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420A -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420A
KR20060007420A KR1020057020793A KR20057020793A KR20060007420A KR 20060007420 A KR20060007420 A KR 20060007420A KR 1020057020793 A KR1020057020793 A KR 1020057020793A KR 20057020793 A KR20057020793 A KR 20057020793A KR 20060007420 A KR20060007420 A KR 2006000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patch
mass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192B1 (ko
Inventor
요시아키 하시모토
야스노리 다카다
키요미 츠르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0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태양광선을 직사한 경우에도 약물이 광분해하지 않고, 약효를 충분히 발현함과 동시에 제제물성이나 안전성이 우수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지지체의 편면에 비(非)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놓여진 첩부제로서, 이 첩부제가 일반식 (1):
[화학식1]
Figure 112005062960518-PCT00004
식 중,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여도 좋고, 수소 또는 C1~C8인 알킬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상기 첩부제를 제공한다.
첩부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 광안정성, 자외선, 지지체

Description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ULTRAVIOLET-SHIELDING TYPE PATCH}
본 발명은, 자외선 차폐(遮蔽) 효과가 우수한 첩부제(貼付劑)에 관한 것이다.
첩부제는 피부표면에 첩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적용부위에 따라서는 옥외에서 태양광선의 조사를 받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화합물을 함유하는 첩부제에서는, 기제(基劑) 중 약물이 분해하여 본래의 약효를 발현할 수 없거나, 그 광분해물이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영향을 피하는 연구로서, 기제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기제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함으로써, 약효성분의 광분해를 억제한 외용제가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자외선 흡수제 자체가 피부에 접촉 또는 흡수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염려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첩부제의 지지(支持)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3 참조). 지지체로 2층이상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가지고, 이 적층체 중 적어도 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피 흡수 첩부제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무기계 자외선 차폐제로 가공한 단층의 지지체에 의해 약물의 광안정성을 높인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이들은 수은 램프나 실내광 등의 인공광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차폐하는 효과는 인정되지만, 자외선량이 많은 계절에 태양광선을 직사하였을 때에 생기는 약물광분해를 충분히 억제하기는 불충분하고, 더욱이 의복이나 보호 커버에 의해 첩부제를 덮는 등의 보조 수단이 필요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공평5-8169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공평3-76285호 공보
특허문헌 3 : 실개평5-30118호 공보
특허문헌 4 : 특개평10-265371호 공보
특허문헌 5 : WO 01/68061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외선량이 많은 계절에 태양광선을 직사하였을 경우에도 약물이 광분해하지 않고, 약효를 충분히 발현함과 동시에 제제물성(製劑物性)이나 안전성이 우수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하던 중에,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지지체를 어느 특정의 히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에 의해 자외선 차단가공함으로써, 첩부제 중의 약물의 광분해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잇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발명은, 폴리 에스테르계 지지체의 편면에 비(非)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된 첩부제로서, 이 지지체가 일반식 (1):
[화학식2]
Figure 112005062960518-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여도 좋고, 수소 또는 C1~C8인 알킬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가, 추가로 산화 티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의 중량이, 100g/m2 ~ 13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非)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이, 케토프로펜(ketoprof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폴리 이소부티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체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발명의 첩부제는, 폴리 에스테르계 지지체를 특정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함으로써,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을 놀라울 정도로 낮출 수 있고, 자외선량이 많은 계절에 태양광선을 직사한 때에도, 약효를 충분히 발현한다. 따라서,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나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도, 점착체층의 열화가 없이 그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 자체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도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자외선 강도가 3mW/cm2인 조건하에서의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량은,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 변동이 인정되고, 일례로서 2002년 8월 22일의 사가(佐賀)현 토서(鳥栖)시에서의 낮 동안의 자외선 강도를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 2.9mW/cm2이고, 1일당의 누적 자외선량은 81936mJ/cm2 이었던 것에 대하여, 동일 지역의 2002년 11월 5일의 자외선 강도는, 1.6mW/cm2, 누적 자외선량은 47340mJ/cm2 이었다. 즉, 본 발명의 첩부제는, 자외선량이 많은 계절의 강한 자외선 강도하에서도, 종래에는 없을 정도로 자외선 투과율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주로, 경고제(硬膏劑)(테이프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폴리에스테르계 지지체에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흡착, 흡수, 고정 또는 지지체를 구성하는 섬유에 섞어 넣는 등으로 하여 함유시킨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식 (1)으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이고, R1 및 R2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폴리에스테르계 지지체의 가공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C1~C8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 또는 t-부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불소, 브롬, 염소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지지체의 가공이 용이한 점에서, 염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여도 좋다.
