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288A -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288A
KR20060004288A KR1020040053344A KR20040053344A KR20060004288A KR 20060004288 A KR20060004288 A KR 20060004288A KR 1020040053344 A KR1020040053344 A KR 1020040053344A KR 20040053344 A KR20040053344 A KR 20040053344A KR 20060004288 A KR20060004288 A KR 20060004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ush
bracket
frame
stee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288A/ko
Publication of KR2006000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40Ste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래킷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파트들로 이루어짐으로써, 탈거 작업이 용이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stabilizer bar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도1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서브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서브 프레임의 하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시 120 : 관통홀
200 : 브래킷 300 : 제1파트
320 : 제1기저부 340 : 제1측부
360 : 제1상부 400 : 제2파트
420 : 제2기저부 440 : 제2측부
460 : 제2상부 462 : 관통공
500 : 프레임 520 : 결합홀
600 : 결합공 700 : 체결부재
800 : 스태빌라이저 바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바가 서브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그리고, 선회하거나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기울기가 심하게 변화됨으로써,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롤링(rolling)현상을 감소시켜 가능한 빨리 차량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로 구성된다.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서브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46047호 및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21048호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다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고정구조로서,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에는 스티어링 칼럼(미도시)과 결합되며, 양측에 부트(25)가 장착된 스티어링 기어(20)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20)의 근접한 위치에 스태빌라이저 바(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스태빌라이저 바 (30)의 양측단부는 드롭링크(미도시)에 의해 좌ㆍ우측의 컨트롤암(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30)의 중앙부는 서브 프레임(10)에 장착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스태빌라이저 바(30)의 중앙부는 부시(30)와 상기 부시(30)를 감싼채 마운팅볼트(50)에 의해 서브 프레임(10)에 배치되는 브래킷(40)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스태빌라이저 바 고정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의 상면에 스태빌라이저 바(30)가 장착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스태빌라이저 바(30)의 소음으로 인한 정비사례 및 부시(30)교환을 위해 서브 프레임(10)에서 스태빌라이저 바(30)를 분해 및 조립할 때 스티어링 기어(20)의 부트(25)와 공구의 간섭으로 부트(25)에 손상이 야기된다.
또한, 엔진과 함께 서브 프레임(10)을 내리고 스티어링 거어(20)를 탈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의 하면에 스태빌라이저 바(30)가 장착된 경우에는 서브 프레임(10)에서 스태빌라이저 바(30)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력과 작용하중에 의해 마운팅볼트(50)의 토크저하로 품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시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소음으로 인한 정비나 부시의 교환 시 탈거 작업이 용이하고, 부시의 교환을 수월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시; 상기 부시를 감싼 채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래킷은 조립 가능한 복수의 파트들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브래킷은 체결부를 갖는 제1파트와, 상기 체결부가 삽입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파트로 구성된다.
또한, 제1파트가 상기 제2파트 보다 스티어링 기어의 부트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기어와의 간격 부족으로 탈거하기 어려운 체결부재는 그대로 두고, 탈거 작업이 용이한 체결부재를 풀어 한쪽 브래킷을 탈거하여 부시를 수월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800)가 삽입되는 관통홀(120)이 형성되어 있는 부시(100), 부시(100)를 감싼채 프레임(500)에 고정되는 브래킷(200)으로 구성된다.
브래킷(200)은 조립 가능한 제1파트(300)와 제2파트(400)로 나누어진다.
제1파트(300)는 제1기저부(320), 제1측부(340), 제1상부(460)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Z'자 형상을 이룬다.
제1기저부(320)는 상기 프레임(500)에 배치되고, 천공 형성된 결합공(600)이 형성된다.
제1측부(340)는 상기 제1기저부(320)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부시(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제1상부(360)는 상기 제1측부(340)로부터 연장된 후크형상의 체결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상부(360)의 넓이는 제1측부(340)의 넓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상부(360)는 제1측부(340)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된 블록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파트(400)는 제2기저부(420), 제2측부(440), 제2상부(460)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룬다.
