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915A - 양방향 구동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915A
KR20060008915A KR1020057020112A KR20057020112A KR20060008915A KR 20060008915 A KR20060008915 A KR 20060008915A KR 1020057020112 A KR1020057020112 A KR 1020057020112A KR 20057020112 A KR20057020112 A KR 20057020112A KR 20060008915 A KR20060008915 A KR 2006000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lever
expansion
wedg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466B1 (ko
Inventor
게오르그 셰크
프리이더 크뤼거
마르쿠스 클로프
슈테파니 앙게르뮬러
마티아스 바이스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06000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1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with self-actuated rever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disengaged by contact of a part of or on the freewheel or freewheel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 장치와 연결되는 구동휠(1)을 구동의 한쪽 방향 또는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양방향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동기는 구동 축(10)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한쪽 또는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동 레버(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커플링 부재와 연결되어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되고 구동 레버(2)가 초기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면 구동휠(1)을 외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프링 부재(6)가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으면 구동 레버(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구동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스프링 부재(6)의 확장을 위한 커플링 부재와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는 구동 축(10)으로부터 이격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확장 캠(31, 32)을 포함한다. 확장 캠은 스프링 부재(6)와 연결되는 작동 레버(51, 52)를,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 부재(6)가 확장되도록 확장시킨다.
양방향, 구동기, 구동 레버, 복귀, 확장 캠, 구동면, 스프링

Description

양방향 구동기 {BILATERAL DRIV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조절장치와 연결되는 구동 휠(drive wheel)을 회전시키기 위한 양방향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독일특허출원 DE 198 55 285 A1에는 구동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한 구동 레버의 영점(zero position)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한쪽 또는 다른 쪽 회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양면 수동 구동기가 개시되어 있다. 구동 레버가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동안에는, 부분원 형상의 커플링 부재의 접촉 지지면은, 출력 부재의 원통형 구동면의 부분적으로 원형인 면과 대향하여 강제잠금 결합(force locking engagement)에 의해 지지되고, 출력 부재를 외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구동 레버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는, 원통형 구동면에 대한 커플링 부재의 강제잠금 결합이 해제되어 출력 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독일특허 DE 199 07 483 C2에 개시된,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양방향 조절장치는,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출력 부재, 및 다수의 권선을 가진 루프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권선은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임의의 토크를 차단하 며, 구동장치 쪽에 토크가 가해지는 경우 구동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로의 토크의 전달을 유발한다. 루프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는 구동 부재와 출력 부재 사이에 장착된 전달 부재와 연결된다.
동역학적 반전을 통해, 양방향 구동은 이러한 토크 잠금으로부터 형성되고, 출력 부재는 구동 레버와 연결되고, 원통형 하우징은 원통형 구동휠로 대체되어, 구동 레버가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 루프 스프링은 구동 레버로부터 전달 부재를 통해 확장되어 구동 레버의 선회운동을 구동휠의 원통형 내측면에 전달한다.
공지된 양방향 구동기에 의하면, 부분원 형상의 커플링 부재로서 설계되는 전달 부재가 구동면에 대하여 직선형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높은 평면 압력이 발생한다. 루프 스프링을 이용하는 데에는, 출력 부재의 원통형 내측면에 대하여 루프 스프링의 충분한 강제잠금 결합을 제공하는 다수의 권선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크가 전달될 때 가해져야 하는 힘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루프 스프링의 구부러진 단부가 굴곡되어 양방향 구동기의 기능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힘 전달 부재의 작은 표면 압력에 의해 구동 레버로부터 구동휠로의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장치와 연결되는 구동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매우 간단한 소형 구조이며, 수명이 길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본 명세서의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양방향 구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힘 전달 부재의 작은 표면 압력에 의해 구동 레버로부터 구동휠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수명이 길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간단한 공간절약형 구조를 갖는다.
