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474A -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474A
KR20060005474A KR1020040054278A KR20040054278A KR20060005474A KR 20060005474 A KR20060005474 A KR 20060005474A KR 1020040054278 A KR1020040054278 A KR 1020040054278A KR 20040054278 A KR20040054278 A KR 20040054278A KR 20060005474 A KR20060005474 A KR 2006000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bracket
vehic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737B1 (ko
Inventor
허재명
김도균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737B1/ko
Priority to US10/976,795 priority patent/US7152925B2/en
Publication of KR2006000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68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transvers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83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locking on transversal elements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e.g. transversal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9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wheels coupl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체에 분리 및 설치가 용이하고, 원터치에 의해 시트폴딩 및 텀블링이 가능하며, 시트 슬라이딩부의 측면결합에 의해 시트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중앙하부가 차체에 결합되고 롱슬라이드레일과 롱슬라이드 찬넬이 측면결합되는 시트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재의 롱슬라이드레일에 전후단 록킹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전후단 록킹부가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단 록킹부가 동시에 회전되는 시트 착탈부재와, 상기 시트 착탈부재의 후단 록킹부에 연결되고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시트를 폴딩시킴과 동시에 후단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시트텀블부재로 구성되어, 시트 착탈부재에 의해 시트가 장탈착되고, 시트텀블부재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 폴딩 및 시트의 텀블이 가능한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차량용시트, 텀블, 수평결합, 착탈식시트, 슬라이드

Description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Detachable seat for an automobi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일측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일측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슬라이드부재의 잠금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일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로킹암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정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롱슬라이드레일 및 롱슬라이드챤넬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슬라이드부재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착탈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록킹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후단록플레이트가 제거된 후단록킹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후단록플레이트가 제거된 후단록킹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착탈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텀블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텀블부재의 정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텀블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슬라이드부재 (110) : 슬라이딩부
(111) : 롱슬라이드 (111a) : 제 1 스트라이커
(111b) : 제 2 스트라이커 (111c) : 제 3 스트라이커
(112) : 롱슬라이드챤넬 (113) : 로울러
(120) : 잠금부 (121) : 베이스플레이트
(121a) : 절곡부 (121b) : 가이드홈
(122) : 구동캠 (123) : 회전축
(123a) : 접촉봉 (124) : 연동판
(124a) : 구동봉 (125) : 로킹암
(125a) : 돌출편 (125b) : 장공
(126) : 탄성부재 (127) : 구동판
(128) : 구동블록 (128a) : 볼트
(129) : 커버 (130) : 동력전달부
(131) : 고정브래킷 (132) : 연결블록
(132a) : 가이드핀 (133) : 스프링
(134) : 구동링크 (134a) : 가이드홈
(135) : 레버 (200) : 시트착탈부재
(210) : 전단록킹부 (211) : 제 1 걸림고리
(211a) : 삽입홈 (212) : 제 2 걸림고리
(213) : 전단록플레이트 (213a) : 제 1 록킹홈
(213b) : 제 2 록킹홈 (213c) : 돌출봉
(213d) : 이동로울러 (214) : 스파이럴 스프링
(215) : 제 1 스프링 (216) : 연결대
(217) : 작동대 (218) : 제 2 스프링
(219) : 록해제연결대 (220) : 후단록킹부
(221) : 제 1 걸림대 (221a) : 돌출봉
(222) : 제 2 걸림대 (223) : 제 3 걸림고리
(223a) : 걸림홈 (223b) : 돌출봉
(224) : 제 1 후단록플레이트 (224d) : 이동로울러
(225) : 스프링 (226) : 제 2 후단록플레이트
(226a) : 제 1 가이드홈 (226b) : 제 2 가이드홈
(226c) : 가이드봉
(227) : 복원스프링 (228) : 케이블
(230) : 록플레이트 링크부 (231) : 장홈
(300) : 시트텀블부재 (301) : 폴딩레버
(301a) : 후부브래킷 (301b) : 후부손잡이
(310) : 시트백 브래킷 (311) : 연결브래킷
(320) : 시트쿠션 브래킷 (330) : 서브 로터(sub roter)
(331) : 삽입홈 (340) : 작동캠
(341) : 접촉대 (342) : 지지대
(343) : 탄력스프링 삽입홈 (350) : 탄력스프링
(360) : 작동레버 (361) : 제 1 돌출대
(362) : 제 2 돌출대 (363) : 제 3 돌출대
(364) : 접촉봉 (370) : 작동스프링
(380) : 케이블 브래킷 (381) : 고정대
(390) : 메인축 (391,392): 힌지축
(400) : 시트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착탈이 가능하고, 전후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하며, 시트백의 폴딩에 의해 시트가 자동으로 텀블되도 록 구성된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줄여주는 승차감과 차량의 구성품 가운데 시트의 중량이나 원가는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나 경제적인 구조를 채용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기획된 좌석전원이 만족스럽게 착좌할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를 갖추어야 하고, 차실공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의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 및 근무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하여 여가활용을 위한 레저용 차량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용 차량은 여행등 가족단위의 여행시 화물을 충분히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종래의 차량은 사람이 탑승하는 공간외에도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비교적 큰 화물을 적재하게 될 경우, 차량의 뒤쪽 시트를 접거나 시트를 분리시킴으로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화물적재를 위해 시트를 접을 경우 화물과 시트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화물 또는 시트가 파손될 우려가 높으므로 부피가 큰 화물의 적재시에는 시트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폴딩 또는 더블폴딩되는 리어시트의 경우, 먼저 시트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해 시트백을 시트쿠션방향으로 회전하여 포갠다음, 시트 백과 쿠션이 포개진 상태에서 시트쿠션과 차체 스트라이커와의 결합관계를 해제한 후, 프론트 시트 백 후면에 세워지도록 되어 있었다. 