아들임과 함께,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되는 타이밍 생성 회로(1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받아들인 피사체의 화상(화상 정보)을 전기 신호로서 전처리 회로(13)에 공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생성 회로(16)는, 제어부(5)로부터의 제어에 응하여, 소정의 타이밍을 제공하는 타이밍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CCD용 드라이버(15)는, 타이밍 생성 회로(1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CCD(12)에 공급하는 구동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전처리 회로(13)는, 이것에 공급된 전기 신호의 화상 정보에 대해,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처리를 행하여, S/N비를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함과 함께, AGC(Automatic Gain Control) 처리를 행하여, 이득을 제어하고, 그리고, A/D(Analog/Digital)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전처리 회로(1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는, DSP(2)에 공급된다. DSP(2)는, 이것에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AWB(Auto White Balance) 등의 카메라 신호 처리를 시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여러가지의 조정이 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시스템 버스(55), 매체 I/F(4)를 통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 장전된 기록 매체(10)에 공급되고, 후술하는 바와도 같이 기록 매체(10)에 파일로서 기록된다.
또한, 기록 매체(1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터치 패널이나 컨트롤 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6)를 통하여 접수한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응하여,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가 매체 I/F(4)를 통하여 기록 매체(10)로부터 판독되고, 이것이 DSP(2)에 공급된다.
DSP(2)는, 기록 매체(10)로부터 판독되고, 매체 I/F(4)를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관해, 그 데이터 압축의 해동 처리(신장 처리)를 행하고, 해동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55)를 통하여, LCD 컨트롤러(7)에 공급한다. LCD 컨트롤러(7)는, 이것에 공급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LCD(8)에 공급하는 화상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LCD(8)에 공급한다. 이로써,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응한 화상이, LCD(8)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화상의 표시의 형태는, ROM에 기록된 표시 처리 프로그램에 따른다. 즉, 이 표시 처리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파일 시스템이 어떤 구조로 기록되어 있는 것인지, 어떻게 화상을 재생하는 것인지 라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는, 외부 I/F(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외부 I/F(9)를 통하여, 예를 들면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여,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받아서, 이것을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또한,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공급하거나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 I/F(9)에 통신 모듈을 접속함에 의해,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가지의 화상 데이터나 그 밖의 정보를 취득하고,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또는,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송신하거나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에 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 판독하여 재생하고, LCD(8)에 표시하여 유저가 이용하는 것도 물론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 I/F(9)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용 인터페이스로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광이나 전파에 의한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외부 I/F(9)는, 유선, 무선의 어느 인터페이스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해당 촬상 장치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음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것을 재생하고,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받아서, 이것을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또한, 판독하고 재생하거나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함에 의해 얻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와의 양쪽을 일원적으로 관리하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분류 처리하여, 그 분류 결과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에 기록 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각각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둔다.
그리고,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양쪽에 관해, 그것들을 혼재시켜서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분류하지만,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서는, 분류에 이용하는 키 정보를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함에 의해 받아들이고,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해당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를 분류 키 정보로서 이용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받아들이고,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화상 데이터를 해당 촬상 장치에서 취득한 취득일에 관한 정보를 분류 키로서 이용하여 분류를 행한다.
여기서,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는, 그 파일이 생성된 날에 관한 정보이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파일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된 화상의 촬영일에 관한 정보와 등가인 것이다. 그리고,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 즉, 촬영일에 관한 정보는, 촬영 연월일, 촬영 시각, 촬영 요일 등의 촬영일에 관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로서, 촬영 일시(촬영 연월일 및 촬영 시각)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화상 데이터의 취득일에 관한 정보는, 촬영 처리는 수반하지 않고,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어, 파일로서 기록 매체 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관한 이 촬상 장치에서의 취득일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 연월일, 취득 시각, 취득 요일 등의 취득일에 관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취득 일시(취득 연월일 및 취득 시각)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로 촬영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화상 데이터의 실제의 촬상일에 관한 정보 외에,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의 해당 화상 데이터의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 그 촬영일에 관한 정보가 아니라, 그 화상 데이터의 이 촬상 장치에서의 취득일에 관한 정보를 분류 키로 하는 것은, 다음 이유에 의한다.
즉,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의 실제의 촬영일을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유저가 관여하고 있는 일은 적게,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도 그 실제의 촬영일을 분류 키로 이용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유저가 전혀 관여하지 않는 일시에 분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의 실제의 촬영 일시가 아니라, 그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의 이 촬상 장치에서의 취득 일시를 분류 키로서 이용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촬상 장치에서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해당 촬상 장치에서의 촬영 일시를 이용하고,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해당 촬상 장치에서의 취득 일시를 이용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지만, 어느 경우도, 해당 촬상 장치에서, 최초에 그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한 일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촬상 장치의 유저 자신이 인식하고, 관여하고 있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해당 촬상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를 최초에 받아들인 일시를 분류 키 정보로 함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가 의도하지 않는 날로 분류되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찾아내는데 시간이 걸려 버리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의 관리 방식에 관해]
그리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관해, 자체기기에서 촬영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나 촬영 일시나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 등의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의 관리는, 촬상 장치로 이용하는 파일 시스템에도 따르지만, 크게 나눈다면 이하의 2개의 관리 방식이 있다.
하나는,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 그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부가하고, 각 화상 데이터의 파일(화상 데이터 파일)에서, 화상 데이터와 관리 정보를 일체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또 하나는, 기록 매체에 복수의 파일로서 기록되어고 있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의 파일(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분리하여 일괄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 행하여지는 분류 처리, 분류 결과의 표시 처리의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 전에,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관한 2개의 관리 방식의 각각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데이터와 관리 정보의 일체 관리 방식에 관해]
우선,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 그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부가하고, 각 화상 데이터 파일에서, 화상 데이터와 관리 정보를 일체로 관리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데이터와 그 관리 정보를 일체로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10)에는, 화상 데이터 파일로서, 정지화 파일(A), 정지화 파일(B), 동화 파일(C)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지화 파일(A), 정지화 파일(B)의 각각에는, 정지화상 데이터 외에, 적어도,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와, 촬영 일시 정보(b)와, 수정(修正) 일시 정보(c)와, 섬네일 데이터(d)가 정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화 파일(C)에는, 동화상 데이터 외에,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와, 촬영 일시 정보(b)와, 수정 일시 정보(c)와, 섬네일 데이터(d)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는, 해당 화상 데이터 파일이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가, 「1」인 경우에는,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의 파일인 것을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은 아닌, 즉,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의 파일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촬영 일시 정보는,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됨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수정 일시 정보는, 그 화상 데이터의 수정 처리가 행하여진 일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후술도 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수정 일시 정보(c)는, 그 화상 데이터를 이 촬상 장치가 취득한 일시인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섬네일 데이터(d)는,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얻은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등의 말하자면 주(主)가 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의 축소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로서, 1종류로 한하지 않고 복수의 축소 화상을 갖을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도 같이,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 촬영 일시 정보(b), 수정 일시 정보(c), 섬네일 데이터(d) 등은, 각 파일 내에 정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등을 위해, 촬영 일시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분류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 화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의 관리 정보의 촬영 일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파일의 어느 부분에 촬영 일시 정보 등의 필요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촬상 장치의 예를 들면 플래시 ROM(53)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일시 정보 등의 목적으로 하는 정보가 참조하도록 되 어, 분류 처리가 행하여진다.