스프링 부재가 구동휠의 원통형 구동면에 대하여 넓은 접촉 면적에 걸쳐 확장됨에 따라, 또한 구동 축과 이격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커플링 부재의 확장 캠을 통해, 넓은 접촉 면적에 걸쳐, 그에 따라 낮은 표면 압력으로, 구동 레버로부터 구동휠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강제잠금 결합이 형성된다.
구동 레버로부터 구동휠에 힘을 전달하는 데에는 소수의 부품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양방향 구동기는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확장 캠들은 구동 레버 상의 구동 축으로부터 상이한 반경 거리에 배치되어, 구동 레버가 구동 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에 확장 캠이 경사운동을 완료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와 연결되는 작동레버가 확장되고 스프링 부재가 구동휠의 원통형 구동면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확장된다.
확장 캠이 작동레버의 확장면에 대하여 지지 없이(play-free) 접촉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확장 캠은 사전 인장된(pretensioned) 쐐기형으로 설계되고 작동레버의 확장면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쐐기면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른 확장 캠과는 자동잠금(self-locking) 동작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확장 캠은 또한 대향하여 정렬되는 쐐기 형태의 쐐기형으로 설계되고 작동레버의 양쪽 쐐기면 사이에 클램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작동 레버의 확장면에 대하여 지지 없이 접촉 지지되도록 확장 캠의 약간의 재조정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 쐐기형 확장 캠의 접촉면에 대한 작동 레버의 쐐기면의 비강제적(force-free) 접촉에 의해 서로 반경방향으로 인장되는 확장 캠 사이의 자동잠금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쐐기면은 쐐기형 확장 캠의 반대쪽 지지부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자동잠금 동작을 증대시키기 위해, 쐐기형 확장 캠의 반대쪽 지지부는 쐐기형 확장 캠의 접촉면과 작동 레버의 쐐기면 사이의 쐐기 각도보다 작은 쐐기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절반의 각도를 가지는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은 동일한 원리를 따르는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를 허용한다. 제1 실시예는, 스프링 부재가 그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구부러지고 작동 레버의 소켓에 삽입되는 스프링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레버는 디스크형이며, 구동휠의 원통형 내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외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레버는 단일체의 스프링 탄성 확장 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확장 레버는 확장 캠 및 구동 축을 지지하고, 구동 축에 대하여 확장 캠의 반대쪽에 인장력을 수용하는 탄성 웨브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확장 레버, 및 구동휠의 구동면과 대응되도록 되어 있는 외주면은 스탬핑된 강철 부품, 플라스틱 부품, 또는 소결된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성형된 부품으로 조합되고 구동휠의 내측면으로 사전 인장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작동 레버 또는 확장 레버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이 장착되어 구동 레버의 선회운동 후에 작동 레버 또는 확장 레버가 구동 레버의 중립 위치와 대응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선회운동 후에 구동 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동 레버와, 양방향 구동기의 하우징에 국부적으로 고정된 정지부 사이에 구동 레버 복귀 스프링이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구동 레버는 구동 축 상의 타원형 구멍으로서 설계된 연결부를 가져서 작동 레버 또는 크로스 스테이(cross stay)의 확장 중에 필요한 동작 유격을 보장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에서, 확장 캠들은 구동 레버 상의 선회동작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 레버 상의 구동 축으로부터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로 장착되어, 필요한 동작 유격이 보강 레버에 의해 확보되며, 이 때 구동 레버는 유격 없이 구동 축에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하게 중심을 잡을 수 있다.