즉, 두번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과 쿠션이 세워지도록 되어 있어 작업이 불편하고, 이와 같은 폴딩 또는 더블폴딩에 의해 적재공간을 확보한다하더라도 차량내에 리어시트가 존재하게 되므로, 필요한 공간만큼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번 작동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한번의 작동으로 시트백의 해제 및 시트쿠션과 차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는 시트쿠션만을 회전시킨 후, 테이블로 사용한 후 시트백을 복원시킬 때 차체 연결 케이블이 다시 차체에 연결되는 록을 해제하게 되어 시트 쿠션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리어시트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 즉, 시트쿠션 저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의 앞단에 장착구를 갖는 삽입고정단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탄성의 볼 스트라이커가 끼워진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고정단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락커와 이락커를 이동시키는 이동링크가 내설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락킹체를 플로어 패널에 장착하고, 상기 고정단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스트라이커를 플로어 패널에 장착하여 리어시트를 차체에서 분리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분리되는 시트를 이동할 시에 사용자가 직접 시트를 이동하고자 하는 장소로 힘에 의해 이동시켜야 하므로 노약자의 경우 분리된 시트의 보관 및 처리에 애로사항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체에 분리 및 설치가 용이하고, 원터치에 의해 시트폴딩 및 텀블링이 가능하며, 시트 슬라이딩부의 측면결합에 의해 시트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일측면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일측면 예시도르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 중앙하부가 차체에 결합되고 롱슬라이드레일(111)과 롱슬라이드 찬넬(112)이 측면결합되는 시트슬라이드부재(100)와,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재(100)의 롱슬라이드레일(111)에 전후단 록킹부(210,22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전후단 록킹부(210,220)가 시트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착탈부재(200)와, 상기 시트 착탈부재(200)의 후단 록킹부(220)에 연결되고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시트를 폴딩시킴과 동시에 후단 록킹부(220)의 록킹을 해제하는 시트텀블부재(300)로 구성되어, 시트의 탈/장착이 용이하고, 시트텀블부재(300)에 의해 시트백 폴딩 및 시트의 텀블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슬라이드부재의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시트슬라이드부재(100)는 차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10)와, 상기 슬라이딩부내에 설치되는 잠금부(120)와, 상기 잠금부(120)를 작동시키고 시트쿠션 하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10)는 내부 하단중앙이 볼트 또는 리벳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롱슬라이드챤넬(112)과, 상기 롱슬라이드 챤넬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는 롱슬라이드레일(1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롱슬라이드레일(111)의 전후단에는 롱슬라이드 챤넬(112) 내부에 접촉되는 로울러(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 로울러 후부 및 후단 로울러 전부에 위치하도록 롱슬라이드 레일(111)의 양측에 시트착탈부재(200)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스트라이커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는 전단부에 제 1,2 스트라이커(111a, 111b)가, 후단부에 제 3 스트라이커(111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120)는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슬라이드레일(111)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방향으로 절곡성형된 절곡부(121a)가 구비되는 한편, 이 절곡부(121a)의 중앙부 양측에 상호 대층구조를 갖는 가이드홈(121b)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절곡부(121a)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122)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캠(123)과, 상기 구동캠(123)의 양끝단부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접촉봉(123a)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절곡부(121a)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 회전축(122)의 하단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그 타측단에 하향돌출된 구동봉(124a)이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연동판(124)과, 상기 연동판(124)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구동봉(124a)이 삽입되는 장공(125a)이 구비되어 절곡부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내에서 연동판(124)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암(125)과, 상기 회전축(122)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며 타측단이 구동캠(123)에 고정되어 구동캠(123)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6)와, 상기 구동캠(12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좌우방 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접촉봉(123a)을 작동하는 구동판(127)과, 상기 구동판(127)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블록(128)과, 상기 구동블록(128)과 구동판(127)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홈(121b)에 삽입되는 볼트(128a)와, 상기 구동블록(128)의 상부에서 씌워져 롱슬라이드레일(111)에 고정되는 커버(129)로 구성되어, 동력전달부(130)의 구동력이 구동블록으로 전달되어 로킹암을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롱슬라이드레일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양 끝단이 롱슬라이드레일(111)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토록 상방향으로 절곡성형된 절곡부(121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121a)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이 구멍의 좌우 양측에 상호 대층구조를 갖으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1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2)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절곡부(121a)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캠(123)은 회전축(12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하며, 양끝단에는 하향돌출된 접촉봉(123a)이 설치되어 구동판(127)과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캠(123)과 절곡부(121a)의 사이에는 구동캠(123)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6)로서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이 토션스프링의 