[관리 정보의 일괄 관리 방식에 관해]
다음에,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관한 또 하나의 관리 방식인, 기록 매체에 복수의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분리하여 일괄 관리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이 일괄 관리 방식의 개요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예의 경우에서도, 기록 매체(10)에는, AV(Audio/Visual) 관리 정보(101), 정지화 파일(A), 정지화 파일(B), 동화상 파일(C)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일괄 관리 방식의 경우에는, 도 3에서, AV 관리 정보(101)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는, 화상 데이터 파일(A, B, C)과는 별도 파일에서 관리되고, AV 관리 정보와 화상 데이터 파일은 미리 결정되는 포인터에 의해 결부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AV 관리 정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의 경우에는, AV 관리 정보는, 타이틀 파일(101a)과, 섬네일 파일(101b)과, 프로퍼티 파일(101c)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각 파일에는,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여러가지의 정보가 엔트리 정보(등록 정보)로서 보존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틀 파일(101a)에 등록되어 있는 타이틀 엔트리(0, 1, 2, … )의 각각은,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관한 코멘트, 메모, 주기(注記) 등이라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입력하도록 된 텍스트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섬네일 파일(101b)에 등록되어 있는 섬네일 엔트리(0, 1, 2, … )의 각각은,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의 축소 화상 데이터로서, 1종류로 한하지 않고 복수의 축소 화상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프로퍼티 파일(101c)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퍼티 엔트리(0, 1, 2, … )의 각각은,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관한 여러가지의 관리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프로퍼티 엔트리의 각각에는, 도 4에서, 프로퍼티 엔트리(n)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파일 포인터(Pt),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a), 촬영 일시 정보(bb), 수정 일시 정보(cc)가 포함되도록 된다.
파일 포인터(Pt)는, 해당 프로퍼티 엔트리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a)는, 도 2에 도시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와 마찬가지로, 이 촬상 장치에서 촬영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도,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a)가, 「1」인 경우에는,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인 것을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은 아닌 화상 데이터의 파일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촬영 일시 정보(bb)는, 도 2에 도시한 촬영 일시 정보(b)와 마찬가지로, 이 촬상 장치에서 촬영함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정 일시 정보(cc)는, 도 2에 도시한 수정 일시 정보(c)와 마찬가지로, 그 화상 데이터의 수정 처리가 행하여진 일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후술도 하지만, 외부로부터 제공된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수정 일시 정보(c)는, 그 화상 데이터를 이 촬상 장치가 취득한 일시인 취득 일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이용하도록 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 파일 하나에 대해서는, AV 관리 정보로서, 타이틀 엔트리와 섬네일 엔트리와 프로퍼티 엔트리를 마련할 수 있도록 된다. 각 화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과, 타이틀 엔트리, 섬네일 엔트리는, 프로퍼티 엔트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관련지어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정지화 파일(A)에 대해서는, AV 관리 정보로서, 타이틀 엔트리(n), 섬네일 엔트리(n), 프로퍼티 엔트리(n)가 마련되고, 정지화 파일(B)에 대해서는, 타이틀 엔트리(2), 섬네일 엔트리(2), 프로퍼티 엔트리(2)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화 파일(C)에 대해서는, 타이틀 엔트리(n+1), 섬네일 엔트리(n+1), 프로퍼티 엔트리(n+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의 일괄 관리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등을 위해, 촬영 일시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분류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각 화상 데이터 파일에 직접 액세스하지 않아도, AV 관리 정보의 하나인 프로퍼티 파일의 각 프로퍼티 엔트리의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분류 처리를 행할 수가 있도록 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일시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서치하는 경우에는, CPU에 의해, 프로퍼티 파일의 정보가 참조되고, 화상의 촬영 일시가 서치되어 분류하도록 된다. 이 후, 프로퍼티 파일 위의 촬영 일시 정보를 포 함하는 프로퍼티 엔트리가 지시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 또는, 섬네일 엔트리의 섬네일 데이터에 의한 축소 화상이, 분류 결과에 응하여 LCD(8)에 표시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별개로 마련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 파일의 검색, 서치의 시간이 현격하게 단축된다. 이것은, 기록 매체로서, DVD 등의 광디스크 매체를 이용한 경우를 상정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각 화상 데이터 파일의 각각이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갖는 경우에는, 화상의 촬영 일시를 서치할 때, 각각의 화상 데이터 파일마다 촬영 일시를 서치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기록 매체가 예를 들면 DVD 등의 광디스크의 경우로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 파일이 DVD상위에 산재하는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해, 광학 픽업을 DVD상의 목적으로 하는 파일의 기록 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이른바 시크 동작이 필요해진다.
이 시크 동작은 실제로 광픽업의 이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실제의 분류 처리에는 시크 시간을 포함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이것은, DVD 등의 광디스크만큼 현저하지는 않지만, 반도체 메모리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경우라도, 복수의 화상 파일을 어드레스 위치가 띠엄띠엄 있도록 기록한 경우에는, 액세스 처리에서의 로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별도의 파일로 관리함에 의해, 촬영 일시 정보 등의 관리 정보가 일원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서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화상 데이터와 관리 정보의 일체 관리 방식의 예에 비하여 단축된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파일에서, 화상 데이터와 그 관리 정보를 일체로 관리하거나, 또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파일와는 별개로 관리 정보만을 일괄하여 관리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된다.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취득과 그 관리에 관해]
그리고, 상술한 바와도 같이,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경우에는,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접속하고, 다른 기기에서 촬영된 화상 정보나 WEB상에서 공개되어 있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받아서, 이것을 자체기기에 장전된 기록 매체(10)에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 장전되는 기록 매체상에는 자체기기에서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다른 기기로부터 입수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혼재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촬영 일시에 의해 분류할 때, 유저는 다른 기기로부터 입수한 화상의 촬영 일시를 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도 같이 통상 곤란하며, 또한 그 필요성도 희박하기 때문에, 다른 기기로부터 입수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이 예기치 못한 일시에 분류되어,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검색에 혼란을 발생시킬지도 모른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도 2,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의 관리 정보의 하나인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와, 수정 일시 정보를 이용한다.
즉,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된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제어부(5)는,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의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 aa)를 「0」으로 한다. 물론, 자체기기에서 촬영함에 의해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의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 aa)는 「1」로 한다. 이로써, 기록 매체에 파일로서 기록한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관해, 자체기기에서 촬영한 것인지,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것인지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된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제어부(5)는,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의 수정 일시 정보(c, cc)에, 촬상 장치가 그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일시를 기록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카메라부(1)를 통하여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부(6)를 통하여 해당 촬상 장치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외부 I/F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가 아닌, 예를 들면, 외부 기록 모드로 되고, 또한, 외부 I/F(9)에 외부 기기 등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촬상 장치의 제어부(5)는, 카메라 모드시에 있어서, 촬영을 행한 경우에는,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그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에는, 「1」을 세트하고, 촬영 일시 정보에 시계 회로(54)로부터 취득하는 현재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세트하도록 한다.