구동 레버에 대한 보강 레버의 연결은 확장 캠과 정렬되어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구동 축에 대하여 확장 캠과 동일한 쪽 또는 구동 축에 대하여 확장 캠과 반대쪽의 보강 레버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스프링 스트립 및 작동 디스크를 구비하는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프링 스트립, 작동레버, 및 쐐기 형상의 확장 캠을 구비하는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탄성 형상부 및 스프링 스트립을 구비하는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탄성 원주면을 가지는 탄성 형상부를 구비하는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탄성 원주면 및 보강 레버를 구비하는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여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양방향 구동기는 구동축(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타원형 구멍(20)을 통해 움직이도록 구동 축(10)에 장착되는 구동 레버(2)를 갖는다. 구동 레버(2)에 표시된 화살표(S)의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의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은 구동휠(1)의 회전운동을 야기한다. 구동휠(1)은,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을 통해 발생된 토크를 구동휠(1)에 전달하여, 구동 레버(2)가 중립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면 구동휠(1)을 원주방향에서 구동 레버의 선회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 레버(2)가 중립위치로 복귀되는 동안에는 구동휠(1)을 회전시키지 않는 전달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원통형 구동면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부재만을 도시한 것이다. 간격 슬리브(distance sleeve), 스페이서 디스크와 같은 추가의 부재 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휠(1)에 연결되어, 출력 측에 대한 토크 전달이 차단되는 한편 구동 측에 토크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잠금 동작이 해제되도록 구동휠(1)에 연결되는, 제동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하우징(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동장치는 외력이 소멸되었을 때 양방향 구동기의 변위를 방지한다. 특히, 구동휠(1)에 충격력이 발생했을 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전달장치는 스프링 스트립(6), 및 스프링 스트립 소켓(511, 521)을 구비하여 구동 축(10)에 장착되는 2개의 작동 디스크(51, 52)를 포함한다. 스프링 스트립 소켓(511, 521)에는 스프링 스트립(6)의 서로 평행하게 구부러진 스프링 단부(61, 62)가 삽입된다. 또한, 전달장치는 작동 디스크(51, 52) 사이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장착되어 구동 레버(2)와 연결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레버(2)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구동 레버(2)가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에 구동 축(1)으로부터 이격되는 가상 축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를 이루는 2개의 확장 캠(31, 32) 형태의 커플링 부재를 포함한다. 확장 캠(31, 32)은 작동 디스크(51, 52)의 확장면(515, 525)에 대하여 지지된다. 작동 디스크(51, 52)는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 중에는 강제로 이격되며, 구동 축(10)의 외측에 놓이는 가상 축을 중심으로 경사운동이 후속되어, 스프링 스트립(6)은 스프링 스트립 소켓(511, 512) 전체로 확장되고, 따라서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은 구동휠(1)의 회전을 통해 구동 레버(2)의 선회방향으로의 구동휠(1)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스프링 스트립(6)과 구동휠(1) 사이의 마찰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충분히 커다란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캠(31, 32)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 디스크(51, 52)의 확장면(515, 525) 상에 캠(31, 32)의 비교적 커다란 가압력이 발생되며, 대응하는 안정적인 치수가 요구된다. 구동 레버(2) 상의 각도를 이루는 간극 또한 캠(31, 32) 사이의 거리가 작은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스프링 스트립(6)과 구동휠(1) 사이의 관련된 마찰 조건에 따라 캠(31, 32) 사이가 가급적 큰 거리로 선택되어 외측 캠(31)이 가급적 반경방향의 가장 외측에 장착되도록 한다.
전달장치를 복귀하고, 따라서 구동 레버(2)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작동 디스크(51, 52)의 베어링(512, 513, 522, 523) 및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어링에 지지되는 2개의 복귀 스프링(81, 82)이 제공된다. 복귀 스프링(81, 82)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확장 캠(31, 32)을 통해 유발된 작동 디스크(51, 52)의 상대운동에 의해, 복귀 스프링(81, 82)이 인장되어 스프링 스트립(6)을 확장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구동 레버(2)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 인장이 해제된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구동 레버(2)가 작동되는 경우에 스프링 스트립(6)에 의해 요구되는 사전 인장(pretension)이 복귀 스프링(81, 82)에 의해 형성되어 스프링 토크가 캠(31, 32)의 접촉 지지 모멘트를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에, 스프링 스트립(6)의 추가적인 사전 인장은 필요하지 않다.
구동 레버(2)가 화살표(S) 방향으로 작동되면 토크가 확장 캠(31, 32)에 가해져서 작동 디스크를 압박하고, 따라서 스프링 스트립(6)은 벌어지고 마찰을 통해 구동휠(1)이 회전한다. 구동 레버(2)의 타원형 구멍(20)은 이 지점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다.