일측단이 구동캠(123)에 고정되고 나머지 타측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1)에 고정되어 구동캠(123)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판(124)은 절곡부(121a)의 하부로 돌출된 회전축(12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22)과 함께 회전하며, 그 끝단에 하향돌출된 구동봉(124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킹암(125)은 연동판(124)의 하부에 위치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절곡부(121a)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롱슬라이드챤넬(112)의 체결공(112a)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출편(125a)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봉(124a)이 삽입되는 장공(125b)이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공(125b)은 연동판(124)의 회전에 의한 구동봉(124a)의 위치변화시 구동봉(124a)의 위치변화를 수용하며 로킹암(125)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판(127)은 구동캠(12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토록 절곡부(121a)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 구동판(127)은 레버(135) 작동시 구동캠(123) 방향으로 이동되어 접촉봉(123a)을 밀게 됨으로써 구동캠(12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캠(123)의 양측에 구동판(127)이 설치됨으로써 시트가 대좌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상관없이 슬라이딩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블록(128)은 구동판(127)의 상부에 위치하며, 구동블록(128)과 구동판(127)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절곡부(121a)의 가이드홈(121b)으로 삽입되는 볼트(128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블록(128)은 커버(129)에 의해 지지되며, 일부분의 커버(129)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동력전달부(130)와 접촉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40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31)과, 상기 고정브라켓(131)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일측단이 레버(135)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에 가이드핀(132a)이 돌출형성된 연결블록(132)과, 상기 가이드핀(132a)이 형성된 타측단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고정브라켓(131)에 고정되는 스프링(133)과, 상기 고정브라켓(131)의 후단부에 중앙부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일측단이 구동블록(128)과 접촉되며 타측단에 가이드핀(132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34a)이 형성된 구동링크(13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레버의 작동시 연결블록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핀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며, 가이드핀의 이동에 의해 구동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구동블록을 시트후부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레버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에 의해 연결블록이 원위치하게 되므로 레버가 복귀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착탈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착탈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시트착탈부재(20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400)에 설치되어 시트 슬라이드부재(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시트프레임 전단 하부에 설치되는 전단 록킹부(210)와, 상기 시트프레임 후단 하부에 설치되고 시트텀블부재(300)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후단 록킹부(220)와, 상기 전단 록킹부(210)에 일측단이 회전가 능하게 연결되고, 후단 록킹부(220)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록플레이트 링크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록킹부(210)는 시트프레임 전단 하부에 설치되고, 시트슬라이딩부재(10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제 1,2 스트라이커(111a,111b)에 결합되어 시트 전단부를 차체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트라이커(111a)에 결합되는 제 1 걸림고리(211)와, 제 2 스트라이커(11b)에 결합되는 제 2 걸림고리(212)와, 상기 제 1,2 걸림고리(211,212)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일측에 시트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돌출봉(213c)이 형성되며 제 1,2 스트라이커(111a,111b)가 삽입되는 제 1,2 록킹홈(213a,213b)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단에 이동로울러(213d)를 구비하는 전단록플레이트(213)와, 상기 전단록플레이트의 돌출봉(213c)에 중앙이 고정되고 끝단이 시트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파이럴스프링(214)과, 상기 제 1 걸림고리(211)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전단록플레이트(213)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링(215)과, 상기 전단록플레이트(213)를 관통하는 연결대(216)에 의해 제 2 걸림고리(212)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작동되고 제 1 걸림고리(211)에 형성된 삽입홈(211a)내로 일측단이 삽입되는 작동대(217)와, 상기 작동대(217)의 상단에 일측단이 접촉되고 전단록플레이트(213)에 고정되는 제 2 스프링(2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단록킹부(210)는 전단록플레이트가 시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스파이럴스프링과 연결된 돌출봉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단록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시트 외측방향으로 제 2 걸림고리 및 제 1 스프링이 위치하 며, 시트 내측방향으로 제 1 걸림고리, 제 2 스프링 및 작동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걸림고리는 제 1 스프링의 힘에 의해 또한, 제 2 걸림고리는 제 2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항시 제 1,2 스트라이커를 록킹하는 방향으로 즉,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고리(211)에는 제 1 걸림고리의 록을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록해제연결대(219)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록해제연결대(219)를 당길 시, 제 1 걸림고리가 록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단록킹부는 제 2 걸림고리가 시트슬라이드부재의 제 2 스트라이커에 결합되고, 제 2 걸림고리를 중심으로 시트가 회전되어 제 1 걸림고리가 제 1 스트라이커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전단록킹부의 제 2 걸림고리는 가해지는 힘(시트를 전단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제 2 스트라이커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스트라이커와의 접촉에 의해 제 2 걸림고리가 연결대를 중심으로 작동대를 회전시키며, 상기 작동대는 제 2 스프링을 압축하며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 스트라이커가 전단록플레이트의 제 2 록킹홈내로 삽입된다. 이때, 제 2 걸림고리는 제 2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제 2 스트라이커가 제 2 걸림고리에 의해 전단록플레이트의 제 2 록킹홈내에 록킹된다.