또한, 촬상 장치의 제어부(5)는, 외부 기록 모드시에 있어서, 외부 I/F(9)를 통하여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그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에는, 「0」을 세트하고, 수정 일시 정보에 시계 회로(54)로부터 취득한 현재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세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로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와, 외부 I/F를 통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와의 각각을 명확하게 나눌 수 있음과 함께, 이 촬상 장치에 받아들인 일시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종래의 분류 처리와 같이 촬영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이 촬상 장치에서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가 「1」인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촬영 일시 정보(b, bb)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지만,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가 「0」인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수정 일시 정보(c, cc)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화상 데이터와 그 관리 정보를 일체로 하여 관리하는 방식과,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화상 데이터와 그 관리 정보를 분리하고, 관리 정보는 관리 정보만으로 다른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와 함께 일괄 관리하는 방식과의 어느것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신속한 분류 처리를 행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는 분리하여 일괄 관리하 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분류 처리에 관해]
다음에, 기록 매체에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촬영 일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할 때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에 관해,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처리는, 제어부(5)에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 장전된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촬영 일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5)의 CPU(51)는, 우선, AV 관리 정보인 프로퍼티 파일의 각 프로퍼티 엔트리의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aa)를 참조하고, 이것이 「0」인지 「1」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
CPU(51)는, 스텝 S1의 판단 처리에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가, 「0」이다고 판단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수정 일시 정보를 참조하고(스텝 S2), 또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가, 「1」이다고 판단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그 촬영 일시 정보를 참조하고(스텝 S3), 이 참조한 일시 정보를 분류 키로서 이용하여 분류 처리를 행한다(스텝 S4).
그리고, CPU(51)는, 분류 결과를 유저에 대해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상세는 후술도 하지만, 분류 결과를 캘린더 정보 등의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LCD(8)에 표시함에 의해, 유저에 대해 제공하도록 하고(스텝 S5), 이 도 5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로써,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촬영 일시 정보로 분류하도록 하는 경우에,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가 예기치 못한 일자 에 분류되는 일이 없어지고,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를 이 촬상 장치에 최초에 받아들인 일시(화상을 입수하도록 유저가 의도(결의)한 일시)인 촬영 일시 또는 취득 일시에 의거하여, 즉, 유저가 관여한 일시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분류 처리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가 예기치 못한 일자에 분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화상을 검색하는 경우 등에 혼란을 발생시키는 등의 일도 없게 된다. 또한, 캘린더 정보 등의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함에 의해, 화상의 분류 결과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다.
[분류 결과의 유저에게의 제공에 관해 ]
다음에, 분류 결과의 표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2주간분의 일자 화상 정보(캘린더 정보)상에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한 분류 결과 제공 화상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LCD(8)의 표시 화면상에, 2주간분의 일자 화상 정보(81)를 표시함과 함께, 일자 화상 정보(81)에 있어서, 각 일자란에는 그 일자란의 일자에 대응하는 일시 정보를 갖은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나타내는 대표 화상(섬네일 화상, 아이콘 화상 등)이 표시된다. 도 6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1일, 6일, 9일, 12일의 각 일자란에는, 그 일자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대표 화상(G1, G2, G3, G4)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표 화상(G1, G2, G3)의 각각은, 본 실시 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일자란에 대응하는 날에 촬영됨에 의해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대표 화상(G4)은, 표시되어 있는 일자란에 대응하는 날에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12일에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만이 아니라, 자체기기에서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도 포함한 경우도 있지만, 1장이라도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도 6의 G4에 도시한 양태로 외부로부터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대표 화상(G4)에 의해 대표되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화상 데이터가, 실제로는, 3일에 촬영된 화상이라고 하면, 도 6에서, 3일의 일자란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 화상(G4X)이 표시되는 것이 종래의 수법이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그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일시(입수한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1월 12일에 대표 화상(G4)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대표 화상은, 도 6에 도시한 예와 같이, 일자 화상 정보의 대응하는 일자란에 관련되는 화상 정보가 존재한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라도 좋고, 대응하는 화상의 섬네일 화상이라도 좋다. 섬네일 화상의 경우에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섬네일 엔트리의 섬네일 화상이 이용된다. 또한, 관리 정보의 관리 방식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섬네일 데이터가 이용 되게 된다.
또한, 같은 화상에 관해, 해상도가 다른 복수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응한 해상도의 섬네일 화상이 선택되어 표시된다. 또한, 대표 화상으로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6의 예와 같이, 그 화상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로 촬영되었는지, 다른 기기에 의해 입수되었는지를 구별하도록 색 분류하여 표시하여도 좋고, 단지 일자 화상 정보의 일자에 관련된 화상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에서, 윗화살표 마크(8up), 아래화살표 마크(8dw)는, 도 1에 도시한 조작부(6)의 예를 들면 십자 키나 화살표 키에 의해 일자 화상 정보(81)의 표시 일자(표시 범위)를 변경할 때, 조작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도 6에 도시한 표시 양태에서 십자 키의 아래방향이 지시되면, LCD(8)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일자 화상 정보(81)가, 예를 들면, 다음의 2주간분으로 스크롤된다. 즉, 현재는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는 다음의 2주간분의 분류 결과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화면 보냄(화면 표시 보냄)이 된다.
또한, 도 6에서, 커서(CS)는, 목적으로 하는 일자란을 선택하여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指示子)로서, 목적으로 하는 일자란에 분류된 화상의 상세를 확인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그 목적으로 하는 일자란을 지시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다음에, 커서(CS)에 의해 지시된 일자란에 분류된 화상의 상세을 확인하는 경우의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커서(CS)를 통하여 지시하도록 된 일자란에 분류되어 있는 화상을 확인하는 경우의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이 도 7에 도시한 표시 예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CS)를 통하여 지시된 일자란에 분류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이 LCD(8)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 도 7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20XX년 1월 12(금)일에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 및 외부 I/F(9)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입수한 화상이 적어도 4장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LCD(8)의 하측에, 지시된 일자에 분류된 화상의 섬네일 화상(GG1, GG2, GG3, GG4)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커서(CS)가 위치된 섬네일 화상에 관해서는, 그 섬네일 화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화상(GG5)으로서 LCD(8)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화상을 LCD(8)의 표시 화면의 하측 부분에 표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통하여 선택하고, 그 선택한 화상을 보다 고해상도의 화상(GG5)으로서 표시하여, 유저가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LCD(8)의 하측 부분에 표시되는 각 섬네일 화상의 아래에 촬영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이 표시되고, 전체로서 촬영 시각이 빠른 순서로 왼쪽부터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섬네일은, 도 4에 도시한 섬네일 엔트리에 보존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관리 정보가 도 2에 도시한 방식으로 관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섬네일 데이터(d)가 이용되게 된다.