도 2는 전달장치의 확장 캠(33, 34)이 유격 없이(play-free) 연결되고 구동 레버(2)로부터 구동휠(1)에 토크를 전달하는 경우에 스프링 스트립(6)을 확장시키기 위한 작동레버(53, 54)를 구비하는, 변형된 양방향 구동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 캠(33, 34)은 쐐기형이며, 구동 축 상의 보어(630, 540)에 의해 유격 없이 지지되는 작동레버(53, 54)의 확장면의 쐐기면(533,543 및 534, 544)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동 축(10)과 가까운 확장 캠(34)은 구동 축(10)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쐐기형의 확장 캠(33)의 쐐기형 리세스(36)에 그 쐐기형의 단부가 삽입되는 웨브(35)를 가지며, 웨브(35)는 확장 캠에 대하여 스프링(83)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축(10) 근방의 확장 캠(34) 및 웨브(35)는 구동 레버(2)의 일부분이며, 구동 레버(2)는 구동 축(10) 상의 타원형 구멍(20)을 통해 지지된다.
쐐기형의 확장 캠(33, 34)의 접촉면과, 한쪽의 작동레버(53, 54)의 확장면의 대면하는 쐐기면(533, 543 및 534, 544)과, 외측 확장 캠(33) 및 웨브(35)의 리세스의 인접하는 쐐기면 사이의 마찰 조건, 및 대응하는 쐐기 각도를 통해, 확장 캠(33, 34)은 구동 레버(2)가 작동하는 동안 압축 스프링(83)을 통해 자동잠금이 조절되어, 궁극적으로 구성 부품의 편차 및 마모를 통해 발생된 임의의 유격이 조정되며, 복귀 스프링(34)을 통해 복귀되는 동안 작동레버(53, 54)의 쐐기면(533, 543)이 확장 캠(33)의 매끄러운 쐐기면을 누르고, 확장 캠(33)은 쐐기 각도(α)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탈출될 수 있어서, 루프 스프링(6)은 구동휠(1)의 원통형 내벽으로부터 들어올려져서 복귀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작동 중에 우세한 자동잠금 작동은 구동 레버(2)가 복귀되는 동안에 들어올려진다.
이를 위해, 외측 확장 캠(33)의 리세스(36) 내의 표면 및 웨브(35)의 대응되는 접촉면은, 거친 표면을 가지며, 쐐기면(533, 543 및 534, 544), 및 매끄러운 표면에 대하여 서로 지지되며 그에 따라서 임의의 자동잠금 동작 없이 서로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확장 캠(33, 34)의 접촉면의 쐐기 각도(α)에 대한 절반의 쐐기 각도(α/2)를 갖는다.
스프링 스트립(6)은 평행하게 구부러진 단부(61, 62)에 의해 작동레버(53, 54)의 스프링 스트립 소켓(531, 541)에 삽입된다. 작동레버(53, 54)는 그 양측에 구동 축(10) 암(532, 542)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복귀 스프링(84)이 개재되어 하우징에 고정된 베어링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지지됨으로써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 및 작동레버(53, 54)의 상대운동 중에 복귀 스프링(84)이 인장된다.
도 3에 단면도로 나타낸 양방향 구동기는 구동 축(10)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되는 2개의 작동레버 대신에 쐐기형 확장면(72, 73)을 구비한 단일체의 스프링 탄성 확장레버(71)를 가지며, 확장면(72, 73) 사이에는 구동 레버(2)와 연결되는 쐐기형 확장 캠(33)이 개재된다. 구동 레버(2)에 연결되는 제2 확장 캠(34)이 확장 레버(71)의 리세스(79)에 삽입되며 스프링(87)을 통해 조절되어 제1 쐐기형 확장 캠(33)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양방향 구동기의 실시예의 작동 디스크의 회전 베어링 또는 작동 레버는,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레버(71)의 리세스(77)를 통해 형성되는 탄성 웨브(76) 형태의 탄성 접속부로 대체되었다. 확장 레버(71)는 소결된 부품, 플라스틱 성형된 부품, 또는 스탬핑된 강철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 축(10)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된다.