이와 같은 전단록킹부에 제 2 스트라이커의 결합되면,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제 2 스트라이커를 중심으로 시트가 전단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은 시트의 회전에 의해 제 1 걸림고리가 제 1 스트라이커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제 1 걸림고리는 제 1 스트라이커와의 접촉에 의해 전단록플레이트와 연결된 힌지부위를 중심으로 제 1 스프링을 이완시키며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 스트라이커가 전단록플레이트의 제 1 록킹홈내로 삽입되면 제 1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게 된다. 즉, 제 1 스트라이커가 제 1 걸림고리에 의해 전단록플레이트의 제 1 록킹홈내로 록킹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 스트라이커부에 록킹된 전단록킹부는 제 1 걸림고리와 연결된 록해제연결대를 작동시키면, 제 1 걸림고리의 록킹이 해제되게 되고 이때, 제 1 걸림고리의 삽입홈이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작동대가 연결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 2 걸림고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2 걸림고리의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상기 후단록킹부(220)는 시트프레임(400) 후단 하부에 설치되고, 시트슬라이드부재(100)의 제 3 스트라이커(111c)에 결합되어 시트 후단부를 차체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스트라이커(111c)에 결합되고 일측에 걸림홈(223a)을 구비하는 제 3 걸림고리(223)와, 상기 제 3 걸림고리(223)의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시트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이동로울러(224d)가 설치된 제 1 후단록플레이트(224)와, 상기 후단록플레이트(224)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제 3 걸림고리의 걸림홈(223a)내로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 1 걸림대(221)와, 상기 제 1 걸림대(221)와 동축을 구비하고 일체형으로 작동되고 시트텀블부재(300)와 연결되는 제 2 걸림대(222)와, 상기 제 3 걸림고리의 돌출봉(223b)이 관통되는 제 1 가이드홈(226a)을 구비하고 제 1 걸림대(221)의 돌출봉(221a)이 돌출이 관통되는 제 2 가이드홈(226b)을 구비하는 제 2 후단록플레이트(226)와, 상기 제 2 후단록플레이트의 제 1 가이드홈(226a)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 3 걸림고리의 돌출봉(223b)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후단록플레이트의 제 2 가이드홈(226b)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 1 걸림대의 돌출봉(221a)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스프링(2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단록킹부는 제 1,2 후단록플레이트 사이에 제 1 걸림대와 제 3 걸림고리가 위치하며, 시트 외측방향(제 1 후단록플레이트)으로 제 2 걸림대가 위치하며, 시트 내측방향(제 2 후단록플레이트)으로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 걸림대는 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단록킹부는 시트텀블부재에 의해 제 2 걸림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제 1 걸림대 역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 걸림대의 일측이 제 3 걸림고리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됨과 동시에, 제 1 걸림대의 회전에 따른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 3 걸림고리가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 3 걸림고리의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3 걸림고리의 록킹이 해제되면, 시트프레임의 후단록킹이 해제되므로, 전단록킹부의 스파이럴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단록플레이트의 돌출봉을 중심으로 시트프레임이 회전하여 시트전체가 텀블링된다.
또한, 상기 시프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후단록킹부의 제 1 후단록플레이트(224)에는 복원스프링(2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플레이트 링크부(230)는 전/후단 록킹부(210,220)에 양끝단이 연결되 어 전/후단록킹부를 연계작동시키는 것으로, 일측단이 전단록플레이트(213)에 힌지결합되고, 제 2 후단록플레이트(226)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봉(226c)이 타측단에 형성된 장홈(231)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록플레이트 링크부(230)는 스파이럴스프링(214)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전단록킹부(210)의 회전정도를 후단록킹부(220)에 전달하여, 이동로울러(213d,224d)의 지면(차체바닥면)접촉 및 제 1,2,3 걸림고리(211,212,223)의 록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텀블부재(300)는 시트백을 폴딩시킴과 동시에 시트착탈부재의 후단록킹부(220)의 록을 해제하여 시트전체를 텀블링시키는 것으로,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레버(301)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과 일체형으로 작동되는 작동캠에 의해 시트쿠션과 차체를 록킹하는 후단록킹부의 결합이 해제되며, 시트백의 폴딩에 의한 작동캠의 작동범위를 초과시 시트쿠션과 차체를 별도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한 시트백의 록 해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은 시트백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시트백 브래킷(310)과, 상기 시트백 브래킷(310)과 메인축(390)에 의해 연결되고 시트쿠션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시트쿠션 브래킷(320)과, 상기 메인축(390)에 중간부가 연결되고 상단이 시트백 브래킷(31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ㄴ'자 형상의 서브로터(330)와, 상기 서브로터(3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캠(340)과, 상기 작동캠(340)과 서브로터(330)를 연결하는 힌지축(391)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서브로터(330)에 연결되 며 타측단이 작동캠(340)에 연결되는 탄력스프링(350)과, 상기 시트쿠션 브래킷(320) 하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후단록킹부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ㅓ'자 형상의 작동레버(360)와, 상기 작동레버(360)의 힌지축(392)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힌지축(392)에 고정되며 타측단이 작동레버(360)의 일측에 연결되는 작동스프링(370)과, 상기 시트쿠션 브래킷(320) 하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작동레버(360)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고정대(381)가 돌출형성되며 후단록킹부(220)의 케이블(228)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케이블 브래킷(3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 