또한, 같은 화상에 관해, 해상도가 다른 복수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소유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응한 해상도의 섬네일 화상이 선택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해상도가 다른 복수의 섬네일 화상을 미리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상도 변환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LCD(8)의 하측에 나열하여 표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한 경우라도, LCD(8)의 상측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GG5)의 표시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분류 결과를 LCD(8)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표시 제어를 궁리함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보다 편리성이 좋은 양태로 분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8)의 표시 화면에는, 2주간분의 분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3일(토)부터 29일(월)까지의 각 일자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는 없었던 경우를 생각한다. 실제 문제로서, 매일 화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하는 유저는 적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연속하는 복수의 날에 걸쳐서,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분류되지 않는 케이스가 발생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가 분류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대해서도, 화상 데이터가 분류되어 있는 날을 포함하는 기간과 같이 표시 처리를 행하고 있다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서는, 필요없이 일자 화상 정보만이 제공되는 경우가 생기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검색에 시간이 걸리는 등이 불편이 생길지도 모른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분류된 날이 없는 15일부터 28일까지의 2주간의 기간에 관해서는 스킵 영역으로 하고, 이 기간의 일자 화상 정보나 분류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은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지금, 도 8에 도시한 영역(R1)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8)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이 경우에, 스크롤이 지시된 경우이고, 다음에 표시하여야 할 영역(R2)에 포함되는 어느 날에도, 화상이 분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영역(R2)에 대응하는 2주간분의 기간에 관해서는 스킵하여, 그 기간의 캘린더 정보 및 분류 결과에 관해서는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화상이 분류된 날이 전혀 없는 기간에 관해서는 스킵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화상이 분류된 날이 존재하는 영역이 검출된 경우에, 그 영역의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영역(R1)에 관한 분류 결과를 표시한 후, 스크롤이 지시된 경우에는, 영역(R2)에 관해서는 스킵하고, 다음의 영역(R3)에 관한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표시 화면의 크기가 한정된 LCD의 표시 화면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에 관한 분류 결과를 유저에 대해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으로부터 소망하는 화상을 찾기 위한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8에 도시한 예의 경우, 화상이 분류되어 있는 30일(화)의 일자란의 표시 위치를, LCD(8)의 표시 화면상의 가장 왼쪽 위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 도 가능하다. 그러나, 보다 시각적으로 일자 관련 화상의 스크롤 후의 대응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종축에는 같은 요일이 나열하도록 하고 있다.
[스크롤 속도의 제어에 관해]
그러나, LCD(8)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 화상 정보상의 일자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때는 스크롤할 때에 스킵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연속한 일자 화상 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되어, 시각적으로 일자 화상 정보를 이용하는 이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즉, 캘린더와 같이 자신에 친근한 일자 정보와 대응시켜서 분류 결과를 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킵함에 의해 신속하게 분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해지지만, 캘린더와 같지 않은 화상(단순한 일자 화상)이 표시될 뿐으로 되어 버리게 될 지도 모른다.
그래서, 화상이 분류된 일자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스킵하지 않고, 그 경우에는, 표시 화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스크롤의 속도를 빠르게함에 의해, 일자가 도중에 끊기는 일 없이, 화상이 분류되어 있지 않은 날도 포함하여, 캘린더에 대응하는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유저에 대해, 캘린더 정보의 의미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화상의 분류 결과를 알기 쉬운 상태로 제공하고, 위화감 없이 분류 결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스크롤 속도의 조정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주간분의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화상의 일반적인 스크롤 처리에 관해,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화상의 스크롤은, 예를 들면, 스크롤 버튼 스위치(이하, 단지 스크롤 버튼이라고 한다) 등의 소정의 조작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9A 및 도 9B는, 스크롤 버튼의 조작에 응하여 온/오프가 변환되는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는, 스크롤 버튼이 압하 조작되고 있는 기간에는 ON(온)으로 되고, 압하 조작되지 않는 기간에서는 OFF(오프)로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하고, 소정 시간 내(도 9A의 예의 경우에는 1초 이내)에 압하 조작을 그만두면, 1주분의 스크롤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스크롤 버튼의 1초 이내의 압하 조작을 반복함에 의해, 표시 화상의 1주분씩의 스크롤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롤 버튼을 계속 누른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경과 후(도 9B의 예의 경우에는 압하 조작 시작부터 1초 경과 후), 소정 시간 마다(도 9B의 예의 경우에는, 0.2초마다), 1주분씩의 스크롤(화상의 이동)이 연속적으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스크롤 버튼을 계속 누른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서, 스크롤의 오토 리피트가 행하여진다.
그러나,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한 표시 화상의 일반적인 스크롤의 경우, 화상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은 날이 연속하는 기간에 대해서도, 화상이 받아들여진 날이 있는 기간과 똑같이 스크롤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상술한 스킵 처 리의 경우와는 역으로,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검색에 시간이 걸려 버리는 등의 불편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표시 범위 내의 화상 데이터 파일(기록 파일) 수에 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제어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재빠르게 찾아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제어를 행함에 의해, 결혼식, 여행 등의 중요한 이벤트가 행하여진 일자에 분류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 수가 많아지는 경향을 이용하여, 그들의 이벤트의 화상 데이터 파일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제 1의 예]
도 10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분류 처리의 결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0에 도시한 예의 경우, 스크롤의 단위가 되는 각 주(週)마다의 화상의 기록 매수(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는, (b)의 주(週)가 5장, (c)의 주가 11장, (d)의 주가 0장, (e)의 주가 0장, (f)의 주가 3장, (g)의 주가 1장이다 .
도 10에 도시한 분류 결과에 의거하여, 도 10에서, 사각으로 둘러싼 바와 같이,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까지 정(正)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와,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하는 상태까지 역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로서, 오토 리피트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스크롤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예에서는,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부터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으로 표시 범위 외로 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 수(N)에 의거하여, 스크롤의 리피트 간격(T)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 환언하면, 정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 현재 표시중의 최초의 1주간분의 기간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에 응하여 리피트 간격을 설정하도록 하고, 현재 표시중의 최초의 1주간분의 기간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가 많을수록, 리피트 간격을 길게 하여, 그 주의 분류 결과를 표시하고 있는 시간을 길게 취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부터 0.9초 후부터 오토 리피트 기능이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압하 조작부터 0.9초 경과 후의 리피트 간격(T)은, 스크롤 버튼 압하로부터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으로 범위 외에 나가는 파일 수를 N으로 하였을 때, 리피트 간격(T)을
T=F(N)=0.1×(1+N) … (식 1)
로 한다.
따라서 (b)의 주가,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으로 표시 범위 외로 되는 주라고 하면, (b)의 주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에 수는, 5장이기 때문에, (식 1)에 대입하면, T=0.1×(1+5)=0.6초로 된다. (c) 내지 (f)에 관해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c)의 주의 경우는, 화상 데이터 파일 수(N)가 11장이기 때문에, T=1.2초로 되고, (d), (e)의 주의 경우가, 화상 데이터 파일 수(N)가 0장이기 때문에, T=0.1초로 된다. 또한, (f)의 주의 경우는, 화상 데이터 파일 수(N)가 3장이기 때문에, T=0.4초로 되고, (g)의 주의 경우는, 화상 데이터 파일 수(N)가 1장이기 때문에, T=0.2초로 된다.
따라서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하는 상태까지 정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는, 스크롤 버튼 압하 조작하고 나서 0.9초 후부터의 리피트 간격(T)은, 0.6초→1.2초→0.1초→0.1초→0.4초(→0.2초)로 변화하게 되고, 이것을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시켜서 플롯하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11A에 따르면,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에 있을 때에,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하면, 즉석에서 (b), (c)의 표시로 변하고, 0.9초 경과 후의 또한 0.6초 경과한 시점(압하 조작부터 1.5초 후의 시점)에서, (c), (d)의 표시로 변한다.