스프링 스트립(6)은 마찬가지로 전달 장치로서 제공되며, 평행하게 구부러진 스프링 단부(61, 62)가 확장 레버(71)의 스프링 스트립 소켓(781, 782)에 삽입된다.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 및 후속하는 확장 캠(33, 34)의 구동 축(10)의 외측에 놓이는 가상 축을 중심으로 한 경사운동 중에, 확장 레버(71)의 확장면(72, 73)은 강제로 이격되고, 스프링 스트립(6)은 벌어져서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이 구동휠(1)의 회전을 통해 구동휠(1)의 회전으로 변환된다.
확장 레버(71)를 사전 인장시키기 위해, 확장 레버(71)의 2개의 암(74, 75)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85)이 장착되어 암(74, 75)을 강제로 이격시켜서 확장면(72, 73)이 제1 확장 캠(33)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2 복귀 스프링(86)은 구동 레버(2), 및 국부적으로 또는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구동 레버(2)가 선회운동 후에 다시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양방향 구동기는 확장 레버(71)의 스프링 스트립 소켓에 삽입되는 스프링 스트립 대신에, 구동휠(1)의 원통형 내벽에서 확장 레버(71)와 함께, 소결된 부품, 플라스틱 성형된 부품, 또는 스탬핑된 강철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형상부(7)를 형성하는 외주면(70)을 갖는다. 형상부는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사전 인장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공차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기계적으로 매우 강도가 높아 수명이 길다.
또한, 이러한 설계에서는, 확장 레버(71)는 구동 축(10) 상에 지지되고, 이격된 확장면(72, 73)을 가지며, 이들 확장면(72, 73) 사이에는 구동 레버(2)와 연결되는 확장 캠(31, 32)이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양방향 구동기의 실시예의 작동 디스크(51, 52)의 회전 베어링 또는 작동 레버(53, 54)는,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웨브(76) 형태의 탄성 접속부로 대체되었다
형상부(7)를 사전 인장시키기 위해, 확장 레버(71)의 2개의 암(74, 75)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85)이 장착되어 암(74, 75)을 강제로 이격시키고, 궁극적으로 확장면(72, 73)을 확장 캠(31, 32)에 대하여 위치시키고, 형상부(7)의 외주면(70)을 구동휠(1)의 원통형 내벽으로부터 들어올린다. 도 4에 나타낸 구동 레버(2)가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한쪽 방향 또는 다른 쪽 방향으로 선회되면, 확장 캠(31, 32)에 경사 모멘트가 가해져서 확장면(72, 74)을 강제로 이격시키고, 따라서 형상부(7)의 외주면(70)을 구동휠(1)의 원통형 내측면에 대하여 가압하여, 구동 레버(2)가 선회 운동하는 동안 구동휠(1)이 구동 레버(2)의 선회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 레버(2)는 타원형 구멍(20)에 의해 구동 축(10)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구동 레버(2)의 자유로운 운동이 보장된다.
제2 복귀 스프링(86)은 구동 레버(2), 및 국부적으로 또는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구동 레버(2)가 선회운동 후에 다시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기능에 있어서, 확장 캠(31, 32)이 구동 축(10)에 대하여 동일한 측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확장 캠(32)은 예를 들어 구동 축(10)과 리세스(77) 사이에서 크로스 웨브(71)의 대응되는 개구부와 결합되어, 구동 캠(31, 32)에 대하여 보다 큰 레버 암이 제공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 레버(2)는 구동 축(10) 상의 타원형 구멍(20)을 통해 지지되어 확장 캠(31, 32 및 33, 34)의 경사운동 중에 필요한 유격을 허용한다. 그러나, 타원형 구멍(20)은 구동 레버(2)의 중심을 잡지 못하기 때문에 구동 레버(2)의 유격 동작을 야기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이하의 실시예의 양방향 구동기에서는, 구동 레버(2)가 구동 축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되어 어떠한 유격 동작도 없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확장 캠(31, 32)은 구동 레버(2) 또는 구동 레버(2)의 부품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볼트(91)를 통해 구동 레버(2)를 선회운동시키도록 부착되는 보강 레버(41) 상에 장착된다. 구동 레버(2)는 구동 축(10)에 알맞은 보어(21)에 의해 구동 축(10)에 정확하게 장착된다. 구동 레버(2)와, 국부적으로 또는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베어링 사이의 추가적인 복귀 스프링(86)은 구동 레버(2)의 정확한 중심맞춤을 보장한다.