[화학식3]
Figure 112005062960518-PCT00002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즉,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한 자외선 차폐가공으로는, 단층으로 이루어진 첩부제용 지지체의 재료인 섬유 또는 포백(布帛)에 이 흡수제를 흡착, 흡수 또는 고착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는, 상기 지지체 재료인 섬유의 제조공정(중합 또는 방사(紡絲)공정)에서, 폴리머에 이 흡수제를 첨가 또는 석어 넣어 개질하고, 그 후 개질 폴리머를 섬유화하여 지지체용 부재로 하여도 좋다.
이들 벤조츠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지치체로의 배합량은 지지체 전체(흡수제를 포함한다)의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 질량%,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2질량%이다.
또한 본발명에서 이용되는 지지체의 지와선 차폐효과를 얻기 우해서, 자외선 차폐제인 금속산화물로 처리하여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활석, 고령토, 알루미나, 탄산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산화 티탄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계 차폐제를 이용한 자외선 차폐가공으로서는, 섬유의 제조공정(폴리머 또는 방사공정)에서, 폴리머 중에 무기계 차폐제를 첨가 또는 섞어 넣어 개질 한 후, 섬유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 배합량은 지지체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0.1~2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배합 비율로 함으로써 자외선에 대한 차폐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지지체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계 기포(基布)이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직포, 편포(編布), 부직포 또는 필름 등으로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중량은, 자외선의 투과율, 피부로의 사용감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00g/m2 ~ 130g/m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g/m2 ~ 120g/m2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은, 자외선 강도가 3.0mW/cm2 인 조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한, 자외선 강도의 측정에는, 자외선 강도계(주식회사 톱콘, UVR-2)을 이용하고, 수광부로는, UD-36을 사용하며, 측정파장역은, 310~400nm이다. 자외선 투과율의 산출은, 지지체에 대하여 직사일광이 충분히 조사되는 환경하에서, 지지체를 투과하는 자외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제(製劑)가 없는 경우의 자외선 강도를 100으로 하여 각각의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이용되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는, 케토프로 펜, 디크로페낙(diclofenac), 수프로펜(suprofen), 피록시캄(proxica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플루비프로펜(flubiprofen), 펠비낙(felbinac), 록소프로펜(loxoprofen), 이부프로펜(ibuprofen), 케토로락(ketorolac), 나프록센(naproxen), 베녹사프로펜(benoxaprofen), 카프로펜(carprofen), 페노로펜(fenorofen), 또는 그들의 염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약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의 배합비율은, 약물을 포함하는 기제총량기준으로 0.01~30질량%, 바람직하게는 0.1~16질량%이고,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 또는 유기염의 형태도 포함되며, 이 배합분율로 함으로써 약효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이용되는 기제(基劑)로서는, 고무계 기제가 바람직하고, 고무계 기제로서는,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로서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테린-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자외선에 대하여 열화하기 쉬워, 광안정성이 열악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지지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10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크레이톤D-KX401CS 또는 D-1107CU(쉘 화학 주식회사 제품), SIS-5000 또는 SIS-5002(일본 합성고무 주식회사 제품), 퀸탁3530, 3421 또는 3570C(일본 제온 주식회사 제품), 솔프렌428( 필립스 페트롤리움 주식회사 제품)을 들 수 있다. 기제에는 이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1종 또는 2종이상 배합할 수 있고, 그 배합량은, 응집력, 작업성을 고려하면, 기제총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40 질량%,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5~30 질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의 기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서 상기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상기한 배합비율로 함유하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점도 및 점착력을 조정함으로써, 피부로의 부착성, 박리시의 통증, 피부의 발진 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의 기제는, 폴리이소부틸렌을 배합하여도 좋고, 그 배합량은 기제총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 질량%이 좋다. 또한, 평균분자량이 다른 2종이상의 폴리 이소부틸렌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점도평균분자량(Staudinger qjq)이 5,000~15,000인 폴리이소부틸렌과, 점도평균분자량이 50,000~200,000인 폴리이소부틸렌을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폴리이소부틸렌을 특정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평균분자량이 5,000~15,000인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비스타넥스 LM-MS 및 LM-MH(엑슨 화학 주식회사 제품), 테트락스 4T, 5T 및 6T(일본석유화학 주식회사 제품), 오파놀 B12SF 및 B15SF(BASF 재팬 주식회사 제품)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테이프제 기제에 배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기제총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질량%이다.