제2기저부(420)와 제2측부(440)는 상기 제1파트(300)의 제1기저부(320)와 제1측부(340)의 형상과 동일하며,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2상부(460)는 상기 제2기저부(420)와 평행하게 상기 제2측부(44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제1상부(360)가 체결되는 관통공(462)이 형성된다.
프레임(500)에는 체결부재(700)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200)에 형성 된 결합공(600)과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한 체결홀(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500)은 종래의 서브 프레임(10)과 도면부호는 다르나 동일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에 기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500)에는 스티어링 기어(20)와 근접하게 스태빌라이저 바(800)가 설치된다.
한편, 스태빌라이저 바(800)를 고정 설치하는 제1파트(300)와 제2파트(400)에 있어서, 제1파트(300)가 제2파트(400)보다 상기 스티어링 기어(20)의 부트(2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프레임(500)에서 스태빌라이저 바(800)를 탈거하거나 부시(100)와 스태빌라이저 바(800)의 소음으로 인한 정비사례 또는 부시(100)의 교환을 위한 분해 등과 같은 작업을 할 경우, 스티어링 기어(20)의 부트(25)와 공구의 간섭으로 부트(25)가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제1파트(300)는 프레임(500)에 결합된 상태로 놓아두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20)의 부트(25)와 떨어진 제2파트(400)의 체결부재(700)만을 탈거하여, 상기 제1파트(300)의 후크형상의 제1상부(320)에서 상기 제2파트(400)를 분리한다.
반면, 스태빌라이저 바(800)의 장착/조립의 경우는 전술한 실시 예의 역순으로 행한다.
이렇게,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인 브래킷이 제1파트와 제2파트로 나누어짐으로써, 스티어링 기어와의 간격 부족으로 탈거하기 어려운 체결부재는 그대로 두고, 탈거 작업이 용이한 체결부재만 분해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시 공구의 간섭으로 인한 스티어링 기어의 부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의 한쪽 파트만을 탈거하고도 부시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정비 및 부시를 수월하게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인 브래킷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파트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티어링 기어와의 간격 부족으로 탈거하기 어려운 체결부재는 그대로 두고, 탈거 작업이 용이한 체결부재만 분해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시 공구의 간섭으로 인해서 스티어링 기어의 부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의 한쪽 파트만을 탈거하고도 부시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정비 및 부시를 수월하게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스태빌라이저 바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부시;
    상기 부시를 감싼채 프레임에 배치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래킷은 조립 가능한 복수의 파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체결부를 갖는 제1파트와, 상기 체결부가 삽입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가 상기 제2파트 보다 스티어링 기어의 부트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1020040053344A 2004-07-09 2004-07-09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20060004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44A KR20060004288A (ko) 2004-07-09 2004-07-09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44A KR20060004288A (ko) 2004-07-09 2004-07-09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88A true KR20060004288A (ko) 2006-01-12

Family

ID=3711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344A KR20060004288A (ko) 2004-07-09 2004-07-09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605A (ko) * 2010-06-23 2011-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605A (ko) * 2010-06-23 2011-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031B1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KR20100019207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1090806B1 (ko)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KR20060004288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JP2007090957A (ja) ロアアームの取付構造
KR101509669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20090120650A (ko) 하부 스트럿 바
JP4872311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構造
KR20060004287A (ko)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어셈블리
KR20180066540A (ko) 조립성 향상을 위한 분리형 횡치 리프 스프링
JP4290675B2 (ja) ダッシュボードアッパ組立体
KR20100034222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JP2005041402A (ja) ブラケット構造
JP7180291B2 (ja) スタビライザ固定構造及びスタビライザ固定方法
KR20030040957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KR101189353B1 (ko)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KR200227494Y1 (ko) 차량용 독립 현가장치의 컨트롤아암 구조
KR100535112B1 (ko) 상용차의 전륜현가장치
KR100821002B1 (ko) 프런트 서스펜션의 로워암 지지장치
KR100980975B1 (ko) 트레일링 아암의 캘리퍼 조립체 장착 구조
KR20070032138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JP2009090714A (ja) 車体の下部構造
JP2008030676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