구동 레버(2)가 화살표(S)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 보강 레버(41)가 화살표(V)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확장 캠(31, 32)이 화살표(F1, F2) 방향으로 이동되어, 확장면(72, 73)이 강제로 이격되어 형상부(7)의 외주면(70)이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대하여 가압되어서 구동휠(1)을 구동 레버(2)의 선회방향(S)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양방향 구동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형상부(7)의 확장 레버(71)의 암(74, 75)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85)이 장착되어 확장 레버(71)를 구동 레버(2)의 중립 위치와 대응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 복귀 스프링(86)은 구동 레버(2), 및 국부적으로 또는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구동 레버(2)가 선회운동 후에 다시 중립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제1 복귀 스프링(85)은, 특히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 말미에 구동 레버(2)를 복귀시키는 동안에 확장 캠(31, 32)이 구동 레버(2)의 중립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여 형상부(7)의 확장이 해제되지 않는 한, 형상부(7)의 외주면(70)의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대한 연속적인 접촉을 통해 구동휠(1)의 회전 복귀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양방향 구동기는 도 5에 도시한 것에 비해, 보강 레버(42)가 구동 축(10)을 지나 연장되고, 확장 캠(31)의 반대쪽 단부에서 볼트(92)에 의해 구동 축(10)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되는 구동 레버에 부착되고, 구동 축(10) 상의 타원형 구멍(420)에 의해 지지되는 점이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2 확장 캠이 구동 축(10)에 대하여 제1 확장 캠(31)의 반대쪽에 장착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확장 캠(31, 32)의 경사운동을 위한 커다란 레버 암이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한 양방향 구동기의 다른 구성부품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부품 및 이들 구성부품의 기능과 대응되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참조부호의 설명]
1 구동휠 2 구동 레버
6 스프링 스트립 7 형상부
10 구동 축 20 타원형 구멍
21 보어 31, 32 확장 캠
33, 34 확장 캠 35 웨브
36 리세스 41, 42 보강 레버
51, 52 작동 디스크 53, 54 작동 레버
61, 62 구부러진 스프링 단부 70 외주면
71 스프링 탄성 확장 레버 72, 73 (쐐기형) 확장면
74, 75 암 76 탄성 웨브
77 리세스 79 리세스
81, 82 복귀 스프링 83 압축 스프링
84 - 86 복귀 스프링 87 스프링
420 보강 레버의 타원형 구멍 510, 520 보어
511, 521 스프링 스트립 소켓 512, 522 베어링
513, 523 베어링 515, 525 확장면
530, 540 보어 531, 541 스프링 스트립 소켓
533, 543 쐐기면 534, 544 쐐기면
781, 782 스프링 스트립 소켓

Claims (22)

  1. 조절 장치에 연결된 구동휠(drive wheel)을, 구동 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한쪽 또는 다른 쪽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고 상기 구동 휠의 원통형 구동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 부재를 확장시키기 위한 커플링 부재와 연결되는 구동 레버에 의해, 한쪽 또는 다른 쪽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양방향 구동기로서,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면 상기 구동휠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구동휠의 상기 원통형 구동면에 대한 스프링 부재의 접촉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구동휠이 회전되지 않는 양방향 구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는 커플링 부재(42)를 통해 확장 캠(31-34)과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고, 상기 확장 캠(31-34)은 구동 축(10)으로부터 이격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6, 70)에는 연결된 작동 레버(51-54, 71)를 확장시켜 상기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 부재(6, 70)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캠(31-34)은 상기 구동 