점도평균분자량이 50,000~200,000인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비스타넥스 MML-80, MML-100, MML-120 및 MML-140(엑슨 화학 주식회사 제품), 오파놀 B80, B100, B120 및 B150(BASF 재팬 주식회사 제품)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이상을 테이프제 기제에 배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기제총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이고, 이들의 배합비율로 하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 및 점착력을 조정함으로써, 기제의 점착력, 장시간의 피부로의 부착성, 박리시의 통증, 피부의 발진 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점도 평균분자량이 다른 폴리이소부틸렌을 2종 이상 배합할 때는, 폴리이소부틸렌 전체량이 기제 총량기준으로 50 질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람직한 점착성 기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성 부여제 및 가소제(可塑劑)를 함유하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및 점착 부여제를 원하는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가소제에 의해 상기의 점도로 되도록 조정하여 얻을 수 있다.
점착부여제로는, 연화점이 6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로진에스테르, 수첨(水添) 로진에스테르, 말레인산 변성 로진에스테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에스테르 검(Gum) A, AA-G, H 또는 HP(황천(荒川) 화학 주식회사 제품), 하리에스타 L, S 또는 P(파마(播磨) 화성 주식회사 제품), 파인크리스탈 KE-100, 또는 KE-311(황천(荒川) 화학 주식회사 제품), 하코린D(HercolynD)(이화 허큘레스 주식회사 제품), 스테이베라이트 에스테르 7, 또 는 10(이화 허큘레스 주식회사 제품), 판타린 4820, 또는 4740(이화 허큘레스 주식회사 제품), 아르콘 P-85, 또는 P-100(황천(荒川) 화학 주식회사 제품), 에스코레즈 5300(엑슨 화학 주식회사 제품), 크리아론 K, M, 또는 P(야스하라 케미칼 주식회사 제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점착성 기제에 배합할 수 있다.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은, 기제총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45 질량%, 더한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질량% 이며, 기제의 점도 및 점착력이 상기한 범위로 되도록 조정된다. 이 바합 비율로 함으로써, 얻어진 기제의 점착력, 피부로의 부착성, 박리시의 통증, 피부의 발진 등이 크게 개선된다.
가소제로는, 용액 점도가 10~100 센티스톡스(centistokes)(40℃)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아몬드 유, 올리브 유, 동백 기름, 퍼식 유(persic oil), 땅콩 기름, 올레핀산, 유동 파라핀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점착성 기제에 배합할 수 있다. 그 배합비율은 기제총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7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 질량%, 더한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5 질량%이고, 기제의 점도 및 점착력이 상기한 범위로 되도록 조정된다. 이 배합비율로 함으로써, 얻어진 기제의 점착력, 피부로의 부착성, 약물의 기제중 균일 분산성, 박리시의 통증, 각질층으로의 손상(damage), 피부의 발진 및 열안정성 등이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첩부제의 기제는, 종래 공지된 충전제(充塡劑),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용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충전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아연, 산화 알루미늄, 이산화 티탄, 산화 칼슘, 합성 규산 알루미늄, 실리카류, 산화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금속염류 등이 이용된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산화 토코페롤, 천연 비타민 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몰식자산 프로필 등이 이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살리틸산 글리콜,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이 이용되지만, 피부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제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 벤질알콜,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크로타미톤, 올레일 알콜, 유칼리 유, 리모넨, 이소푸레골 또는 기타 제품 유류가 이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 유지, 고급지방산, 착샹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L-멘톨, 캄포(camphor), 박하유, 고추 엑기스, 캅사이신(capsaicin), 니코틴산 벤질, 살리틸산 메틸, 살리틸산 글리콜 등의 피부 자극제(counterirritant)를 필요에 따라 적의 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우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에, 점착부여제 및 고소제를 가하여 점도 및 점착력을 조정하고, 임의로 충전제 및 산화방지제 등을 소정의 비율로 가하여 혼합물을 이루고, 이것을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가열교반하여 용해물로 한다. 교반시의 온도는 110~200℃이고, 교반시간은 30~120분간이다. 다음으로, 약효성분을 상기 용해물의 교반시에 온도가 110~200℃ 범위내에서 가열하고, 1~30분간 혼합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해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직접,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자외선 차폐제에 특수 가공한 지지체에 전 연(展延)한 후, 박리 피복물로 덮든가, 또는 일단 박리 피복물에 전연한 후, 지지체로 덮고 압착전사시켜도 좋다. 박리(剝離) 피복물은 박리처리를 실시한 박리지(剝離紙), 셀로판,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필름으로부터 적의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 「%」는, 모두 질량%를 의미한다.