브래킷(310)은 시트백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서브로터(330)와 연결브래킷(31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 브래킷(320)은 하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시트 쿠션 브래킷에는 후단록킹부(220)와 연결되는 케이블(228)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케이블 브래킷(38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로터(330)는 시트백 브래킷(310)과 시트쿠션 브래킷(320)을 연결하는 메인축(390)에 회전가능하도록 중간부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시트백 브래킷의 연결브래킷(311)이 삽입되는 삽입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에 작동캠(340)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즉, 서브로터는 'ㄴ'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단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331)내로 연결브래킷(311)의 끝단이 삽입되어 시트백 브래킷(310)의 작동시 시트백 브래킷(3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메인축(390)를 중심으로 서브로터(330)도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브로터(330)는 메인힌지(390)에 시트백에서부터 시트백 브래킷(310), 시트쿠션 브래킷(320), 서브로터(330)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캠(340)은 서브로터(330)와 힌지결합되고 작동레버(360)와 일측이 접촉되며 탄력스프링 삽입홈(343)을 구비하는 접촉대(341)와, 상기 접촉대(341)와 직각을 구비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서브로터(330)의 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대(34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캠(340)은 지지대(342)와 접촉대(341)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서브로터(330)와 연결되는 부위의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력스프링(350)은 작동캠(340)을 원위치 시키는 것으로, 작동캠(340)과 서브로터(330)를 연결하는 힌지축(391)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단이 작동캠의 탄력스프링 삽입홈(343)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서브로터(33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힌지축(392)을 중심으로 작동캠(340)을 상부방향(서브로터의 삽입홈(331)과 연결브래킷(311)의 결합부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작동캠(340)은 탄력스프링(35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회전되고, 서브로터(330)와 접촉되는 지지대(342)에 의해 상부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서브로터의 일측면에 지지대가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대(342)의 역할에 의해 외부힘의 발생시 작동캠(34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탄력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360)는 작동캠(340)의 접촉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후 단록킹부(220)의 케이블(228)과 일측이 연결되는 것으로, 작동캠(340)과 접촉되는 제 1 돌출대(361)와, 후단록킹부의 케이블(228)이 연결되는 제 2 돌출대(362)와, 시트쿠션 브래킷(320)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케이블브래킷(380)에 일측이 접촉되는 제 3 돌출대(3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3 돌출대(361,362,363)는 일체형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 1,2,3 돌출대(361,362,363)의 연결부위가 시트쿠션 브래킷(32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대(361)에는 작동캠의 접촉대가 접촉되는 접촉봉(364)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레버(360)는 전체적으로 'ㅓ'자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스프링(370)은 작동레버(36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작동레버(360)의 힌지축(392)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제 1 돌출대(361)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타측단이 힌지축(392)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브래킷(380)의 일측에는 제 3 돌출대(363)와 접촉되는 고정대(38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381)는 작동레버(360)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즉, 상기 작동레버(360)는 작동스프링(370)에 의해 제 1 돌출대(361)가 제 2 돌출대(362)의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작동레버(360)의 회전은 고정대(381)와 제 3 돌출대(363)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360)는 외부힘의 발생시, 고정대(381)와 제 3 돌출대(363)의 접촉에 의해 제 2 돌출대(362)가 제 1 돌출대(361)의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일방향 회전하게 되며, 외부힘의 제거시 작동스프링(370)의 힘에 의해 제 1 돌출대(361)의 위치가 제 2 돌 출대(362)의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폴딩 레버(301)와 연결되도록 후부브래킷(301a)을 설치하고, 상기 후부브래킷(301a)에 연결하여 후부방향으로 후부손잡이(302b)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후부브래킷(301a) 및 후부손잡이(302b)의 설치에 의해 뒤에서 뒷방향으로 후부손잡이를 당길 경우, 시트 리클라이닝부의 리클라이닝레버가 작동되어 시트 백이 시트쿠션방향으로 폴딩 및 텀블링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트텀블부재는 시트백의 전방향 폴딩시, 연결브래킷에 의해 시트백 브래킷과 서브로터가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일체형으로 회전되며, 서브로터의 회전에 의해 작동캠의 일측이 작동레버의 제 1 돌출대의 접촉봉에 접촉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레버를 회전(제 2 돌출대가 제 1 돌출대의 위치로 이동하도록)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캠은 지지대가 서브러터의 일측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제 2 돌출대에 연결된 후단록킹부의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고,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제 1,2 걸림대가 회전되며, 제 1,2 걸림대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이 제 3 걸림고리를 당기게 되므로, 제 3 스트라이커와 후단록플레이트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후단록플레이트의 록킹이 해제되면 스파이럴스프링의 힘에 의해 시트프레임은 전단록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텀블되게 된다.