축(10)으로부터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51-54, 71)의 확장면(72, 73, 515, 525)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확장 캠(31-34)이 사전 인장되고(pretensioned) 반경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장되고 반경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확장 캠(33)은, 쐐기형이고, 상기 작동 레버(51-54, 71)의 확장면의 서로 대면하는 2개의 쐐기면(72, 73; 533, 543) 사이에 장착되고, 다른 확장 캠(34)의 반대쪽에 자동잠금(self-locking) 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확장 캠(34)은, 서로 대면하여 정렬되는 쐐기형이고 상기 작동 레버(53, 54)의 대면하는 쐐기면(534, 544) 사이에서 인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확장 캠(33, 34)의 접촉면 및 상기 작동 레버(53, 54, 71)의 쐐기면(72; 73; 533, 543; 534, 544)은, 상기 쐐기형 확장 캠(33, 34)의 왕복동 지지부(35, 36)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확장 캠(33, 34)의 왕복동 지지부(35, 36)는, 상기 쐐기형 확장 캠(33, 34)의 접촉면과 상기 작동 레버(53, 54, 71)의 쐐기면(72, 73; 533, 543; 534, 544) 사이의 쐐기 각도(α)보다 작은 쐐기 각도(α/2)의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작동 레버(51-54, 71)의 소켓(511, 521; 531, 541; 781, 782)에 삽입되는 스프링 스트립(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스트립(6)은 사전 인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51, 52)는, 디스크형이고, 상기 구동휠(1)의 원통형 구동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단일체의 스프링 탄성 확장 레버(71)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 레버(71)는 상기 확장 캠(31-34) 및 상기 구동 축(1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축(10)에 대하여 상기 확장 캠(31-34)의 반대쪽에 인장력을 수용하는 탄성 웨브(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레버(71)를 가지는 형상부(7) 및 상기 구동휠(1)의 구동면과 대응되도록 되어 있는 외주면(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는 스탬핑된 강철 부품, 플라스틱 부품, 또는 소결된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사전 인장되지 않고 상기 구동휠(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4.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51-54) 또는 상기 확장 레버(71)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81, 82; 84, 85)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 레버(2)의 선회운동 후에 상기 작동 레버(51-54) 또는 상기 확장 레버(71)가 상기 확장 캠(31-34)을 상기 구동 레버(2)의 중립 위치와 대응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와 상기 양방향 구동기의 하우징에 국부적으로 고정된 정지부 사이에는 레버 복귀 스프링(86)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 레버(2)를 선회운동 후에 상기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캠(31, 32)은 상기 구동 레버(2) 상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지지되는 보강 레버(41, 42) 상의 구동 축(10)으로부터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 상의 상기 보강 레버(41, 42)의 장착부(91, 92)는 상기 확장 캠(31, 32)과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 상의 상기 보강 레버(41, 42)의 장착부(91, 92)는 상기 구동 축(10)에 대하여 상기 확장 캠(31, 32)과 동일한 쪽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 상의 상기 보강 레버(41, 42)의 장착부(91, 92)는 상기 구동 축(10)에 대하여 상기 확장 캠(31)의 반대쪽의 보강 레버(42) 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는 타원형 구멍(20)에 의해 상기 구동 축(1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는 상기 구동 축(10)의 직경과 대응되는 보어(21)를 통해 상기 구동 축(1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2)는 상기 구동 축(1) 상에 실질적으로 유격이 없이 장착되고, 상기 보강 레버(42)는 타원형 구멍(420)을 통해 상기 구동 축(10)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기.