테이프 제제1(실시예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크레이톤D-1107CU: 셀 화학 제품)22 질량부, 폴리이소부틸렌 22 질량부(오파놀 B80 : BASF 제품), 수첨 로진에스테르(스테이베라이트 에스테르 : 이화 허큘레스 제품) 12 질량부, 유동 파라핀(크리스톨 J-352 : 에쏘 석유 제품) 40 질량부,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 1중량부를, 질소 가스 분위기하 110~200℃의 온도범위로 교반하면서 케토프로펜 3 질량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5~30분 혼합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어, 테이프용 기제로 하였다. 다음에 기제를 70cm2 당 1g이 되도록 실리콘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전연하였다.
한편,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 제품) 1 질량부를 중량(目付) 약 110g/m2인 폴리 에스테르 직포 99 질량부에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가공한 지지체를 얻었다. 상기 필름 위에 전연 기제를 이 지지체로 덮어 압착 전사시켜서,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테이프제로 하였다.
테이프 제제2(실시예2)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 제품) 2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직포 98 질량부에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 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3(실시예3)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 제품) 3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직포 97 질량부에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 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4(실시예4)
산화티탄 1.5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97.5 질량부에 섞어 넣은 직포에, 추가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제품) 1 질량부를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5(실시예5)
산화티탄 1.5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96.5 질량부에 섞어 넣은 직포에, 추가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제품) 2 질량부를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6(실시예6)
산화티탄 0.1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97.9 질량부에 섞어 넣은 직포에, 추가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제품) 2 질량부를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7(실시예7)
산화티탄 0.2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97.8 질량부에 섞어 넣은 직포에, 추가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TINUVIN 326 : 나가세 화성제품) 2 질량부를 흡착시켜서, 자외선 차폐가공한 지지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8(비교예1,3)
폴리에스테르 직포에 자외선 차폐가공을 행하지 않은(미처리)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테이프 제제9(비교예2)
폴리에스테르 직포의 자외선 차폐가공에 이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케토프로펜 테이프제를 얻었다.
투과도 시험
각 테이프 제제1~9(실시예1~7, 비교예1~3)에 사용된 지지체에 관하여 광투과성 시험을 행하였다. 직사일광하에서 자외선 강도계(주식회사 톱콘, UVR-2)에 의해 자외선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수광부에는, UD-36을 사용하고, 측정파장역은, 310~400nm 이었다. 다음으로 각 지지체에 대하여 직사일광이 충분히 조사되는 환경하에서, 지지체를 투과하는 자외선량을 측정하고, 상기 지지체가 없는 경우의 자외선 강도(실시예1~5, 비교예1 및 2 약 3.0mW/cm2, 실시예6~7, 비교예3 약 1.6mW/cm2)을 100으로 한 때의 자외선 투과율을 산출하여 광투과성 시험으로 하였다.
광안정성 시험1
각 테이프 제제1~9(실시예1~7, 비교예1~3)에 관하여 이하를 통하여, 약물의 광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즉, 각 테이프 제제의 지지체 면을 위로하여 직사일광이 충분히 조사하는장소에 방치하고, 기제 중의 약물 잔존율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1~5, 비교예1 및 2의 시험을 실시한 2002년 8월 22일의 사가(佐賀)현 토서(鳥栖)시에서의 낮동안의 자외선량은, 1시간당 약 6000mJ/cm2, 조사시간은 15시간(누적 자외선량 약 85000mJ/cm2) 이었다.
광안정성 시험2
각 테이프 제제의 지지체면을 위로 하여 직사일광이 충분히 조사하는 장소에 방치하고, 시험후(실시예1~5, 비교예1 및 2 : 자외선량 1시간당 10000mJ/cm2, 조사시간 8시간, 누적 자외선량 약 80000mJ/cm2, 실시예6 및 7, 비교예3 : 자외선량 1시간당 약 6000mJ/cm2, 조사시간 15시간, 누적 자외선량 약 85000mJ/cm2)에서의 기제의 착색 정도에 관해서 외관을 관찰하였다.