이 후의 1.2초 경과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2.7초 후의 시점)에서, (d), (e)의 표시로 변하고, (d), (e)의 주에는, 화상 데이터는 분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0.1초마다, (e), (f)의 주를 표시한 후, (f), (g)의 주를 표시하고, 이 표시 후의 0.4초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3.3초 후의 시점)에서, (g), (h)의 표시로 변한다.
또한,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부터,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하는 상태까지 역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a), (b)의 표시로부터 (g), (h)의 표시로의 정방향의 스크롤의 경우와는 리피트 간격(T)이 반대로 된다. 즉, 이 경우,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한 시점부터 0.9초 경과 후 이후의 리피트 간격은, 0.2초→0.4초→0.1초→0.1초→1.2초(→0.6초)로 되고, 이것을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시켜서 플롯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11B에 따르면,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에 있는 때에,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하면, 즉석에서 (f), (g)의 표시로 변하고, 0.9초 경과 후의 또한 0.2초 경과한 시점(압하 조작부터 1.1초 후의 시점)에서, (e), (f)의 표시로 변한다.
이 후의 0.4초 경과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1.5초 후의 시점)에서, (d), (e)의 표시로 변하고, (d), (e)의 주에는, 화상 데이터는 분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0.1초마다, (c), (d)의 주를 표시한 후, (b), (c)의 주를 표시하고, 이 표시 후의 1.2초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2.9초 후의 시점)에서, (a), (b)의 표시로 변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이 적은 주에서는, 스크롤의 속도는 빠르게,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이 많은 주에서는, 스크롤의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캘린더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의 신속하면서 확실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제 2의 예]
다음에, 표시 단위인 1주간분의 기간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화상의 매수)가 수십장, 또는, 수백장으로 많은 경우에 관해 생각한다. 도 12는,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분류 처리의 결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2에 도시한 예의 경우, 스크롤의 단위가 되는 각 주마다의 화상의 기록 매수(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는, (b)의 주가 5장, (c)의 주가 150장, (d)의 주가 0장, (e)의 주가 0장, (f)의 주가 20장, (g)의 주가 10장이다 .
이와 같이,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가 매우 많은 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리피트 간격(T)을 구하는 수식으로서, 상술한 (식 1)을 그대로 이용하면, (c), (d)의 2주간분의 기간의 표시로부터 (d), (e)의 2주간분의 기간의 표시로 이전할 때에 15초 이상 걸려 버려서, 그다지 실용적이 아니다. 역스크롤로 (b), (c)의 2주간분의 기간의 표시로부터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의 표시로 이전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이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제 2의 예에서는, 리피트 간격(T)의 계산식에, 2를 밑으로 하는 대수(對數)함수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제 1의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부터 0.9초 후부터 오토 리피트 기능이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압하 조작부터 0.9초 경과 후의 리피트 간격(T)은, 스크롤 버튼 압하로부터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으로 범위 외로 나가는 파일 수를 N으로 하였을 때, 리피트 간격(T)을
T=F(N)=0.1×(1+log2(N+1)) … (식 2)
로 한다.
이와 같이 대수함수를 이용함에 의해, 실용적인 스크롤 타이밍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식 2)에서의 대수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잘라버리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부터,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하는 상태까지 정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는, 스크롤 버튼 압하 조작하고 나서 0.9초 후부터의 리피트 간격(T)은, 0.3초→0.8초→0.1초→0.1초→0.5초→(0.4초)로 변화하게 되고, 이것을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시켜서 플롯하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13A에 따르면,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에 있는 때에,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하면, 즉석에서 (b), (c)의 표시로 변하고, 0.9초 경과 후의 또한 0.3초 경과한 시점(압하 조작부터 1.2초 후의 시점)에서, (c), (d)의 표시로 변한다.
이 후의 0.8초 경과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2.0초 후의 시점)에서, (d), (e)의 표시로 변하고, (d), (e)의 주에는, 화상 데이터는 분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0.1초마다, (e), (f)의 주를 표시한 후, (f), (g)의 주를 표시하고, 이 표시 후의 0.5초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2.7초 후의 시점)에서, (g), (h)의 표시로 변한다.
또한,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부터, (a), (b)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하는 상태까지 역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a), (b)의 표시로부터 (g), (h)의 표시로의 정방향의 스크롤의 경우와는 리피트 간격(T)이 반대로 된다. 즉, 이 경우, 스크롤 버튼 압하 조작한 시점부터 0.9초 경과 후 이후의 리피트 간격은, 0.4초→0.5초→0.1초→0.1초→0.8초(→0.3초)로 되고, 이것을 스크롤 버튼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시켜서 플롯하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13B에 따르면, (g), (h)의 2주간분의 기간을 표시한 상태에 있는 때에, 스크롤 버튼을 압하 조작하면, 즉석에서 (f), (g)의 표시로 변하고, 0.9초 경과 후의 또한 0.4초 경과한 시점(압하 조작부터 1.3초 후의 시점)에서, (e), (f)의 표시로 변한다.
이 후의 0.5초 경과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1.8초 후의 시점)에서, (d), (e)의 표시로 변하고, (d), (e)의 주에는, 화상 데이터는 분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0.1초마다, (c), (d)의 주를 표시한 후, (b), (c)의 주를 표시하고, 이 표시 후의 0.8초 후의 시점(압하 조작부터 2.8초 후의 시점)에서, (a), (b)의 표시로 변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이 수십장, 수백장으로 많은 경우가 발생하여도, 스크롤의 속도를 적당한 속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이 적은 주에서는, 스크롤의 속도는 빠르게, 분류된 화상 데이터 파일이 많은 주에서는, 스크롤의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즉, 분류된 화상 데이터가 수십장, 수백장으로 많아진 경우라도, 적절한 스크롤 속도로, 분류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의 스크롤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캘린더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의 신속하면서 확실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술한 제 1, 제 2의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처리에 관해,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예로서, 제 1의 예와, 제 2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리피트 간격(T)을 구하는 연산식이 다를 뿐으로, 그 밖의 처리 부분은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게 된다.
스크롤 속도의 제어는,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제어부(5)에 의해 행하여진다. 분류 결과가 LCD(8)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후, 제어부(5)의 CPU(51)는, 조작부(6)의 스크롤 버튼이 압하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101).
스텝 S101의 판단 처리에서, 스크롤 버튼이 압하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표시 화상을 지시된 방향으로 1주간분 스크롤시킨다(스텝 S102).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스크롤의 오토 리피트 기능을 유효하게하기 까지의 인터벌 시간으로서, 0.9초간 기다리도록 하기 위해, 타이머(시계 회로(54))에 0.9초를 설정하고, 0.9초간의 기간의 계측을 시작한다(스텝 S103).
그리고,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04), 설정되었다 0.9초의 사이에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때는, 이 도 14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4의 판단 처리에서,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한 때는, 스텝 S103에서 설정한 타이머가, 0.9초의 기간을 계측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의 시작부터 0.9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
스텝 S105의 판단 처리에서,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의 시작부터 0.9초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스텝 S104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05의 판단 처리에서,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의 시작부터 0.9초 경과하였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다음의 표시 범위의 이동에서 표시 범위로부터 나오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를 N으로 하고, 예를 들면, (식 1),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계산식에 따라, 리피트 간격(F(N))초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기간을 계측하도록 타이머에 설정한다(스텝 S106).