또한, 시트를 텀블링 시키지 않고 테이블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시트쿠션의 후단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시트쿠션의 끝단(후단록킹부와 연결되는 시트일 측단)을 하부방향(차체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후단록킹부의 제 3 걸림고리 일측이 제 3 스트라이커에 접촉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 3 스트라이커가 후단록플레이트의 록킹홈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 3 걸림고리의 걸림홈내로 제 1 걸림대의 일측이 스프링의 힘에 삽입되어 후단록킹부를 차체에 록킹시키게 된다.
또한, 시트백을 원위치 시키고자 할 경우, 메인힌지를 중심으로 시트백을 후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캠의 일측단이 작동레버 제 1 돌출대의 접촉봉에 접촉되고, 작동캠은 접촉봉과의 접촉에 의해 탄력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의 제 3 돌출대는 케이블브래킷의 돌출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케이블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캠은 회전반경에 의해 작동레버와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 탄력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서브로터의 삽입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최초의 위치 즉, 착석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트가 탈착되었을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전단록킹부가 돌출봉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로울러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전단록킹부의 회전정도가 록플레이트 링크부에 의해 후단록킹부에 전달되어 후단록킹부의 이동로울러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단록킹부에 설치된 이동로울러가 지면 또는 차체에 접촉되므로, 탈착된 시트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장착시, 전단록킹부의 이동로울러를 시트슬라이딩부재의 롱슬 라이드내로 삽입하고 시트를 전방향으로 밀면, 이동로울러는 롱슬라이드를 따라 이동되며, 시트의 미는 힘에 의해 제 2 스트라이커와 제 2 걸림고리가 결합되고, 제 1 스트라이커와 제 1 걸림고리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단록킹부가 시트슬라이딩부재의 전단부에 록킹되면, 시트쿠션 후부에 차체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단록킹부를 중심으로 시트를 회전시키면 제 3 걸림고리가 제 3 스트라이커에 체결되어 시트가 록킹되도록 된다.
또한, 시트텀블부재에 의해 시트백을 시트쿠션방향으로 폴딩시키면, 제 3 걸림고리와 제 3 스트라이커의 체결이 해제되어 후단록킹부의 록이 해제되고, 후단록킹부의 록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단록킹부를 중심으로 시트가 회전되어 시트전체가 텀블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장탈착이 가능하여 화물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로울러의 작동에 의해 시트의 이동 및 장착이 용이하고, 한번의 작동에 의해 시트를 텀블링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체에 결합되는 시트 슬라이딩부재의 롱슬라이드챤넬이 별도의 마운팅브래킷없이 내부 중앙하단이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협소공간의 설치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공간을 미적으로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롱슬라이드챤넬과 롱슬라이드가 수평방향으로 측면결합되도록 되어 있 어, 잠금부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내부 중앙하부가 차체에 결합되고 롱슬라이드레일과 롱슬라이드 찬넬이 측면결합되는 시트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시트 슬라이드부재의 롱슬라이드레일에 전후단 록킹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전후단 록킹부가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단 록킹부가 동시에 회전되는 시트 착탈부재와,
    상기 시트 착탈부재의 후단 록킹부에 연결되고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시트를 폴딩시킴과 동시에 후단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시트텀블부재로 구성되어,
    시트 착탈부재에 의해 시트가 장탈착되고, 시트텀블부재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 폴딩 및 시트의 텀블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슬라이드부재는 내부 하단중앙이 볼트 또는 리벳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롱슬라이드챤넬과, 상기 롱슬라이드 챤넬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고 시트 착탈부재와 결합되는 제 1,2,3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롱슬라이드레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내에 설치되고, 수평작동되어 롱슬라이드챤넬과 롱슬라이드레일을 고정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와 연결되고 시트쿠션 하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롱슬라이드레일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상방향으로 절곡성형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절곡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양끝단부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접촉봉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그 타측단에 하향돌출된 구동봉이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연동판과,
    상기 연동판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구동봉이 삽입되는 장공이 구비되어 절곡부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내에서 연동판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암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측단이 구동캠에 고정되어 구동캠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구동캠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접촉봉을 작동하는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와 접촉되는 구동블록으로 구성되 어,
    동력전달부의 구동력이 구동블록으로 전달되어 로킹암을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롱슬라이드레일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시트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일측단이 레버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에 가이드핀이 돌출형성된 연결블록과,
    상기 가이드핀이 형성된 타측단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단부에 중앙부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고 일측단이 구동블록과 접촉되며 타측단에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구동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착탈부재는 시트프레임 전단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시트슬라이드레일의 제 1,2 스트라이커와 결합되는 전단 록킹부와,
    상기 시트프레임 후단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시트텀블부재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시트슬라이드레일의 제 3 스트라이커와 결합되는 후단 록킹부와,
    상기 전단 록킹부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 록킹부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록플레이트 링크부로 구성되어,