KR1020057020112A 2003-04-22 2004-04-08 양방향 구동기 KR101058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8894A DE10318894A1 (de) 2003-04-22 2003-04-22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DE10318894.0 2003-04-22
PCT/DE2004/000797 WO2004094854A2 (de) 2003-04-22 2004-04-08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915A true KR20060008915A (ko) 2006-01-27
KR101058466B1 KR101058466B1 (ko) 2011-08-24

Family

ID=3315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112A KR101058466B1 (ko) 2003-04-22 2004-04-08 양방향 구동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04475B2 (ko)
EP (1) EP1618312B1 (ko)
JP (1) JP4648304B2 (ko)
KR (1) KR101058466B1 (ko)
CN (1) CN100434740C (ko)
DE (2) DE10318894A1 (ko)
ES (1) ES2274444T3 (ko)
WO (1) WO20040948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2844A1 (de) * 2006-11-06 2008-05-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DE102007006730A1 (de) * 2007-02-06 2008-08-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US8496425B2 (en) * 2008-12-05 2013-07-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onfigurable end-effectors with articulating frame and indexable master boom
DE102011051837A1 (de) * 2011-07-14 2013-01-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ntriebs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Drehbeschlags
CN107289040B (zh) * 2017-08-27 2019-03-08 陶珍珍 一种基于弹性卡片的离合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87A (en) * 1891-06-02 Samuel e
DE3028012A1 (de) * 1980-07-24 1982-02-18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Stufenlos verstellbarer gelenkbeschlag,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sitze
US4533027A (en) * 1982-08-09 1985-08-06 Mazda Motor Corporation Friction brake assembly
DE4309334C2 (de) * 1992-03-26 1998-12-24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DE4405870C2 (de) * 1994-02-23 2003-06-26 Brose Fahrzeugteile Manueller 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EP1110009B1 (de) * 1998-09-11 2004-03-17 Schukra-Gerätebau AG Rücklaufbremse
DE19855285C2 (de) 1998-11-24 2003-06-26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manueller Antrieb
DE19907483C2 (de) * 1999-02-12 2001-07-19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 Verstellvorrichtung
DE19915054C2 (de) * 1999-04-01 2001-03-22 Schukra Geraetebau Ges M B H Verstellvorrichtung
DE19926994C2 (de) * 1999-06-08 2001-09-20 Brose Fahrzeugteile Verstellvorrichtung
DE10033666C2 (de) * 2000-07-11 2003-02-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Verstellbeschla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insb.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essen Rückenlehne
JP2002301956A (ja) * 2001-04-06 2002-10-15 Imasen Electric Ind Co Ltd 調節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3740A1 (en) 2006-09-28
JP4648304B2 (ja) 2011-03-09
KR101058466B1 (ko) 2011-08-24
US7404475B2 (en) 2008-07-29
WO2004094854A2 (de) 2004-11-04
DE10318894A1 (de) 2004-11-11
CN1774582A (zh) 2006-05-17
DE502004001739D1 (de) 2006-11-23
JP2006524304A (ja) 2006-10-26
ES2274444T3 (es) 2007-05-16
EP1618312A2 (de) 2006-01-25
CN100434740C (zh) 2008-11-19
EP1618312B1 (de) 2006-10-11
WO2004094854A3 (de)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039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35372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作動装置
US20090107327A1 (en) Capacity-variable type swash plate compressor
EP1160478B1 (en) Brake mechanis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force amplification
JP2001227559A (ja) 手持ち式工作機械
US10913376B2 (en)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KR101058466B1 (ko) 양방향 구동기
EP3162621B1 (en)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JP4405198B2 (ja) 回転ドビー
JP3801641B2 (ja) 枢動クレードルの横方向調節手段および回転調節手段を備えたアキシャルピストン機械
US5007511A (en) Bi-directional back stopping clutch
JPH11513468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6189148A5 (ko)
US7789205B2 (en) Linkage positioner for a drum brake
AU754549B2 (en) Adjusting device
JPH1193988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CN109937311B (zh) 补偿联轴器
JPH1054344A (ja) 斜板構造方式における調節可能なアキシャルピストン機械
EP1348880B1 (en) Motorised actuator
JPWO2020008738A1 (ja) ツーウェイクラッチ
KR20040012840A (ko) 관절형 배열을 가진 왕복엔진 장치
JP3473774B2 (ja) 可変容量圧縮機
JP4982160B2 (ja)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7311048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200451248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