그리고, CPU(51)는, 재차,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07),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때는, 이 도 14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7의 판단 처리에서, 스크롤 버튼의 압하 조작이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스텝 S106에서 설정한 타이머가, 연산에 의해 구한 리피트 기간(T)의 기간을 계측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8).
스텝 S108의 판단 처리에서, 연산에 의해 구한 리피트 기간(T)의 기간을 계측하여 마치지 않았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스텝 S107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도록 한다. 스텝 S108의 판단 처리에서, 연산에 의해 구한 리피트 기간(T)의 기간을 계측하여 마쳤다고 판단한 때는, CPU(51)는, 표시 범위를 1주분, 유저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스크롤하고(스텝 S109), 스텝 S106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술한 바와도 같이, 분류 결과에 응하여, 적절한 스크롤 속도로,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화상을 스크롤시켜서, 목적으로 하는 화상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된다. 게다가, 분류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 대해서도, 스킵함에 의해 표시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짧은 시간이라도 반드시 표시하도록 되기 때문에, 캘린더 정보를 정확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다.
[스크롤 속도의 제어의 다른 예]
또한, 리피트 기간(T)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F(N))은, 상술한 (식 1), (식 2) 외에, (식 1)에 상한치, 하한치를 마련한 것, (식 2)에서 대수함수의 밑으로서 2 이외를 이용한 것 등,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조작이나 자동 적인 처리에 의해 여러가지의 계산식(F(N))을 선택하고, 최적인 것으로 전환하여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식 2)의 경우의 파라미터는 화상 매수(N)뿐만 아니라, 동화의 경우는 기록 시간, 파일의 용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파라미터에 응하여, (식 2)의 밑의 값을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대수함수가 아니라, 다른 함수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롤 속도의 제어를 위해 새로운 함수를 정의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류된 화상 데이터의 수(N)가 많아짐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하는 여러가지의 함수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분류된 화상 데이터의 수(N)가 많아짐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늦어저 버리는 것도 생각되기 때문에, 스크롤 속도의 하한을 미리 설정하여 둠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스크롤 속도가 늦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피트 간격(T)을 구하기 위한 함수는, 선형으로 되는 값을 취하는 것이라도, 또한, 비선형으로 되는 값을 취한 것이라도 좋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리피트 간격(T)을 0으로 한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가 무한대로 되어, 상술한 스킵의 경우와 같은 동작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은, 일주 단위로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표시 화상을 예를 들면 화소 단위 등 극소한 단위로 연속적으로 스크롤시키도록 함에 의해, 스무스한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그 스크롤의 속도를 파라미터로 변화시키도록 할 수도 물론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수(화상 매수) 등의 파라미터를 정하는 범위를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에서 표시 범위 외에 나가는 화상의 매수」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의 표시 범위 이동에서 표시 범위 내로 들어가는 주에 분류된 화상의 매수」나 「표시 범위 전체의 매수」나 「표시 범위 외의 부근을 포함하여 표시 중심부터의 거리에 응한 무게 부여 합계한 매수」 등의 미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무게 부여를 행하는 경우, 무게 부여를 궁리함에 의해 연속적 스크롤을 채용한 경우의 속도 변화 자체를 스무스하게 하여 보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시의 중심이 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고, 표시의 중심이 기준에 가까운 주에 관해서는, 무게 부여를 무겁게 하고, 기준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무게 부여를 가볍게 함에 의해, 매수가 많은 주의 표시의 중심이 기준으로부터 멀은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를 빠르게 하고, 기준에 가까워저 온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무게 부여에 의한 스크롤 속도의 제어에 관해, 도 15A 내지 도 17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0주(제 1의 주)부터 4 주(제 5의 주)까지의 5주분의 분류 결과의 화상 정보가 있고,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화면중에 2주분의 분류 결과의 화상 정보의 표시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해 생각한다.
도 15A에서, 0주부터 4주까지의 각 주에 분류된 화상의 매수를 N0, N1, N2, N3, N4라고 한다. 또한, 도 15A에서, 태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표시 화면(G)에 표시되어 있는 분류 결과의 화상 정보이고, 시각(T0)에서의 표시 부분이다.
그리고, 도 15A에 도시한 시점(T0)에서의 표시 양태로부터,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1)에서의 표시로 되도록, 표시 화면(G)의 표시 내용을 스크롤시키는 경우에서는,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G)의 수평 방향의 중심선(표시 화면(G)을 상하로 분할한 수평선)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고, 각 주의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의 수평 방향의 중심이 되는 위치(각 주의 표시 화상 중심)까지의 거리(d0, d1, d2, d3, d4)를 구하다. 또한, 도 15B에서는, 각 주의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의 수평 방향의 중심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표시 화면(G)의 중심선부터 각 주의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의 중심까지의 거리(d0, d1, d2, d3, d4)와, 각 주에 분류된 화상의 매수(N0, N1, N2, N3, N4)에 의거하여,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위치부터의 거리(d)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는 단조 감소 함수(f(d))를 정의하여 두고, 이 함수(f(d))에 의해 주어지는 값을 무게 부여의 계수(w)라고 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f(d)는, 연속하는 단조 감소 함수 이외에, 거리(d)의 범위에 따라 일정한 계수(w)를 취하는 스텝 함수라도 좋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식 3)에 의해, 현재, 분류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주의 부근에 있는 주에 분류된 화상의 매수와, 도 15B에 도시한 기준 위치인 표시 화면(G)의 중심선부터 각 주의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의 수평 방향의 중심이 되는 위치(각 주의 표시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응하여 얻어지는 값(X)을 구한다. 이 값 (X)은, 말하자면, 무게 부여된 화상량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의 (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7의 (식 3)과 상술한 (식 1) 또는 (식 2)에 의해 구한 값(F(X))의 역수를 스크롤 속도(V)로서 이용하도록 하다. 또한, 도 17의 (식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식 3)에서의 기호 시그마에 관한 파라미터(i)는, 이 예의 경우에는, 1 내지 4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현재, 분류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주의 부근에 있는 주에 분류된 화상의 매수와, 표시 화면(G)의 수평 방향의 중심부터, 처리의 대상이 되는 인접하는 각 주의 표시 화상중심까지의 거리에 응하여, 화상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보다 원활한 스크롤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1화면중에 2주간분의 분류 결과의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1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라도, 이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범위를 5주분이 아니라, 이것보다 많게 하거나, 또한 적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의 예의 경우에는, 제어부(5)에 의해 분류 수단, 검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함과 함께, 제어부(5)와 LCD 컨트롤러(7)에 의해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6)와 제어부(5)에 의해 지시 수단의 기능을 실현하고, 또한, 카메라부(1)와 카메라 DSP(2)에 의해 촬상 수단을, 또한, 외부 I/F(9) 및 제어부(5)가 외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접수하여, 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접수 수단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에 관해]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정지 화상상과 동화상의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나,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라고 불리는 휴대 정보 단말,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의 전자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자체기기에서 독자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과,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제공을 받아서, 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받아들여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분류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 한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나 프로그램 데이터 등, 화상 데이터 이외의 여러가지의 디지털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경우, 탑재된 LCD나 유기 EL 소자 등의 표시 소자의 표시 화면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같이, 캘린더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그래서,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표시 화면의 작은 표시 소자밖에 갖지 않는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분류 처리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하지만, 분류 결과의 표시는, 일자 정보를 기준으로 행하도록 한다.