    전/후단록킹부가 각각 연결된 시트프레임의 힌지부위를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록킹부는 시트슬라이드레일의 제 1 스트라이커에 결합되는 제 1 걸림고리와,
    시트슬라이드레일의 제 2 스트라이커에 결합되는 제 2 걸림고리와,
    상기 제 1,2 걸림고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일측에 시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돌출봉이 형성되며 제 1,2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제 1,2 록킹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단에 이동로울러를 구비하는 전단록플레이트와,
    상기 전단록플레이트의 돌출봉에 중앙이 고정되고 끝단이 시트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파이럴스프링과,
    상기 제 1 걸림고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전단록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전단록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연결대에 의해 제 2 걸림고리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작동되고 제 1 걸림고리에 형성된 삽입홈내로 일측단이 삽입되는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의 상단에 일측단이 접촉되고 전단록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록킹부는 시트슬라이드레일의 제 3 스트라이커에 결합되고 일측에 걸림홈을 구비하는 제 3 걸림고리와,
    상기 제 3 걸림고리의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이동로울러가 설치된 제 1 후단록플레이트와,
    상기 후단록플레이트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제 3 걸림고리의 걸림홈내로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 1 걸림대와,
    상기 제 1 걸림대와 동축을 구비하고 일체형으로 작동되고 시트텀블부재와 연결되는 제 2 걸림대와, 상기 제 3 걸림고리의 돌출봉이 관통되는 제 1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제 1 걸림대의 돌출봉이 돌출이 관통되는 제 2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제 2 후단록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후단록플레이트의 제 1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 3 걸림고리의 돌출봉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후단록플레이트의 제 2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 1 걸림대의 돌출봉에 타측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8.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텀블부재는 시트백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시트백 브래킷과,
    상기 시트백 브래킷과 메인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시트쿠션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시트쿠션 브래킷과,
    상기 메인힌지에 중간부가 연결되고 상단이 시트백 브래킷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ㄴ'자 형상의 서브로터(sub roter)와,
    상기 서브로터의 끝단에 접촉대가 힌지결합되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캠과 서브로터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서브로터에 연결되며 타측단이 작동캠에 연결되는 탄력스프링과,
    상기 시트쿠션 브래킷 하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차체록킹부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ㅓ'자 형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단이 힌지축에 고정되며 타측단이 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작동스프링과,
    상기 시트쿠션 브래킷 하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작동레버의 일측단이 접촉되는 고정대가 돌출형성되며 차체록킹부의 케이블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케이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서브로터와 힌지결합되고 작동레버와 일측이 접촉되며 탄력스프링 삽입홈을 구비하는 접촉대와, 상기 접촉대와 직각을 구비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서브로터의 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작동캠과 접촉되는 접촉봉이 돌출형성된 제 1 돌출대와, 차체록킹부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 2 돌출대와, 시트쿠션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케이블브래킷에 일측이 접촉되는 제 3 돌출대가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2,3 돌출대의 연결부위가 시트쿠션 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KR1020040054278A 2004-07-13 2004-07-13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KR10060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278A KR100604737B1 (ko) 2004-07-13 2004-07-13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US10/976,795 US7152925B2 (en) 2004-07-13 2004-11-01 Detachable seat for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278A KR100604737B1 (ko) 2004-07-13 2004-07-13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474A true KR20060005474A (ko) 2006-01-18
KR100604737B1 KR100604737B1 (ko) 2006-07-31

Family

ID=3559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278A KR100604737B1 (ko) 2004-07-13 2004-07-13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52925B2 (ko)
KR (1) KR100604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5137B2 (en) 2014-06-27 2016-06-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locking folded state of seat for vehicle
KR20160118409A (ko) * 2015-04-01 2016-10-12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KR101991344B1 (ko) * 2018-03-15 2019-06-20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롱레일의 로킹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7063C2 (de) * 2000-05-26 2002-08-29 Brose Fahrzeugteile Sitzmodul
KR100590963B1 (ko) * 2004-05-07 2006-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위한 롱 슬라이드형 레일
US7517008B2 (en) * 2006-02-07 2009-04-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mote release seat cushion lock with one hand operation
JP4941965B2 (ja) * 2006-09-08 2012-05-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A2742163C (en) * 2008-11-10 2017-05-16 Magna Seating Inc. Stand and stow seat for hybrid vehicles
KR101063387B1 (ko) 2008-11-27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장치
US8104834B2 (en) * 2009-04-27 2012-01-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matic seat cushion locking mechanism with automatic tip-up