광안정성 시험3
각 테이프 제제의 지지체면을 위로 하여 직사일광이 충분히 조사하는 장소에 방치하고, 시험후(실시예1~5, 비교예1 및 2 : 자외선량 1시간당 10000mJ/cm2, 조사시간 8시간, 누적 자외선량 약 80000mJ/cm2, 실시예6 및 7, 비교예3 : 자외선량 1시간당 약 6000mJ/cm2, 조사시간 15시간, 누적 자외선량 약 85000mJ/cm2)에서의 기제의 응집력(고착성)에 관하여 외관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테이프 제제 시험후의 약물함량 [%] 자외선 투과율 [%] 외관변화 응집량 감소 (고착성)
실시예1 처방1 90.8 1.92 없음 없음
실시예2 처방2 98.7 1.38 없음 없음
실시예3 처방3 99.9 0.67 없음 없음
실시예4 처방4 98.8 0.84 없음 없음
실시예5 처방5 100.0 0.44 없음 없음
실시예6 처방6 99.3 0.84 없음 없음
실시예7 처방7 99.5 0.67 없음 없음
비교예1 처방8 53.0 24.8 황색 있음
비교예2 처방9 77.5 2.83 엷은황색 일부 있음
비교예3 처방8 49.8 24.8 황색 있음
관능성시험
테이프 제제5 70cm2을 볼런티어(volunteer) 5명의 무릎에 8시간 첩부하고, 부착성, 첩부시의 위화감에 관하여 평가하고 사용성의 종합판정을 행하였다.
사용성의 평가기준
부착성
전혀 떨어지지 않음:◎ 끝단 부분이 떨어졌음:○ 1/4이상이 떨어졌음:△ 1/2이상이 떨어졌음:×
첩부시의 위화감
전혀 조이는 감이 없음:○ 다소 조이는 감이 있음:△ 조이는 감이 있음:×
종합판정
사용성에 만족:○ 사용성에 다소 불만족:△ 사용성에 불만족:×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중량(目付) (g/m2) 자외선투과율 (%) 사용성
부착성 첩부시의 위화감 종합판정
테이프 제제 112.5 0.44
본 발명의 첩부제는, 자외선 차폐효과가 우수하고, 자외선량이 많은 직사일광을 조사한 경우에도,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점착제층이 옅어져 없어지는 등의 열화가 없고, 약효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자체가 피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로의 자극성을 저감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우수한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계 지지체의 편면에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을 함유하는 점착제 층이 놓여진 첩부제로서, 이 지지체가 일반식 (1):
    [화학식1]
    Figure 112005062960518-PCT00003
    식 중,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여도 좋고, 수소 또는 C1~C8인 알킬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상기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추가로 산화 티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자외선 투과율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중량이, 100g/m2 ~ 13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非)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NSAID)이, 케토프로펜(ketoprof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폴리이소부티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체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KR1020057020793A 2003-05-07 2004-05-07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 KR101066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8934 2003-05-07
JP2003128934 2003-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420A true KR20060007420A (ko) 2006-01-24
KR101066192B1 KR101066192B1 (ko) 2011-09-21

Family

ID=3343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93A KR101066192B1 (ko) 2003-05-07 2004-05-07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60198880A1 (ko)
EP (1) EP1621188B1 (ko)
JP (1) JP4927403B2 (ko)
KR (1) KR101066192B1 (ko)
CN (1) CN100366240C (ko)
AU (1) AU2004236606B2 (ko)
BR (1) BRPI0410093B8 (ko)
CA (1) CA2524891C (ko)
ES (1) ES2426168T3 (ko)
HK (1) HK1087634A1 (ko)
PL (1) PL1621188T3 (ko)
PT (1) PT1621188E (ko)
TW (1) TWI327074B (ko)
WO (1) WO2004098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0511T3 (es) * 2005-02-25 2011-12-1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do transdérmico para uso externo que contiene un agente analgésico/antiinflamatorio no esteroideo.