즉,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에서도, 자체기기에서 촬영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기록 매체에 파일로서 기록하고, 이것에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 촬영 일시 정보, 취득 일시 정보로서도 이용하는 수정 일시 정보 등의 관리 정보를 부수시켜서 관리하도록 한다.
이 경우의 관리 방식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섬네일 데이터를 포함하고, 동일 파일 내에서 일체적으로 관리하는 방식과,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별개의 파일에서 관리하는 방식의 어느것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관리 정보를 화상 데이터 파일과는 별개의 파일에서 관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로서,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표시 소자의 표시 화면(G)에 표시되는 분류 결과의 표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최초의 화면 표시이고, 분류된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일자, 즉,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을 취득하거나 하여,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기록 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일자의 일람 표시가 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B)에서, 표시 화면(G)의 상단부, 하단부에 표시된 화살표는,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십자 키나 화살표 키에 의해 표시일자(표시 범위)를 변경할 때에, 조작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즉, 도 18(A)에 도시한 상태는, 그 전후에 아직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십자 키나 화살표 키를 조작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일자 표시에 커서(CS1)를 위치시키고, 결정 키를 조작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일자를 선택하면,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표시 화면(G)에는,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날에 촬영되고, 또는,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취득되고,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타이틀명의 일람 표시가 된다.
여기서, 표시되는 타이틀명은, 타이틀 엔트리로서, 기록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에 의거한 표시를 행한다. 또한, 같은 날에, 촬영되고 기록된 화상 데이터 파일과,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취득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양쪽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들은, 분류시에 이용하도록 한 오리지널 기록 파일 플래그에 의해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취득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파일에는,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크(MK)를 붙여서,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일자의 선택을 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십자 키나 화살표 키를 조작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일 명에 커서(CS2)를 위치시키고, 결정 키를 조작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면,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표시 화면(G)에는,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이, 표시 화면(G)의 크기에 응한 크기 및 해상도로 표시되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에서, 자체기기에서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촬영일을 분류 키로서 이용하고, 또한,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에서 취득일을 분류 키로서 이용하여 분류한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도,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유저가 관여하는, 해당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최초에 기록 매체에 기록한 일자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가 예기치 못한 일자에 분류되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검색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는 등의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소자의 표시 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캘린더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라도, 분류 키로서 이용한(분류 처리의 기준으로서 이용한) 일자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 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검색에 시간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분류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 양태는, 캘린더 정보 와 함께 하는 경우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어떠한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여러가지의 표시 양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촬영일을 이용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수신일을 이용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고,
분류된 화상 데이터의 촬영일 또는 수신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분류 결과로서 표시 소자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분류 결과로서 표시된 촬영일 또는 수신일을 나타내는 정보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지시하도록 한 지시 수단을 가지며,
해당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날에 분류된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화상 관련 정보를, 촬영일 또는 수신일의 어느것에 의거하여 분류된 화상 데이터에 관한 것인지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화상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제 2의 지시 수단을 가지며,
해당 제 2의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된 화상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을 표시 소자의 표시 영역에 응한 해상도로 표시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에 더하여, 송수신 안테나, 안테나 공용기, 수신한 신호를 회복하고, 디 코드하는 수신 회로, 수신 회로에 접속되는 수화기(스피커), 송화기(마이크로폰), 송화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인코드함과 함께,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형성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 것으로 된다.
물론, 화상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계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 회로를 포함한1 송신계를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송신하거나 할 수도 있다.
즉, 휴대 전화 단말의 경우에는, 자체기기의 수신계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의 제공을 받아서, 이것을 자체기기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고, 이와 같이 하여 받아들인 데이터와, 자체기기에서 작성한 데이터를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반드시 자체기기에서의 취득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자신이 출석한 결혼식의 사진을 전자 메일로 받거나, 자신이 참가한 여행의 사진의 화상 데이터를 친구로부터 받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저가 이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서의 취득일보다도, 실제의 촬영일을 이용하는 쪽이 검색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외부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는, 분류 처리에, 취득 일시를 이용하는지, 촬영일을 이용하는지의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둠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 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촬영 일시, 즉 실제의 작성 일시에 의거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정 일시 정보를 취득 일시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수정 일시 정보와는 별개로 취득 일시 정보도 갖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자체기기에서 촬영함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제공을 받은 화상 데이터의 양쪽에 관해, 취득 일시 정보를 이용하여 분류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이 많이 분류된 주가 있는 부분에서는, 스크롤의 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목적으로 하는 일자가 존재하는 주까지, 신속하게 스크롤시키도록 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화상이 많이 분류되어 있는 주가 있는 부분에서는 보다 빨리 스크롤을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몇가지의 스크롤 모드를 갖도록 하고, 이것을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스크롤 모드로 저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도 같이,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고, 화상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촬영 일시는, 그 데이터를 최초에 작성한 작성 일시가 이용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류 결과를 일자 단위로 표시하도록 하였 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주 단위, 월 단위, 또는, 2일 단위, 3일 단위 등의 소정의 기간 단위에 그 분류 결과를 표시하고 제공하는 등으로 하여도 물론 좋다.
또한, 화상 데이터 등의 분류 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의 관리 방식도, 상술한 예로 한하는 것이 아니라, 각 관리 정보마다, 각각의 파일로 관리하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의 방식, 양태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체기기에서 작성(생성)하도록 한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수한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경우로서, 작성한 날의 일자를 이용하는 분류를 행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입수한 데이터가 예측 불가의 일시에 분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분류 결과를 캘린더 정보 등의 일자 화상 정보의 일자와 관련지어서 표시함에 의해, 분류 결과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양태로 표시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록하는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일원적으로 관리함에 의해, 데이터의 작성 일시 정보에 의거한 서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분류 결과를 일자 화상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경우에, 분류된 화상이 없는 기간은 스킵시킴에 의해 신속하게 분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자 화상 정보가 대응하는 일자에 분류된 데이터의 량 등에 의해 스크롤의 속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일자 화상 정보의 이점(시각적으로 자신에게 친근한 화면상에 분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류 결과를 표시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을 해당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중,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한 분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상기 영역의 각각에 일자를 할당하고,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 또는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일자가 할당된 상기 영역에, 적어도 상기 파일의 유무를 분류 결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에,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 또는 취득일에 관한 정보를 분류 결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분류 결과로서 분류된 파일의 일람을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에 응하여,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파일이, 상기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었는지, 또는, 상기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었는지를, 구별하여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스크롤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스크롤하는 속도를, 상기 분류 결과로서 분류된 파일의 용량 또는 수량에 응하여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스크롤하는 속도를 변화시키는 경우에, 스크롤에 의해 표시되는 분류 결과가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스크롤 량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피사체를 촬상하고, 해당 피사체의 화상을 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촬상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화상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을 해당 화상 파일의 촬상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분류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중,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취득한 화상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한 분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을 해당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분류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중,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분류 스텝에서의 분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가지며,
    상기 분류 스텝에서는, 상기 검출 스텝에서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한 경우에, 해당 파일을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상기 영역의 각각에 일자를 할당하고,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파일의 작성 일에 관한 정보 또는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일자가 할당된 상기 영역에, 적어도 상기 파일의 유무를 분류 결과로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에,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 또는 취득일에 관한 정보를 분류 결과로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분류 결과로서 분류된 파일의 일람을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가지며,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지시 스텝에서 접수한 지시에 응하여, 상기 분류 스텝에서 분류한 파일이, 상기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었는지, 또는, 상기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었는지를, 구별하여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스크롤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표시 화면을 스크롤하는 속도를, 상기 분류 결과로서 분류된 파일의 용량 또는 수량에 응하여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스크롤하는 속도를 변화시키는 경우에, 스크롤에 의해 표시되는 분류 결과가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스크롤 량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16. 피사체를 촬상하고, 해당 피사체의 화상을 화상 파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촬상 스텝과,
    외부로부터의 화상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는 접수 스텝과,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을 해당 파일의 작성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분류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중,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분류 스텝에서의 분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가지며,
    상기 분류 스텝에서는, 상기 검출 스텝에서 외부로부터 취득한 파일을 검출한 경우에, 해당 파일을 취득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류 처리 방법.