US7914077B2 (en) * 2009-06-18 2011-03-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ingle motion load bearing release handle
JP5451274B2 (ja) * 2009-09-11 2014-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DE102010046296A1 (de) * 2010-09-22 2012-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Entriegelungsvorrichtung
CA2788028C (en) * 2011-09-01 2018-09-25 Magna Seating Inc. Clock spring assembly
US9060610B2 (en) * 2011-11-11 2015-06-23 Flexsteel Industries, Inc. Spring back hinge with or without spring lock mechanism
JP5794162B2 (ja) * 2012-02-01 2015-10-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20140367545A1 (en) * 2013-06-17 2014-12-18 Fenton Mobility Products Inc Track and seat adapter for positioning and locking wheelchairs and transit seats
KR101592680B1 (ko) * 2014-04-09 2016-02-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탠드업 시트 백폴딩 장치
EP3259156B1 (en) 2015-02-20 2021-06-02 The Braun Corporation Seat base assembly of a vehicle
CN106828215B (zh) * 2016-12-24 2020-09-08 重庆小康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便于解锁地锁的汽车座椅
US10183596B2 (en) * 2017-03-30 2019-01-22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7016222B2 (ja) * 2017-04-24 2022-02-04 カイパー シーティング メカニズム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11338704B2 (en) * 2020-07-29 2022-05-2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Easy entry latch for vehicle seat
CN114537231A (zh) * 2020-11-24 2022-05-27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电动式座椅滑轨总成
US11951950B2 (en) 2021-08-13 2024-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with removable suppor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377A (en) * 1987-12-31 1989-09-12 Knusaga Corporation Seat riser
JP3500717B2 (ja) * 1994-08-31 2004-02-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5626391A (en) * 1995-05-25 1997-05-06 Bertrand Faure Ltd. Uptiltable rear vehicle seat assembly
FR2735729B1 (fr) * 1995-06-22 1997-08-29 Irausa Ingeniera Fixation de securite pour siege amovible de vehicule
JP3228406B2 (ja) * 1997-03-07 2001-11-1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脱着機構
DE19846031C2 (de) * 1997-10-08 2002-01-17 Mitsubishi Motors Corp Lösbarer Klappsitz
DE19753538B4 (de) * 1997-12-03 2006-10-12 Ewald Witt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lösbaren Befestigen von Sitzen, Sitzbänken oder anderen Gegenständen am Boden eines Kraftfahrzeuges
US6036252A (en) * 1998-01-20 2000-03-14 Lear Corporation Automotive bench seat with fixed rollers and linear floor latch
US5961183A (en) * 1998-03-25 1999-10-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mble forward seat with automatic seat adjuster return
CA2329321C (en) * 1998-05-15 2007-06-26 Magna Interior Systems Inc. Fold and tumble seat support assembly
US6213525B1 (en) * 1998-05-15 2001-04-10 Magna Interior Systems Inc. Lever action floor latch actuation mechanism with cinching mechanism
DE19822262A1 (de) * 1998-05-18 1999-11-25 Lear Corp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Sitzes an einem Fahrzeug
US6183032B1 (en) * 1998-09-21 2001-02-06 Glaval Corporation Vehicle seating assembly
WO2000021778A1 (en) * 1998-10-09 2000-04-20 Magna Seating Systems Inc. Automated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assembly
KR100310014B1 (ko) * 1999-08-31 2001-09-29 류정열 차량용 시트의 탈장착장치
KR100453026B1 (ko) * 2002-07-27 2004-10-14 대원산업 주식회사 자동 텀블 및 대좌 조립이 가능한 착탈식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5137B2 (en) 2014-06-27 2016-06-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locking folded state of seat for vehicle
KR20160118409A (ko) * 2015-04-01 2016-10-12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KR101991344B1 (ko) * 2018-03-15 2019-06-20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롱레일의 로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737B1 (ko) 2006-07-31
US7152925B2 (en) 2006-12-26
US20060012231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737B1 (ko)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US5383699A (en) Folding vehicle seat assembly with self advancing backrest
CN104002706B (zh) 用于车辆座椅的存储装置
US5934732A (en) Lock mechanism for foldable vehicle seat
CN207942949U (zh) 座椅组件
CN1290219A (zh) 带整体式儿童座椅的易于接近的折叠式座椅和当儿童座椅展开时的翻转锁定
EP3768549B1 (en) Cable driven head restraint for a reversible seat
US5662367A (en) Removable motor vehicles rear seat
CA2249243C (en) Tumble seat with displaceable side handle release
KR100569945B1 (ko)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CN113147537B (zh) 一种汽车及车用座椅收纳装置
KR100453026B1 (ko) 자동 텀블 및 대좌 조립이 가능한 착탈식 시트
US5730412A (en) Locking adjustable seat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40762B1 (ko)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KR100366580B1 (ko) 자동차용 더블 폴딩 시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623415B1 (ko) 차량용 시트백 구속장치
CN217396318U (zh) 汽车座椅收纳系统
CN218558640U (zh) 一种后排座椅骨架
CN216545859U (zh) 一种座椅靠背与前后撑腿的联动解锁机构
CN219133925U (zh) 一种适用于多实用场景的后排座椅
CN218536436U (zh) 一种汽车折叠座椅的解锁机构
CN219056064U (zh) 汽车座椅扶手锁止机构及汽车后排座椅和汽车
CN112572498B (zh) 逃生梯、轨道车辆及轨道交通系统
JP2003040009A (ja) チップアップ機構付の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