US20060263420A1 (en) * 2005-03-10 2006-1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and plaster
JP4974535B2 (ja) * 2006-02-02 2012-07-11 久光製薬株式会社 外用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ES2755027T3 (es) 2006-08-04 2020-04-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reparación adhesiva
US20100217171A1 (en) * 2007-09-28 2010-08-26 Nichiban Co., Ltd. Patch Material
US8382729B2 (en) 2008-01-31 2013-02-2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JP6533639B2 (ja) * 2012-03-16 2019-06-19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及び紫外線によるカロテノイド含有油性成分の分解抑制方法
ES2724483T3 (es) 2014-02-27 2019-09-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Emplasto que contiene ketoprofeno
US20220257915A1 (en) * 2021-02-17 2022-08-18 Katy Hamilton Skin Pro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111A (ja) * 1983-10-20 1985-08-1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安定なケトプロフェン含有外用経皮製剤
DK0698393T3 (da) * 1993-05-19 2002-08-0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3-/-menthoxypropan-1,2-diol som solubiliseringsmiddel og præparat til udvortes brug, der indeholder samme
JPH0853354A (ja) * 1994-08-11 1996-02-2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皮膚疾患用水性貼付剤
AU3618795A (en) * 1994-10-05 1996-05-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Drug compounding ingredients comprising n-substituted-o-toluidine derivative and percutaneously absorbable preparation
JPH08133964A (ja) * 1994-11-05 1996-05-28 Nichiban Co Ltd 有害紫外線吸収性粘着シート
CN1126540C (zh) * 1996-12-06 2003-11-05 久光制药株式会社 含有联苯乙酸的贴剂
JP3682465B2 (ja) * 1999-03-31 2005-08-10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樹脂成形物表面層の改質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および表面層が改質された樹脂成形物、および樹脂成形物表面層の着色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および表面層が着色された樹脂成形物、および表面層の改質により機能性を付与された樹脂成形物
JP4627945B2 (ja) * 1999-07-15 2011-02-09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JP4584381B2 (ja) * 1999-07-30 2010-11-17 久光製薬株式会社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WO2001043729A1 (fr) * 1999-12-15 2001-06-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s d'adhesifs
US6924410B2 (en) * 2000-03-17 2005-08-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Ultraviolet-screening patch
BR0110178A (pt) * 2000-04-18 2003-12-3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Emplastro contendo antiinflamatório
JP4192411B2 (ja) * 2000-07-12 2008-12-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US6624410B1 (en) * 2002-02-25 2003-09-23 Monitor Instruments Company, Llc Cycloidal mass spect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8880A1 (en) 2006-09-07
KR101066192B1 (ko) 2011-09-21
TWI327074B (en) 2010-07-11
AU2004236606A1 (en) 2004-11-18
ES2426168T3 (es) 2013-10-21
BRPI0410093B8 (pt) 2021-07-27
JP4927403B2 (ja) 2012-05-09
PT1621188E (pt) 2013-09-26
TW200510007A (en) 2005-03-16
EP1621188B1 (en) 2013-07-10
PL1621188T3 (pl) 2013-12-31
JPWO2004098575A1 (ja) 2006-07-13
CA2524891A1 (en) 2004-11-18
HK1087634A1 (en) 2006-10-20
EP1621188A1 (en) 2006-02-01
WO2004098575A1 (ja) 2004-11-18
CN1784219A (zh) 2006-06-07
BRPI0410093B1 (pt) 2018-02-14
EP1621188A4 (en) 2012-01-25
AU2004236606B2 (en) 2010-03-11
CN100366240C (zh) 2008-02-06
BRPI0410093A (pt) 2006-05-16
CA2524891C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5301B2 (ja) 貼付剤
CA2424579C (en) Ultraviolet-screening patch
EP2865378A1 (en) Skin patch
EP3369421B1 (en) Adhesive skin patch
KR101066192B1 (ko) 자외선 차폐성 첩부제
ES2573858T3 (es) Parche anti-inflamatorio analgésico
EP2366407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contain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nalgesic
JP5584379B2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それを含む貼付剤
WO2009157586A1 (ja) フェンタニルまたはその塩含有経皮吸収型貼付剤
JP2010030909A (ja) フェンタニル類を含む経皮吸収型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フェンタニル類の結晶析出抑制方法および結晶析出抑制剤
JP2018118927A (ja) 薬物の光分解を抑制したロチゴチン経皮吸収型貼付製剤
JPS62298531A (ja) 持続性抗アレルギ−貼付剤
KR20130072688A (ko) 리바스티그민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