KR1020057017374A 2003-04-17 2004-03-22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 KR101004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2601A JP3997423B2 (ja) 2003-04-17 2003-04-17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情報分類処理方法
JPJP-P-2003-00112601 2003-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728A true KR20060010728A (ko) 2006-02-02
KR101004540B1 KR101004540B1 (ko) 2010-12-31

Family

ID=3329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374A KR101004540B1 (ko) 2003-04-17 2004-03-22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42094B2 (ko)
EP (2) EP2444901B1 (ko)
JP (1) JP3997423B2 (ko)
KR (1) KR101004540B1 (ko)
CN (3) CN101304466B (ko)
CA (1) CA2521789A1 (ko)
WO (1) WO2004092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2965B1 (en) * 1996-09-19 2001-06-26 Terry D. Beard Multichannel spectral mapping audio apparatus and method
KR100632585B1 (ko) * 2004-12-21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장치
WO2006075902A1 (en) * 2005-01-14 2006-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y-based clustering using photographic region templates of digital photo
JP4528157B2 (ja) * 2005-03-01 2010-08-1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JP4102383B2 (ja) * 2005-05-10 2008-06-1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US20060268330A1 (en) * 2005-05-10 2006-11-30 Tetsuhiro Takanezawa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and image reproduction method
JP2007179351A (ja) 2005-12-28 2007-07-12 Sony Corp 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564410B2 (ja) * 2005-06-16 2010-10-2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JP4537277B2 (ja) * 2005-07-08 2010-09-0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半導体検査装置
JP4749783B2 (ja) * 2005-07-13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代表画像を用いた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FR2891428A1 (fr) * 2005-09-27 2007-03-30 Thomson Licensing Sas Procede de navigation dans une liste par defilement continu d'une caracteristique graphique, et terminal associe.
JP4446194B2 (ja) * 2005-11-29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70460B2 (ja) * 2005-12-28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60386B2 (ja) * 2006-01-11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表示装置、撮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67383B2 (ja) * 2006-03-08 2012-07-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撮影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7702688B2 (en) * 2006-06-22 2010-04-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redictive data search
JP4196303B2 (ja) 2006-08-21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641716B (zh) * 2007-03-27 2012-0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阅览装置及方法
JP4987538B2 (ja) * 2007-03-29 2012-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ルバム作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2274B1 (ko) * 2007-10-16 2015-08-06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씬 클라이언트 상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빠르고 부드러운 스크롤링
JP5107130B2 (ja) * 2008-04-28 2012-12-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発生経緯管理装置、情報発生経緯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発生経緯管理方法
JP5400398B2 (ja) 2009-01-14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571944B2 (ja) * 2009-01-16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428818B (zh) * 2009-03-13 2014-03-01 Fih Hong Kong Ltd 顯示多媒體檔案的電子裝置及其瀏覽方法
JP5637536B2 (ja) * 2011-02-07 2014-12-10 Kddi株式会社 指のフリックによって時系列データの表示範囲を移動させ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端末及び方法
JP5435068B2 (ja) * 2012-04-27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388A (ja) * 1997-06-06 1998-12-22 Nikon Corp 通信機能を有する電子カメラ
JP4367978B2 (ja) 1998-01-26 2009-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画像表示装置および撮影画像表示方法
JPH11215455A (ja) * 1998-01-27 1999-08-06 Minolta Co Ltd 画像表示装置
JP4284730B2 (ja) * 1999-01-14 2009-06-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記録画像管理方法および電子撮像装置
JP2001056727A (ja) * 1999-08-19 2001-02-27 Canon Inc ファイルリスト表示装置及び方法、データ表示装置及び方法
US7415662B2 (en) * 2000-01-31 2008-08-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gital medi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JP2002112165A (ja) * 2000-09-29 2002-04-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6950989B2 (en) * 2000-12-20 2005-09-27 Eastman Kodak Company Timelin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fficient image database browsing and retrieval
US20020140820A1 (en) * 2001-03-29 2002-10-03 Borden George R. Calendar based photo browser
US6996782B2 (en) * 2001-05-23 2006-02-07 Eastman Kodak Company Using digital objects organized according to a histogram timeline
JP2002369164A (ja) * 2001-06-06 2002-12-20 Nikon Corp 電子画像装置および電子画像システム
JP2003030021A (ja) * 2001-07-16 2003-01-31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の検索方法およ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2003283975A (ja) * 2002-03-22 2003-10-03 Ricoh Co Ltd 画像データ保存方法、画像データ保存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40078389A1 (en) * 2002-10-17 2004-04-22 Hamilton David O.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images
US7325198B2 (en) * 2002-12-31 2008-01-29 Fuji Xerox Co., Ltd. Calendar-based interfaces for browsing and manipulation of digital images
US20040145602A1 (en) * 2003-01-24 2004-07-29 Microsoft Corporation Organizing and displaying photographs based on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2441A (zh) 2008-09-24
US7742094B2 (en) 2010-06-22
WO2004092957A1 (ja) 2004-10-28
EP2444901B1 (en) 2017-11-29
JP2004320514A (ja) 2004-11-11
EP1622024B1 (en) 2018-01-17
EP2444901A1 (en) 2012-04-25
CN101304466A (zh) 2008-11-12
CN1774704A (zh) 2006-05-17
CN100440168C (zh) 2008-12-03
KR101004540B1 (ko) 2010-12-31
CA2521789A1 (en) 2004-10-28
CN101272441B (zh) 2013-05-29
JP3997423B2 (ja) 2007-10-24
US20070206831A1 (en) 2007-09-06
EP1622024A1 (en) 2006-02-01
CN101304466B (zh) 2011-10-19
EP1622024A4 (en)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540B1 (ko) 정보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정보 분류 처리 방법
KR101387186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824745B2 (en) Map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ma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89883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program
US20110043658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4901258B2 (ja) カメラ及びデータ表示方法
JP4716025B2 (ja) 画像表示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装置
JP430043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62363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8112453A (ja) 携帯電話端末
JP2005091659A (ja) 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5101702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81217B1 (ko)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
JP4433071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11194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47933A (ja) 携帯通信端末
JP201916466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11700A (ja) 世界時計機能付きカメラ
JP200601435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